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교육철학적 검토

        조상식(Cho, Sang Sik)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2

        Neuerdings hat die hitzige Diskussionen der Erziehungsbeteiligten bzw. -verwaltung über die Charaktererziehung endlich die Gezetzgebung für ihere Förderung aktualisiert. Wenn bestimmte Erziehungsthemen im öffentlichen Umkreis mit der Gestalt der verschiedenen Politik oder praktischen Programme überflutet, gilt es die erziehungsphilosophische Kritik.. Wie Kant die Aufklärung als Modeausdruck des Zeitalters zu kritisieren versuchte, braucht es die erziehungsphilosophische Kritik der Möglichkeit und Grenze der Charaktererziehung. Der vorliegende Aufsatz versucht diese Aufgabe zentraisiert um die nächste zwei Dimensionen zu lösen. Zuerst entdecke ich den Grund der begrifflichen Unklarheit des Charakters mit Hilfe von seiner historisch-philosophischen Übersicht. Danach bringe ich die Hauptströmmung der Theorie der Charaktererziehung in Ordnung. In der letzten Phase dieses Artikels geht es darum, ihre begriffliche Unklarheit und die Antinomie im Kantischen Sinne zu behandeln. Dafür leitete ich eine begriffliche Übersichtkarte von dem Nutzungsbeispiel der mathematischen Koordinatenachse her. Demnächst diskutiere ich die antinomische Eigenschaft der Charaktererziehung im Sinne der Kantischen Dialektik. Der theoretische Beispiel dafür war diejenige von Th. Lickona. Zusammenfassend gesagt, liegt der übertriebene Optimus der Charaktererziehung in der Tradition der Aufklärung, und erreicht die Möglichkeit und Grenze der Charaktererziehung sehr grüdlich diejenige der pädagogischen Aporie. 최근 인성교육에 대한 교육대중과 정책 당국의 관심은 인성교육 진흥을 위한 법제화로 실현되었다. 특정 교육의 이슈가 공적 담론에서 각종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형태로 범람하게 될 때, 교육철학의 비판적 작업이 필요하다. 마치 시대의 유행어였던 계몽주의에 대해 비판했던 칸트의 철학적 시도가 있었듯이,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교육철학적 비판이 절실히 요구된다. 논문에서는 두 가지 차원에 초점을 두고 이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먼저 인성교육에 대한 철학적 역사적 개관을 통해 인성 개념의 용례를 살펴봄으로써 개념상의 혼란이 이미 전제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런 다음 인성교육의 흐름을 특정 시대에 유행했던 패러다임에 입각하여 정리한다. 이렇게 인성교육을 둘러싼 쟁점들을 역사적 지평에서 상대화 한 후, 그 개념상의 불명료성과 이율배반을 본격적으로 다룬다. 이에 인성 개념의 불명료성을 수학 좌표의 도움으로 개념적으로 모형화하였다. 다음으로 인성교육의 이율배반적(antinomisch) 성격을 칸트의 의미에서의 변증론(Dialektik)을 활용하여 논의하였다. 여기에 활용된 이론의 범례는 리코나(Th. Lickona)의 인성 및 도덕이론이었다. 결론적으로 논문은 인성교육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의 근거가 계몽주의 전통의 교육학 자체에 있음을 지적하고, 이 주제가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문제라는 더욱 근본적인 교육적 아포리아와 맞닿아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漢詩敎育을 通한 人性敎育 方案 - 목표한 孝를 중심으로-

        김미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6 漢字 漢文敎育 Vol.39 No.-

        본고는 <漢詩敎育을 通한 人性敎育 方案 -<人性敎育振興法> 목표한 孝를 중심으로->내용이 다. 연구범위로 漢詩에서 인성의 근본이 되는 ‘효백행지본’의 효행시를 인성교육 접근 방안의 내용 범위로 삼았다. 연구방향으로는 먼저, 漢詩敎育을 通한 人性敎育의 背景을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성교육을 위한 한시교육의 방법 및 실제에서 有聲詩의 聲讀과 無聲詩의 多讀을 제시하였다. 성급 한 현대인에게 인성의 치유 일면으로 성독의 방법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며, 多讀의 교육방 법은 오늘날 청소년들에게 인내와 끈기의 성품을 함양시켜주는 좋은 인성교육 방법이 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에 필자는 현장학습에서 실제 多讀과 聲讀을 적용하고 있으며 그 학습효과의 실제를 설문조사한 결과, 성독 다독은 효과적 한시공부에 매우 영향을 미치고 인성순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 한다는 설문내용에 조사결과 95%의 답변을 확인하였다. 두 방법이 실제 교육과 학습 과정에 서 조화롭게 통합되어 활용된다면 한시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효과를 극대화 시켜 주리라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방법론을 활용할 수 있는 인성교육에 필수적인 효를 주제로 한 한시내용을 첫째, 反哺의 孝行詩 둘째, 愛日의 孝行詩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이에 한시교육을 통하여 인성교 육에 접근해 갈 수 있는 방법과 내용을 바람직하게 활용한다면, 韓國의 <인성교육진흥법>의 실현 범위에서 뿐만이 아니고 凡世界的으로도 중요한 교육의 성과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he contents of Personality Educational Plan(人性敎育 方案) through Chinese Poetry Education(漢詩敎育) -Centering of Filial Piety(孝) aimed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Law(人性敎育振興法)>-. As a study scope I have seen contents scope of personality education approach of Hyohaengsi in 'Hyobaekhaengjibon' which is based on personality in Chinese poetry. In the oriented study, at first, I considered the background(背景)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Chinese poetry education. With this base, I suggest sounding reading(聲讀) method of sound being poetry(有聲詩) and many reading (多讀)method of non-sound being poetry(無聲詩) in Chinese poetry education method and practice for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sound reading we will be able to expect to heal modern people who are impatient, as a side of personality healing, and to effect effectiveness. And I considered many reading method can be become a good personality education method of cultivation in persistence and patience by adolescent. For this, writer is applying the many reading and sound reading of method at practical learning spot and the result of surveying about the practice of learning effectiveness, sound reading and many reading have quite influenced very much at effective Chinese poetry study and they think the two methods have influenced personality purification. So I confirm the 95% reply of survey results in survey contents. I think that if the two methods harmonically integrate and make use in the real education and learning course, personality education effectiveness can be maximized through Chinese poetry education. Finally, as the subject of filial piety which is essential in personality education which can be made use these methodology, the Chinese poetry contents which I considered, first, Banpo(反哺)'s filial practice poems(孝行詩), and second, I considered filial practice poems after branching from lovable sun(愛日) and Banpos. Therefore if we make use desirable the contents and methods which can be approached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Chinese poetry education, it can be global(凡世界的) important outcome as well as Korean(韓國)<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Law> scope of practice.

      • KCI등재

        예술교육에서 예술인성교육의 개념

        정현주,김정희,김수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4 교육과학연구 Vol.45 No.1

        Arts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as a medium of character education in rapidly-changing societi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ncept of arts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music and art activities. The concept of character was divided into three subcategories: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sociocultural aspects.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of music and art activities were suggested for each subcategory. Overall, understanding arts character educ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regular arts education, is important because arts character education can be effective only when teachers and school staff are able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two educational approaches. Future studies in arts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character in the arts, and curriculum and assessment for arts character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as well. Future research should address how to facilitate desirable character development in school, including preventive aspects of arts character education. 현대사회의 변화와 그에 부응하는 인성교육의 방안으로 예술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지원을 통한 다양한 예술인성교육이 시도되고 있는 현재 예술교육에서 예술인성교육의 개념과 핵심요소를 개인적, 관계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일반적인 인성교육은 학교 교육의 모든 교과를 포괄하는 관점에서 관련 덕목을 제시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예술교육에서 제공되는 활동의 심리.정서적 표현과 사회적 특성을 중심으로 예술인성교육의 개념과 핵심요소를 규명하였다. 예술의 개인적, 관계적, 사회적 특성을 중심으로 예술교육 내에서 어떻게 인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인성개념과 예술 내에서의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예술인성교육으로 명명하였다. 예술인성교육은 학교 내는 물론 학교 밖에서도 개인적, 관계적, 사회적 차원에서 계획되고 운영되어야 하며 바람직한 인성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도 확대되어야 한다.

      • KCI등재

        유가적 전통에서의 인성교육

        박의수(Park Eui-S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7 敎育問題硏究 Vol.0 No.28

          이 논문은 교육의 핵심 과제의 하나인 인성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한국전통 교육의 주류를 형성해 온 유가적 전통에서의 인성교육의 개념 및 인성교육의 원리와 방법상의 특징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BR>  먼저 몇 가지 대립적인 견해를 지닌 인성교육관을 고찰하고 그에 따른 인성교육의 원리와 방법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인성에 대한 관점에는 크게 성선설, 성악설 및 중도적 입장의 세 부류가 있으나 유가적 전통에서는 성선설을 바탕으로 한 인성교육론이 주류를 형성해 왔음을 알 수 있다.<BR>  결국 타고난 본성을 인의예지의 천리에 합당하도록 형성해 가는 과정이 인성교육이며, 이는 수기(수신)로 요약될 수 있다. 수기는 곧 격물치지와 성의정심으로 이루어지는데 격물치지는 인식론에 속하고 성의정심은 수양론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현대 교육에서는 이 둘을 분리하여 접근하려는 경향이 강하여 수양론만을 인성교육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유가적 전통에서는 인식론과 수양론은 결코 분리될 수 없으며 지식교육과 인격교육은 하나로 통합되어야 온전한 인간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concepts,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Confucianism tra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ight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Because the Confucianism had various influences on the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for a long time till Choson Dynasty closed, it will give many suggestions for us to study the direction of future character education. So this study was proceeded as follows.<BR>  Some controversial viewpoints of traditional character education and their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three main viewpoints of fundamental human nature; ①good, ②evil, ③neither good nor evil. The main stream of them is the Confucian viewpoint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BR>  Finally, the process of being one"s inborn human nature in accordance with natural laws, that is, human-heartedness,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 is character education. It can be summarized in cultivating one"s own self. Cultivating one"s own self consists of four concepts; investigating things, knowledge extension, absolute sincerity, rectifying minds. The former two concepts are theory of knowledge and the latter concepts are moral theory. They were originally one in the Confucianism tradition. But modern education made them devide in two. So integrating four concepts into one and harmonizing knowledge education with moral education is the important for the future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인성교육진흥법과 인성교육 종합계획에 관한 문제 제언 ― 2022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

        정연수 ( Jung Yeon-so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1 한국 철학논집 Vol.0 No.71

        본 논문에서는 인성교육진흥법이 제정되고 인성교육 종합계획이 마련되기까지의 역사적 맥락을 소개하면서 인성교육에 관한 법과 정책의 문제를 살펴보고, 2022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인성교육을 활성화하고 내실화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인성교육진흥법에 관해서는 특히 제2조 2항에 인성교육의 목표로 제시된 8개 핵심 가치·덕목 중 예와 효를 명시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다는 학계의 비판이 있었다. 국회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로 일부개정법률안이 발의되기도 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성교육진흥법에 관한 선행연구와 일부개정법률안의 문제를 지적하고, 인성교육진흥법에 제시된 전통 가치를 향후 개정될 2022 교육과정에서 활성화할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인성의 본질을 탐구하고 덕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 개발 방안도 제시하였다. 한편, 교육부의 제1차 인성교육 종합계획 시행의 정책적 실효성이 낮게 평가된 설문조사 결과의 본질적 문제를 분석하면서 제2차 인성교육 종합계획의 문제를 제언하였다. 특히 인성교육과 민주시민교육에 관한 종합계획이 중첩되는 정책적 혼란을 극복하고, 인성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특수성을 살려 2022 교육과정에서 두 가지 교육정책을 내실화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스스로 인성을 깨우쳐 덕성을 함양할 수 있는 인성교육의 정체성과 사회적 갈등의 본질적 문제를 통찰하여 사회통합을 도모하는 민주시민교육의 정체성을 제도적으로 확립하고, 2022 교육과정에서 두 가지 교육정책이 효율적으로 반영되길 기대한다. 다만, 인성교육이든 민주시민교육이든 교육과정에서 정책적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대학입시제도의 변화와 대학의 서열화 완화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thesis,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enactment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law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character education was introduced, the problems of the laws and policies regarding character education were raised, and the way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were sought for in relation to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As for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law, the academic circles have criticized that the particular specification of courtesy and filial piety among the 8 core values and virtues suggested as the goals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2nd clause of Article 2 is not appropriate. Because of which, a proposition with some amendments was proposed by the National Assembly. Accordingly, in this thesis, the preceding studies on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law and the problems of the proposition with some amendments were discussed, and the ways to achieve the original objectives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law were examined with regard to manners and filial piety in the 2022 curriculum to be amended later. On the other hand,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survey results in which the implementation of the 1st comprehensive plan for character educ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assessed as ineffective as a policy were analyzed, and the problems of the 2nd comprehensive plan for character education were raised. In particular, it was investigated how to overcome the confusion in the policies caused by the overlapped comprehensive plans for character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how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educational policies in the 2022 curriculum by making the most of the distinctive features of character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paper, the identity of character education, which helps one develop one's character and virtues by oneself, and the substance of social conflicts will be able to be discerned, the ident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ich can lead the society from conflicts to unity, will be systematically established, which can be efficiently reflected in the 2022 curriculum and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olicies will be able to be enhanced.

      • KCI등재

        학부모가 인식한 유아 인성교육 실태 및 요구

        손은경(Eun-Kyoung Son),김동례(Dong-R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1

        본 연구는 학부모가 인식한 유아 인성교육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D광역시 거주하며, 공 · 사립유치원을 다니는 학부모 170명을 대상으로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 다중응답 교차분석과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님들의 유아인성교육의 관심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가장 높게 인식했으며 관심도 또한 가장 높았다. 전인교육과 유아인성교육의 개념을 같은 맥락에서 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개념과 내용의 이해는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에서의 유아 인성교육 실태를 알아본 결과 가정에서도 인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가정에서 실시하는 유아 인성교육의 집중 및 활동분야는 기본생활 습관과 일상생활지도 였으며 이러한 활동은 이야기나누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가정에서 유아 인성교육의 활동은 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활동정도는 낮은 편이었고 이러한 원인중 하나는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 인성교육의 방법과 정보의 부족이었다. 셋째, 유아 인성교육의 부모참여에 대한 필요성은 무엇인가를 알아본 결과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부모교육 참여가 이루어져야 하고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의 프로그램으로 생활지도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children learn character education situation and the desire of parents to recognize there is a purpose. In D city, the data collected was intended for 170 parents percentage of the frequency analysis SPSS program was performed multiple responses cross-validation analysis, and difference. As a result, first, it has the highest awareness of the need for Children Personality care and education of parents interest also highest. It was the concept of holistic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Children can see that the same interpretation in the context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hildren education and Personality contents were understood as a whole. Second, these activities were Children Personality to training status could see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are being made in this result assumed concentration of Children humanity education conducted in the home and work areas of daily life guidance and basic lifestyle at home talking It was made through the division. Children correct behavioral models for character education has given the values of the parent as the parent greatest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Personality of children. Third, Children need for parent participation of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made a parent education involvement in what is the result of Children character education out and it was found that it should be carried out life guidance program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인성교육의 윤리학적 기초로서의 덕윤리

        서민철(Seo Min ch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3

        What I ve got to suggest in this paper is that character education could be and should be founded upon virtue ethics. Virtue ethics is a recent stream to be risen as the third camp in the world of normative ethics to be consisted of just two theoretical camps,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Virtue ethicists call the two camps duty ethics to tell themselves from the two. Duty ethics look into what right action is, but virtue ethics who virtuous agent is. For virtue ethicists think that right action come from virtuous agent. Duty ethicists believe that moral action come from understanding moral principles, while virtue ethicists don t approve it. Virtue ethicists take the position that moral actions are taken place just when agents have moral emotions and habits as well as moral understanding. However, in the middle between our moral understanding and moral actions always intervene our will, emotions, or habits. It s as like that our reason have to go through our bddy before it materialize itself. Therefore moral understanding don t always make sure to do good actions. It t the point of virtue ethics that only when agents build up moral emotions and habits as well as moral unterstanding, they could fill up the gap between moral understanding and actions. For virtue is a disposition to be willing to do some good actions, and the disposition is consist of moral understanding, emotions, and good habits. Therefore virtue is a good character which character education aims at. It s why character education is in line with virtue ethics in their focusing on character traits not actions. Character education movement began from the reflection about the problems of knowledge-centered education, and the limits of the understanding-centered moral education. Virtue ethics make clear the meanings of cardianal virtues as like justice, courage, temperance, patience as well as other virtues as like tolerance, creativity, esthetic, pride etc. and discuss why they have values in our life. The list of virtues in virtue ethics are same as the list of good characters in character education. We are able to add up some items of good character and array up a ranking of the items by referring to virute ethics. Virtue ethics may also be a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Therefore, virtue ethics can be a good foundation of character education under an increasing interest. 본 논문은 최근 대두되고 있는 인성교육이 윤리학에서 덕윤리에 기반할 수 있음 을 보이려 하였다. 덕윤리는 의무론과 공리주의를 중심으로 구성된 기존의 규범 윤 리학에 제3의 대안으로 등장한 비교적 최근의 경향이다. 덕윤리 학자들은 그 둘을 의무 윤리라 부르며 자신과 구별한다. 의무 윤리가 옳은 행위가 무엇인지를 논구한 다면, 덕윤리는 덕있는 행위자는 어떤 사람인가를 논구한다. 옳은 행위는 덕있는 행 위자로부터 나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의무 윤리는 도덕 원칙을 이해함으로써, 도덕적 행위가 보장된다고 보는 반면, 덕윤리는 그것을 부인한다. 덕윤리학자들은 도덕적 이해는 물론 도덕적 정서와 습관화까지 포함한 덕을 행위자가 갖추어야만 도 덕적 행위가 보장된다고 본다. 그런데 도덕적 이해와 도덕적 행동 사이에는 의지라 든가 정서, 그리고 습관과 같은 지식 이외의 요소가 개입한다. 그것은 마치, 우리의 이성이 구현되려면 우리의 몸을 거쳐야 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도덕적 이해가 도 덕적 행위를 곧바로 보장해주지 않는다. 덕윤리는 도덕적 이해는 물론 정서와 습관 까지 함양하므로써 도덕적 이해와 도덕적 행위의 간극을 메워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 이다. 덕은 좋은 행위를 하려는 성향으로서 도덕적 이해는 물론 정서와 습관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덕은 좋은 인성이고, 그것이 바로 인성교육의 목표이다. 그러므로 인성교육이 학생들의 행위보다는 품성을 기르는데 초점을 두는 것과 일맥 상통한다. 인성교육은 주지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비롯된 것이기도 하고, 도덕 판단력 교육의 한계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덕윤리는 정의, 용 기, 절제, 인내와 같은 핵심적 덕목은 물론 관대함, 관용, 창의성, 심미성, 자부심 등 과 같은 다양한 덕목의 의미를 규정하고, 그것이 인생에서 왜 가치있는 것인가를 논 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덕윤리의 덕목들은 그대로 인성교육의 좋은 인성 목록과 그대로 겹쳐진다. 덕윤리의 논의에 기대어 좋은 인성 목록을 보다 더 확충할 수도 있 으며, 좋은 인성 목록들 간에 위계를 세울 수도 있다. 또한 인성교육의 내용을 덕윤 리가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덕윤리는 인성교육의 훌륭한 윤리학적 기반이다.

      • KCI등재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인성교육

        정윤경(Chung, Yun-Kyoung)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2

        본고는 현재 교사교육이 교사의 인성발달을 위해 타당한지 분석하고,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한 준거는 ‘교육내용의 다양성’, ‘학습자의 마음의 통합성’, 그리고 ‘실천으로서 가르침에 따른 교사 인성의 중요성’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먼저 Ⅱ, Ⅲ장에서 교육내용, 학습자의 마음의 발달 과정, 교사의 가르침의 특성을 인성교육과 관련지어 논의할 것이다. Ⅳ장에서는 교육내용의 다양성과 마음의 통합성 그리고 실천으로서 가르침의 특성에 따른 교사 인성의 중요성이라는 준거에 비추어 볼 때, 현 교사교육이 교사의 인성 발달을 위해 적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또한 교사의 인성교육 강화를 위해 도입된 제도와 신설 교과가 과연 교사의 인성교육 발달을 위해 적합한 것인지 분석 준거에 비추어 논의할 것이다. 분석에 따르면, 교사의 인성 발달을 위한 교사교육은 행위 습관 형성을 위한 실습, 이성 능력 외 마음(가슴)의 발달, 실천적 지식,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으로 교사의 사람됨(인성)이 중시되어 교육되어야할 것이다. 교사의 사람됨을 위한 교사의 인성교육은 도구적이고 기능적 접근에서 특정 과목의 신설이 아니라, 교사의 인성이 곧 교사의 전문성임을 인식하고 교사교육이 직업인 훈련의 과정이 아니라 다방면의 균형 잡힌 관점을 지닌 사람됨의 인간교육임을 분명히 하는 데서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교사 교육은 교사의 사람됨을 목적으로 하는 인문적 교양교육의 차원에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bout an analysis of whether the teacher education is proper for teachers character development and of an investigation of desirable teacher education. There are three criteria in the analysis, which are ‘diversity of subject-matter’, ‘mind integrity of learners’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s charact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eaching as a practice’. To this end, I examined the meaning of character education related to the diversity of subject-matter, mind integrity of learners and the characteristic of teaching in ch.Ⅱ, Ⅲ. I analysed the teacher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criteria in ch. Ⅳ. According to the analysis, teacher education should reinforce the practice for building conduct habit, development of heart(not only mind focusing on reason) and practical knowledge. These could not be done by organizing a new course or program but by forming the culture of education which considers teaching as a practice and education as a building the character of human being. In short, teacher education should be done as an approach of cultivating the humanity of promising teachers.

      • KCI등재

        가치명료화 교수모형에 따른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 연구

        최민수 ( Min Soo Choi ),임은영 ( Eun Young L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가치명료화 교수모형에 따른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만 5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사회정서, 윤리도덕 인성덕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유아교육현장에 실효성 있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실험집단 유아21명에게는 관련 인성덕목에 관심가지기, 생각 끌어내기, 실천방법 모색하기, 선택한 방법 실천하기,실천에 대한 느낌 나누기, 수행정도 평가하기의 6단계 교수·학습과정으로 구성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 유아 16명에게는 일상적인 누리과정에 따른 교육활동이 적용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최민수 . 임은영(2013)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하여 사용한 바 있는 30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여 2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28문항으로 완성하였다. 또한 도구의 Cronbach 알파 신뢰도 계수는 .977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치명료화에 따른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세 가지 인성덕목 모든 범주에서 통제집단 유아들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첫째, 실험집단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덕목 점수는 통제집단 유아 보다 더 높았다. 둘째, 실험집단 유아의 사회정서 덕목 점수는 통제집단 유아 보다 더 높았다. 셋째, 실험집단 유아의 윤리도덕 덕목 점수는 통제집단 유아 보다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이 관련 인성덕목에 대한 가치를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었기 때문에 교육활동 속에 내재되어 있는 덕목을 더 잘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게 되었음을 말해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가치명료화 교수모형에 따른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유아교육현장 적용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The study aimed to explore a possibility to apply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values clarification teaching model upon basic daily life habit, social emotion, and ethical character virtues of early childhood in 5 years old. To this end, the study applied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omposed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ith 6 steps to early childhood of experimental group such as being interested in related character virtues, drawing thinking, exploring implementation method, practising selected method, sharing feeling about implementation, and assessing performance.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Experimental group for whom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values clarification was applie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score than control group. First, score of basic life habit virtue for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Second, score of social emotion virtue for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Third, score of ethical virtue for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Such results tell that early childhood could better understand and implement character virtues which are laid inside educational activities because they could clearly recognize values about related character values in the process to apply character education program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us a possibility to apply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values clarification teaching model was proved.

      • KCI등재

        교도소 수형자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 충동성, 공격성, 자아존중감 척도를 중심으로 -

        박소은 한국치안행정학회 2014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0 No.4

        과거 우리나라의 교정환경은 응보형 교정행정이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수형자의 심리적 개입을 통한 치료형 교정행정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수형자를 대상으로 교정시설의 정신교육 위주의 주입식 교육방식이 참여형 교육방식인 인성교육으로 전환된 것에서 잘 드러난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오늘날 교정시설의 교육을 건전한 인격형성과 수용생활 및 사회복귀에 필요 한 인성을 강조하는 형태로 교육프로그램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교도소 내에서 이루어지 고 있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표준화된 프로그램이 없는 실정이기에 인성교육 강사의 자질과 역량 에 따라서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또한 아직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검증도 이루어지 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A교도소의 수형자를 대상으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 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2010년 5월부터 12월 까지 6차례에 걸쳐 수형자에게 실시하고, 프로그램 시행 전 후의 충동성, 공격성,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인성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수형자들의 충동성 과 공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저하되었고,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 어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명하였다. Lately, Korea’s correction environment is converted. Nowadays, the purpose of the Korea’s correction system is focusing on the correction administration of treatment through psychological intervention. But in the past, the purpose of our correction system is focused on the correctional administration of retribution. This change is most visible that the education system of prison inmates is converted from Indoctrination training to Participatory education. However,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which is done in prison varies depending on the program instructor. Also, it’s not verified to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I carried out my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6 times. For this purpose, I surveyed from 2010. May to December. And I examined changes of the Impulsivity, aggression, self-esteem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ccording to this study, the degrees of the Impulsivity and aggression are decreased and the degree of self-esteem is increasing before than carrying out the program. As a result, I testifi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for prison inm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