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격주의 생명윤리의 도덕적 단초 : 인간의 기본적 선, 인간 생명의 존엄성과 인격

        김수정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3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3 No.1

        의생명공학기술은 인간의 고통을 경감하고 여러 가지 편의와 혜택를 가져다 주었지만 기술의 적용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도덕적 윤리적 문제들을 제기하였다. 이제 생명공학기술은 인간이 태어나며 살아가며 죽어가는 모습에 까지 직접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개별 의생명공학기술의 목적과 가치가 무엇인지, 어떤 식으로 오용될 수 있는지, 의생명공학기술의 진보를 통해 인간이 이루는 것은 무엇인지, 학문적 자유는 어디까지 보장할 수 있는지, 정의와 공정함은 무엇을 요구하는 지 등 생명윤리의 문제들은 의공학기술 내에서 답변될 수 없다. 인간의 자유와 권리 및 효율성에 중심을 둔 생명윤리적 접근은 곧 한계를 드러내고, 보다 근본적인 접근인 인간 본질에 대한 이해, 인간 생명의 고귀함과 인간 존엄성을 강조하는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접근이 요청된다. 이 논문은 생명윤리 문제를 인간의 행위의 구조인 행위본질, 의도, 수단, 결과를 통한 분석을 통해서 접근하고 인간의 본질과 기능을 중심으로 생명윤리 주요 원칙들을 소개하며 인간 존엄성과 인격 및 인간 선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인격주의 생명윤리의 단초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Biomedical technology has relieved human suffering and brought various benefits, but necessarily raised ethical moral issues in its adoption. Its impacts influences directly and indirectly on the way we are born, live, and die. What the purpose and value of particular biomedical technology is, how it is abused, what we can achieve through the particular biomedical technology, what the limit of scientific freedom is, what justice and equity requires are not answered within the medicine, science, and technology. The bioethical approaches which focus on human freedom, right, and efficiency reveals its limitation and requires deeper understanding on human being, respect for human life and human dignity in order to seek the answer of bioethical problems. This paper deals with bioethical issue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structure of human action, introduces bioethical principles, and finds the roots of personalism bioethic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human dignity, person, and human good.

      • KCI등재

        윤리학과 논술:도덕적 근거 제시의 중요성

        윤혜진 대한철학회 2009 哲學硏究 Vol.109 No.-

        What is the argumentative writing? What is the argumentation in ethics?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notions of argumentative writing and the implications that seem to follow from it. And then we will examine the relation of ethics and argumentative writing. To clarify the relation is important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ethical arguments. This paper is trying to give consistent and systematic ways of argumentation about ethical subjects. After this we will explore the outlines of argumentative writing in ethics, which holds to the validity of moral principles in ethical arguments. By doing these works, we can learn the ways teaching argumentive writing in ethics.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탐구를 주된 목적으로 삼고 있는 윤리학은 우리의 가치관이나 도덕적 신념 형성에 직접 결부되어 있다. 한 개인의 도덕적 신념은 그 사람의 삶의 방식을 이끌어간다. 이런 차원에서, 수많은 윤리적 쟁점에 대한 자기 해답은 자기가 살아가야 할 삶의 방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자신의 도덕적 신념이 실린 도덕적 삶의 방식은 윤리적 주제에 대한 논술로 체계적으로 정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윤리 논술은 간과될 수 없는 중대한 학문적 방법이다. 윤리 논술의 핵은 윤리적 논증이다. 윤리적 논증 구성은 윤리적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윤리적 쟁점을 발굴하고 그에 대한 윤리적 결론과 함께 그에 맞는 윤리적 근거를 제시하는 일로 끝맺음된다. 따라서 윤리적 주제에 대한 논술과 그에 대한 교육의 핵심 목표 역시 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윤리적 논증, 즉 윤리적 결론과 함께 그에 적합한 윤리적 근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야 한다. 이런 까닭에, 이 글은 윤리학에서의 논술과 논술 교육이 윤리적 논증 형성이라는 핵심 목표, 특히 그 가운데서도 자신의 도덕적 신념에 대한 도덕적 근거 제시를 얼마나 정당하게 표현해내느냐에 있다고 보고, 그에 대한 효율적 방안 등을 검토하는 일에 주력하고 있다. 요컨대, 본 논문은 윤리적 쟁점을 발굴하고 그에 대해 자기 입장을 피력하는 일, 그리고 그에 대한 윤리적 근거를 제시하는 일의 중요성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앞서, 논증적 글쓰기로서의 논술에 대한 기본적 정의를 마련하면서, 논술과 윤리적 주제와의 상관관계 역시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 KCI등재

        행복의 윤리와 생로병사(生老病死) : 생명과 죽음의 이해

        오지석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4 기독교사회윤리 Vol.29 No.-

        The Ethics of Happiness and the four phases of life makes us have the paradigm shift which we could get the essence of christian bioethics. Futhermore if I could find out the proper questions, and I could increase the desire to search for it's answers, then I would hope sooner or later to arrive at the goal, even whatever it is. Such attitudes also will be applied directly to the understanding of the Ethics of Happiness and the four phases of life without any consideration on the meaning of life in christian bioethics. Through these discussions and investigations, I would try to propose the model of lecture that opens and improves the possibility to understand and examine the meaning of happiness and bioethics for the students themselves who attend the liberal arts. 행복의 윤리와 생로병사의 문제는 기독교생명윤리에 패러다임 쉬프트를 가져올 것이다. 더욱이 적절한 질문을 제기할 수 있다면, 그리고 제기된 질문에 대답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한다면, 현재로서는 그 목표가 무엇인지 말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조만간에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게 될 것임을 희망할 수 있다고 자신한다. 나아가 필자는 이러한 태도는 기독교윤리학에서 말하는 생명의 의미를 고려함으로써 행복의 윤리와 생로병사의 윤리학의 연구에 곧바로 적용하는 데 아무런 거리낌이 없는 거처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논의와 탐구를 통해서 교양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행복과 생명윤리의 의미를 스스로 이해함으로써 생명윤리의 주제의 다변화에 대한 다양한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강의의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라캉의 정신분석학 윤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상환 ( Sang Fuan Lee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1 기독교철학 Vol.13 No.-

        라캉(Jacques Lacan)의 정신분석 윤리는 "네 욕망을 포기하지 말라"라는 명령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리고 라캉은 윤리적 행위의 판단 기준으로서 "당신은 당신 속에 있는 욕망에 일치하여 행동하였는가?"라는 질문을 제시 하고 있다. 또한 라캉은 선과 행복, 그리고 건강과 같은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건전한`` 상식의 윤리를 전면적으로 거부하고, 그 대신에 금지의 위반을 통하여 만족을 추구하는 것에서 윤리적 대안의 가능성을 찾고 있다. 왜냐하면 라캉은 전통적인 윤리를 지배권력의 질서를 유지하고 정당화시키는데 기여하는 단순한이데올로기에 불과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라캉의 정신분석 윤리의 근거는 가장 비윤리적인 욕망과 금지된 도덕적 행위를 위반하는데서 발견된다. 그의 정신분석 윤리는 죽음 충동의 만족을 위해서 쾌락의 원칙을 넘어서는 것이며, 충동과 희열을 가지고 체제에 순응하는 태도를 거부하는 기쁨과 욕망이다. 그러므로 라캉은 욕망이 사회적 규범을 깨뜨리는 것으로부터 시작되고, 새로운 윤리는 금지된 충동에서 비롯된 개인적 욕망의 만족을 추구하는 위반적인 행위에서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순수욕망의 만족을 요구하는 라캉의 윤리는 결국 새로운 질서를 지향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이 윤리가 추구하는 새로운 질서는 욕망의 무한한 실현을 위해 다양성과 독특성을 끝없이 열어젖힐 것이다. 결국 이 윤리는 끊임없이 욕망을 창출하면서 지배질서와의 균열을 초래할 것이며, 다양한 욕망의 공존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열린-질서를 지속적으로 추구할 것이다. 마침내 라캉의 윤리는 성숙한 자아의 욕망을 포기하도록 강요하는 지배적 윤리에 저항하면서 곳곳에서 단절과 파열을 곳곳에서 불러일으킬 것이다. 따라서 억압이 없는 충동이 몰고 오는 순수 욕망의 만족을 위한 윤리는 승화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것은 억압에 의존하면서 공리적 통치에 근거하고 있는 전통적 도덕질서를 극복해야만 하는 것이다. 결국 라캉의 윤리는 비타협적인 욕망을 위하여 궁극적으로 기존질서의 파괴를 부르는 행동을 요구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라캉의 정신분석 윤리는 인간의 삶을 위한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새로운 포괄적 윤리로 수락할 수 없으며, 이것은 너무나 위험하고 편향된 이론이라고 비판적으로 이해된다. It is possible to summarize Lacan`s ethics of psychoanalysis as a command, "Do not give up your desire." Also, Lacan presented a question as a criterion of ethical behavior, "Have you acted in conformity with your desire?" Lacan rejected ethics of common sense and refused to pursue traditional moral issues such as the good, happiness, and law-abiding. Instead, he looked for alternative ethics which sought satisfaction through violation of the prohibition, because Lacan regarded traditional ethics as a mere ideology which contributed to justify and maintain the order of dominant power. Lacan`s ethics of psychoanalysis found its basis from the most unethical desires and violation in the moral behavior which was forbidden. His ethics of psychoanalysis is beyond the principle of pleasure to satisfy ``the death drive``. And it is pleasure and desire to deny attitudes of system compliant with jouissance and the drive. Therefore, Lacan claims that ethics begins from breaking social law and new ethics can be found at the violative behaviors seeking satisfaction of personal desires with forbidden drive. To meet the demand of satisfaction for a pure desire, Lacan`s ethics will eventually go toward a new order. It will endlessly open enormous diversity and uniqueness by the realization of the infinite desire. This ethics will generate unique desires forever and cause cracks on the dominant order. Finally, it will constantly try to establish a new open-order which enables for various desire to co-exist. In the end, however, Lacan`s ethics will create discontinuities and ruptures in place after place, because practical actions to satisfy one`s own desires will continue to collide with uncompromising oppressive dominant order and will be against the dominant ethics which forces to abandon the desire to mature ego. Thus, the ethics of pure desire for a satisfaction of drive with no suppression should be made through sublimation. However, it will demand the subject to cross over traditional moral order which is based upon oppression and utilitarian governance. Finally, it will demand the subject to act for the satisfaction of the desire uncompromisingly and consequently bring destruction of existing order. In conclusion, Lacan`s psychoanalytic ethics is a too dangerous and biased theory to accept as a new comprehensive ethics for the universal value of human life.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서 '한국윤리' 내용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이영경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서 한국윤리 내용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적시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서 진술되고 있는 한국윤리 부분은 내용의 오류, 내용 구성상의 문제, 관점의 문제를 안고 있다. 윤리교육적 문제의식이 결여된 이러한 내용으로는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윤리관을 정립하도록 돕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윤리와 사상』은 윤리사상을 일상생활에 실천하려는 의지를 함양하려는 교과 목적을 설정하고 있으나, 가치의 실천적 측면을 염두에 두지 않은 이론 중심의 진술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점을 통해 볼 때,『윤리와 사상』교과서는 도덕 교과의 목적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서 한국윤리 내용은 특히, 학생들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우리의 삶과 사상에 대한 규범적 원리를 확인 · 강화해 나가는데 있어서 중핵적인 의미가 있다. 따라서 이 내용들을 도덕교육의 본질에 부합하도록 구성하여, 학생들의 삶의 문제와 연관시켜 한국윤리를 고민하도록 하는 ‘실천적’ 문제의식을 던져주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ethics in high school textbooks - 『Ethics and Thoughts』, and point out problems as well as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Ethics and Thoughts』 is aimed for Korean students to form a subjective view of ethics and ideological frames of thoughts as the Koreans, and is also defined as a subject to foster practicum aspects in order to connect ethical thoughts with our daily lives. However, the contents of Korean ethics stated in 『Ethics and Thoughts』 are merely a series of theoretical statements, rather than helping students independently confront ethical situations and problems and understand principles of ethics. Furthermore, 『Ethics and Thoughts』is intended to boost students' willingness to take ethical thoughts into practice in daily lives, but the textbook is consisted of theory-based statements, ignoring practical components. In terms of these two core aspects, the textbook 『Ethics and Thoughts』 fails to achieve goals and aims of the textbook of ethics. Korean ethics has important meanings for students in reassuring their identities as Korean, and recognizing normative principles in our lives and thoughts. Thus, Korean ethics in the textbook should be more detailed and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ethical education, questioning practical aspects directly related to our lives.

      • KCI등재

        교직윤리의 이론적 토대와 통합적 접근

        최문기 ( Moon Ki Choi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윤리교육연구 Vol.0 No.12

        교직윤리를 다룰 때, 우선적으로 제기될 수 있는 근본 문제는 과연 ``교수가 전문적인 활동인가 혹은 교직이 전문직인가?``라고 말할 수 있다. 교직을 의사나 변호사와 같은 전문직으로 정의할 경우, 매우 엄격한 훈련이나 까다로운 자격인증 과정을 필요로 하고, 그리고 사회적 규제를 수반하기 때문에, 전문직으로서의 교사의 도덕적 역할과 책임에 관해 부정적인 견해를 견지하는 사람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교수 활동에는 윤리적 차원이 존재한다. 모든 교사가 직접적으로 도덕적 교육에 연루되는 것은 아니지만, 교육 및 교수는 본래 도덕적인 일이다. 교사의 가르치는 과목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교사의 기본 활동인 교수의 내용, 방법, 의도/목적에는 대체로 윤리적 성격이 존재한다. 교사가 교실에서 수행하는 일 그리고 학생 지도, 성적 부여, 조직 생활 등과 같은 일반적인 교사 활동 대부분이 학생들의 태도, 신념, 행위에 광범위하게 도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감안하면, 교사의 전반적인 행위에는 근본적으로 윤리적 성격이 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교직윤리가 요청된다. 이러한 논의를 근거로 본 논문에서는 먼저 교직윤리의 이론적 배경을 인지적 능력과 관련된 이론, 그리고 정의적 특성과 관련된 이론으로 구분해서 알아보고, 이를 종합하여 교직윤리이론의 통합적 모형을 구성하였다. 그런 다음 교직윤리의 이론과 교직윤리 교육에서 요구되는 통합적 접근의 과제를 알아보았다. 교직윤리의 이론이건 실제 교육에의 적용이든 간에, 인지적 차원에서는 정의 원리에 입각해서 도덕적으로 추론, 판단, 의사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키고, 정의적 차원에서는 배려 성향을 함양하는 것을 균형있게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we treat with the teacher`s professional ethics, we face problems like as ``Is teaching a professionalism?`` or ``Is teacher a professional like lawyer or doctor?`` If we define the teaching as professionalism, it needs very hard training process of acquiring qualification. It also needs much higher moral standard and code. And it accompanies with social regulation. So some keeps the scepticism about the teacher`s moral role and responsibility as a professional. Nevertheless, there are moral dimensions in the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Although all teachers are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moral education, the teaching is originally a moral endeavor. In spite of some differences among subjects, there are always ethical nature in contents, methods and intentions/ goals of teaching. Almost teacher`s working in classroom as well as general activities such as counselling, giving grades, and organizational lives influence widely the students` attitude, belief, and action. Therefore we can say the teaching professional ethics should be demanded. On these arguments, my paper aims to present the base of teaching professional ethics. These theories can be differentiated into two : theories related with cognitive capabilities, and theories related with affective traits. Then I make a unified theoretical model of teaching professional ethics. Lastly I try to present some tasks of teaching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Whether theories or practices, it is desirable to balance both developing the cognitive capabilities of moral reasoning, judgment, decision making based on the justice principle, and cultivating the affective character on the caring orientation. I hope to help the teacher educators to decide ``what`` and ``how`` of programs in teacher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 KCI등재

        예비 음악치료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윤리적 행동

        김지연 한국음악치료학회 2011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3 No.2

        이 연구는 학교 환경에서 음악치료사가 되기 위해 훈련 중인 예비 음악치료사들이 가지고 있는 윤리적 가치관과 윤리적 행동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J시에 위치한 대학교에서 음악치료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17명과 S시와 D시에 위치한 대학교의 평생교육원에서 음악치료사 자격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수강생 15명이었다. 윤리적 개념척도(EPQ)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윤리적 가치관을 알아보고, 모의사례를 통해 그들의 윤리적 행동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윤리적 가치관에 있어서,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응답자의 상당수가 이상주의적 경향과 상대주의적 경향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윤리적 행동에 있어서는, 각각의 사례별로 주요 고려대상을 묻는 질문에 대해 윤리관련과목 수강경험 유무와 음악치료 윤리규정 인지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또한, 해결방법에 있어서 음악치료 윤리규정 인지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thical values and ethical behavior of the preservice music therapists, who were training at school setting for music therapis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2 preservice music therapists(17 music therapy major students at university, 15 certification program trainees at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The ethical values of preservice music therapists were assessed by Ethics Perception Questionnaire(EPQ) and how they behaved were evaluated by presenting a mock case based on the Code of ethics of Korean Music Therapy Association for ethical behaviors. As a result, in the ethical values, there weren’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is age, gender, experience of receiving ethical education, and degree of the Code of ethics’ recognition. The most of subjects showed high altogether the tendency of idealism and relativism. As a result of the ethical behavior, in the choice of primarily be considered,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receiving ethical education and the degree of the Code of ethics’ recognition(p< .05). Also, in the choice of solutions,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Code of ethics’ recognition(p< .05).

      • KCI등재

        윤리경영, 이해관계자 호응, 기업이미지 및 조직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김영복 ( Young Bok Kim ),최만기 ( Man Kee Choe ) 한국윤리경영학회(구 한국기업윤리학회) 2011 윤리경영연구 Vol.13 No.1

        최근 경영환경 변화로 윤리경영의 필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윤리경영은 기업의 이해관계자 호응, 이미지 및 조직성과와 깊은 관계가 있다. 그러나 이들 주요변수들 간에 어떤 관계인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윤리경영, 이해관계자 호응, 이미지 및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실증연구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윤리경영은 기업의 이해관계자 호응이나 이미지와 부분적으로 관계가 있었다. 특히 윤리경영을 잘하는 기업일수록 고객만족이나 지역사회인정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윤리경영의 구성요소들 중 윤리문화는 고객, 투자자 및 지역사회의 호의적인 반응을 유도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기업이미지의 경우에도 유사하여 윤리적인 문화를 지닌 기업일수록 사회적 책임이나 경쟁력 관련 이미지가 높은 경향을 띠었다. 또한 윤리시스템의 경우는 고객이나 지역사회의 호응을 높이는데, 그리고 경쟁력이미지를 제고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반면, 윤리강령의 이해관계자 호응이나 기업이미지에 대한 기여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윤리경영은 조직성과 중 구성원자긍심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이는 특히 윤리문화와 윤리방침의 경우에 더욱 뚜렷한 경향을 보였다. 한편, 윤리경영은 조직시민행동과는 부분적으로 약한 관계가 있었다. 셋째, 이해관계자 호응과 이미지는 상호관계가 있었다. 이해관계자 호응 중 특히, 고객만족과 지역사회인정이 기업의 사회적책임이미지나 경쟁력이미지와 밀접한 경향을 보였다. 넷째, 기업의 이미지가 좋고 이해관계자 호응이 높을수록 조직성과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특히 재무성과보다 구성원자긍심이나 조직시민행동의 경우에 더 뚜렷하였다. 마지막으로, 윤리경영을 조기에 도입한 기업의 재무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윤리전담 부서는 윤리경영을 통한 지역사회호응을 얻어내고 경쟁력이미지를 확보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기업의 노조유무에 대해 일부 이해관계자들은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증연구 결과들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들을 논한 후 관련 주제에 관한 향후 연구과제들을 제시하였다.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ethical corporations tend to have favorable responses from stakeholders, good corporate image and high performance. However very few studies about relationships among stakeholders`` response, corporate imag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ethical corporations exist. Thus, this study designed a research model about them and generated hypotheses among them. As results of testing the hypotheses, firstly, ethical management tends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members``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contrast, ethical management did not correlate with financial performance. Secondly, ethical corporations`` favorable response of stakeholders tends to have high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image of corporations. Thirdly, ethical corporations`` image tends to have high an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stakeholders`` favorable response as well. This tendency is more evident in the case of social responsibility image than in that of competitiveness image. Fourthly, stakeholders` favorable response and corporate image ten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tendency was apparent especially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members`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n contrast, financial performance tends not to be related directly to ethical management but to be relate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stakeholders` favorable response of interest groups or corporate image. Finally, earlier adopters of ethical management tend to have higher financial performance. In addition, the department of ethical management tends to contribute enhancing competitiveness image and community recogni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ideas.

      • KCI등재

        한국, 미국, 스웨덴 소비자의 이타적 책무감과 윤리적 기업제품 구매성향 비교

        김선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9 No.4

        윤리적 소비자주의가 확장되고 있는 추세 속에서, 본 연구는 윤리적 소비의 도덕철학적 근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기반하여 소비자의 윤리적 의무감을 측정할 수 있는 이타적 책무감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타적 책무감 은 사회적, 환경적 약자에 대한 도덕적 혹은 윤리적 의무감으로 정의되며, 한 인류의 세대내, 세대간, 그리고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에서 발생하게 되는 약자에 대한 의무를 포괄한다. 이타적 책무감의 대상으로는 구체적 으로 저소득층, 저개발국, 미래세대와 자연환경 등이 포함된다. 한국, 미국, 스웨덴의 소비자 총 1,500명을 대상으로 삼국의 이타적 책무감과 윤리적 기업의 제품 구매성향에 대한 연구결과, 한국의 이타적 책무감은 미국과 유사한 수준이나, 스웨덴에 비하여는 다소 낮은 편이었다. 이 타적 책무감은 한국, 미국, 스웨덴 삼국에서 공통적으로 윤리적 기업의 제품 구매성향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영향변수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자원봉사/활동 역시 윤리적 기업의 제품 구매성향에 대하여 정적인 영향을 미 쳤다.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의 경우 한국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미국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스웨덴에 서는 여성일수록 더 높은 윤리적 기업의 제품 구매성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 가지 특이사항은 미국과 스웨 덴의 경우 이타적 책무감이 윤리적 소비성향에 대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변수였으나, 한국에서는 이타적 책무감과 자원봉사/활동의 영향력이 동일하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한국의 경우 시민적 가치와 시민참여행동 이 윤리적 기업의 제품 구매성향에 동등하게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윤리적 소비자주의의 확산을 위해서는 이타적 책무감에 대한 인식을 비롯한 윤리적 차원의 토양과 참여가 바 탕이 되는 시민사회의 성숙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윤리적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가정 및 시 민교육을 통한 소비자사회화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것이다.

      • KCI등재

        학습윤리 교육 현황 및 인식에 대한 연구 - 디자인 전공을 중심으로 -

        이지현,박혜신,윤수인,김지인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2

        Background As awareness on establishing research ethics has increased in Korea, regulations and systems related to research ethics have improved considerably. Unlike research ethics required by professional researchers such as professors, researchers and graduate students, however, education on learning ethics, which is mostly applied to undergraduates attending universities,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research ethics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reflect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s, as it is common to present general guidelines that should be followed, including all areas of specialties. Metho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content required at the design education site by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status and awareness of learning ethics education for those involved in design colleges and design majors and draw out learning ethics education conten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majors based on the results. Resul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earning ethics educa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majors should be conducted. Learning ethic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more actively by universities than by professors and students' arbitrariness or morality, and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 design characteristics should be provided to meet the needs of design majors and students. Conclusion We hope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design learning ethics teaching methods an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programs to produce designers with design ethics awareness to society. 연구배경 국내에서 연구윤리 확립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연구윤리 관련 규정 및 체제 정비가 상당 수준 개선되었다. 그러나 교수, 연구원, 대학원생과 같은 전문 연구원에게 요구되는 연구윤리와 달리 주로 대학에 재학 중인 학부생들에게 적용되는 학습윤리에 대한 교육은 연구윤리 교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특히 대학에서 공지하는 학습윤리 지침은 모든 전공에서 지켜야 할 일반적인 지침을 제시하므로 전공 특성을 세부적으로 반영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대학 및 디자인 전공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윤리 교육 현황 및 인식을 실증 조사함으로써 디자인 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교육내용을 파악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전공의 특성을 반영한 학습윤리 교육내용을 도출해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대학 및 디자인 전공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윤리 교육 현황 및 인식을 실증 조사함으로써 디자인 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교육내용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윤리 교육은 교수와 학생의 자의성 혹은 도덕성보다는 대학이 적극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구체적인 규정을 제시해주어야 하며 디자인 특성을 반영한 학습윤리 교육과 디자인 전공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전공의 특성을 반영한 학습윤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디자인 윤리의식을 갖춘 디자이너를 사회에 배출하기 위한 디자인 학습윤리 교수법 및 지식재산권 교육 콘텐츠·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