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노영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9 기독교사회윤리 Vol.18 No.-
이 글에서 필자는 한국 기독교 사회윤리학의 개념을 정의하며 그 학문을 정위시키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첫 번째로 학문성의 개념에 대해 분석하고, 그 학문성의 여섯 개의 조건에 대해 설명한 다음, 신학과 기독교윤리학이 그런 학문성의 조건을 만족시킴을 언급하였다. 두 번째로 미국의 기독교윤리학자 제임스 거스탑슨(James M. Gustafson)의 윤리에 대한 정의를 사용하여 기독교윤리학의 학문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세 번째로 본 논문은 개인윤리와 다른 사회윤리의 영역에 대해 설명하면서, 기독교사회윤리학의 학문적 위치를 규명하려 하였다. 위와 같은 고찰을 거쳐, 필자는 “한국 기독교 사회윤리학” 개념을 다음과 같은 한 문장으로 정리하였다. : “한국 기독교 사회윤리학이란 나름의 기독교 사회윤리학적 방법론에 입각하여, 먼저 서구사회와 다른 한국사회의 독특한 상황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을 하며, 한국적 입장에서 일관되게 정리된 신앙과 신학을 가지고, 개인윤리의 영역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사회구조와 제도들의 개선과 사회정의 실현 및 사회변혁에 대해, 인간의 사회성을 강조하는 성경과 교리적 전통의 입장에서 반성하고, 나름의 사회윤리적 실천들에 대해 탐구하며, 이에 대해 우선은 다른 교단의 구성원들과 의견을 조율하고, 더 나아가 교회 밖의 사람들과의 소통을 통해 공적인 합의를 이룬 다음, 이를 바탕으로 하여 목회적이며 사회적인 실천을 책임성을 가지고 결단하고, 이러한 실천의 이행에 따른 결과를 평가 하는 바, 일군의 전문적인 기독교 사회윤리학자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신앙과 합리성의 양면을 겸비한 학문을 의미한다.” In this paper, I explored how we would define 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rightly.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essential conditions of scholarship, firstly. After I referred six conditions of scholarship, I showed a learning as theology satisfied those conditions. Secondly, I examined the scholarship of Christian ethics, using the definition of Christian ethics by James M. Gustafson. Thirdly, this paper explained social ethics, distinguished from personal ethics. Especially, I said Christian ethicists had developed the inquiry of social ethics in advance of the philosophical ethicists. In conclusion, I defined 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by line as followings.: “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is a study, having both sides of faith and rationality, done by the research groups such as professional Christian social ethical scholars with its own ethical methodology, which analyzes Korean social situations different from the west by the tool of social sciences, refl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present social structure and social institutions, realizing social justice and transforming society not to be solved in the field of personal ethics, with faith and theology adjusted in a Korean point of view, in the perspective of the Bible and doctrinal traditions emphasizing human sociality, investigates the social ethical practices, tunes up different views of practices among various denominations, makes a public consensus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people outside of church, decides on the contents of ministerial and social practices with his own social responsibility, and evaluates the results following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신(新)기독교윤리의 파도 - 다문화 현실과 한국교회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변화의 필요성
장성진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5 기독교사회윤리 Vol.61 No.-
2024년 4월 대한민국은 인구의 5%가 외국인인 “다문화 사회”가 되었다. 이렇게 된 원인은 한국 사회의 “초고령화와 초저출산”의 영향으로 노동인구가 줄고, 지방의 인구 감소 및 경제성장의 둔화 등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한국사회에 증가 하는 이주민 현상은 이제 한국인은 외국인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심각하게 고려하게 만든다. 한국 사회에서 이는 한국인들에게 ‘생존의 문제’가 되었다. 더 나아가 사회적 구조가 변화하면, 한국인들의 삶의 방향이 모호해지면 사회가 무너지게 될 수 있다. 이제 한국교회는 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신앙공동체를 형성해야 하는 사명이 부가되었다. 한국기독교는 역사적으로 많은 사회변동에도 기독교 정체성을 확립 하고 이에 따른 윤리적 태도를 유지해 왔다. 그것이 진보적 성향이던, 보수적 성향이던 윤리적 확고성은 한국기독교 성장의 중요한 동력이었다. 이제 한국 사회의 다문화 쓰나미가 몰려오고 있다. 한국교회가 신약성서의 인정 철학에 근거한 “이민자 환영”의 복음적 태도를 채택한다면, 이는 한국 사회에서 기독교적 윤리적 반향을 일으켜 서구 사회와 비교했을 때 진정한“사회 통합”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이 순간 한국에 새로운 물결이 오고 있다. 이는 한국 사회 혼란의 폭풍이 아니라, 새로운 윤리의 서핑보드(surfboard)로 한국 기독교의 혁신과 부흥으로 바뀔 것이다. In April 2024, South Korea became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5% of its population being foreigners, mainly due to the “hyper-aging and ultra-low birth rate” of Korean society, which has led to a decrease in the working population, a decline in local populations, and economic growth slowdown; the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makes Koreans consider how to live with foreigners, becoming a ‘matter of survival,’ as unclear directions in Koreans’ lives amid changing social structures may lead to societal collapse. The Korean church now faces the additional mission of forming a faith community it had never experienced before; throughout history, Korean Christianity has maintained its Christian identity and ethical attitude despite many social changes, with ethical steadfastness — whether progressive or conservative — being a major driving force behind its growth. As a multicultural tsunami approaches Korean society, it is proposed that the Korean church adopt the gospel attitude of “welcoming immigrants” based on the philosophy of recognition in the New Testament, which can create Christian ethical resonance in Korean society and lead to “social integration,” differentiating from Western phenomena; this new wave is not a storm of chaos but a surfboard of new ethics that will transform into innovation and revival of Korean Christianity.
기독교 사회복지의 정체성과 나아갈 방향 연구 : 미래 지역사회 공동체 개념을 중심으로
김성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1 No.-
Since the early missionary period, Korea has a history of brilliant Protestant social welfare tradition to this day and has carried out various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Nevertheless, the quantitative growth of Protestantism began to decline in the 1990s and public trust from the general population fell sharply with it. In this regard, Korean Protestantism should establish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and Christians once again. For this purpose, when examining the role of Christian social work in academic, theological, and practical sens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histor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and the need to find a new direction for the future. Through world history, Christianity has played an important social role in solving social problems and fulfilling the mission of the Gospel. Also, a number of professional and social welfare programs have evolved and developed the efforts of the Christian church in modern Western society. The concepts of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are emerging and emphasizing the theory of ‘communities and sharing economy.’ Korean Christianity and the Church must begin to incorporate these new concepts into their social work while keeping in mind the traditions of the past. This article suggests a new direction by emphasizing the core concept of the Christian tradition, Community, Korean Christian social welfare. 한국 개신교는 선교기에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빛나는 사회복지통의 역 사를 갖고 있으며 많은 사회사 활동을 펼쳐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신교의 양 성장은 1990년에 들어서 정체되기 시작했으며 일반인으로부터의 신뢰도 도 격히 하락하고 있다. 이런 에서 한국 개신교는 교회와 기독교인의 본질 인 사명에 해서 다시 한 번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 기독교 사회복지와 련된 학문, 신학, 실천 의미를 기독교사회복지의 역사 속에서 고찰하고 미래를 향한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세계사으로 기독교는 사회문제의 해결을 해서, 혹은 복음의 사명을 감당 하기 해서 요한 사회 역할을 수행해 왔다. 서구사회의 사회복지 발사를 거슬러 볼 때 교회와 기독교인들의 노력으로 수많은 문 사회복지 제도와 로그램을 발되어 왔다. 한국 기독교와 교회는 이러한 통을 살려서 변하는 세계에 걸맞은 새로운 기독교 사회복지를 실천해야 한다.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로 변되는 21세기를 지나면서 ‘지역사회 공동체와 공유경제‘ 라는 개념이 새롭 게 부각되고 강조되고 있다. 기독교 통의 핵심 하나인 공동체 개념을 바탕으 로 한민국 기독교사회복지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독교 사회복지의 정체성과 나아갈 방향 연구: 미래 지역사회 공동체 개념을 중심으로
Kim Seong Ho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1 No.-
Since the early missionary period, Korea has a history of brilliant Protestant social welfare tradition to this day and has carried out various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Nevertheless, the quantitative growth of Protestantism began to decline in the 1990s and public trust from the general population fell sharply with it. In this regard, Korean Protestantism should establish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and Christians once again. For this purpose, when examining the role of Christian social work in academic, theological, and practical sens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histor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and the need to find a new direction for the future. Through world history, Christianity has played an important social role in solving social problems and fulfilling the mission of the Gospel. Also, a number of professional and social welfare programs have evolved and developed the efforts of the Christian church in modern Western society. The concepts of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are emerging and emphasizing the theory of ‘communities and sharing economy.’ Korean Christianity and the Church must begin to incorporate these new concepts into their social work while keeping in mind the traditions of the past. This article suggests a new direction by emphasizing the core concept of the Christian tradition, Community, Korean Christian social welfare. 한국 개신교는 선교기에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빛나는 사회복지통의 역 사를 갖고 있으며 많은 사회사 활동을 펼쳐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신교의 양 성장은 1990년에 들어서 정체되기 시작했으며 일반인으로부터의 신뢰도 도 격히 하락하고 있다. 이런 에서 한국 개신교는 교회와 기독교인의 본질 인 사명에 해서 다시 한 번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 기독교 사회복지와 련된 학문, 신학, 실천 의미를 기독교사회복지의 역사 속에서 고찰하고 미래를 향한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세계사으로 기독교는 사회문제의 해결을 해서, 혹은 복음의 사명을 감당 하기 해서 요한 사회 역할을 수행해 왔다. 서구사회의 사회복지 발사를 거슬러 볼 때 교회와 기독교인들의 노력으로 수많은 문 사회복지 제도와 로그램을 발되어 왔다. 한국 기독교와 교회는 이러한 통을 살려서 변하는 세계에 걸맞은 새로운 기독교 사회복지를 실천해야 한다.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로 변되는 21세기를 지나면서 ‘지역사회 공동체와 공유경제‘ 라는 개념이 새롭 게 부각되고 강조되고 있다. 기독교 통의 핵심 하나인 공동체 개념을 바탕으 로 한민국 기독교사회복지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동향으로 본 한국기독교 사회운동 인식 - 해방 후 민주화와 인권, 그리고 통일운동을 중심으로
김명배(Kim, Myoung-Bae)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0 기독교사회윤리 Vol.46 No.-
한국기독교는 올해로 136년이 되었다. 그동안 한국기독교는 해방이전에는 구한말 국권수호운동을 전개하였고, 일제 강점기에는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해방 이후 1970년대부터는 군부독재정권이 들어서자 민주화와 인권운동에 헌신하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통일운동을 전개하여 지금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국교회의 민족운동 가운데 해방 후 민주화와 인권운동, 그리고 통일운동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분석하여 한국기독교가 사회운동에 있어서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진행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먼저 민주화와 인권운동 그리고 통일운동에 관한 연구사를 먼저 살펴본다. 그리고 이들 논문들을 통하여 한국기독교의 사회운동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It is 136 years when Korean Christianity was planted. Korean Christianity was developed with the national protection movement before Japanese annexation, and it deployed the sovereignty recovery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the liberation, it was devoted to democratization and the human rights movement against the military dictatorship. Since the 1980s, the unification movement has been carried out by it until now. This paper analyzes the researches on democratization, human rights movement and unification movement after liberation in Korean church history.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s the research history of democratization, the human rights movement, and the unification movement. Also, it examines what kind of perception the social movement of Korean Christianity developed.
고창룡(Ko, Chang-Ryong)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0 기독교사회윤리 Vol.47 No.-
시장실패와 정부 실패의 자본주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사회적기업 관련 연구는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독교 사회적기업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룻기에 나타난 기독교 사회적기업의 원리와 모델을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기독교 사회적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룻기 전반에 나타난 헤세드와 고엘 이야기를 아가페적 돌봄과 공동체의 사회적 안전망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기 독교 사회적기업의 일곱 가지 원리와 여덟 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웃사랑의 사회적 가치뿐만 아니라 하나님 사랑의 고유 가치도 존재한다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경의 이야기로 기독교 사회적기업의 원리와 모델을 연구하는 새로운 관점의 학제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독교 사회적기업을 기독교 가치 관점에서 체계적, 종합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있다. Research on social enterprise as a means of solving the capitalist problem of market failure and government failure is increasing. However, research on Christian social enterprise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research examined the principles and models of Christian social enterprises demonstrated in the Story of Ruth. To begin with,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Christian social enterprises, and it delves into the Story of Ruth as well as the stories of Hesed and Go’el, with the perspective of agape care and the social safety net of the community. This study suggests seven principles and eight models of Christian social enterprise. Additionally, the research advances the notion that there exists not only the social value of neighborly love but also the unique value of God’s love. Thus, this research has done an interdisciplinarity study with a new perspective on the principles and models of Christian social enterprises by biblical stories as it searches Christian social enterprises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values.
한국사회의 경제적 양극화 문제 해소를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
안계정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4 기독교사회윤리 Vol.29 No.-
Nobody could deny that the economical polarization is the most urgent issue in our society. It was the pending issue in the past 18th presidential election and is also one of the crucial government goals of Park administration. The polarization problem is important task and challenge for the korean church, because it has obviously social responsibility. At the same time participation and roll of church for resolving the polarization is also crucial to the society itself. As the polarization is the problem of total society, the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of each social sectors is indispensible. In general the polarization appears as collapse of middle class, gap of industrial continuity and increase of social vulnerable class. Especially the statistics coming from "Gini coefficient" and "income-magnification" manifests the polarization more objectively and factually. These can be considered as fundamental causes of the polarization: policies of Neoliberalism and globalization. From policies of the Neoliberlaism the flexibility of labor market is a such policy that affects directly the polarization, which comes into appearance where the dismissal of laborer is legally ensured and irregular workers are increased. As a result the middle class is decreased, the polarization is more and more accelerated. The globalization is the process in which the Neoloberalism has been spreaded world widely. The FTA that demands in core the liberalization of import and banking brings about fatal damages to some domestic businesses, and they consequently would come to be taken off from the market. First, the value of humanity indicates the most important direction in efforts resolving the polarization.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the law of the jungle is the rule of animal world; they can not be the law of human world. The man who was created from the image of God is the being that has reason and will different from the animal. He is able to open the way to co-existence and equality not to auto-destruction and co-destruction. The society is not the world of animals but the world of human beings. Second, the polarization problem has to be resolved on the basis of commonality-value. Where the Neoliberalism is spreaded, there emerge monopolistic markets, non free markets. So the truly free market is possible only there where the commonality-value is dominating; it is realized in regulations for life and co-existence. The market was for the commonality from its birth, and it will be so continually. From that reason the legal protect of byway commercial sphere becomes important. Third, the polarization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view of solidarity, not of charity. The christian ethics grasps the solidarity as contract one. It is very well-known fact that the social insurance of German as the first social insurance in the world is dependent of the christian idea and value of solidarity. And it demands, first of all,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unemployment insurance. 지금 우리사회의 가장 시급한 문제로서 ‘사회 양극화’ 문제가 꼽히고 있다는 점을 부인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양극화문제는 지난 18대 대선에서 매우 중요한 현안이었으며, 현재 박근혜 정부의 중요한 국정목표 가운데 하나이다. 양극화 문제는 한국교회에게도 중요한 과제이며 도전이다. 왜냐하면 교회는 사회적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양극화 해소를 위한 교회의 참여와 역할은 사회에게도 중요하다. 양극화 문제는 사회 전체의 문제이기에 따라서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는 사회 각 부분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양극화는 일반적으로 “중간층의 붕괴, 경제 부문 간 산업 연관의 단절, 사회적 배제층의 증대”라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지니계수”와 “소득 5분위 배율”이라는 통계는 양극화 현상을 보다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무엇보다 신자유주의 정책과 글로벌화를 들 수 있다. 신자유주의적 정책들 가운데 양극화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노동시장의 유연화이다. 이것은 노동자에 대한 해고를 법적으로 명문화하고 비정규직을 확대하는 곳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노동시장 유연화는 노동시장에서 비정규직을 확대재생산함으로써 결국 근로자들과 자영업자들의 소득을 하락시킨다. 그 결과 중산층은 서서히 줄기 시작해서 양극화를 가속시킬 수밖에 없다. 글로벌화는 신자유주의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이다. 글로벌화의 제도적 산물로서 FTA는 수입 자유화와 금융 자유화를 핵심으로 하는데, 그 결과 경쟁력이 취약한 국내 산업은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고 결국 시장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서 수출 부문과 내수 부문 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중산층의 몰락을 더욱 가속화시켜 소득 양극화를 고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양극화 해소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핵심적인 가치를 제시한다. 첫째, 인간성의 가치는 파멸적인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방향을 제시해준다. 약육강식과 적자생존은 동물의 법칙이지 인간사회의 법칙이 아니다. 신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은 동물과는 달리 이성과 의지를 지닌 존재이다. 토의와 합의를 통해서 자멸과 공멸의 길이 아닌 상생과 평등의 길을 열수 있다. 인간이 모여 사는 사회는 동물의 세계가 아니라 인간의 세계이다. 둘째, 양극화 문제는 공동체성의 가치 위에서 해결되어야 한다. 신자유주의가 확산되는 곳에는 자유로운 시장이 아닌 독점적인 시장만이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진정 자유로운 시장은 오로지 공동체성의 가치가 지배하는 곳에서만 가능하다. 그것은 생명을 위한, 상생을 위한 규제에서 실현된다. 따라서 규제는 시장에서 개인과 기업의 자유와 창의성을 억누르는 족쇄가 아니라 자멸과 공멸을 막아주는 최소한의 제동장치이다. 시장은 그 탄생부터 사회공동체를 위한 것이었으며, 계속 그렇게 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골목상권의 보호는 매우 중요하다. 셋째, 양극화 문제는 시혜의 관점이 아니라 연대성의 관점에서 접근되고 해결되어야 한다. 기독교윤리는 연대성을 계약적 연대성으로 파악한다. 세계최초의 사회보험 제도로 인정받고 있는 독일의 사회보험이 기독교적 연대성 이념과 가치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은 매우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연대성의 가치는 양극화 해소를 위해 무엇보다 고용보험의 확대와 강화를 요구한다.
한국의 부동산 문제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헨리 조지(Henry Geroge)의 ‘토지가치세제’를 중심으로
최성민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2 기독교사회윤리 Vol.52 No.-
한국 사회는 세계사에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짧은 시간 안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루었다. 그리고 지금의 대한민국은 국제사회가 인정하는 소위 선진국 대열에 들었다. 참으로 후진국이라 서러웠던 지난날들을 보상받는 기분이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 전개되고 있는 현실은 불평등과 빈곤의 심화이다. 이것의 원인은 무엇인가? 무엇보다도 부동산 문제이다. 물론 오늘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연관된 제반 문제는 저출산에서부터 교육문제, 청년실업, 코로나19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 걸쳐 있다. 그렇지만 한국 사회 불평등의 근원지는 부동산이다. 그렇기에 본 논문은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빈곤 문제의 근원지로서의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기독교 윤리적이라고 본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헨리 조지(Henry Geroge)의 토지사상의 핵심인 토지가치세제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조지의 토지가치세제를 통해 기독교 윤리적으로 가능한 구조적 변환의 아이디어를 제안할 것이다. Korean society has achieved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cy in the short term without precedent in world history. Moreover, Korea has stepped into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is acknowledged as an advanced nation. Really, in those days, Korea’s undeveloped nation experience was, in a sense, compensated. However, Korean society’s present reality is unfair and deepens poverty. What is the reason? More than any other thing, the real estate problem is core. Of course, various problems relating to Korean society, such as unfairness from low birth rate, education, unemployment, Covid19, etc., exist. So this paper, to solve the real estate problem, which is a Korean society’s unfairness and poverty problem, offers a small cure method with Christian ethic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s Henry George’s central thesis, the land valuation tax system. And through his land valuation tax system, the writer suggests an idea of possible structural change in Christian ethics.
아우구스티누스와‘사회적 사랑(amor socialis)’의 사회적 영성-제자윤리의 관점에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3 기독교사회윤리 Vol.55 No.-
공적 책임과 소통, 그리고 공감과 환대의 결여를 지탄받는 정황에서, 한국기독교는 어떤 방향성을 가져야 하는가? 신국론은 이 문제를 풀어낼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아렌트가 아우구스티누스를 기독교의 ‘무세계성’을 부추겨 공적 책임을 비롯한 세계사랑에 무관심하게 만들었다고 비판했지만, 그것은 "신국론"에 담긴 제자됨의 윤리와 사회적 사랑(amor socialis)의 중요성을 간과한 것이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카리타스에는 하나님의 도성을 향하는 제자됨의 윤리가 담겨있으며, 사사로운 사랑(amor privatus)을 넘어서 사회적 사랑을 지향한다. 공공성으로서의 카리타스는 공적 책임과 소통의 실천으로, 타자성으로서의 카리타스는 공감과 환대의 실천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아우구스티누스와의 현대적 대화를 통하여, 한국기독교는 제자도에 근거한 사회적 영성을 모색해야 한다. 제자도, 제자윤리, 그리고 제자훈련에 적극적 관심을 지닌 한국기독교는 내적 성숙과 훈련에만 관심하기를 넘어서, 제자도를 공공성과 타자성으로 펼쳐내야 한다. 사회적 사랑을 요청하는 사회적 영성은 기독교에 낯선 그 무엇이 아니라, 제자됨의 윤리에 필수적인 과제이기 때문이다. 한국기독교는 사회적 영성에 대한 관심을 통해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를 구현하는 단계로 성숙해야 한다. What direction should Korean Christianity take in response to criticism of lacking public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empathy, and hospitality? Augustine’s De Civitate Dei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solving this problem. According to Augustine, social spirituality is an essential task required by the ethics of being a disciple. Above all, Augustine’s concept ‘amor socialis’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the practice of public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empathy and hospitality. Through contemporary dialogue with Augustine, Korean Christianity should strive for social spirituality based on discipleship. Korean Christianity, which is actively interested in discipleship, disciple ethics, and disciple training, should not only focus on internal maturity and training but also cultivate publicness and otherness. Korean Christianity must mature to the point of realizing the ethics of being a disciple in civil society by pursuing social spirituality.
일제하 기독교 경제운동에 관한 공공신학적 성찰과 한국교회의 과제
김명배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2 기독교사회윤리 Vol.23 No.-
This article is to reflect upon the economic movements Christians of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is to look at the tasks of the church of Korea in terms of Public theolog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s were experiencing the economic distress in the exploit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is situation, the Christians in Seoul and Pyongyang had developed a large number of economic movements for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Capitalist Economy on the basis of Silryeokyangseongron. They were especially carried out the public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based on the Protestant Puritan ethics. Therefore, the article is to evaluate the economic movements Christians of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 terms of Public theology. And then, through this evaluation, this article researches for what is the public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for people suffering under Today’s Neo-liberal Economic Order. For these purposes, At First, it historically deals with the economic movements of Christians of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Secondly, it theologically deals with a question that how does the Christian had performed the public responsibility in the area of the economy. Thirdly, It deals with a question what is the Neo-liberal Economic Order and what is the society of Korea influenced by it. Finally, it deals with the tasks of the church of Korea under the Neo-liberal Economic Order in terms of Public Theology. 이 글은 기독교 사회윤리적 차원을 다루는 공공신학의 관점에서 일제하 기독교인들의 경제운동을 성찰하고, 이를 통해 오늘의 한국교회의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하 한국인들은 조선총독부의 경제적 수탈로 인하여 대다수 국민들이 경제적 고통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서울과 평양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계는 실력양성론에 터하여 민족자본주의 경제 건설을 목표로 물산장려운동을 비롯한 다양한 경제운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이들은 청교도적 개신교윤리에 근거하여 민족자본을 육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제운동을 펼쳐 교회의 공적책임을 훌륭히 수행하였다. 이글은 이러한 일제하 기독교인들의 민족자본주의 경제운동을 공공신학적 관점에서 평가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신자유주의 경제체제 아래에서 고통 받고 있는 한국사회에 교회가 수행해야 할 공적책임의 내용이 무엇인지 공공신학적 통찰을 얻고자 한다. 이 글은 우선 제 2장에서 일제하 기독교인들의 경제운동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일제하 기독교 경제운동의 역사적 배경을 살피고, 이어 1920∼30년대 일제하 한국기독교회가 일제의 식민지 수탈경제 속에서 고통당하는 한국인들을 위해 어떻게 경제영역에서 공적책임을 수행했는지, 그 구체적 운동들을 살필 것이다. 두 번째로 제 3장은 공공신학의 관점에서 일제하 기독교인들의 경제운동을 평가하고 성찰해 볼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경제영역에서의 교회의 공적책임을 강조하는 스텍하우스의 공공신학을 소개하고, 이어서 1920∼30년대 일제하 기독교인들의 경제운동을 스텍하우스의 공공신학적 관점에서 평가해 봄으로, 그 공공신학적 의미를 성찰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 4장은 오늘날 전지구적 차원에서 경제체제를 규정짓고 있는 신자유주의 경제체제가 한국사회와 교회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제 5장에서는 일제 하 한국기독교인들의 경제적 공적책임수행의 내용을 통하여 신자유주의 경제체제 하에서의 한국교회의 과제를 제안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