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과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의 관계 연구

        김지숙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1

        [목적] 본 연구는 장애유아어머니와 장애유아의 정서표현 특성 그리고 장애유아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식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이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고 통합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세~6세의 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30쌍으로 총 60명이었다.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식 및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어머니의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측정하였고, 장애유아의 정서표현은 담임교사에 의해 측정되었다. [결과] 첫째, 장애유아어머니는 부정적 표현보다 긍정적 표현을 더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유아의 긍정적 표현과 부정적 표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어머니들은 부정적 정서를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으나, 부정적 정서가 중요하고, 자녀들이 자연스럽게 경험하는 정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장애유아어머니는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하여 비지지적 반응보다 지지적 반응을 더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유아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은 장애유아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정적상관이 있었고, 부정적 정서표현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넷째, 장애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서는 지지적 반응 중 정서중심반응과 감정표현격려반응이 장애유아의 긍정적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표현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이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 관련 있음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고,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이 자녀의 정서표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장애유아어머니에게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바람직한 대처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ir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their mothers' the percep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mothers'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investigate whether the emotional expressions and responses to negative emotions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s were related to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their young disabled children. [Method] There were a total of 60 children, 30 pairs of mothers, and 3 to 6-year-ol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percep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measured through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leted by the mothers, and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measured by the teacher.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ed positive expressions more significantly than negative expression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xpress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in terms of negative emotions,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know much about negative emotions but they recognized that negative emotions were important, and they recognized negative emotions as emotions that their children naturally experience. Also, it was found that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e supportive response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more significantly than non-supportive responses. Third,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of mot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Fourth, in the supportive responses of the mothers’ reactions to the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e emotion-centered response and the emotional expression encouragement response were rela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It was partially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mothers’ reactions to the negative emotions of children are related to the emo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parental education that can guide the use of suitable coping methods for deal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 KCI등재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윤은미(Yun Eun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대학교의 유아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276명을 연구대상자로 2018년 4월 1일부터 4월 25일까지 설문지를 구성하여 배포하고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해 자연스럽게 경험하는 정서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부정적 정서를 건설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도록 격려하기보다는 부정적 정서를 일으키는 원인을 파악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유아의 성별이나 연령에 따라 유아의 부정적 정서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유아의 성별과 연령, 정서유형에 따라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출에 대한 교사의 반응이 달라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정서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교육내용으로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 출현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건설적으로 표현하도록 돕는 방법을 적용해 볼 수 있는 실제 경험을 원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부정적 정서를 이해하고 공감하고 수용하는 교사가 되기 위해서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부터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올바른 생각과 가치관,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도 체계적인 정서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ors perception to a child’s negative emotions. A total of 250 pro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It conducts a questionnaire survey of 250 pro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ors with SPSS 21.0 statistical analysis. Pro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ors perceived that a child’s negative emotions was natural, significant experienc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ors reaction to a child’s negative emotions perceived problem-focused responses than encouragement expression of emotion and emotion-focused responses. Also Pro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ors perceived that the reaction to a child’s negative emotion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x, age and the types of negative emot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pro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ors needs a change of perception to become a early childhood teacher that accept and understand a child’s negative emotions. Pro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ors needs practical and systematic education to handle a child’s negative emotions.

      • KCI등재

        어머니-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및 정서지능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화(Kim, Jeong-Hwa),김영미(Kim, Yeoung-Mi),이경님(Lee, Kyung-Nim)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egative emotionality, emotion intelligence and mother-child interaction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405 mothers of young children using instruments such as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negative emotionality, emotion intelligence and mother-child interaction, and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and mother-child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Second,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through emotion intelligence and mother-child interaction. Additionally, young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creative personality. The results suggested that improving young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and positive mother-child interaction and minimalizing negative emotionality could help facilitate creative personality.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대한 부정적 정서성과 정서지능 및 어머니 유아 상호작용의 직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세에서 세 유아 명과 그들의 어머니 이며 수집된 자료는 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대하여 어머니 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정서지능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대하여 부정적 정서성은 어머니 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정서지능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정서지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어머니 유아의 긍정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정서지능은 창의적 인성을 직접적으로 증진하게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어머니 유아 상호작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서지능을 저하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창의적 인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유아의 정서지능이 창의적 인성을 증진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 증진을 위하여 정서지능의 발달이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긍정적인 어머니 유아 상호작용의 증진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의 최소 화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있다

      • KCI등재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중심으로

        오정순,신나리 한국생애학회 2018 생애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전 및 충청북도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5세 유아 364명(남아 192명, 여아 172명)명과 이들의 어머니 364명 및 담임교사 40명이었다. 유아교육기관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Jewsuwan, Luster와 Kostelnik(1993)이 개발한 유치원 적응 평가(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PAQ)를 본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 교사를 통해 유아를 평가하도록 하였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Crase, Clark와 Pease(1978)가 개발한 IOWA 부모양육행동 척도(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Mother Form: IPBI)를 홍계옥(1995)이 타당화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를 기초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 어머니 자신의 양육행동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부정적 정서성은 Rothbart(1996)의 아동행동질문지(Child Behavior Qestionnaire: CBQ)를 권연희(2003)가 번안한 것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번안, 수정한 것을 어머니가 자녀를 평가하도록 하였고,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Rothbart(1996)가 개발한 아동행동 질문지(Child Behavior Questionnaire: CBQ) 중 의도적 통제 문항을 어머니와 교사가 각각 자녀와 해당 유아를 평가하도록 하였고,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연구자가 유아를 대상으로 적녹 신호(Red-Green Sign) 과제를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SPSS 21.0을 이용하여 주요변인의 기술적 통계 특성을 알아보고,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하위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AMOS 22.0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sion Modeling: SEM)을 실시하였으며 간접효과를 보기 위해 bootstrap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유아 과제를 통해 측정된 의도적 통제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부정적 정서성이 높을수록 의도적 통제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어머니가 평정한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유아 과제를 통해 측정된 유아의 의도적 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참여, 한계설정, 반응성, 합리적 지도, 친밀성 등의 양육행동을 많이 할수록 의도적 통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과제 수행을 통해 측정한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교사가 평정한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의도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또래들과는 물론 교사와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즐겁고 편안한 기분으로 생활하며 자신감 있고 자기주장이 분명하며 하루 일과를 잘 이해하고 따른다. 넷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 과제를 통해 측정한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통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유아 과제 수행을 통해 측정한 의도적 통제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선행연구결과와 달리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은 주고 있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의도적 통제는 기질과 같은 선천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기도 하나 어머니가 제공해주는 양육환경의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on their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their effortful control. Participants were 364 children aged 4-5, their mothers and teachers. Children's effortful control was measure by the Red-green sign task and reports of mothers and teache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to examine pathways from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parenting behaviors of their mother to their early childhood program adaptation through their effortful contro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had indirect effects on their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programs through their effortful control measured by a structured task; direct pathways from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parenting behaviors of their mothers to their adaptation were not found. It was implied that you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played a mediating role not only in the process in which negative emotionality had effects on their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programs but also in the process in which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have effects on the adaptation. Further,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elucidated that you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can manifest itself differently depending on contexts and circumstances.

      • KCI등재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

        김민주 ( Kim Min Ju ),신나나 ( Shin Nan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9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통해 매개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4, 5세 유아(남아: 156명, 여아: 159명)를 자녀로 둔 어머니 31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정, 상관관계분석, 다중 매개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지만, 지지적 반응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에 의해 순차적으로 매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 내면화 문제행동에 대한 조기 개입 및 중재와 관련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유아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 태도 및 가치관을 성찰하고 긍정적인 상위정서를 도모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direct effect of maternal meta-emotion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maternal reactions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 total of 315 mothers whose children were 4 to 5 years old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s, and 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 First, maternal meta- emotion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Second, maternal meta-emotion had an in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maternal non-supportive reaction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However, a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supportive react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maternal meta-emotion had an in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Lastly, maternal meta-emotion had in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maternal reaction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a basic source that can prevent and intervene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rovide data for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남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의 조절효과

        권연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 간 상호작용행동의 관계가 교사-유아 간 갈등적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남녀별로 구분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만 4, 5세 유아 355명(남아 174명, 여아 181명)과 그들의 어머니, 담임교사 3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남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또래와의 놀이상호작용 및 놀이단절 행동과, 여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놀이상호작용 및 또래에 대한 놀이방해 행동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는 모든 또래간 상호작용행동과 관련되었다. 또한 남녀유아의 또래상 호작용에 대한 부정적 정서성과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정적 정서성이 남아의 놀이단절행동 및 여아의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교사-유아 간갈등적 관계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정적 정서성이 높을수록 남아는 놀이단절행동을 많이 보이고 여아는 놀이상호작용을 적게 보이지만, 이는 교사-유아 간 갈등적 관계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성과 또래상호작용의 하위 영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교사-유아 간 갈등적 관계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teacher-child conflictual relationship o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peer interaction. Participants were 355 children (174 boys, 181 girls), all 4 and 5 years of age, their mothers and 32 preschool teachers. Boys and girls were analyzed separately. The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children's peer interaction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was assessed by a mother report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how that boys' negative emotionality significantly related to play interaction and play disconnection, whereas girls' negative emotionality significantly related to play interaction and play disruption. The teacher-child conflictual relationship significantly related to boys" and girls" peer interaction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effects of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on boy's play disconnection and girl's play interaction are moderated by teacher-child conflictual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point to the importance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intervention planning.

      • KCI등재

        유아기의 부정적 정서성, 수면 및 식습관문제가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박서현(Park, Seo-Hyun),강기수(Kang, Gi-S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의 부정적 정서성, 수면 및 식습관문제,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과 집행기능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SKC에서 제공하는 4차년도(2011), 7차년도(2014), 8 차년도(2015)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4, 7, 8차년도 조사에 모두 참여한 총 1,381명(남아 699명, 50.6%)의 유아들과 그들의 어머니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기의 부정적 정서성, 수면 및 식습관문제, 어머니-유아 상호작용과 집행기능의 상관관계 및 구조적 관계를 확인한 후,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집행기능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식습관 문제는 집행기능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수면문제는 집행기능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지 만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을 매개로 간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집행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내적요인들과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으로 집행기능을 예측하고 개인차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집행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을 완화시키며, 규칙적이고 올바른 수면 및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부모교육 및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negative emotionality, sleeping and eating problems, mother-child interactions, and executive functions during the childhood. and to demonstrate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child interactions among them. Data for this study were extracted from the 4th, 7th, and 8th wave of PSKC. The research focused on 1,381 young children(aged 84 to 92 month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4th, 7th, and 8th wave of PSKC. The data were analyzed via SPSS 25.0 and Mplus 8.0 version. First of all, all the correlations among negative emotionality, sleeping and eating problems, mother-child interactions, and executive func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level .05. Using path analysi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negative emotionality was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executive functions via mother-child interactions during the childhood, while controlling child’s gender. Second, eating problems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executive functions via mother-child interactions during the childhood, while controlling child’s gender. Finally, sleeping problems were only directly related to executive functions during the childhood, while controlling child’s gender.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lations to suggestions and future researches.

      • KCI등재

        어머니의 반응유형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부정적 정서 중심으로

        정슬기(Jeong, Seul Gi),허혜경(Huh, Hae Gyeoung)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16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유형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유형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구명하고, 상관관계를 토대로 어머니의 반응유형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사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와 담임교사 173쌍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유형은 지지적반응과, 비지지적 반응 중 지지적 반응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유형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높은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상관관계가 증명되었으나, 유아의 타인조절능력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어머니의 반응유형이 유아의 올바른 정서조절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mothers’ reaction styles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ction styles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and also examined the influences of mothers’ reaction styles on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3 mothers of 3~5-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of privat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Gyeonggi-Do. Revised versions of ‘Scales of mothers’ reaction styles to the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Scale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were used for the research.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suggests that mothers’ reaction style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 KCI등재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정서통제와 부정적 정서의 다중매개효과

        최정은,이소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and positive emo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ehaviors and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by gender. Fathers and mothers of 166 preschoolers from 7 daycare center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parenting behaviors and only mothers completed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and internalizing behaviors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2.0 and Process Macro.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and positive/negative emotion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warmth-acceptance/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Also, both mothers and fathers’ rejection-restriction parenting influenced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s through negative emotions. Second, boys’ emotional control and negative emotion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jection-restriction and 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For girls, parents’ rejection-restriction parenting influenced girls’ internalizing behaviors through negative emotions, while mothers’ warmth-acceptance parenting affected girls’ internalizing behaviors through positive emotions. These results supported the importance of father and mother’s parenting and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and negative emotions to decrease internalizing behaviors, while taking the effects of preschoolers’ gender on these variables into account. 본 연구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통제와 부정적 정서를 매개로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매개분석을 적용하여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유아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에서 6세 유아를 둔 부모 166명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행동, 유아의 정서조절, 내재화 문제행동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온정․수용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정서통제와 긍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를 낮추는 반면, 어머니의 허용․방임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정서통제와 부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거부․제재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부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모형을 유아의 성별에 따라 각각 분석한 결과,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거부․제재와 허용방임적 양육행동만이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친 반면, 여아의 경우 어머니의 온정․수용적 양육행동이 긍정정서를 통해 그리고 아버지와 어머니의 거부․제재적 양육행동이 부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차별적 개입뿐 아니라 유아의 정서통제나 부정적 정서를 유아의 성별에 따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어머니의 긍정적․부정적 정서표현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문제행동에 대한 구조모형분석

        한지현,나은영,이진숙 한국인간발달학회 2018 人間發達硏究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문제 행동에 이르는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들 경로의 적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 I시에 거주하는 만 3~5세의 유아 342명과 그들의 어머니, 담임교사이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을 측정하였으며,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교사가 측정하였고, 유아의 문제행동은 어머니와 교사가 각각 평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어머니의 긍정적․부정적 정서표현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유아의 기능적 정서조절,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과 유아의 역기능적 정서조절 간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가 보고한 유아의 문제행동과 교사가 보고한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매개로하여 유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 및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및 상담적 개입을 위한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