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 중심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에 대한 고찰

        오현아 ( Oh Hyeon-ah ) 한국작문학회 2011 작문연구 Vol.0 No.12

        작문 평가는 학생 필자가 작성한 텍스트를 평가하여 작문 학습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일이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작문 평가의 주체인 평가자인 동시에 작문 평가를 통해 얻은 학생 필자와 학생 필자가 생산해낸 텍스트에 대한 평가 정보를 학생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정보제공자로서 교사는 학생 필자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작문 평가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적인 모색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작문 평가 연구는 학습자에게 작문 평가 결과를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 분석적 평가, 총괄적 평가 이상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지점에 주목해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텍스트 결과물이 빨간 펜에 의해 검열 혹은 교정의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정서적인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작문 평가 결과를 충분히 이해하고 이후의 작문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의 원리로, (1) 소통성의 원리, (2) 발달성의 원리, (3) 은유성의 원리, (4) 학습자 사고 촉진성의 원리(각인성의 원리), (5) 학습자 자기 주도성의 원리의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학습자 중심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의 한 사례로 은유적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의 양상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은유적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의 지향점과 이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이 학생 필자에게 미친 영향을 통해 그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물론 이러한 은유적 평가 결과 제시 방식에서는 학생 필자의 평가 결과 해석 과정이 요구되며 이 과정에서 잘못된 해석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학습자가 많은 교실 상황에서는 일반화해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학습자를 배려한 새로운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이를 통해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에 대한 새로운 모색의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 이 연구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Writing assessment is a process evaluating texts composed by student writers and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writing learning. In the process, the teacher plays the role not only as an assessor who performs the evaluation but also as an information provider who provides the students with information on the student writers and the assessment of texts produced by the student writers obtained through writing assessment. Accordingly, the teacher as an information provider needs to make methodological research on how to present the results of writing assessment effectively to student writers. However, previous studies on writing assessment have not gone beyond analytical and comprehensive assessment concerning how to present the results of writing assessment to learners. Taking note of the problem, this study suggested five principles for the learner centered presentation of writing assessment results, aiming that learners may understand the results of writing assessment fully and utilize them in subsequent writing without emotional discomfort from the feeling that their writings are censored or corrected by a red pen. The five principles suggested are: (1) principle of communications (2) principle of development; (3) principle of metaphor, (4) principle of learner’s thinking promotion; and (5) principle of learner’s self-direction. In addition, as a case of learner centered presentation of writing assessment results, we suggested a pattern for the metaphoric presentation of assessment results, and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metaphoric presentation by examining its objectives as well as its effects on student writers. Of course, the metaphoric presentation of assessment results also requires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ssessment results of student writers and there can be misinterpretations in the process. Moreover, the presentation method has a limitation in applying to a class with a large number of students. Nevertheless, this study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new learner centered methods of presenting writing assessment results and discussed their potential.

      • KCI등재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구본관,신명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1 국어교육연구 Vol.27 No.-

        This study suggests ‘grammar education centering around principle’.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principle of language use’, embodies grammar educative direction centering around principle. Grammar is the principle of language use. It implies ‘regulation of Korean(orthography, spacing words etc.)’, Korean culture and so on. ‘Grammar education centering around principle’ aims at ‘language awareness’. And it is possible to teach with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It has the selective principle of educative content as follows.; The suitability principle in/out a grammar subject, the validity principle in/out a learner. This study treats ‘a grammar subject’ as a subject of knowledge. A grammar subject contributes to Korean ability’s extension. This study embodies the ‘grammar education centering around principle’, shows it’s materialization as a ‘passive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Korean’. 본고는 현 문법 교육 상황에서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이 필요함을 주창하고 그 개념과 특성을 구체화한 것이다. 본고는 먼저 문법의 개념을 ‘원리’ 중심으로 재규정하고, 원리 중심 문법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법 등을 개괄한 뒤, 구체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그 실현태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문법’을 ‘언어의 구성․운용의 원리’로 보았다. 그리고 ‘문법’의 개념 안에서 ‘국어 문화’와 ‘어문 규범’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고 보았다.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은 문법 교육의 주요한 목표를 언어 인식(language awareness)의 신장으로 본다. 그리고 문법이 갖는 기본적인 특성에 근거하여 기능 영역과 통합적으로 교수 학습될 수 있다. 한편, ‘언어 구성․운용 원리’로서의 문법은 문법 교육 내용 선정의 원리를 통해 ‘원리 중심 문법 교육 내용’으로 실현될 수 있는데, 내용 선정의 주요 원리는 ‘과목 내적 적합성의 원리, 과목 외적 적합성의 원리, 학습자 내적 타당성의 원리, 학습자 외적 타당성의 원리’ 등이다.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은 문법 과목을 지식 및 태도 신장 과목으로 본다. 문법은 국어 및 국어 생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킴으로써 국어 능력의 신장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배움중심 수업설계모형 개발 연구

        최효선 ( Hyoseon Choi ),남창우 ( Changwoo Nam ),강이화 ( Ewha Kang ),이지경 ( Ji-kyung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2

        수업에 대한 성찰 속에서 배움이라는 본질을 추구하자는 배움중심수업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교육적 가치로서의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논의는 많지만 교육현장에서의 실천을 위한 수업설계모형이 미흡하여 개발이 요구된다. 이 때 학습자의 개인별 성장을 중요시하고, 학습에 대한 선택권을 강조하며,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적 접근을 바탕으로 하는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원리는 배움중심수업설계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배움중심 수업설계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와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문헌분석과 세 차례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배움중심수업의 실천방향과 요소, 수업설계의 절차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에 대해 전문가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다양성, 자율성, 공동체, 성장의 네 가지 실천방향이 도출되었다. 둘째, 주체, 분석, 협력, 영역, 설계 및 성찰이라는 여섯 가지 요소가 도출되었고, 요소별로 하위요소가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배움중심수업의 절차모형으로서, 순환적, 맞춤형, 교사와 학습자의 협력적 활동, 교사 공동체를 통한 협력적 성찰을 포함한 배움중심수업의 절차와 구체적인 세부 단계가 개발되었다.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배움중심 수업설계모형은 다양한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가 되어 배움이 있는 수업을 실천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has currently attracted educators’ attentions for pursuing learning as the essence as the reflection of instruction. Although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is widely discussed as the value of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has not been developed ye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has some implications for designing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for stressing learners’ individual growth and right of choice for learning based on community-based approach with inter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ing-center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applying UDL.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bout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UDL, and three-rounds delphi method. Thus, it developed practice directions, elements, and procedural model for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applied UDL, and conducted expert validation about the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This study includes the main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practice directions are composed of diversity, autonomy, community, and growth. Second, the elements include subject, analysis, collaboration, domain, design, and reflection, and each subsequent elements. Lastly, the procedural model of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is composed of the process and specific steps of iteration, adaptation, collaborative activitie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nd collaborative reflection with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has some implications of offering meaningful framework for diverse learners to practice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as subjects of learning effectively.

      • KCI우수등재

        OECD 교육 2030의 역량 설계 원리에 대한 고찰: IBDP 설계 원리를 중심으로

        조현영(Cho, Hyunyoung)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5

        최근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에서 OECD의 교육 2030 프로젝트는 새로운 학습의 틀과 원리를 함께 제시하고 있다. 이는 새로운 교육의 방향성으로 개념적으로 다소 생소한 측면이 있다. 그렇지만 교육과정의 설계 원리의 경우 역량 개념을 분절화된 요소들로 제시하거나 범주화 함에 따라 이전까지의 학습 설계의 원리와 차이가 분명하지도 구체화되지도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ECD 교육 2030의 교육 설계의 원리에 대한 의미와 관계성을 탐색하고 학습 설계의 원리를 역량의 관점에서 구체화하기 위하여 IBDP의 사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는 학습자가 학습의 맥락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하는 설계로 집약된다. 특히 지식의 적용과 그에 대한 활용 전략을 분리시키지 않는 방식은 기존의 지식 중심의 학습 설계의 선형적 학습 설계와는 분명히 다른 접근 방식이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지금까지의 역량 설계에 관한 개념적 수준의 논의에서 나아가 구체화된 설계 논리를 실천적 차원에서 풍부하게 이해하도록 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recent discussion of the curriculum for capacity building, the OECD s Education 2030 project presents a new learning framework and principle. This is a new direction of education, and it is conceptually somewhat unfamiliar. However, in the case of curriculum design principles, as it is presented as segmented elements, the difference from previous learning design principles is not clear.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IBDP in order to explore the meaning and relationship of the principles of education design in OECD Education 2030 and to materialize the principles of learning design in terms of competence.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curriculum design for competency development is condensed into a design that prevents learners from being alienated from the context of learning. In particular, a method that does not separate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and its utilization strategy is considered to be an approach that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linear learning design of the existing knowledge-centered learning design. The results of this discussion will go beyond the discussion at the conceptual level on competency design so far, and contribute to a rich understanding of concrete design logic at the practical level.

      • KCI등재

        국가 수준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한 어문 규범 교수ㆍ학습 방안

        신호철(Shin, Ho-cheol)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4 No.-

        본고에서는 국가 수준의 평가(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모의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대상으로 어문 규범 관련 문항을 추출하여 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 어문 규범 교수ㆍ학습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1. 국가 수준 평가에서 어문 규범 관련 문항은 20여 년 동안 수능, 모의수능,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총 3084개 문항에서 34개 문항만이 출제되었다. 수능에서 11개 문항, 모의수능에서 17개 문항,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6개 문항이 출제되었다. 이 34개 어문 규범 관련 문항에서 26개가 한글 맞춤법 관련 문항이고, 8개가 표준어 규정 관련 문항이다. 특기할 점은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관련 문항이 한 문항도 출제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2. 한글 맞춤법에서는 고쳐 쓰기에 결합된 문항이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단독으로는 합성어나 접사 등을 포함하는 ‘제4장 형태에 관한 것’이 4.5개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다음으로 한글 맞춤법 총칙과 관련된 것이 3개 출제되었다. 표준어 규정에서는 8개 문항 중 5개가 표준 발음법과 관련된 문항이다. 3. 어문 규범 관련 문항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의 어문 규범 교육에 대한 교수ㆍ학습 방안으로 4단계의 단계별 교수ㆍ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곧 ‘단계 1 어문 규범 ‘총론’에 대한 원리 중심의 연계 교수’, ‘단계 2 원리 학습기반의 탐구 중심 교수’, ‘단계 3 실제 언어 자료를 활용한 보기/자료/답지 등의 상호관련성 해석 중심의 교수’, ‘단계 4 혼동 어휘 중심의 교수’가 그것이다. 어문 규범 관련 문항 분석 결과 탐구의 과정이 배제된 채 결과의 내용을 추론하는 형태의 문항이 다수 발견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원리 학습을 기반으로 한 탐구적 사고 과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탐구 중심의 교수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실에서 사용되는 실제 언어 자료들을 ‘<보기>’의 대상으로 제시하고 이 자료의 정확한 해석과 그와 관련되는 언어 자료를 적용시키는 학습이 유용하다고 제안하였다. 끝으로 혼동하기 쉬운 어휘들을 중심으로 학습할 것을 주장하였다. For this paper, I extracted certain test questions from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alyzed them, and discussed them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From 20 years of questions papers, I selected 33 questions out of 2919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from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College Scholastic Aptitude Pretests, and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ut of the 33 questions, 25 are Korean orthography-related questions and eight are Korean language standardization-related questions. Questions combined with rewriting are the most characteristic of Korean educational norms. Of the eight questions based on Korean language standardization, three were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and five were related to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law in Korean language standardiz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 have proposed fou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principle-centered education linked, inquiry-based education, analysis of correlation-based education, and confusion-centered learning vocabulary.

      • KCI등재

        학습자중심 심리원리와 그 의의

        권낙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3 No.1

        오랜 역사를 통하여 심리학은 인간학습, 발달 그리고 동기유발에 관한 이론, 연구를 토대로 하여 학교교육의 설계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해왔다. 특히 교육관련 심리학적 연구는 지난 10여년 사이에 상당히 많은 정보를 제공해왔다. 사고, 기억, 인지과정, 동기과정에 대한 이해의 진전은 교수, 학습 그리고 학교교육의 전 영역의 개선에 큰 도움이 된다. 동시에 탈락률의 증가, 낮은 학업 성취 수준, 다른 학교 실패의 요인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교육자들은 학습자 중심 교육모형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모형은 학습자의 다양성에 관심을 갖고 이러한 다양성에 기초하여 학습을 심화하고 현 학교개혁상황에서 요구되는 학습결과를 가져다준다. This study aimed at reviewing APA Learner-centered Psychological principle and drawing their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APA Learner-centered Psychological principle was published in 1993 and revised in 1995. The 14 principles reviewed pertain to the Learn and the learning process. The first 11 principles subdivide into those referring to cognitive and metacognitive factors, motivational and affective factors and developmental and social factors. three final principles are rela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The specific principles are the following; Cognitive and Metacognitive Factors. 1. Nature of the learning process. The learning of complex subject matter is most effective when it is an intentional process of constructing meaning from information and experience. 2. Goals of the learning process. The successful learner, over time and with support and instructional guidance, can create meaningful, coherent representations of knowledge. 3. Construction of knowledge. The successful learner can link new information with existing knowledge in meaningful ways. 4. Strategic thinking. The successful learner can create and use a repertoire of thinking and reasoning strategies to achieve complex learning goals. 5. Thinking about thinking. Higher order strategies for selecting and monitoring mental operations facilitate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6. Context of learning. Learning i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culture, technology, and instructional practices. Motivational and Affective Factors 7. Motivational and emotional influences on learning. What and how much is learned is influenced by the learner\ s motivation. Motivation to learn, in turn, is influenced by the individual\ s emotional states, beliefs, interests and goals, and habits of thinking. 8. Intrinsic motivation to learn. The learner\ s creativity, higher order thinking, and natural curiosity all contribute to motivation to learn. Intrinsic motivation is stimulated by tasks of optimal novelty and difficulty, relevant to personal interests, and providing for personal choice and control. 9. Effects of motivation on effort. Acquisition of complex knowledge and skills requires extended learner effort and guided practice. Without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the willingness to exert this effort is unlikely without coercion. Developmental And Social 10. Developmental influences on learning. As individuals develop, there are different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for learning. Learning is most effective when differential development within and across physical,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domains is taken into account. 11. Social influences on learning. Learning is influenced by social interaction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Individual Difference 12. Individual differences in learning. Learners have different strategies, approaches, and capabilities for learning that are a function of prior experience and heredity. 13. Learning and diversity. Learning is most effective when differences in learners\ linguistic,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s are taken into account. 14. Standards and assessment. Setting appropriately high and challenging standards and assessing the learner as well as learning progress-including diagnostic, process, and outcome assessment-are integral parts of the learning process. Here, The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are presented by each Learner Centered psychological principle. •The teacher should help Learners himself to construct meanings. To help learners, The teacher should have students involve in their own Learning, with various teaching methods such as telling, showing and seeing and with opportunities for teacher and student interactions. •The teacher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establish learning goals of long term range. •The teacher should help students to connect prior knowledge to new information and integrate informations by various ways of presentin

      • KCI등재

        문화 중심 언어와 문화의 통합 교수ㆍ학습 방법 연구

        임경순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9 No.-

        언어문화교육에서 언어와 문화교육은 그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는 단계를 넘어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단계에 있다. 그러나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규정하는 교육의 방향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는 깊이 있게 논의되지 않고 있다. 본고는 언어문화교육이 문화 중심의 통합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 하에 언어문화교육의 이념(목적)을 문화능력의 신장이라 하였고, 바람직한 문화능력을 갖춘 인간을 그 지향하는 인간상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외국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 이질적인 문화 이해를 통해 다른 삶의 양식과 조화를 이루고,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아가고, 나아가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세계인으로서의 존재 가능성을 확장해가는 과정이라는 점도 밝혔다. 그리고 긍정적인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 문화의 상대적 가치를 인식하고 궁극적으로 인간을 억압하는 문화를 넘어 새로운 문화 창출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언어문화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어휘/문법교육, 의사소통교육 등은 문화교육이라는 큰 틀 속에서 위치를 정립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방향 속에서 교수학습의 원리, 교수학습의 모형을 제안하고 교수학습의 단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 사례를 들면서 제안하였다. 특별히 스토리텔링과 교육연극의 방법을 포괄하면서 서사의 속성을 내용과 방법적인 차원에서 활용 가능성이 있는 교육서사를 제안한 것은 이 방면에 또 하나의 이론을 구축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하겠다. A Study on the Methods of Integrative Teaching-Learning of Language and Culture in Culture Centered Now,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step into investigation of concrete contents and methods beyond 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Especially, We should notice about unified approach of culture and language education. But We did not discuss about its idea(goal). It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decides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ducational idea(goal) is development of culture-ability and its personal image is owned human of desirable culture-ability. and The foreign culture understanding is harmony with other life style and investigate self-culture-identity, and process expending being as world human through foreign culture understanding. Besides, culture and language education should develop positive culture, recognize relative value of culture, and contribute creation of new culture beyond oppressive culture. Thus Grammar teaching and communication teaching should be relocating in the great category of culture education. This article presents teaching-learning principles and models in this orientation. and suggest its methods according to teaching-learning steps. and This article show teaching-learning examples. First of all, I insisted that Narrative in Education(NIE) is very important approaching for integrative education of culture and language. NIE include narrative like storytelling, DIE(drama in education), teaching-learning process etc.

      • KCI등재

        한국어 발표 교육에서 비언어적 요소 교수 방안

        송수희(Song Soo-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이 연구는 최근 국내로 유입된 유학생들의 유학 목적이 학문 목적이나 취업 목적인 경우에는 한국어 발표 능력에 대한 부담감이 다른 능력에 비해 매우 크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그들의 발표에 대한 부담감을 낮춰주기 위한 한국어 발표 교육 내용을 보다 구체화하고 체계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기존의 한국어 발표 교육은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일부로서의 발표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발표 교육은 유창성과 정확성을 목표로 한 내용 중심의 교육 위주였다. 여기에 비언어적 요소를 포함한 학습자 참여 중심의 상호작용적 교수를 적용 시킨다면 보다 발전된 발표 교육이 이루어 질 것으로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비언어적 요소의 교수가 배제된 한국어 발표 교육의 교수 내용에 비언어적 요소를 포함시켜 스킬 중심의 교육으로의 전환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발표에 관한 스피치학의 여러 선행 연구과 한국어 발표 교육의 연구들도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 결과들이 한국어 발표 교육에서도 비언어적 요소를 교수해야하는 필요성을 뒷받침해 주었다. 따라서 향후 한국어 발표 교육에 비언어적 요소인 ‘표정, 시선처리, 자세, 제스처’ 네 가지 항목의 내용을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네 가지 비언어적 요소 각각의 구체적인 교수 내용을 정하고 공동체 언어학습의 원리를 적용한 학습자 참여 중심의 교수법을 통한 교육 과정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The study started with the fact that if the purpose of studying abroad is to study or to get a job, the burden on the ability to present Korean language is very high compared to other abilities. We believe there is a need to further refine and organize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presentation education to lessen the burden on their presentation.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presentation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as part of the Korean speaking education. In addition, the existing presentation education was focused on content-oriented education aimed at fluency and accuracy. If interactive teaching centered on student participation, including non-verbal elements, is applied, we believe that more advanced presentation training will take place. In this study, we propose a shift to skills-oriented education by including non-verbal elements in the content of Korean language presentation education, which excludes professors of non-verbal elements. First, we looked at several prior studies of speech and Korean language presentation education on presentation.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y supported the need to teach non-verbal elements in Korean-language presentation education. Therefore, it was proposed to include four non-verbal elements - expression, eye contact, attitude and gestures - in future Korean language presentation training. In addition, the education courses were organized and presented through learners’ participation-oriented teaching methods, which were applied with the principles of community language learning, with the specific teaching content of each of the four non-verbal elements.

      • KCI등재

        정보적 텍스트를 고급 한국어 읽기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

        ( D. Otgontsetseg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9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2 No.-

        본 연구는 몽골대학교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읽기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는 몽골에서 이루어지는 읽기 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몽골인 고급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읽기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의 교수·학습 방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에게 가장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 정보적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읽기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II장에서는 텍스트에 대한 고찰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대상인 텍스트, 텍스트의 유형, 텍스트의 구조, 정보적 텍스트의 개념을 명확하게 규정하였다. 그리고 III장에서는 읽기 교육에서 정보적 텍스트의 위상을 논의했다. 정보적 텍스트를 한국어 읽기 수업에 도입하여 활용하는 것이 언어교육학적인 관점과 학습자의 세상에 대한 지식 및 목표 언어의 사회·문화적인 지식의 활성화 등 여러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는 점을 강조하여 읽기 교육 현장에서 정보적 텍스트의 선정 기준을 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IV장에서는 몽골인 고급 한국어학습자의 읽기 능력 향상 방안으로 정보적 텍스트를 읽기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구안해 보았다. 이 장에서 정보적 텍스트의 읽기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구성하여 학습자가 정보적 텍스트를 학습자가 자기 지식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기 위해 정보적 텍스트의 구조에 익숙해지기 위한 전략 및 읽기 지도 방법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ading abilities and aims to improve learners' reading performances, with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of Korean language major as participants. This study intends to make a diagnosis on the problems of Korean reading education in Mongolia and to devise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by which a high standard of reading education for Mongolian advanced learners of Korean can be established. In this regard, this study looked in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based on informative texts which learners would find very useful. Chapter II of this study made a comprehensive discussion on texts. The major interests of this study such as texts, text types, text structures and the notion of informative texts were defined in definite terms. And chapter III was discussed the status of informative texts in reading education. This chapter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ve texts into Korean reading classes. It has much significance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education but also in that it activates learners' world knowledge and socio-cultural knowledge. With these implications in mind,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set of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informative texts in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With these findings in consideration, the chapter IV discussed the methods to put informative texts into practices in reading classe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reading abilities of Mongolian advanced learners of Korean. This chapter set up the objective and contents of teaching informative texts reading by which learners can transform informative texts into their own knowledge. For this aim, this chapter provided reading strategies and guiding principles which will help learners to be accustomed to the structure of informative texts.

      • KCI등재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의 비판적 고찰

        최선희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9

        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analytical review of grammar inquiry learning model and to propose a direction of its improvement. The investigation learning that emerged as a way teaching and learning by Gwang-hae Kim(1997) was first stated in the 6th Curriculum and has increasingly taken a prominent presence year after year in education of grammar. However, the grammar inquiry learning model has cited the previous inquiry models in science and sociology fields and thus attracted constant criticisms with the issue of utilizing it in actual education environment. This is attributable to the lack of thorough review of the grammar inquiry learning model and indicates failure to make process in relevant studies. Raising the change of utilizing the grammar inquiry learning model in education fields is likely to accelerate normalization of grammar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conduct an analytical review of grammar inquiry and to propose ways to improve it. 이 연구는 문법 탐구 모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광해(1997)에서 교수․학습 방법으로 등장한 탐구 학습은 6차 교육과정에서 처음 명시되었으며 개정을 거듭할수록 탐구 학습은 문법 교육에서 중요한 위상을 점하게 되었다. 그러나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은 기존의 과학과, 사회과의 탐구 모형을 원용한 것인 바, 그 비판의 목소리는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고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문제가 거론된다. 이는 문법 탐구 학습 모형에 대한 면밀한 검토의 부족에서 기인한 것이며 관련 연구가 천착되지 않았다는 것을 방증한다. 교육 현장에서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것은 문법 교육의 정상화를 꾀할 수 있는 방안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문법 탐구 학습 모형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을 시도하고 문법 탐구 학습 모형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