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자력발전소 운영 안전 성능 검토를 위한 인적 조직적 요소 분석 체계 개발 및 적용

        정수진(Su Jin Jung),서영아(Young A Suh)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본 연구는 원자력시설 운영 조직의 인적 요소, 조직적 요소 및 프로그램 관점에서 운영 중 발생하는 안전 관련 사건 등 성능 문제의 해결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를 분석하고 분류 및 세분화하는 방법론을 모색하고, 실제 원자력발전소 운영 안전 성능의 검토에 적용한 사례 연구이다. Background: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고위험산업에서 사고 예방과 완화를 위해 인적 요소, 안전문화 등 조직 요소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안전 관련 사건에 대해 인적 및 조직적 측면의 근본원인을 분석하여 유사한 사건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이 개발되고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사건 원인분석에, 해외에서는 규제 전략 수립에 이러한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다. 국내 원전에 대한 규제 검사 대상 선정 등 규제 정책 수립시 활용하기 위해, 원자력발전소에서 운영 사건과 규제요건 위반 사례 등 다양한 안전 문제에서 확인된 인적, 조직적 요소(human and organizational factors, HOF) 및 프로그램 관점의 취약 요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활용하는 체계와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하다. Method: 국내 및 해외 원자력 규제기관에서 사용되는 HOF 측면을 고려한 원인요소 분석 체계와 활용 사례를 조사하였다. 현행 원자력발전소 운영 사건 인적요소 분석 체계(HuRAM+)와 원자력발전소 운영 관련 규제 요건, 원자력분야 안전문화 모델로부터 인적, 조직적 측면과 운영 프로그램 관점에서 원전 운영상 문제점의 핵심 원인이 되는 요소를 도출하였다. 조직적 심층방어(Institutional defense-in-depth) 개념을 적용하여 운영 안전 핵심 속성(attributes)을 5개 분야, 15개 요소, 42개 속성으로 분류 및 세분화하는 체계(coding scheme)를 마련하였다. 최근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운영 사건과 규제 요건 위반 사례 데이터 168건을 수집하여 문제 발생 원인 측면 또는 문제 해결에 핵심적인 측면에서 연관 요소를 분석하였다. Result: 원자력발전소 운영 안전 성능 문제를 대상으로 coding scheme을 적용하여 빈번하게 확인되는 취약 요소를 도출하고, 운영 조직별 비교를 통해 중점 관리 대상 요소를 도출하는 등 규제 전략 수립에 활용하였다. Conclusion: 국내 원자력발전소 운영 성능 문제의 종합적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인적 조직적 요소 분석 체계를 개발하고, 실제 데이터 분석에 활용하여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Application: 원자력발전소 운영 성능 문제에 대한 인적 조직적 요소 및 프로그램 관점에서의 분석 및 취약 요소 확인,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 도출에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 입학전형요소와 교육성과 간 메타분석

        서봉언 한국교육사회학회 2018 교육사회학연구 Vol.28 No.1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using meta-analysis of 32 collected stud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was significant but had small effect size. This is because there were a great diversity of admission factors among the various universities and majors. The result of subgroup analysis by admission factors revealed 9 admission factors. This study focused on four representative admission factors such as Colla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known as Suneung), high school grade records, interviews, and essay examination. The analysis of the 4 main admission factors indicated that the highest effect size was the correlation between high school grades and university educational performance. This was followed by interview, CSAT, and finally essay exam. Meta-regression analysis using time showed non-significant effect of all admission factors. In all 32 studies, however, positive regression coefficient has been shown, as well as positive coefficient with Suneung but negative regression coefficient with high school grades. Therefore,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nd further analyzed in the future. To sum up,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have positive effect size but time could be a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Thus, new studies must be done to explore the relation more deeply and diversel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대학 입학전형요소와 교육성과 간 상관 메타분석을 위해 관련연구물 32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 입학전형요소와 교육성과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며, 그 효과크기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대학마다 전형요소 비율이 상이하고 다양한 전형요소가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포함된 모든 연구물의 입학전형요소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 각 전형요소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충분한 사례가 포함되지 않은 실기, 수능학생부 등의 전형이 있어 주요 입학전형요소만 선택하여 하위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입학전형요소인 수능, 학생부, 논술, 면접 4개를 포함한 하위집단 분석결과, 전형요소별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학생부, 면접, 수능, 논술의 순으로 대학 교육성과와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입학전형요소와 대학 교육성과 간 상관관계 크기의 변화추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입학전형요소를 구분하지 않고 전체 연구물을 대상으로 할 경우 양(+)의 회귀계수가, 수능도 양(+)의 회귀계수, 학생부는 음(-)의 회귀계수로 나타났으며 이는 추후 연구물이 축적된다면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최근 대학 입시정책의 변화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일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의 연구물을 수집하여 대학 입학전형요소와 교육성과 간 관계를 확인한 데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러나 충분한 사례수가 수집되지 않아 현실 정책반영에 한계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메타회귀분석 결과에서처럼 추후 연구물이 축적되면 추가 분석이 면밀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도 제기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의 창의성 요소 분석: 과학과, 영어과, 미술과, 음악과를 중심으로

        김진석 ( Kim Jin-seok ),강훈식 ( Kang Hun-sik ),박지숙 ( Park Ji-sook ),노철현 ( Roh Cheol-hyeon ),조경선 ( Cho Keoung-sun ),정연현 ( Chung Yun-hyun ),이삭 ( Lee Sa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1 No.특별호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의 영역 특이성에 기초하여 교과별 창의성 요소를 정련하여 제시하고, 해당 요소를 분석 기준으로 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는 교과는 거의 모든 학문 분야를 망라하고 있는 만큼, 모든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은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적 제약과 함께 창의성 함양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6학년 ‘과학’, ‘음악’, ‘미술’, 그리고 여기에 덧붙여서 ‘영어’ 교과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이 중 일부 내용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초등학교 6학년 과학 교과서의 내용은 과학 창의성 요소 중 ‘과학 지식’, ‘기초탐구과정기능’을 요구하는 활동에 치우쳐 있으며, ‘통합탐구기능’, ‘창의적 사고’, ‘문제 해결력’을 요구하는 활동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영어 교과서의 경우 ‘수렴적 사고’가 압도적으로 많이 요구되고 있었고, 여기에 비하여 ‘확산적 사고’가 요구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셋째로, 미술 교과서의 경우 인지적 요소중 ‘시각적 사고력’, ‘연결적 사고력’과 정의적 요소의 ‘과제집착력’, ‘소통·협력’ 요소는 각 단원에서 대체로 골고루 포함되어 있었지만, 인지적 요소 중 ‘공간지각력’, ‘문제해결력’, ‘융통성’, ‘유창성’ 및 정의적 요소 중 ‘내적 의지’ 와 ‘자아존중감’ 요소는 일부 단원에 한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음악 교과서는, 교과서를 발행한 출판사별로 강조점에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대체로 말하여 음악 창의성과 관련된 요소를 각 단원에 고르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이러한 분석결과가 창의성 교육과 관련하여 제시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각 교과 영역별 창의성 요소는 해당 교과를 통한 창의성 함양에 필수불가결하게 요청되는 만큼, 향후 초등학교 과학, 음악, 미술, 영어 교과의내용은 창의성의 다양한 요소를 골고루 반영할 수 있도록 선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로, 각 교과 영역별 창의성 요소 사이에는 차별성뿐만 아니라 공통성도 있는 만큼, 교과 영역을 넘어서는 범교과적 창의성함양 방안, 또는 학제 간 창의성 함양을 위한 활동 방안을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창의성이 영역 특이성을 지닌 특수 창의성과 함께 영역을 가로지르는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방안은 향후 초등학생의 ‘창의성 함양 공통 모형’을 정립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suggest components of creativity for primary learners, and to analyze activities for fostering learners’ creativity in primary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achieve this, definitions of creativity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re presented, and the sixth grade primary school textbooks were analysed in the aspect of creativit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the textbook of science, activities of knowledge and basic inquiry skills were presented significantly in relation to other activities, but those of integrated inquiry skills,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were devised insufficiently. (2) In the textbook of English, activities of convergent thinking were composed predominently, but those of divergent thinking were relatively smaller than any other activities. (3) In the textbook of art, there were activities equivalently and consistently developed for visual thinking, connective thinking power, task competing power, and collaboration, but in some parts of units, there are activities unequivalently developed for spatio-perception, problem-solving, flexibility, fluency, internal volition, and self-respect. (4) In the textbook of music, classroom activities for fostering learners’ creativity were developed equivalently,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textbooks in developing activities for creativity. From th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classroom activities and tasks for fostering learners’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and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classroom activities and tasks need to be implemented in primary classes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 KCI등재

        도시디자인의 물리적 구성요소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전문가와 보행자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최재원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2

        오늘날 도시는 개발 우선의 정책과 무분별한 상업화 등으로 인해, 아름답고 쾌적한 공간으로 인식되어야 할 도시의 공간들이 보행자들에게 시각적으로나 심리적으로 혼란스럽고 불편한 공간이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도시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개선사업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보행자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행자들이 참여하는 도시디자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들이 필요하다. 하지만, 도시디자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대부분이 전문가적인 관점에서만 이루어지고 있어 도심 가로경관에 보행자들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디자인 의 물리적 구성요소들에 대해 전문가들의 견해만 아니라 보행자들의 의견을 함께 고려하기 위해, 우선 전문가와 보행자 간의 도시디자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도시디자인의 물리적 구성요소들에 대한 인식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공통적으로 선호되는 디자인요소

        이유리 ( Yu Ri Lee ),박상준 ( Sang June Park ) 한국감성과학회 2008 감성과학 Vol.11 No.3

        소비자 선호의 만족은 제품의 성공의 중요한 열쇠이다. 그렇기 때문에 디자인 관리자들은 소비자선호에 대해 면밀한 검토를 통해 수익성 있는 제품 디자인을 개발하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선호 디자인제품과 디자인 요소간의 영향에 관련한 연구들이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나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다수의 연구에서는 개별제품에 대한 선호되는 디자인요소만을 다루고 있어 선호되는 디자인에 있어서 제품군별 연관성 및 차별성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러 제품군들 간의 디자인요소와 소비자 선호와의 관계를 살펴 공통적인 선호 디자인요소와 개별 제품군에서만 선호되는 차별적인 선호 디자인 요소를 찾아 이를 통해 디자이너나 디자인 관리자에게 성공적인 제품 개발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전자기기 중 전자사전, 노트북, 휴대폰, MP3플레이어를 대상으로 4개 제품에 대한 공통의 선호 디자인요소와 각각 제품별 선호 디자인요소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한 분석 방법으로, 4개의 개별 제품군에서 공통적으로 디자인요소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은 계층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개별 제품군에서 디자인 요소가 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서, 이 4가지 제품군의 공통 선호 디자인요소 분석에서는, 전체바디타입은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체 바디 컬러가 흰색일 경우 재질은 금속재질일 경우 광택이 경우 선호했고, 개별 제품군별 선호디자인요소의 경우, 전자사전의 경우, 바디형태가 타원형일수록, 컬러가 블랙일 경우, 노트북의 경우 개별선호 디자인요소와 공통 선호 디자인요소가 같으며, 휴대폰의 경우 재질이 플라스틱일 경우, MP3 플레이어의 경우 바디형태가 직사각형이고, 재질이 플라스틱이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제품군에 있어서 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디자인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제품군별 공통의 선호 디자인요소와 개별 제품별 선호 디자인요소를 파악하여 디자이너에게 제품 개발 시 좀 더 명확하고 합리적인 디자인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Satisfaction of consumer preferences is a key factor for the success of the products. Therefore, design mangers try to develop the profitable products through the intensive survey on the consumer preferences. Although the studies on the preferable product design and the design factors have long been carried out, most of these studies dealt only with the design factors preferable for individual product category ignoring the relationship of the product categories which are related to each other. For designers and design managers,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guidelines of successful product development by finding preferred common and distinct design factors through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consumer preferences and design factors in various portable electric device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preferred common and distinct design factors from portable electric devices including the electronic dictionaries, notebook computers, cellular phones, and MP3 players. We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ffects of the design factors on the preferences among the product categorie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ffects among each product category. The analysis on the preferred common design factors among the four product categories revealed that consumers did not care about the whole body type but preferred white color, metallic and glassy texture in the body. Also, the preferred design factors in the each product category are as follows; oval body shape and black color in electronic dictionaries, white color, metallic and glassy texture in notebook computers, plastic texture in cellular phones, rectangular body shape and plastic texture in MP3 players. In the case of notebook computers, the preferred common and distinct design factors were the same. We expect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for designers and design managers to identify the preferred design factor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the various portable electric devices.

      • KCI등재

        교회건축물의 디자인 의사결정 요소에 대한 사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홍성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Although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is a problem for all of the protestant church building users, only architects, some pastors and church laymen have participated in the design decision process, and most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have been neglected in this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major decision making elements that should reflect the user's recognition in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research, analyzes the subjective thoughts of the members who are the users of these elements, and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reflect the general recognition of church architecture users about the major decision making elements of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process. (Method) Firstly, we analyzed the major elements of decision making in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process from the 90 's until recently by analysing previous research, and classify it into a hierarchical structure for AHP questionnaire method. Next, a total of 176 randomly selected church building users in Busan were classified into three hierarchically structured primary-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10 secondary-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and 18 tertiary-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conduct an AHP questionnaire method. (Results)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higher - 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showed that users are conscious of the order of functionality-publicness-symbolism when setting direction of church architecture design. Second, the importance of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functionality appeared in order of worship function-education function-service function-society func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publicness, the importance appeared in order of participating in community welfare-participating in community culture- participating in community education, and showed importance in the order of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community welfare participation is local resident care-disabled care-homeless & teenage runaway care- multicultural family & north Korean defectors.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symbolism, it appeared that the overall building expression-image expression-partial elements expression, and subordinate element of overall building expression was modern style-symbolic style-classical style-traditional style, in the image expression elements are familiar/comfortable image-elegant/beautiful image- refined/modern image-new/fresh image-solemn/strict image order, and in the partial elements expression elements are Bible verses elements-christianity art elements-symbolic emblem elements-symbolic color elements- symbolic number elements order.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through the AHP questionnaire analysis method and to provide the user 's recognition to refer to the design priority among the main elements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연구배경 및 목적) 교회건축 디자인은 교회건축 사용자 모두의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건축가와 일부 교역자, 중직자만이 참여하여 디자인 의사결정을 하여 왔으며, 대다수의 교회 구성원들은 이 과정에서 소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교회건축디자인에서 사용자의 인식이 반영되어야 하는 주요의사결정요소들을 추출하고 이 요소들에 대해 사용자인 교회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주관적인 생각들을 분석하여 AHP설문 분석법을 통해 제시함으로서 교회건축디자인 과정의 주요의사결정요소들에 대한 교회건축 사용자의 전반적인 인식이 반영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먼저 교회건축디자인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9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부각된 교회건축디자인 과정에서의 주요의사결정요소들을 추출하고 AHP설문을 위한 계층구조로 분류한다. 다음으로 무작위로 선정된 부산지역 교회건축 사용자 176명을 대상으로 3개의 계층구조로 분류된 3가지 상위계층 의사결정요소, 10가지 2차 계층 의사결정요소 및 18가지 3차 계층 의사결정요소에 대한 AHP설문을 시행한다. 회수된 설문지의 응답내용을 분석하여 각 계층 의사결정요소들 사이의 우선순위와 중요도 값(가중치)을 구하고 이를 통해 교회건축디자인에서 주요의사결정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알아본다. (결과) 첫째, 상위 계층 의사결정요소 분석결과 사용자들은 교회건축디자인의 방향설정 시 기능성-공공성-상징성의 순서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형보다는 본질에 충실한 것이 교회건축디자인의 방향설정에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기능성의 하위요소 중요도는 예배 기능-교육 기능-봉사 기능-교제 기능의 순서로 나타났고, 예배 기능이 나머지 3개 요소 전체 합과 비슷할 정도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공공성의 하위요소 분석결과, 지역사회 복지참여-지역사회 문화참여-지역사회 교육참여의 순서로 중요도가 나타났고, 이 중 지역사회 복지참여 요소의 하위요소는 지역주민 배려-장애인 배려-노숙인․가출청소년 배려-다문화․탈북자 배려의 순서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상징성의 하위요소 분석결과, 교회 건물 전체로 표현-이미지로 표현-부분요소로 표현의 순서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회 건물 전체로 표현 요소의 하위요소는 현대적인 표현-상징적인 표현-고전적인 표현-전통적인 표현의 순서로, 이미지로 표현 요소는 친숙한/ 편안한 이미지-우아한/ 아름다운 이미지-세련된/ 현대적인 이미지-새로운/ 신선한 이미지-엄숙한/ 엄격한 이미지의 순서로, 부분요소로 표현은 성경구절-상징문양-성화-상징색채-상징 수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 AHP설문 분석법을 통해 각 요소별 중요도 값을 제시하여 교회건축디자인 의사결정과정에서 주요 요소들 간의 디자인 우선순위 설정에 참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인식 특성을 제공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 KCI등재

        시각적 복잡성 연구고찰 Ⅳ - 가로경관에서의 시각적 복잡성 모형 연구 -

        윤성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6

        This study is related to 'Visual Complexity Research Study I, II, III'.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the model of VC by deriving meaningful factors from six visual complexity influencing factors. The VC values were calculated from 42 photographs, and the VC levels (high-midium-low) were classified by questionnaire(209 people). Six steps analysis was performed by coding the value of VC element (6 items) and VC level (High-Medium-Low) classification frequency value for 42 pictures. First, used the one-to-one correlation of all the variables. Second, used the correlation analysis to see how the VC factors individually influence the level of VC.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Thir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analyzed distance using ANOVA. Fourth, us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ee which VC factors are relevant to the level of VC when integrated individual VC factors act in combination. Fifth, used the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to see which combination of VC factors are relevant to an individual VC with no distinction in the level of VC. Sixth(using only three significant variables of analysis 5), used the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again and drew a significant VC model and the weighted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is as follows:                           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experts survey, public questionnaire,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The value of this study is statistical evidence that sign area ratio, and vertical ratio(facade, direction 1) are the meaningful factors among VC factors. The researchers argue that the order system of visual complexity is visual physical quantity, quality of vision, and visual composition. This visual composition is the key. 본 연구는 ‘시각적 복잡성 연구 고찰 Ⅰ, Ⅱ, Ⅲ’과 연결되는 논문이다. 연구목적은 설정된 분석틀의 여섯가지VC(Visual Complexity) 영향 요소에서 유의미한 요소를 도출하여, VC 모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VC값은 42장의 사진에서 산출하였고, VC레벨(상-중-하)은 일반인 설문(209명)으로 분류하였다. 6단계의 분석은 42개 그림에 대한 VC요소(6개 항목)와 VC레벨 분류의 빈도 값을 코딩하여 진행하였다. 분석1은 전체변수들의 1:1 상관관계와 VC요소별 VC레벨별 상관관계, 분석2는 VC레벨별과 가로별 VC요소의 상관관계, 분석3은 ANOVA를 사용하여 분석2의 결과인 거리별 차이 검증, 분석4는 VC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 VC레벨별 유의한 요소 분석, 분석5는 VC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 VC레벨 상, 중, 하가 통합된 단일VC에 유의한 요소 분석, 분석6 은 분석 5에서의 유의수준 5%이내의 변수들만을 가지고 VC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VC모형은시각적복잡성     간판면적비율            이다. 연구방법은 전문가 설문, 일반인 설문, 빈도분산, 상관분석, ANOVA, 다중회귀분석, 가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치는 간판면적비율 및 수직선의비율(파사드, 방향 1)이 유의미한 VC요소임을 통계적으로 입증한 것에 있다. 이를 근거로 시각적 복잡성의 질서체계는 시각적 물리량, 시각의 질, 시각적 구성이라고 주장한다. VC의 질서체계 중 시각적 구성이 핵심이라할 수 있다.

      • KCI등재

        기후요소와 생산성간의 상관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철근콘크리트 골조공사를 중심으로 -

        김신태,김예상,진상윤,Kim Shin-Tae,Kim Yea-Sang,Chin Sang-yo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5 No.6

        건설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소 중에서, 외부공사가 많은 건축공사는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지난 30년에 걸쳐 기후요소와 건설생산성간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대한민국의 지리적 특징을 잘 반영하는 연구는 미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같은 유형의 공동주택 4개동($16\~18$층)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골조공사의 건설생산성과 5가지 기후요소(온도, 습도, 낮 길이, 강수, 풍속)와의 관계를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단순회귀분석 결과, 기후요소 중 온도, 낮 길이가 건설생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중회귀분석으로부터는 기후요소에 의해 생산성을 예측할 수 있는 회귀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분석결과에 대한 검증과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사관리의 기획단계 혹은 공정관리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mong th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weather conditions or elements become very important factors in planning and executing construction project. It is especially true in Korea where the weather changes dramatically through few seasons.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productivity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e for the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and 5 weather elements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day time, rainfall, and wind velocity have been analyzed The results trough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weather elements explain $58.8\%$ of productivity in total and temperature and day time were more important factors among them.

      • KCI등재

        디자인발상지원요소와 그 수용결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손승우(Son, Seung Woo),한정완(Han, Jung Wa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2 No.-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디자이너들은 발상 스케치 진행시, 관념이나 경험의 범주에서 형상을 떠올리거나, 의도적으로 조형이미지를 탐색하고 이를 디자인 조형요소로 적용하기 때문에 디자이너 개인의 성향과 관심영역에 따라 편향적 결과물을 도출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디자이너의 감성과 레퍼런스 이미지의 응용으로 그치지 않고, 그들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발상지원 요소를 제공하여 다양한 형상을 검토하고, 이를 기존의 개인 편향적 결과물이 아닌 발상지원 요소가 수용된 결과물을 도출 해낼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상지원에 필요한 유형을 텍스트정보와 이미지정보로 분류하고 제시용 샘플을 구성하였으며, 각각의 발상지원 유형을 수용한 총 3개 그룹의 피실험군이 스케치를 통해 조형 요소를 전개하도록 하였다. 그 후 실험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형태 전개 분석용 매트릭스를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형태 매트릭스 측정을 위한 구성 요소는 점, 선 등의 1차원 형상과 원, 사각형 등 평면적 요소의 2차원 형상 및 기타 3차 입체형상으로 분류하였다. 스케치 실험 결과물을 통해 형태 사용 빈도를 측정하였고 그룹별 비교 분석을 위해 오차범위를 줄여 평균값을 산출하는 엑셀의 ‘TRIMMEA N’1)함수를 이용, 이를 토대로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이를 통해 모든 그룹이 전반적으로 이미지정보 제시에 비해 텍스트정보 제시에서 다소 높은 형태 전개 양상을 보여주었으며, 1차원에서 2차원을 거쳐 3차원의 조형 요소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그 사용 빈도가 점차 줄어드는 현상을 찾아낼 수 있었다. 13가지의 형태 요소 중 유독 직선, 원, 사각형, 원기둥 및 직·정육면체의 사용 선호도가 높았으며, 이는 피실험자의 형태 경험도가 원과 사각형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결과로 판단되었다. 또한 모든 그룹이 1차원에서 2차원을 거쳐 3차원으로 갈수록 전개의 폭이 감소한다는 의미는 스케치 초기 단계에서 다양한 형상을 검토할지라도 결국 개인의 편향적이고 선호지향적인 조형요소를 도출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When proceeding with idea sketch, designers may derive biased results depending on designer’s personal inclination and interest area because they come up with the shape in the category of ideas and experiences or explore a formative image deliberately and apply it as a design formative element. Therefore,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the application of reference images and designer’s sensibility, we will have to find a way to review a variety of shapes by providing different idea support element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derive the results accepting idea support elements not existing personal biased results.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needed for idea support into text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and configured samples for presentation and allowed a total of three subject groups accepting each idea support type to develop a formative element through the sketch. And then, a matrix for the form development analysis was configured and measured in order to analyze the experimental results. Components for measuring the form matrix were classified into 1-D shapes such as points, lines etc. and 2-D shapes of planar elements such as circles, squares etc. and other 3-D shapes. The shape use frequency was measured through the sketch experiment results and a graph was created based on "TRIMMEAN" function of Excel to calculate the average value by reducing the error range for comparative analysis by group. Through this, we could find a phenomenon that all groups showed a somewhat higher development pattern in the text information presentation compared to image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the use frequency is gradually reduc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3-D formative elements through 1-D and 2-D. Of 13 kinds of form factors, the use preference of straight lines, circles, rectangles, cylinders and rectangular parallelepiped· regular hexahedrons was especially higher and this was determined to be a result of proving that the form experience of the subject remains in circles and squares. Also, the width of development of all groups is reduced towards 3-D through 1-D and 2-D and it means that even if reviewing a variety of shapes in the initial stage of sketches, personal biased and preferred oriented formative elements are derived.

      • KCI등재

        M-IPA분석을 활용한 전문가와 이용자 간 보행 환경 계획요소의 인지 차이 분석

        김태호(Taeho Kim),이창수(Changsoo Lee),박철홍(Cheolhong Park),장명준(Myungjun Jang)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도시 행정 학보 Vol.26 No.1

        정책결정자와 이용자가 인지하는 정책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정책 성공에 많은 영향을 가져온다. 특히 최근 도시설계의 주요한 요소로 나타나고 있는 보행중심의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계획가와 보행자의 인지차이 이해는 성공적인 정책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보행자를 위한 도시공간의 조성에 있어서 보행정책 결정자와 보행자의 인지차이를 이해하는 것을 주 목표로 삼는다. 이 연구는 연구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과 M-IPA 분석을 채택하여 계획가와 보행자의 보행에 대한 인지차이를 분석하였다. 먼저 구조방적식의 분석결과 계획가와 보행자사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인지 차이는 보행환경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계획가는 안전성과 연속성을 가장 주요한 보행환경 요소로 인지한 반면에 보행자의 경우는 편리성과 쾌적성을 가장 주요한 보행환경 요소로 인지하였다. 이용자와 계획가의 관점 차이를 종합한 우선순위 높은 계획요소를 판단하기 위하여 변형된 중요도-만족도(M-IPA)분석을 수행하였으며, (1) 중점개선사항은 안전성(보도/차도높이), 쾌적성(보도소음, 가로수구비, 1층 출입개방), 편리/시인성(판매시설, 보도경가 완만), 생동성(문화공간 충분) (2) 이용자가 개선을 요구하는 계획요소는 안전성(야간조명, 도로 길이 충분, 차 량 진출입 적당), 쾌적성(보도 방해요소), 연속성(보로 건물 진출, 이면도로 연결), 생동성(지역 이미지) (3) 계획가가 개선 의지를 가지고 있는 계획요소는 안전성(차량경계시설 구비성), 연속성(횡단보도 개수), 생동성(건축디자인, 공원 충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이용자와 계획가간의 인식차이를 줄이는 방향으로 보행환경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이용자와 전문가의 보행환경 계획요소 인식차이 규명에 관한 연구를 기초로 하여 앞서 언급하였던 향후 연구 과제를 보완한다면 향후 도시의 보행자 서비스 질은 더욱 향상 될 것이다. The recognition of the different notion between decision makers and users could raise the possibility for success of public polici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t notion of walking environment between planning experts and users. The need of a pedestrian-oriented society is obvious because of energy sav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t.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contribute to the better walking urban structure, which is the fundamental of many alternative urban forms such as Urban Village and New Urbanism. This study adop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understand different notion of walking environment elements between experts and users. The result of analysis depicts that the primary difference between experts and users is the priority of walking environment. Whilst experts more emphasize safety and connectivity, users accentuate convenience and comfort of walking environment. The M-IPA shows the overall priorities of walking environment. Regardless of point of view, safety is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the walking environment. Then, comfort, convenience and conviviality are considered as important planning elements, respectively. This study provides statistical analysis of different views on walking environment between policy makers and users. Recognition of the different notion would provid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policy for building pedestrian-oriented urban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