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석재,김경래,유진근,김대호,Lee Seok-Jae,Kim Kyung-Rai,Yu Jin-Keun,Kim Dae-Ho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2 No.2
현재 건설산업의 업역은 크게 건설용역업과 건설업으로 구분되며 건설용역업은 건축설계업, 엔지니어링, 감리업 등으로 구분되고 건설업은 일반건설업과 전문건설업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런 건설산업의 업역화는 무자격업체가 무차별적으로 건설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건설업체의 전문성을 유지하고 소비자를 보호하는 긍정적 측면이 있는 반면에 업역화중에서 가장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일부 업역간의 겸업을 제한하고 있는 현행제도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들, 즉 건설생산 효율성의 낙후와 지대의 발생 등의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업역 제한 제도가 폐지되고 의무하도급제 등 건설기업의 의사 결정을 제약하는 각종 규제조치가 폐지될 경우 각 건설주체는 자신의 핵심 역량, 소비자의 니즈, 개별 상품시장을 시도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건설시장 구조를 전망해 보고 이에 대한 각 건설기업들의 건설시장에 대한 진출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용자 만족도 및 중요도를 고려한 건설 정보화 시스템 평가모형 개발
박경아,이정호,김영석,한승우,Park, Kyoung-Ah,Lee, Jeong-Ho,Kim, Young-Suk,Han, Seung-W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9 No.5
국내 건설 프로젝트의 규모가 점차 복잡화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건설 사업을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건설 정보화 시스템의 사용은 프로젝트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어 왔다. 그러나 건설 정보화 시스템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건설 정보화 시스템이 주로 현장관리자보다는 전체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본사 관리자 관점에서 개발되고 평가 및 개선되어 왔기에 현장관리자 관점에서의 시스템 활용도 및 만족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 및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정보화 시스템의 최종 사용자인 현장관리자를 중심으로 시스템이 제공하는 정보의 중요도 및 만족도를 고려하여 건설 정보화 시스템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시스템 개선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만족도-중요도 매트릭스 기반의 평가모형을 제안하였다. 건설기업의 본사관리자 및 개발자는 건설 정보화 시스템의 개선 시,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평가모형을 토대로 현재 활용 중인 건설 정보화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정보의 중요도 및 만족도를 고려한 시스템의 합리적 개선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성일,장철기,배유진,Kim, Sung-Il,Chang, Chul-Ki,Bae, Yu-Ji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5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6 No.3
건설산업은 다양한 참여자를 통해 하나의 시설물을 생산하는 것으로 계약의 망에 의해 움직이는 기업생태계의 특성을 가진다. 그간 국내 건설생산체계는 건설기업간 협력적 관계 형성 미비로 고비용, 저효율을 초래해 왔다. 이에 정부는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실질적인 협력의 성과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생태계(business ecosystem)의 시각에서 건설생산체계를 근간으로 하는 건설기업간의 네트워크 방식을 기업생태계로 정의하고, 건설산업의 협력적 기업생태계를 진단하였다. 건설산업의 협력적 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역량형 신뢰 또는 가치공유형 신뢰에 기반을 둔 협력 생태계의 형성이 필요하고, 건설업체간 상호의존도가 높고 협력관계가 지속되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건설참여자의 수익 공유를 위해 적정공사비를 확보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A facility is built by participating of various parties who are connecting each other by network of contract.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suffering with high cost and low efficiency due to lack of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compani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The government has tried to resolve this problem by diverse policy support, but practical result has not been realized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This paper defined construction business ecosystem in the aspect of business ecosystem as a network among construction companies based on diverse production system, and diagnosed cooperative business ecosystem in construction industry. For construction business ecosystem to be more cooperative business ecosystem, the result of diagnosis shows that the type of cooperation based capacity and value sharing should be developed and interdependence among companies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should be durable and reasonable price for construction should be guaranteed for the participant to have a profit from the project.
WTO 정부조달협정 건설서비스 양허하한선 인하시의 건설시장 변화와 대응방안
문혁,김명수,Moon, Hyuk,Kim, Myeong-S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4 No.2
건설서비스 양허하한선 인하 문제는 국내 중 소 건설업체의 이해관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바, 국내 관련 제도 및 건설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세부적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중 소 건설업체를 위한 '지역제한입찰제도' 및 '지역의무공동도급제도' 등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는 이들 업체의 수주시장에도 변화가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사전적 검토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양허하한선을 낮출 경우 우리나라의 건설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서비스 양허하한선 조정으로 인한 실제 수주시장의 변화를 전망해 보고 그 실질적인 효과를 분석하여 '건설서비스 양허하한선 인하' 문제에 대한 기본 입장 정립의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WTO GPA의 적용을 받는 우리나라의 양허하한선은 정부발주공사의 경우는 500만 SDR(74억원)이며, 지자체와 기타공사의 경우에는 1,500만 SDR(222억원)이다. 정부는 지방자치단체 및 공기업 등 기타기관의 건설서비스 양허하한선에 대하여 '지역의무공동도급제도' 등을 고려하여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지방정부기관 및 공기업의 건설서비스의 양허하한선은 일본과 함께 현재 1,500만 SDR로서, 여타국의 500만 SDR에 비해 월등히 높게 설정된 상황이며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EC 등 주요 회원국은 지방정부기관 및 공기업의 하한선을 외국의 경우와 같이 500만 SDR로 인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분석결과 이러한 500만 SDR로의 개방 확대는 '07년 기준으로 총 2조 105억원 규모의 시장이 축소되어, 이는 지역업체들에게 부담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업체들의 수주 비중은 규모가 작은 공사일수록 높아지므로, 총 2조 105억원 규모의 시장감소(공동도급 1조 6,802억원, 단독도급 3,407억원)는 지역업체 수주활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Lowering threshold value of construction services is extremely sensitive issue to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construction industry. Because it means opening the construction markets where the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compete intensely. Nevertheless, it is absent that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opening the market lowering threshold value of construction services under Government Procurement Agreements or Free Trade Agreement.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lowering threshold value of construction service which have been agenda repeatedly in the international agreements such as WTO and FTA. The current threshold value of construction services of Korea under WTO GPA are 5million SDR where the government delivers and 15million SDR where the local government or the public institution deliver. However major parties to an entente such as USA and EU have been demanding to lower threshold value of 15 million SDR where the local government or the public institution deliver to 5million SDR. The analysis figure the effect of this lowering threshold value to be a market reduction by 2trillion Won as '07 fiscal year basis. This market shrinkage will effect to the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in local considerably.
박환표,신은영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0 No.2
우리나라는 1990년대에 건설발주 물량의 증가로 인한 건설기술자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995년에 인정기술자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건설기술자의 부족 문제는 해결되었으나, 오히려 건설기술자의 공급과잉으로 인한 새로운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정부는 2007년도에 기존 인정기술자제도를 폐지하고, 건설기술자 제도는 산업기사, 기사, 기술사 등의 기술자격을 가진 자만 건설활동을 할 수 있는 제도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정책변화에 따른 가장 적합한 건설기술자의 수요와 공급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수요공급예측을 하는 것이 중요한 사항으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GDP와 건설시장분석을 기반으로 건설기술자의 수요예측과 공급예측모델을 제안하고, 중장기 수급예측을 전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책수립자가 건설기술자의 수요와 공급의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디자인 빌드(Design Build) 방식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중.소규모 건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치주,김상기,김재준,Lee, Chi-Joo,Kim, Sang-Ki,Kim, Jae-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8 No.5
국내 중 소규모 건설 산업은 시공분야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왔으며 소프트분야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또한 다양한 발주 체계가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진행되고 있다. 더욱이 현재 국내 건설 프로젝트들은 자금력과 기술력을 갖춘 대형 건설업체들이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어 중 소규모 건설업체들의 입지가 줄어들고 있다. 최근국내 외 건설시장의 대형화, 고도화와 함께 기술집약적인 공사가 늘어감에 따라 기술경쟁이 가능한 설계시공일괄(Design-Build)방식의 건설 산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규모가 작은 중 소건설기업의 상황에서는 더욱 건설시장에서 효과적인 경쟁력을 보유하여야 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빌드 방식의 성공요인과 중 소규모 프로젝트 사례조사를 한 후 AHP 분석을 통해 성공요인 도출 및 중요도 분석을 함으로써 중 소규모 건설업체의 디자인 빌드 방식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중점 관리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향후 중 소 건설업체의 발전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효과적인 린 건설 수행을 위한 린 시스템 운용 방안 제시
김대영,Kim, Dae-Yo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05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6 No.6
린 건설은 건설 관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준다. 제조업체로부터 시작된 린 건설은 제조업의 생산활동과는 판이하게 다를 수 있는 건설업의 생산 업무를 효율적으로 조정해 주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미국 LCI협회는 작업 흐름의 관리와 보다 효율적인 공정 및 계획 관리를 위해 최종 계획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건설업체에 보급, 린 건설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라스트 플래너 시스템(Last Planner System: LPS)이다. 국내에서도 린 건설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여러 번에 걸쳐 이 LPS의 소개가 이루어 졌으나 공사현장 참여자들의 비교적 상세한 지침서는 아직 제시된 바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현장에서 린 시스템의 보다 효율적인 적용과 수행을 가능케 하기 위한 토대 마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현장 방문을 통한 인터뷰 및 설문조사, 그리고 현장의 린 건설 수행 실태 분석 등을 통하여 린 건설 수행 시 공사 참여자들의 역할과 의무를 정리하였고 린 시스템 중 가장 일반적으로 현장에 적용되어지고 있는 라스트플래너(Last Planner)의 운용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린 시스템 적용 관리 모델을 제시하여 공사참여자들의 린 건설의 원활한 수행을 유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