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록규칙에 있어 가계(家系)의 속성과 관계의 기술

        이창수,Lee, Changsoo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to apply describing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of families to Korean Cataloging Rul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FRAD conceptual model, and the cataloging rules such as RDA, DACS2 and KCR2 were analyzed. For describing attributes of families, this study analyzed name, type, date, place, prominent member, hereditary title, language, history, and identifier of families. For describing relationships of families, this study investigated describing relationships to families associated with each resource, such as a work, an expression, a manifestation, and an item, and describing relationships between families, relationships between families and pers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families and corporate bodie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suggested the application methods of describing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of families in Korean Cataloging Rules. 이 연구의 목적은 RDA를 중심으로 FRAD, DACS2, KCR2 등을 분석한 것을 토대로 하여, 한국목록규칙에 있어 가계의 속성과 관계의 기술에 대한 규정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가계의 속성 기술은 가계의 이름, 유형, 날짜, 장소, 저명인사, 세습칭호, 언어, 가계사, 식별기호에 관한 사항에 대해 분석하였다. 가계의 관계 기술은 저작과 관련된 가계, 표현형과 관련된 가계, 구현형과 관련된 가계, 개별자료와 관련된 가계 등 각각의 자원과 관련된 가계에 관한 기술을 분석하였고, 가계와 개인 간의 관계, 가계와 가계 간의 관계, 가계와 단체 간의 관계에 대한 기술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RDA를 중심으로 목록규칙들에서의 가계의 속성과 관계의 기술에 대하여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추후 한국목록규칙에 이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국도서관분류법 제5판의 특성 분석

        이창수,Lee, Changsoo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3

        중국도서관분류법(中國圖書館分類法)(CLC: Chinese Library Classification)은 중국에서 가장 널리 통용되는 국가 표준분류법으로 1975년에 초판을 발행한 이래 2010년에는 제5판을 출판함으로써 약 9년마다 개정을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CLC의 성립배경과 발전과정 그리고 제5판의 특성과 개정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과 문화적으로 오랜 관련성을 유지해온 중국의 대표적인 분류법을 고찰하고 한국십진분류법(KDC) 전개에 참고할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The Chinese Library Classification(CLC) is the most widely used 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in China. Since the first edition of CLC in 1975, the 5th edition of CLC was published in 2010. It was the result of an average of 9 years of revision for each e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CLC focusing on the formational background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CLC, and characteristics and revision details of CLC's 5th edition. Because Korea has been close cultural relationship with China for a long time,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on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development.

      • KCI등재

        KDC 역사보조학 분야 분류체계의 개선방안

        이창수,Lee, Changsoo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4 No.3

        KDC 제5판의 역사보조학 중 고고학, 고문서학, 기록학, 계보학, 전기(傳記) 분야는 분류체계상의 문제점이 발견되어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첫째, LCC, DDC, KDC, NDC, UDC, CLC를 대상으로 역사보조학 분야를 비교 분석하여 KDC의 개선을 위한 착안점을 파악하고, 둘째, 도서관현장에서의 KDC를 사용한 분류실태를 조사하여 적용상의 문제점을 도출하며, 셋째, 파악된 착안점을 참작하여 KDC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mong the auxiliary sciences of history field in the KDC 5th edition, several classification system problems are found with the fields of Archaeology, Diplomatics, Archival Science, Genealogy, and Biograph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ir improvements.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uxiliary Sciences of History field of LCC, DDC, KDC, NDC, UDC, CLC.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KDC in the library field to diagnose several application problems.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rovements of KDC were suggested.

      •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도 평가를 위한 프로세스 도출

        이창수(Changsoo Lee),김선호(Sunho Kim),이창수(Changsoo Lee),이진우(Jinwoo Lee),이창한(Changhan Lee) 대한산업공학회 2012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5

        데이터 오류를 수정하여 데이터 자체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은 조직 전체의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프로세스의 성숙 수준을 높이려는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도 평가에 필요한 프로세스 도출 방안을 제시한다. 우선, 기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모델의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성숙도 평가에 필요한 요구 및 고려사항과 프로세스의 적용 가능 여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기존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모델의 특성을 분석 및 비교하였다. 이러한 검토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도 평가를 위한 프로세스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핵심, 지원, 및 조직 영역의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도 평가를 위한 프로세스 도출

        이창수(Changsoo Lee),김선호(Sunho Kim),이창수(Changsoo Lee),이진우(Jinwoo Lee),이창한(Changhan Lee) 한국경영과학회 2012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5

        데이터 오류를 수정하여 데이터 자체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은 조직 전체의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프로세스의 성숙 수준을 높이려는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도 평가에 필요한 프로세스 도출 방안을 제시한다. 우선, 기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모델의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성숙도 평가에 필요한 요구 및 고려사항과 프로세스의 적용 가능 여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기존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모델의 특성을 분석 및 비교하였다. 이러한 검토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도 평가를 위한 프로세스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핵심, 지원, 및 조직 영역의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 KCI등재

        고온 조건하 암석의 열적ㆍ역학적 물성에 대한 연구현황

        이창수(Changsoo Lee),박정욱(Jung-Wook Park),박철환(Chulwhan Park),박의섭(Eui-Seob Park) 한국암반공학회 2015 터널과지하공간 Vol.25 No.1

        본 기술보고서에서는 현재까지 발표된 국내외 70여 편의 주요 연구들을 토대로 고온 조건하 암석의 열적ㆍ역학적 물성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여 요약・제시하였다. 대부분 특정 암석에 대해 일회성으로 보고 되었던 선행연구들의 실험 결과를 보다 체계적으로 통합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열적 환경에 건설되는 암반구조물의 타당성 조사단계 및 초기 설계단계에서 이들의 활용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In this technical report we summarize the observational data on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s reported by over 70 best published papers. The experimental results reported individually are integrated and presented in tables and figures here, which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to fairly determine and evaluate the rock properties at the initial design stage of underground structure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 KCI우수등재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와 비즈니스 시나리오

        이창수(Changsoo Lee),김선호(Sunho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10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5 No.4

        e-비즈니스의 활성화로 기업과 조직에서 이해당사자 간의 데이터 교환이 활발해 짐에 따라,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확보 및 관리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데이터의 품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시나리오와 함께 제시한다. 데이터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는 데이터 품질 모니터링, 데이터 품질 개선, 데이터 활용의 3단계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단계마다 3개씩, 총 9개의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있다. 각 프로세스에는 필요성, 기능, 역할, 프로세스간의 관계가 명시되어 있다. 또한, 본 프레임워크를 현장에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e-비즈니스에서 많이 사용되는 상품식별 및 분류 코드체계의 사례를 이용하여 업무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As data exchange between business partners in e-business becomes more active, obtaining and managing reliable data is emerging as a pressing issue for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s. For the resolution of data quality,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for data quality management with its scenario. The data quality management framework consists of three phases: data quality monitoring, data quality improvement and data application, each of which has three processes. In each process, necessity, functions, roles, and relationships among processes are specified. In order for users to directly apply the framework to the business field, a business scenario is given with examples of product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code systems widely used in e-business.

      • DDC 22판과 UDC 표준판의 비교 분석

        이창수(Lee, Changsoo)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2 No.1

        이 연구는 DDC22와 UDCs를 기호의 조합과 보조표, 기호의 체계와 본표의 면에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UDC<sub>s</sub>에서는 조합기호로서 부가기호(+, /)와 상관기호(:, [ ], ::)가 있어서 기호의 조합이 원활하여 다면적인 분류가 가능하다. DDC의 전주제구분은 제한된 분야에서 본 표의 다른 부분으로부터의 합성에 불과하며, UDC에서 처럼 모든 주제분야에서 자유롭게 둘이상의 독립된 주제를 조차하는 방법은 아니다. 둘째, DDC22에는 표준구분표(T1), 지역구분표(T2), 문학형식구분표(T3), 언어공통구분표(T4), 종족·국민구분표(T5), 국어구분표(T6) 등 6개의 보조표가 있다. UDC<sub>s</sub>에는 공통보조표로서 언어보조표(T1c), 형식보조표(T1d), 장소보조표(T1e), 민족·국적보조표(T1f), 시간보조표(T1g), UDC 이외의 기호법에 의한 세분(T1h), 일반특성보조표(T1k) 등이 있다. 양 분류표의 T1-T1d, T2-T1e, T5-T1f, T6-T1c 등은 각기 그 기능은 동일한 것이다. DDC22에만 두고 있는 것으로는 T3와 T4이며, UDC<sub>s</sub>에만 두고 있는 것은 T1g, T1h, T1k 등이 있다. 셋째, UDC<sub>s</sub>의 분류기호는 DDC22와 마찬가지로 십진식에 의해서 구성되며, 분야에 따라서는 10구분 이상의 세분이 필요하면 백진식의 구분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유(類)나 강(綱)의 표현도 DDC는 세숫자를 기본으로 하나 UDC는 0을 생략하고 간단히 나타내고 있으며, 소숫점도 세자리 마다 찍어 여러번 반복될 수 있다. 넷째, DDC22와 UDCs는 주류에 있어서는 언어의 위치를 제외하고는 거의 같다. UDC<sub>s</sub>의 경우 특히 종교류, 어문학류에 있어서 국제적 보편성이 강조되어 있으며, 국가별 철학, 언어, 문학, 지리, 역사 등에 있어서는 DDC22에서의 지역별, 언어별로 나열하던 방식에서 특정기호아래 집중하여 장소보조표, 언어보조표, 시간보조표 등을 사용하여 조합하도록 함으로써 표를 간략화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DC22 (DDC edition 22) and UDC<sub>s</sub> (UDC standard edition) in the sight of syntheses of notation and auxiliary tables, and system of notation and schedu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DC<sub>s</sub> is kind of a faceted classifications since it adopt the co-ordination notations (e.g., ‘+’, ‘/’) and the relation notations (e.g., ‘:’, ‘[]’, ‘?’) as synthetic notations. Whereas, DDC is synthetic in only limited parts of schedules and is less flexible than UDC which allows coordination of two independent subjects. Second, UDC<sub>s</sub> has the common auxiliaries which include language (T1c), form (T1d), place (T1e), ethnic grouping and nationality (T1f), time (T1g), specification by non-UDC notation (T1h)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1k). Whereas, DDC22 has six auxiliary tables such as standard subdivisions (T1), geographic areas (T2), subdivisions for specific literary forms (T3), subdivisions of individual languages (T4), ethnic and national groups (T5) and languages (T6). The function of each fair of T1-T1d, T2-T1e, T5-T1f and T6-T1c of both classification tables is identical. However, T3 and T4 of DDC22, and T1g, T1h and T1k of UDCs are unique. Third, the classification notation of UDCs adopts the decimal system like DDC22, but it also allows use the centesimal system when it requires. The expression of class or division in DDC is based on three digits, whereas UDC eliminate ‘0’ from the figures and repeatable the decimal point in every three figures. Fourth, the main class of DDC22 and UDCs are almost the same except the language class. UDC merged ‘language class’ and ‘literature class’ into one class as ‘language & literature’ so that the order of class has changed. UDCs emphasizes the international generality in religion, and language & literature classes, particularly. Also, UDCs simplified the tables using the common auxiliaries of place (T1e), language (T1c) and time (T1g).

      • KCI등재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지하연구시설에서의 굴착손상영역 평가

        이창수(Changsoo Lee),권상기(Sangki Kwon),최종원(Jong won Choi),전석원(Seokwon Jeon) 한국암반공학회 2011 터널과지하공간 Vol.21 No.5

        본 연구에서는 굴착 전·후에 채취한 암석시료들에 대해 물리적 역학적 그리고 열적 물성을 조사하여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KURT)의 건설로 인해 발생된 굴착손상영역(EDZ)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굴착손상영역에서 공극률은 약 140% 정도 증가하였고 탄성파속도 탄성계수 그리고 일축압축강도는 각각 약 11 37 그리고 16% 정도 감소하였다. 또한 굴착손상영역에서의 열전도도는 약 20% 정도 감소하였다. 암석물성변화를 이용하여 KURT 굴착손상영역의 범위를 판단한 결과 약 1.1-2.4 m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physical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rock samples were investigated to estimate the Excavation Damaged Zone (EDZ) develop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The average porosity in the EDZ was increased by about 140%. The average wave velocity Young's modulus and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in the EDZ were decreased by about 11 37 and 16% respectively.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in the EDZ was decreased by about 20%. From the laboratory tests the EDZ size could be estimated to be around 1.1-2.4 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