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후 혁명과 신명기사가

        이희학(Lee Hee-Ha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7 신학사상 Vol.0 No.136

          한때 경제적 번영과 문화적 개방성을 통해 외교정치 무대에서 화려한 성공을 거두었던 오므리 왕조가 아합의 아들 요람의 통치 기간에 이르러 처음으로 뚜렷하게 그 허점을 보이기 시작했다. 요람은 모압 지역을 상실하였고, 요단 동편 지역을 차지하려는 다메섹의 하사엘과의 치열한 전쟁을 감내해야만 했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 가운데 엘리사를 중심으로 한 예언자 그룹, 레갑 족속과 같은 보수적인 야웨 종교의 추종자들, 그리고 예후를 중심으로 한 군부 조직의 일부 세력 사이에 저항을 위한 연합 전선이 형성되었다. 왕하 9-10장은 신실한 야웨 종교 세력의 후원을 받은 예후가 요람과 이세벨과 오므리 왕조에 속한 모든 후손들을 몰살시키고, 사마리아에 있던 바알 신전과 제의 추종자들을 대량 학살하고, 이스라엘의 새로운 왕위에 오르게 된 과정을 보도하고 있다. 예후 혁명은 “야웨를 위한 열심”(왕하 10:16)으로 일어난 사건이며, 처음부터 종교적 합법성을 인정받은 쿠데타였다. 왕권의 적극적인 보호아래 이루어진 이교 제의의 유입과 확장에 자극을 받은 야웨 종교가 예후 혁명을 통해 강력한 비타협적인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예후 혁명은 이스라엘 역사에 깊은 흔적을 남겨놓았는데, 야웨 종교는 끊임없이 바알 종교로부터 자신을 분리시키고 단절시킬 때에만 “참된” 종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신학적 유산을 후대에 남겨준 것이다.   그러나 이스라엘 역사에서 “찬란하게 빛나는 보석”과도 같은 예후 혁명을 진술하고 있는 현재의 본문들은 오랫동안 주도면밀한 확대과정을 겪은 후에 탄생된 최종의 편집적 결과물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예후 혁명의 시작과 과정과 결과를 보도하고 있는 본문들을 하나의 문학적 단일체로 간주할 수 없음은 자명하다. 존재하던 옛 전승은 계속적인 성장과 기록을 경험하였던 것이다. 옛 전승이 신명기사가(DtrH)에 의해 현재의 위치로 들어오게 되고, 후에 최종 본문으로 확정되기 전까지 예후 혁명에 관한 이야기는 살아 꿈틀거리는 생명력을 소유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여러 가지의 다양한 역사 신학적 색깔을 동시에 비추고 있는 예후 혁명의 의미를 편집사적 관점에서 좀 더 깊이 있게 파악하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신명기사가(DtrH)의 편집 기술이 예후 혁명과 관련된 옛 전승에 어떻게 적용되었는가를 살펴보고, 후대에(DtrP) 신학적으로 확

      • KCI등재

        조기양막파수 산모에서 신생아의 예후 예측을 위한 인자

        조희영 ( Hee Young Cho ),박용원 ( Yong Won Park ),김영한 ( Young Han Kim ),임재학 ( Jae Hak Lim ),문여정 ( Yae Jung Mo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2

        목적: 조기양막파수 임산부에서 출생한 신생아의 예후와 그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16주에서 36주 사이에 조기양막파수가 동반되어 입원 치료한 단태아 임산부 217명과 이들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신생아의 예후를 위해 호흡 곤란 증후군, 뇌실 내 출혈, 신생아 괴사성 장염, 신생아 감염에 대한 조사를 하고 이들을 질병이 이환된 군과 질병이 이환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신생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았다. 통계 분석을 위해 Pearson`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Student t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군은 217명으로 대부분이 조기양막파수 후 48시간 내에 분만하였다. 조기양막파수가 된 시기의 산모의 나이, 신체 비만 지수, 분만력, 조기양막파수 기왕력, 조기 진통 기왕력, 조기 진통의 유무, 양수 지수, 자궁 수축 억제제,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의 사용, 혈색소, 백혈구, C 반응성 단백질, 조기양막파수 당시의 임신 주수, 조기양막파수 후 분만까지의 기간, 분만 당시의 주수, 태반의 병리소견 등이 신생아 예후와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 조기양막파수 당시의 임신 주수 (p<0.000), 조기양막파수 후 분만까지의 기간 (p<0.036), 분만 당시의 주수 (p<0.000)가 신생아 예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고, 양수과소증 (p<0.033), 백혈구 과다증 (p<0.010), C 반응성 단백질이 증가한 경우가 신생아 예후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5분 Apgar score (p<0.000) 및 출생 당시 몸무게 (p<0.000) 도 신생아의 이환률이 있는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 의하여 조기양막파수 산모에서 신생아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는 양막파수 당시의 임신 주수, 양막파수에서 분만까지의 기간, 분만 당시의 임신 주수를 들 수 있고, 분만전의 양수 과소증, 백혈구 과다증, C 반응성 단백질 양성이 있는 경우 신생아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신생아 출생 당시의 5분 Apgar score가 7점 미만인 경우 및 신생아 몸무게가 적을 경우도 출생 이후의 불량한 신생아 예후와 관련이 있었다. Objective: To study the neonatal outcomes of pregnancies complicated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the membranes (PPROM) and to assess the prognostic factors for poor neonatal outcome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f pregnancies registered and managed in Korea from Jan 1st, 2000 to Dec 31st, 2005. The 217 women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in singleton pregnancies from 16 to 36 gestational week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and neonatal infection for poor neonatal outcomes. Prognostic variables included for analysis were age, BMI, parity, history of PPROM, history of preterm labor, preterm labor, amniotic fluid index, tocolysis, antibiotics, antenatal steroid, hemoglobin, WBC, CRP, gestational age at PPROM, interval from PPROM to delivery, gestational age at delivery, placental findings, and etc.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developed neonatal morbidity (n=144) with those who did not (n=65) using the Student t test for continuous variables, and the Pearson`s chi-square or the Fisher exact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Results: Total of 217 cases of PPROM were registered and treated expectantly during the study period. The majority of cases were delivered within 48 hours of PPROM. There were 64 cases diagnosed with RDS, 21 with IVH, 3 with NEC, 117 with neonatal infection and 8 neonatal mortalities. The gestational age at PPROM (p<0.000), interval from PPROM to delivery (p<0.036), gestational age at delivery (p<0.000), decreased amniotic fluid index (p<0.048), and high level of WBC, CRP (p<0.010, p<0.049)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or neonatal outcomes. Birth weight (p<0.000) and APGAR (p<0.000) score at 5 minut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ases resulting in neonatal morbidity. Conclusion: Neonatal outcomes of pregnancie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re related to gestational age at PPROM, interval from PPROM to delivery, and gestational age at delivery. The decreased amniotic fluid index, and high level of WBC, CRP presented before delivery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or neonatal outcomes. Birth weight and APGAR scores at 5 minute are significantly lower in cases resulting in neonatal morbidity

      • 림프절 전이가 없는 진행성 위암의 예후 인자

        강상윤,김세원,송선교,김상운,Kang, Sang-Yoon,Kim, Se-Won,Song, Sun-Kyo,Kim, Sang-Woo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3

        목적: 진행성 위암환자의 예후인자에서 림프절 전이와 침윤깊이 등이 중요한 예후인자로 여겨지고 있지만, 림프절 전이가 없는 진행성 위암환자의 침윤깊이에 따른 예후인자에 관해서는 정립이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림프절 전이가 없는 진행성 위암 환자의 생존율에 관계된 예후 인자를 확인하고 침윤깊이에 따른 예후 인자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교실에서 진행성 위암으로 1990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수술 받은 1,761명 중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림프절 전이 및 원격전이가 없는 진행성 위암 환자 2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 성별, 종양의 위치, 종양의 크기, 종양의 위벽침윤도, 조직학적 분화도, 림프관 침윤, 신경침윤, 혈관 침윤 등을 토대로 생존율에 대한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침윤 깊이(T2, T3, T4)에 따라 대상 환자를 아그룹으로 분류하여 침윤 깊이에 따르는 예후인자를 조사 하였다. T4 군은 제한된 개체 수 때문에 분석에서 제외 시켰다. 결과: 생존율과 관계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예후 인자는 단변량 분석에서는 나이, 종양의 위벽침윤도, 조직학적 분화도, Borrmann 형, Lauren 분류이고 다변량 분석에서는 나이, 침윤도, Lauren 분류였다. 침윤 깊이에 따른 아그룹의 다변량 분석에서 의미있는 예후 인자는 T2 군에서는 나이와 Borrmann 형, Lauren 분류이며 T3 군에서는 나이와 Lauren 분류, 혈관 침윤이었다. 결론: 림프절 전이 없는 진행성 위암에서 나이와 Lauren 분류, 침윤 깊이가 생존율의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예후 인자라고 볼 수 있다. 단 T2 군에서는 Borrmann 형 또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로써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in gastric cancer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 and to specifiy which prognostic factors can be available in detail according to the depth of invas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based on the medial records of 268 gastric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resectional therapy from 1990 to 1999. The patients who revealed pT2NOMO, pT3NOMO, pT4NOMO on postoperative pathologic reports were enrolled. The survival rate was analyzed according to clinicopathologic and therapeutic factors. Results: According to the depth of invasio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pT2a, pT2b, pT3 and pT4 were 86 (32.1%), 56 (20.9%), 108 (40.3%), and 18 (6.7%) respectively. Age, depth of invasion, histological type, Borrmann type, and Lauren classifi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univariate analysis, and the age, the depth of invasion, and Lauren classification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identified by multivariate analysis. On multivariate analysis of subgroups according to the depth of invasion, th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were age, Borrmann type, and Lauren classification in pT2, and age, Lauren classification, and vascular invasion in pT3. The prognostic factors of pT4 patients could not be analyzed due to limited sample size. Conclus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 age, the depth of invasion, and Lauren classification should be checked to predict prognosis. In patients with pT2 lesion among the above patients, the Borrmann type should be added in check-list.

      • KCI등재

        전이성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와 예후 인자

        김정일(Jeung-Il Kim),유총일(Chong-Il Yoo),서정탁(Jeung-Tak Suh),서근택(Kuen-Tak Suh),김휘택(Hui-Taek Kim),문남훈(Nam-Hoon M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4

        목적: 저자들은 수술적 치료를 한 전이성 골종양 환자의 후향적 연구를 통하여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여 병적 골절이나 경막 외 침범들이 있는 환자와 같이 수술적 적응이 필요한 환자들을 선택할 수 있는 기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예후인자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1월부터 2003년 12월 사이에 걸쳐 수술적 치료를 받은 78예의 전이성 골종양 환자에 대해서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후 인자를 찾기 위해 Cox 비례위험모형과 Kaplan-Meier 생존곡선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 생존에 의미 있는 4가지 예후 인자로는 원발암의 종류, 내장기 또는 뇌로의 전이 유무, 다발성 전이 유무, 이전 항암치료의 유무이었다. 4가지 예후 인자 중 2가지 이상을 만족시킬 경우를 좋은 예후군으로 분류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를 나뿐 예후군으로 분류하였다. 좋은 예후군의 6개월 평균 생존율은 95%, 1년 생존율은 87%이었고 나쁜 예후군의 6개월 평균 생존율은 28%, 1년 평균 생존율은 13%였다. 결론: 골 전이 환자의 수술적 치료의 결정에 있어서 생존 가능기간이 짧은 환자에게는 보다 덜 침습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생존 기간이 길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에게는 적극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사지의 골 전이에서는 생존 가능 예상 기간이 최소한 2개월 이상, 척추의 전이의 경우는 3내지 6개월이라면 적극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골 전이 환자의 치료의 결정에 있어서 본 연구의 예후 예측인자를 고려하면 더욱 유용한 수술적 치료의 선택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tried to find out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treatment for some conditions that are indicated for surgery like pathological fractures or epidural comp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85 and 2003 we treated 78 patients with skeletal metastases. A multivariab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rates of survival were calculated by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s: We identified four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the site of the primary lesion, the presence of visceral or cerebral metastases, any previous chemotherapy and multiple skeletal metastases. With these factors, we could divide the patients into two prognostic groups: the good prognostic group satisfies more than two of the four significant factors and the poor prognostic group doesn't. For the good prognostic group, the average rates of survival at 6 months and a year were 95% and 28%, respectively, and those for the poor prognostic group were 28% (6 mo) and 13% (1 yr), respectively. Conclusion: Each patient's life expectancy should be considered when we decide the surgical method for treating metastatic bone tumor. Patients with a very short life expectancy should probably be treated with a less invasive method but patients with a long life expectancy require aggressive surgery. If the life expectancy is estimated to be at least more than 2 month and 3-6 months for bony metastases to the extremity and spine respectively, then an aggressive surgical method should be chosen. With these practical prognostic factors, the life expectancy may be predicted more accurately and so the optimal surgical treatment can be selected more appropriately.

      • KCI등재

        비소세포폐암에 발생한 악성 흉수의 예후 인자

        이헌재,임창영,이건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2

        배경: 비소세포폐암에 흔히 발생하는 악성 흉수는 환자의 예후에 나쁜 인자로 작용하여, 원격전이가 발생한 환자들과 비슷한 생존기간을 보인다. 비소세포폐암에 발생하는 악성 흉수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저자들은 악성 흉수가 발생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악성 흉수를 동반한 비소세포폐암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환자의 특성(성별, 연령), 폐암 조직형 및 병기, 흉수 천자액 검사(pH, CEA, LDH, glucose, albumin), 흉수 발견 후 치료 방법을 인자로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각 인자의 생존기간을 Kaplan-Meier법으로 구한 후, log-rank test를 통한 단변량분석으로 인자 각 군의 생존기간 차이를 비교하였고,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 예후 인자를 찾기 위해 다변량분석으로 Cox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33명의 폐암 조직형은 선암이 23명으로 가장 많았다. 폐암과 악성 흉수가 동시에 진단된 경우를 제외하면 폐암 진단 후 악성 흉수가 진단되기까지의 중앙값 기간은 7.3개월(25th∼75th: 3.9∼11.8)이었다. 환자의 중앙값 생존기간은 3.6개월(95% Confidence Interval: 1.14∼5.99)이었다. 단변량분석에선 폐암 조직형이 유의성은 떨어지나 생존기간에 차이를 보였다(선암 4.067 vs. 비선암 1.867 개월, p= 0.067). 교란변수의 영향을 제거한 다변량분석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비선암이 선암보다 사망위험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R.R 2.754, 95% CI 0.988∼7.672, p=0.053). 결론: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악성흉수가 발생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조직형에 따라 암사망 위험도에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관찰되어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진행성 소화기계 종양 환자에서 영양상태와 예후와의 관계

        최권 ( Kwon Choi ),김혜정 ( Hae Jeung Kim ),조현진 ( Hyun Jin Cho ),최영길 ( Young Ghil Choe ),이도영 ( Do Young Lee ),박성근 ( Sung Keun Park ),고영율 ( Young Lyul Koh ),오석중 ( Suk Joong Oh ),이승세 ( Seung Sei Lee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2

        목적: 정확한 생존일 예측은 환자, 보호자 그리고 의사에게 남아있는 시간에 할 일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하지만 진행성 암 환자에서 생존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려는 여러 시도들은 부정확한 예측으로 예측 능력이 낮아 좀더 정확한 예측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염증 영양 예후지표는 위독한 환자들에서 영양상태와 예후를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암 환자에서 적용하여 유용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는지 보았다.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성균관대학교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에서 조직학적 또는 방사선학적으로 소화기계 악성 종양으로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 단독 또는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후에 더 이상의 적극적 치료가 불가능한 진행성 전이성 암 환자로 대상 선정 시에 18세 이상이며 ECOG 수행상태 1~3으로 검사에 동의한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염증 영양 예후지표는 급성 반응 물질인 알파 1-산 당단백질과 C-반응단백과 두 가지 내장단백인 알부민과 프리알부민 값을 이용하여 염증 영양 예후지표를 산정하여 생존일과 수행상태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연령의 중앙값이 57세였다. 염증 영양 예후지표는 ECOG 수행상태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사후 검정을 시행했을 때 수행상태 3군 평균값은 1군과 2군 평균값보다 의미있게 높았고, 2군도 1군 보다 의미있게 높았다(p<0.05). 생존일도 수행상태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사후 검정에서 각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염증 영양 예후지표는 생존 일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사후 검정을 시행했을 때 생존일 1군(≤30일)이 2군(31~180일) 및 3군 (≥181일)보다 의미있게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p<0.05). 생존일은 ECOG 수행상태와 음의 상관관계가 가장 컸으며(r=-0.602, p<0.001), 염증예후지표와의 상관관계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318, p<0.001). 결론: 염증 영양 예후지표 값이 진행성 소화기계 종양 환자에서 ECOG 수행상태가 나쁠수록 유의하게 상승함을 알 수 있었고, 영양상태의 판정에 독립적 변수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생존일 예측에도 유용한 지표임이 증명되었다. 알부민은 다른 영양인자 보다 영양 상태 판정에 유용한 지표임이 증명되었으며, C-반응단백은 독립된 영양지표 및 예후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 Background: Depletion of nutritional reserves and significant weight loss can lead to an increased risk of morbidity, reduced chemotherapy response, and shorter survival in patients with cancer. Numerous methodologies are used for the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However, it remains unclear which of these tools is the most appropriate in the setting of cancer chemotherapy. The PINI (prognostic inflammatory nutritional index) is a simple scoring system that has been used to evaluate nutritional status and prognosis in critically ill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status after the palliative chemotherapy and prognosis in advanced metastatic cancer.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30 patients with ECOG PS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1~3 in advanced metastatic cancer following the palliative chemotherapy. ECOG PS, body mass index, alpha 1-acid glycoprotein, C-reactive protein, albumin, prealbumin, transferrin, protein, lactate dehydrogenase, PINI ratio, and survival time were evaluated. Results: In 130 patients, the median age was 57 years. The ECOG PS was 1 68 patients, 2 43, 3 19. The mean value of PINI was PS 1 16.0±47.8, PS 2 55.6±106.9, PS 3 106.3±141.6. The mean survival was PS 1 144.0±71.8, PS 2 68.9±41.2, PS 3 32.0±6.9 days. In the PS 3 group, the mean values of alpha 1-acid glycoprotein, C-reactive protein, and lactate dehydrogen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PS 1 group. In the PS 3 group, the mean values of albumin, prealbumin, and transferri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PS 1 group. The survival time was correlated with the ECOG PS (r=-0.602, p<0.001,), PINI (r=-0.318, p<0.001,), alpha 1-acid glycoprotein (r=-0.265, p=0.002), C-reactive protein (r=-0.345, p<0.001), albumin (r=0.324, p<0.001), prealbumin (r=0.260, p=0.003) and transferrin (r=0.277, p=0.001). Conclusions: The PINI may be a useful scoring system for the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and prognosis in advanced metastatic cancer following palliative chemotherapy, but the ECOG PS is most strong correlation with the survival time.(Korean J Med 71:132-140, 2006)

      • KCI등재
      • KCI등재

        황색인대 골화증에 의한 흉추부 척수증의 수술적 치료 후 임상적 결과와 예후 인자 분석

        김환정,송대건,박건영,구제윤,권원조,박경훈,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analyzed the clinical results of thoracic myelopathy caused by ossification of yellow ligament (OYL) and to exploreprognostic factors after surgical treatmen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oracic myelopathy due to OYL is difficult to treat; surgery is considered as treatment of choice. However, studies of the clinical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are few due to its rare presenta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six patients who had surgery for thoracic myelopathy caused by OYL were evaluated from February2002 to April 2012. We describe the analysis of the clinical results after surgery and prognostic factors. Results: Modified Japanese orthopedic association (JOA) score was recorded in all patients by 5.7±1.3 points (range, 2-9 points)preoperatively, 7.8±1.7 points (range, 4-10 points) postoperatively, and 8.4±2.1 points (range, 5-11 points) at final follow-up. Hirabayashirecovery rate was recorded by 60.2±20.2% (range, 45.5-72.0%) postoperatively, 64.5±17.3% (range, 50.2-75.1%) at final follow-up.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was also improved by 7.6±1.8 points (range, 7-10 points) preoperatively, 4.5±1.3 points (range,3-6 points) postoperatively, and 3.8±1.6 points (range, 2-5 points) at final follow-up. Both modified JOA score and VAS score improvedsignificantly (p<0.05). In prognostic factor analysis, OYL type on CT axial image, duration of symptom, and preoperative severity ofmyelopathy was significant (p<0.05). Conclusion: We showed the effectiveness of surgery on patients who suffer from thoracic myelopathy caused by OYL and that OYL typeidentified by CT axial image, duration of symptom, and preoperative severity of myelopathy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Key Words: Ossification of yellow ligament, Thoracic myelopathy, Clinical result, Prognostic factor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황색인대 골화증에 의한 흉추부 척수증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후 임상적 결과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예후 인자를 탐색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황색 인대 골화증으로 인한 흉추부 척수증은 수술적 치료가 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치료가 쉽지 않으며 질환의 낮은 빈도로인하여 수술적 결과 및 예후 인자에 대한 연구는 흔치 않은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2월부터 2012년 4월까지 본원에서 황색인대 골화증으로 인한 흉추부 척수증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최소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적 치료 후 임상 결과(신경학적 상태, 통증)를 기술 하고 예상되는 예후 인자(자기 공명 영상 촬영 상에서 신호 강도 변화 여부, 수술 방법, 나이, 병변의 위치, 자기 공명 영상 촬영 시상면에서 병변의 형태, 컴퓨터 단층 촬영 축상면에서 병변의 형태, 수술 전 증상의 지속기간, 수술 전 증상의 심한 정도)를 설정하여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에서 modified JOA score는 수술 전 평균 5.7±1.3점(2-9점), 수술 직후 평균 7.8±1.7점(4-10점), 최종 추시 평균 8.4±2.1점(5-11점)으로측정되었고, Hirabayashi recovery rate는 수술 직후 평균 60.2±20.2%(45.5-72.0%), 최종 추시 평균 64.5±17.3%(50.2-75.1%)로 측정되어 수술 후 신경학적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VAS score는 수술 전 평균 7.6±1.8점(7-10점)이었고 수술 직후 평균 4.5±1.3점(3-6점), 최종 추시 평균 3.8±1.6점(2-5점)으로 호전되었다. Modified JOA score와 VAS score 모두 수술 후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호전되었다(p<0.05). 수술 후 결과에 영향을 미친 예후 인자는 CT 축상면에서 병변의 형태, 수술 전 증상의 지속 기간, 수술 전 신경학적 증상의 심한 정도 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p<0.05). 결론: 황색인대 골화증에 의한 흉추부 척수증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의 효용성을 입증할 수 있었고, CT 축상면에서 병변의 형태, 수술 전 증상의 지속 기간 및 수술 전 증상의 심한 정도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조기에 병변을 진단하고 수술적 치료를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예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 단어: 황색인대 골화증, 흉추부 척수증, 임상적 결과, 예후 인자약칭 제목: 황색인대 골화증으로 인한 흉추부 척수증 환자에서 임상 결과와 예후 인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