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반정맥을 정맥유출로 이용한 인조혈관 동정맥루 조성술

        이건,이헌재,임창영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1

        Background: Arteriovenous fistula formation is not always easy to perform in hemodialysis patients because of poor preservation of veins due to repeated venipuncture and cannulation. We analyzed the patency rate and complications of prosthetic arteriovenous fistulas using the vena comitantes as a venous outflow in the antecubital fossa, which are protected from venipuncture. Material and Method: Between January 2006 and June 2008, 12 patients underwent prosthetic arteriovenous fistula formation using the vena comitantes as a venous outflow. Arterial inflow was via the brachial artery and the graft was placed in a loop fashion. The male-to-female ratio was 7:5 and the mean age was 59±14 years. Six patients had diabetes mellitus and 10 patients had hypertension. Result: There were no complications, such as a graft infection or bleeding. Five patients showed postoperative stenosis at an average of 3 months. The primary patency rate was 75.0, 65.6, and 52.2% at 3, 6, and 12 months, respectively. All the patients with stenosis were able to continue hemodialysis after intervention therapy. The secondary patency rate was 100% at 12 months. Conclusion: Creation of a prosthetic arteriovenous fistula using uninjured vena comitantes resulted in a good patency rate and this vein may become a substitute for inappropriate superficial veins. 배경: 혈액투석을 하는 만성신부전 환자는 반복된 혈관천자로 인해 정맥의 보존상태가 좋지 않아서 동정맥루 조성술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에 저자는 혈관천자 등으로부터 보호된 상완동맥 주위의 동반정맥(vena comitantes)을 정맥측 문합으로 이용하여 인조혈관 동정맥루 조성술을 시행하였고 이의 개존율, 합병증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전주주름 부위의 표재정맥의 보존상태가 불량하여 심부정맥인 동반정맥을 정맥 유출로로 이용하여 수술한 12예의 인조혈관 동정맥루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분석을 시행하였다. 동맥측 문합은 상완동맥에 단측문합하였으며 루프형태로 수술하였다. 대상환자의 남녀비는 7:5이고 평균연령을 59±17세이며 당뇨병을 동반한 경우가 6예, 고혈압을 동반한 경우가 10예였다. 결과: 수술 후 감염이나 출혈 등의 합병증은 없었고 5명의 환자에서 술 후 평균 3개월에 협착의 소견을 보였다. 3, 6, 12개월의 일차 개통율은 각각 75.0%, 65.6%, 52.5%였다. 협착이 있었던 환자들도 중재적 시술 후 혈류가 개선되어 현재까지 혈액투석이 가능하였고 12개월의 이차 개통율은 100%였다. 결론: 인조혈관을 이용한 동정맥루 조성술시 정맥천자 등에 의해 손상되지 않은 동반정맥을 이용하여 정맥문합 하면 비교적 양호한 개통율을 보이므로 표재정맥이 적당치 않은 경우 대체혈관으로 사용해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대퇴동맥 폐색증에서 대퇴동맥-슬와동맥 우회술과대퇴동맥 스텐트 삽입술의 비교

        이건,임창영,김만득,이헌재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1

        Background: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atency and complications of femoropopliteal bypass with superficial femoral artery stenting for patients with atherosclerotic superficial femoral artery occlusive disease. Material and Method: Between July 2005 and July 2008, we reviewed 29 femoropopliteal bypass procedures (24 patients) with prosthetic grafts (the bypass group) and 19 superficial femoral artery stentings (15 patients) with nitinol stent (the stent group). There were 35 male patients (89.7%) and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9.2 years (range: 48∼84). The number of patients who had DM, hypertension and a smoking history was 25 patients (64.1%), 17 patients (43.6%) and 30 patients (76.9%), respectively. 23 (59.0%) patients had skin ulceration or tissue gangrene at admission. Result: There were 27 cases (93.0%) of TASC C&D lesion in the bypass group and 16 cases (84.2%) of TASC A&B lesion in the stent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indications for a procedure between the two groups (p<0.01). The primary patency rates at 6 months, 12 months and 24 months were 91.9%, 79.7% and 79.7% for the bypass group and 93.3%, 86.2% and 86.2% for the stent group, respectively.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48).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utcome between two groups. TASC C&D lesion and failed intervention therapy should be treated with femoropopliteal bypass surgery, and TASC A&B lesion and the high-risk patients should be treated with femoral artery stent insertion. 배경: 동맥경화에 의한 표재성 대퇴동맥의 치료방법 중에서 인조혈관을 이용한 대퇴동맥-슬와동맥 우회술과 대퇴동맥내 스텐트 삽입술의 개존율과 합병증 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7월 부터 2008년 7월까지 24명의 환자에서 29예의 인조혈관을 이용한 대퇴동맥-슬와동맥 우회술(우회술군)과 15명의 환자에서 19예의 대퇴동맥 스텐트 삽입술(스텐트군)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전체환자 중 남자가 35명으로 89.7%를 차지하였고, 평균 연령은 69.2세(48세부터 84세까지)였다. 당뇨병, 고혈압, 흡연력은 각각 21명(53.8%), 16명(41.0%), 25명(64.1%)이었다. 내원 당시 피부 궤양이나 조직의 괴사가 있었던 경우는 23예(59.0%)였다. 결과: 우회술군은 TASC C와D의 병변이 27예로 93%였고, 스텐트군은 TASC A와 B의 병변이 16예로 84.2%였으며 각 치료방법의 적응증에 차이가 있었다(p<0.01). 우회술군의 6개월, 12개월, 24개월의 일차개존율은 91.9%, 79.7%, 79.7%였고, 스텐트군의 6개월, 12개월, 24개월의 일차개존율은 93.3%, 86.2%, 86.2%였으며 양 치료방법 간에 개존율의 차이는 없었다(p=0.48). 결론: 두 치료방법간에 성적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스텐트 시술에 실패한 경우나 TASC C와 D의 병변은 대퇴동맥-슬와동맥 우회술을, 고위험군의 환자나 TASC A와 B의 병변은 대퇴동맥 스텐트 시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겠다.

      • KCI등재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한 흉부대동맥의 직경

        이건,임창영,이헌재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1

        Background: Background: Computed tomography (CT) is the main tool for detecting abnormalities of the thoracic aorta, but conventional CT only shows the cross-sectional images. These CT images have some limitations fo accuratly measuring the thoracic aortic diameters at various levels.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overcomes these limitations. We measured the thoracic aortic diameter perpendicular to the loop-shaped thoracic aortic course and this was studied in relation to age, gender, height, weight, the body surface area, the body mass index and the presence of hypertension. Material and Method: Thirty hundred thirty one patients (males: 141 patients and females: 190 patients) who had no abnormalities of the thoracic aorta were investigated using MDCT aortography.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age categories: 20∼39 years old, 40∼59 years old and over age 60. The image was reformed with multiplanar reconstruction and the diameter of the aorta was measured perpendicular to the aortic course at 5 anatomic segments. Level A was the mid-ascending aorta, level B was the distal ascending aorta, level C was the aortic arch, level D was the aortic isthmus and level E was the mid-descending aorta. Result: The mean age was 49.5 years old for males and 54.9 years old for females (p<0.05). The mean diameter of the thoracic aorta at level A was 31.1 mm, that at level B was 30.2 mm, that at level C was 26.5 mm, that at level D was 24.0 mm and that at level E was 22.6 mm. The diameters at all the levels were gradually increased with age. Hypertensive patients had larger diameters than did the non-hypertensive popula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scending aortic diameter (levels A&B) and height and the body surface area,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at the aortic arch (level C) and the descending aorta (levels D&E).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the weight and body mass index at all levels. Conclusion: The diameters of the thoracic aortas were directly correlated with gender, age and hypertension. Height and the body surface area were only correlated with the ascending aorta. Weight and the body mass index have no statistical difference at all levels. We measured the age related thoracic aortic diameters and the upper normal limits and we provide this data as reference values for the thoracic aortic diameter in the Korean population. 배경: 전산화 단층촬영은 흉부대동맥의 이상소견을 진단하는데 매우 중요한 수단이다. 그러나 재래의 전산화 단층좔영은 단면적인 영상만을 볼 수 있어 여러 부위의 대동맥 직경을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촬영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진단기기로 이를 이용하여 곡선으로 된 흉부대동맥의 직경을 주행방향과 직각으로 측정하여 연령, 성별, 키와 몸무게, 체표면적과 체질량지수, 고혈압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다중검출 전산화 단층촬영 장비를 이용하여 대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환자 중 특별한 대동맥 질환이 없는 것으로 판독된 환자 3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가 141명이고 여자가 190명이었다. 이들을 연령별로 20∼39세, 40∼59세, 60세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대동맥의 직경은 다면상으로 재구성한 단면에서 대동맥 주행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측정하였으며 상행대동맥의 중간(level A), 원위부 상행대동맥(level B), 대동맥궁(level C), 대동맥 협부(level D), 하행대동맥의 중간(level E)의 다섯 군데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환자의 평균연령은 남자가 49.5세이고 여자가 54.9세였다. 대동맥의 평균직경은 level A가 31.1 mm, level B가30.2 mm, level C가 26.5 mm, level D가 24.0 mm, level E가 22.6 mm였다. 대동맥의 직경은 나이에 비례해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고혈압 환자가 정상인보다 대동맥의 직경이 크게 나타났다. 키와 체표면적에 따른 차이는 상행대동맥에서 유의하게 나타났고 대동맥궁과 하행대동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모든 부위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흉부대동맥의 직경은 성별과 나이, 고혈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키와 체표면적은 상행대동맥에만 차이를 보였고 하행대동맥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모든 부위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이 없는 정상인에서 연령별 대동맥 직경의 표준값과 정상한계값을 측정하였고 이를 한국인의 흉부대동맥 직경의 참고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토양에서 분리한 Phenol 분해세균의 수치분류

        이건,이상준,이종근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1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19 No.6

        토양에서 phenol 분해균주를 65주 분리, 동정하였다. 균주의 형태, 생화학 및 생리학적 형질특성 46항목을 parameter로 하여 simple matching(S_SM)지수 산출방법으로 유사도지수를 구하고, 비가중평균결합법(unweight pair group method with arithmethic average)으로 dendrogram을 작성하였다. 분리균주는 70% 유사도에서 3개의 major cluster와 3개의 minor cluster로 분류되었으며, 우점종으로는 Azotobacter, Peudomonas 및 Flavobacterium속으로 나타났다. Sixty five phenol degrad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soil and identified. Simility value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otal 46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d strains. 65 isolates were divided into 6 clusters at the 70% simility lavel. The dominant organisms were belonged to Azotobacter, Pseudomonas and Flavobacterium.

      • KCI등재

        에르고타민으로 인한 혈관경축

        이건,임창영,이헌재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3

        Drugs containing ergotamine are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migraine. Spastic vasoconstriction is one of the most serious side effects even with recommended dosage. We report a case of 63-year-old male with severe arterial occlusion of the upper limbs which might be related with vasospasm caused by ergotamine-containing medication because of migraine for 15 years. He was treated with bypass graft, sympathicotomy and heparin and prostaglandin E1 infusion. But dramatic clinical reversal of the vasospasm was obtained after withdrawal of ergotamine. 에르고타민이 포함된 약물은 편두통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경련성의 혈관수축은 가장 심각한 약물 부작용 중의 하나로 이는 허용된 약물 투여량의 복용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저자는 15년간 편두통으로 인해 꾸준히 에르고타민이 포함된 약물을 복용한 과거력이 있는 63세 남자환자에 나타난 혈관경축에 의한 상지의 심한 허혈상태를 인조혈관 우회로 이식술, 교감신경 차단술, 그리고 헤파린과 프로스타글란딘 E1으로 치료하였으나 결국 에르고타민이 포함된 약물을 중단하고서야 극적인 임상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SCOPUSKCI등재

        변형적 Carpentier 방법에 의한 Ebstein 기형의 수술적 교정 -1 례 보고-

        이건,김웅한,이창하,나찬영,정윤섭,정도현,김수철,이영탁,김종환,홍승록,박영관,Lee, Gun,Kim, Woong-Han,Lee, Chang-Ha,Na, Chan-Young,Jeong, Yoon-Seop,Jeong, Do-Hyun,Kim, Soo-Cheol,Lee, Young-Tak,Kim, Chong-Whan,Kim, Sung-Nok,Park, Young-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2

        Ebstein 기형은 복잡 심기형중 하나로 치료 또한 비정상적인 삼첨판막의 교정 또는 판막치환 등으로 방법이 다양하다. 이질환의 병리소견은 삼첨판의 중격엽과 후엽이 하방전위되어서 심방화된 심실을 형성하는 것으로 수술적 목표는 삼첨판의 기능이상을 교정하고 심방화된 우심실을 주름성형하는 것이다. 본원에서는 매우 심한 삼첨판막 폐쇄 부전증이 동반된 Carpentier type A의 Ebstein기형으로 진단된 12개월된 여아에 대해 심방화된 우심실을 수직방향으로 주름성형하고 판막을 새로이 형성된 판륜에 재부착시키는 이른바 변형적 Carpentier방법으로 성공적으로 수술하였다. 수술후 환아는 심장의 크기가 매우 줄어들었고 심초음파상 미미한 정도의 삼첨판 폐쇄부전증만 남아 술후 14일째 퇴원하였다. Ebstein's anomaly is a complex malformation that can be treated by various surgical techniques, either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abnormal tricuspid valve, with variable results. The essence of the malformation is the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septal and posterior leaflets into the ventricle,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an atrialized portion of the right ventricle. The aim of surgical repair is to correct the tricuspid valve dysfunction and to plicate the atrialized portion of the right ventricle A 12-months old female was admitted with the diagnosis of Carpentier type A of Ebstein's anomaly with severe tricuspid regurgitation. She successfully underwent operation with vertical plication of right ventricle and reimplantation of tricuspid leaflets. Postoperatively cardiac size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tricuspid regurgitation was trivial in echocardiography. She was diacharged the 14th postoperative day.

      • SCOPUSKCI등재

        한국인의 연령별 기관 내경 및 단면적 분포에 대한 분석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측정-

        이건,김대식,문승철,구원모,양진영,이헌재,임창영,한헌,김광호,선경,Lee, Gun,Kim, Dae-Sik,Moon, Seung-Chul,Koo, Won-Mo,Yang, Jin-Young,Lee, Hyeon-Jae,Lim, Chang-Young,Han, Hyeon,Kim, Kwang-Ho,Sun, Kyung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5

        서론: 성장기에서 기관의 성장양상에 관한 이해는 수많은 기관질병의 관리나 선천성 기관협착증에서 기관 성형술 등에서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된다. 그러나 이에 관한 국내의 연구례가 거의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 소아에서 기관의 내경과 단면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기관질환의 치료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5월부터 1998년 8월까지 흉부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한 0세부터 20세까지 1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기관의 내경이나 단면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관질환, 과거에 개흉술을 받은 경우, 종격동 종양, 폐쇄성 폐질환이 있는 경우는 본 연구에서 제외시켰다. 남자가 69명, 여자가 37명이었으며 기관의 종단내경과 횡단내경은 흉부유입부와 대동맥궁 부위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기관의 형태는 각 부위의 단면에서 원형, 타원형, 말발굽형으로 구분하였으며 단면적은 A = 1/4$\pi$ab (A: 단면적, $\pi$: 3.14, a: 종단내경, b: 횡단내경)의 공식으로 계산하여 각 부위의 내경과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단면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처리에서 p값이 0.05이하일 때 통계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과: 5세이하에서는 level I과 II 모두에서 기관의 형태가 원형을 이루고 있었으며 두 부위간의 단면적의 차이는 없었다. 성장함에 따라 level I의 형태는 타원형으로 변해가는 반면 level II에서는 그대로 원형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level I의 단면적이 level II 보다 크다(p=0.020). 기관의 내경과 단면적은 성장함에 따라 직선관계로 증가한다는 것이 확인되었고(r>0.9), 5세이하의 소아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기관의 단면적이 크고 (p=0.020) 15세가 넘으면 반대로 남자가 더 크다 (p=0.002).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흉부전산화 단층촬영은 기관의 내경과 단면적을 측정하는데 있어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이며 성장기의 한국인에서 기관의 내경과 단면적에 대한 지표가 되고자 한다. Introduction: Understanding the normal distribution of the tracheal diameter and crross- sectional area is one of the key elements in the management of various tracheal pathologies or tracheal reconstruction for the patients in growing age. However, data for Korean standard has been lacking.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retrospectively the distribution of tracheal diameter and cross-sectional area in young Koreans, which can afford fundamental data for the management of tracheal diseases. Material and Method: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computerized tomogram of the chest between May 1996 and August 1998, one hundred six young patients(age range: 0-20 years) were included. Patients with any conditions which might affect the tracheal cross-sectional area or diameter, such as tracheal disease, previous operation, mediastinal tumor, or obstructive lung disease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Gender distribution was 69 males and 37 females. Tracheal diameters, anterior-posterior and transverse, were measured at the level of the thoracic inlet(level I) and the aortic arch(level II). Types of the trachea were divided into round, oval, or horseshoe shaped on cross-sectional view, and the dimension was calculated by using the equation of A=1/4$\pi$ab(A; area, $\pi$; 3.14, a; anterior-posterior diameter, b; transverse diameter).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the diameter at each level and compared the cross-sectional area with respect to age and gender. A p-value lower than 0.05 wa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 The trachea of patients less than 5 years old were round in shape at both of level I and II, and no differences in cross-sectional area was observed between the levels(p=NS). As the age increased, the trachea become oval in shape at level I while it remained round in shape at level II(p=0.020). The tracheal diameter and cross-sectional area increased as the age increased with a linear correlation(r>0.9). In patients less than 5 years of age, female patients showed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male patients (p=0.020), and it was reversed in patients older than 15 years of age(p=0.002). Conclusion: From the above results, we suggest chest computerized tomogram as a safe and reliable tool in measuring the tracheal diameter and cross-sectional area. We also provide the data as a standard for distribution of the tracheal diameter and cross-sectional area in young Korean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