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호수저질의 영양염 용출에 관한 실내실험적 연구

        김용환 경산대학교(대구한의과대학) 1998 環境硏究 Vol.3 No.1

        인공호수내에 있어서 영양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저질에서의 영양염의 용출영향을 보면, 수온에 따른 저질에서의 영양염 용출실험의 결과, 혐기성 상태에서 영양염 용출은 10℃, 20℃, 30℃로 변화시켰을 때, 각각 TIN은 2.70, 3.31, 3.78g/㎡/d로 용출되었고, T-P의 용출량은 0.61, 0.74, 0.76 g/㎡/d였으며, 수온이 높을수록 용출량이 높게 나타나 온도의 의존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pH에 따른 저질에서의 영양염 용출실험을 한 결과, 혐기성 상태조건에서 PO₄-P의 용출은 pH가 높을수록 비례적으로 용출량이 많았으나 TIN의 경우는 pH의 의존성이 인의 경우보다 낮게 나타났다. DO에 따른 용출량 변화는, 호기계에서 보다 혐기계인 상태에서 용출이 많이 일어나고 있으며, 호기계에서 용출이 적은 이유는 DO가 저층에 있는 저질에서의 영양염 용출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했기 때문이이라고 판단된다. In generally, nutrient release experimental method practiced in Artificial lake sediment was used to laboratory core method. Results show that TIN release rates were 2.70. 3.31, 3.78 g/㎡/d, and those of T-P were 0.61, 0.74, 0.76 g/㎡/d at the 10℃, 20℃, 30℃. respectively, indicating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nutrient release in the sediments, It can also be shown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that the release rate PO₄-P increases with increasing pH while that of TIN is not so much affected by the pH, and the nutrient release is more active in anaerobic condition than in aerobic condition indicating that DO suppresses the nutrient release in the lake sediments.

      • KCI등재

        목포항 주변 하구역의 영양염 수지

        김영태,최윤석,조윤식,오현택,전승렬,최용현,한형균,Kim, Yeong-Tae,Choi, Yoon-Seok,Cho, Yoon-Sik,Oh, Hyun-Taik,Jeon, Seung-Ryul,Choi, Yong Hyeon,Han, Hyoung-Kyu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2 No.6

        LOICZ(Land-Ocean Interactions in the Coastal Zone) 모델을 이용하여, 목포항 주변의 하구역(영산호 하구역, 영암호-금호호 하구역)에서 일어나는 생지화학적인 순환 과정을 이해하고자 계절별 영양염 수지를 산정하였다. 비성층화 시기인 2008년 5월, 9월, 11월에는 simple three-box model을 적용하였고, 성층이 발생했던 7월에는 two-layer box model을 적용하였다. 물질 수지를 산정한 결과, 5월과 7월에 외해역으로부터 영양염이 역유입되었고, 외해수와의 혼합에 의한 교환($V_{X-3}$, 또는 $V_{deep}$)을 통해 하구역으로 유입되는 영양염(DIP) 부하량이 인공 호수의 대규모 방류 영향을 받은 육상기인 유입량보다 더 많았다. 그리고 9월 물질 수지 결과에서는 하구역과 외해역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하구역 입구(sub-region III)에서 영양염의 과잉 적체가 발생되었다. 저수온기(11월)에 인공 호수(영산호)의 방류 영향이 없는 하구역에서는 영양염이 제거되었고, 담수 방류(영암호-금호호)의 영향을 받은 하구역에서는 수주 내 영양염이 축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목포항 주변 하구역으로 유입되는 영양염들이 육상에서 기인할 뿐만 아니라, 외해역 그리고 하구역 내에서도 추가 공급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목포항 주변 하구역의 수질 관리를 위해서는 담수를 통한 육상기인 영양염 부하량을 저감하는 방안과 함께, 주변 해안으로의 영양염 유입도 저감하기 위한 통합 환경관리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Land-Ocean Interactions in the Coastal Zone (LOICZ) models for nutrient budgets were used to estimate the seasonal capacity of the Youngsan Estuary and Youngam-Geumho Estuary to sink and/or supply nutrients such as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and nitrogen (DIN)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 of the coupled biogeochemical cycles of phosphorus and nitrogen in the estuaries (Youngsan Estuary, Youngam-Geumho Estuary) near Mokpo Harbor. During non-stratified periods (May, September, and November, 2008), simple three-box models were applied in each sub-region of the system, while a two-layer box model was applied during on-site observation of stratification development (July, 2008). The resulting mass-balance calculation indicated that even after large discharges from artificial lakes (in May and July), DIP influxes due to a mixing exchange ($V_{X-3}$, or $V_{deep}$) were more than terrigenous loads, indicating the backward transportation of nutrients from a marine source. The model results also indicated that for nutrient loads (DIP and DIN fluxes) in September, an extreme congestion of nutrients occurred around the mouths (sub-region III of the model) of the estuaries, possibly due to an imbalance in physical circulations between the estuaries and offshore locations. In November, the Youngam-Geumho Estuary, into which freshwater was discharged from artificial lakes (Youngam and Geumho Lake), showed nutrient enrichment in the water column, but the Youngsan Estuary showed nutrient depletion. In conclusion, to efficiently control water quality in the estuaries near Mokpo Harbor,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I.e., the reduction of nutrient loads from land basins as well as the deposit of nutrient loads into adjacent coastal lines.

      • KCI등재

        메조코즘 실험을 통한 진우도 갈대군락의 영양염 물질수지 산정

        류성훈,이인철 해양환경안전학회 2018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4 No.5

        본 연구에서는 갈대군락의 영양염 물질수지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갈대군락 Mesocosm 실험을 통해 수층-갈대(뿌리, 잎, 줄기)-토양의 영양염(DIN, DIP) 농도의 춘계 및 하계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물질수지를 산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갈대의 생체량은 춘계에는 지하경이 지상경에 비해 약 6.3~9.7% 높으며, 하계에는 지상경이 지하경에 비해 약 19.2~21.2% 높게 나타났으며, 갈대의 성장속도는 Mesocosm Tank A가 Mesocosm Tank D에 비해 지상경과 지하경 모두 2~3배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2) Mesocosm Tank에서의 갈대의 영양염(DIN, DIP) 농도는 춘계와 하계 모두 각각 2~3%로 차이가 적었다. 3) Mesocosm Tank별 생체량의 차이는 최대 23%로 나타나지만, 갈대가 흡수하는 영양염의 농도는 최대 3% 정도로 차이가 적었다.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mesocosm experiment to estimate the mass balance of Nutrients (DIN, DIP) in a phragmites australis community. We developed 4 mesocosm tanks which is available to circulate seawater with adjustable tide levels and flooding times. Each of the mesocosm tanks were filled with phragmites australis and sediment from Jinudo in Nakdong Estuary. We investigated DIN, DIP concentrations in three layers (seawater-phragmites australis-sediment) to estimate the mass balance of Nutrients and biomass. Growth rates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spring, rhizome biomass was higher than that of aerial stem by about 6.3~9.7%. In summer, aerial stem biomass was higher than that of rhizome about 19.2~21.2 %. 2) Th Growth rate of phragmites in Mesocosm Tank A was faster than in Mesocosm Tank D by about 2 to 3 times for aerial stem and rhizome. 3)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DIN, DIP) in each mesocosm Tank showed 2~3 % variance in spring and summer. 4) The biomass in each mesocosm varied by about 23 % which wa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variance for each mesocosm tanks.

      • KCI등재

        2013∼2017년 동해 연안의 해양환경과 영양염의 시간적 변동 : 속초, 죽변, 감포 연안

        권기영,심정희,심정민 해양환경안전학회 201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5 No.4

        To investigate the long-term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in the east coast of Korea, 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and nutrients were measured at three stations of Sokcho, Jukbyeon and Gampo coasts for five years from 2013 to 2017. For five years,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East Sea coast was in the range of 1.2∼28.8℃, the salinity was in the range of 30.63∼34.79 and the dissolved oxygen (DO) was in the range of 3.53∼7.64mL/L.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the water environment factors in the study area were determined by the vertical stratification of water column and distribution of water temperature. The high DO concentration in Sokcho coast From 2015 to August 2016 is presumed to be the result of the southward inflow of North Korean Cold Water (NKCW). Concentrations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NH₄-N+NO₂-N+NO₃-N) ranged 0.11∼24.19μM, phosphate concentration ranged 0.01∼1.75μM, and silicate ranged 0.17∼32.80μM. The N:P ratio was in the range of 0.7∼54.3 (mean 15.2) and the N:P slope was in the range of 11.67∼13.75. The N:P ratios in this study were lower than the Redfield ratio(16), indicating that nitrate did act as a limiting factor in phytoplankton growth. The correlation (R²) of total N:P ratio was as high as 0.95, indicating that the effect of the surrounding land or non-point sources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nutrients in the east coast of Korea was determined by the vertical mixing of water mass with thermocline and mainly affected by physical factors such as influx of external water masses and coastal upwelling, and the influences from inflows from the land were minimal. 동해 연안의 영양염의 장기간 변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격월별로 속초, 죽변, 감포 연안의 3개 정점에서 수온, 염분, 용존산소, 영양염을 조사하였다. 5년 동안 동해연안에서 수온은 1.2∼28.8℃, 염분은 30.63∼34.79, 용존산소는 3.53∼7.64mL/L의 범위였으며 수온의 연직분포 변동에 따라 환경요인들의 분포와 변동이 결정되고 있었고, 북한한류수의 남하 유입에 의해 2015년과 2016년에 속초연안에서 용존산소가 높게 나타났다. 용존무기질소(DIN, NH₄-N+NO₂-N+NO₃-N)의 농도는 0.11∼24.19μM, 인산 인의 농도는 0.01∼1.75μM, 규산 규소의 농도는 0.17∼32.80μM의 범위 내에서 변동하였다. 동해연안의 N:P 비는 0.7∼54.3(평균 15.2), N:P 기울기는 해역별로 11.67∼13.75의 범위로, Redfield 비(16)보다 낮아, 동해연안에서는 대체로 질산 질소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제한하는 영양염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N:P 기울기의 상관관계(R²)는 0.95로 높아 주변 육상 또는 비점오염원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해 연안에서 영양염의 시·공간적 변동은 수온의 성층구조 변동에 따른 저층 영양염의 혼합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외부 수괴 유입과 연안 용승 등의 물리적 요인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고, 육상으로부터 유입에 의한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도심하천 퇴적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염 용출

        김태훈,정재훈,최선화,최이송,오종민,Kim, Tae Hoon,Jung, Jae Hoon,Choi, Sun Hwa,Choi, I Song,Oh, Jong Min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2

        본 연구대상지인 굴포천은 인천, 부천, 서울, 김포를 걸쳐 흐르는 도심하천으로서 수질오염이 심하고 지속적인 하천개수사업으로 인하여 하천의 자연성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굴포천에서 하천수 및 하상 퇴적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퇴적물로부터 영양염 용출특성을 실내실험으로 호기와 혐기 조건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굴포천의 수질은 영양염의 농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용존산소가 매우 낮아서 혐기화로 인한 다양한 수질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완만한 경사 및 느린 유속으로 인하여 유수가 정체되어 있기에 하상 내에 퇴적 오니가 쌓이게 되고, 이러한 퇴적오니는 다량의 유기물질과 영양염이 흡착하고 있어 재용출에 의한 내부오염의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굴포천 퇴적물은 혐기조건에서 오염물질이 용출될 가능성이 크고, 이로 인하여 하천 수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준설 등의 주기적인 퇴적물 관리가 필요하다. The water quality of the Gulpo Stream flowing through Incheon, Bucheon, Seoul, and Kimpo is getting worse due to a slow flow rate and bank constructions by stream channelization as well as an inflow of pollutants from living-sewages and factory-sewages. Besides, a dry stream phenomenon caused by a lack of maintenance water upstream makes a self-purification system worse, and the water quality of the Gulpo Stream is currently at its lowest level. The accumulated sludge of the streambed is mostly formed by the deposition of particle pollutants due to the slow flow rate and an artificially straightened stream channel. This accumulated sludge adsorbs a great quantity of organic materials and heavy metals. Because of the internal contamination possibility by a re-gushing, even after the pollution source is removed, it can cause future water pollution. Without a total examination as previously recommended, it is considered difficult to accomplish practical efficiency. In conclusion, the management of periodic sediment management such as dredging would be necessary in the Gulpo Stream because sediment could be an internal pollution source of stream water under anaerobic conditions.

      • KCI등재후보

        완도해역에서 유기물의 생산량 평가

        김우항,Kim Woo-Ha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2 No.3

        육상 오염원의 영향을 적게 받는 완도 해역에서 약 10년간의 월별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식물성플랑크톤의 증가에 의한 유기물의 증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DIN의 경우 겨울철인 2월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인 0.138mg/L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름철인 8월에는 0.052mg/L로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DIP의 경우도 DIN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겨울철인 2월의 농도가 가장 높은 0.015 mg/1이고 여름철인 8월이 가장 낮은 값인 0.011 mg/1를 나타내고 있다. 식물성플랑크톤의 제한영양염을 알아보기 위하여 Redfield ratio(N:P=16:1)를 이용하여 제한영양염을 평가하여 보면 완도해역은 질소가 제한 영양염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장 제한이 되고 있는 계절은 여름으로 N/P의 비가 10.5로 나타났다 Chl.-a는 겨울철인 2월에 비해 봄과 여름인 5월과 8월에 79%, 97%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의 농도는 COD로 나타내었으며 2월에는 0.84 mg/1로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8월인 여름철에 가장 높은 1.10 mg/1를 나타내었다. 영양염과 Chl.-a의 상관관계는 DIN과의 상관에서 $r^2$M가 0.93, DIP과의 상관에서 $r^2$M가 0.8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식물성플랑크톤의 증식이 영양염의 감소에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Chl.-a와 COD의 회귀분석에서 상관계수 $r^2$M가 0.78로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유기물의 생산량은 겨울철에는 17%, 여름철에는 37%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완도의 해역에서 수온이 증가하는 여름철에 용존성 영양염의 농도는 감소하고 있으나 식물성플랑크톤의 지표가 되는 Chl.-a와 유기물의 지표가 되는 COD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organic matters production was calculated with long term data in Wando costal area where was selected for non influent of fresh wat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s and phytoplankton and, between phytoplankton and organic matter. The result of DIN was the highest with 0.138 mg/L in winter season and the lowest with 0.052 mg/L in summer season. Similarly, DIP was shown to be 0. 017 mg/L in winter and 0.011 mg/L in summer. Limiting nutrient was revealed with nitrogen in Wando costal area. Specially in summer season, nitrogen limitation was the greatest with 10.5 of N/P ratio. Chl. -a was increased 80%, 108% in spring and summer compare with winter. COD was the lowest with 0.84 mg/L in winter and the highest with 1.10 mg/L in summer. The interrelation between nutrients and Chl. -a was high. Relationship $coefficient(r^2)$ were 0.93(P<0.05), 0.89(P <0.05) between DIN and Chi. -a, DIP and Chl. -a. This results suggest dissolved nutrients might be utilized at the production of phytoplankton. Also Relationship $coefficient(r^2)$ was 0.77(P<0.05) between Chl. -a and COD. COD production rate was calculated with regression equation. The COD production rate was 17% in winter and 36% in summer. It was revealed nutrients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emperature increasing and then Phytoplankton and organic matter were increased. The Relationship of Nutrients, Chl. -a and COD was very high.

      • KCI등재

        동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대한 초미소 식물플랑크톤(< 2 ㎛) 기여도 장기 경향성 연구

        장효근,이다빈,이상헌 해양환경안전학회 202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9 No.6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22년까지 동해 남서부 해역에서 초미소(0.2-2 ㎛)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표층 수온 상승, 그리고 무기 영양염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다루었다. 동해에서 관측된 표층 수온의 상승 추세는 전 지구규모의 수온 상승과 일치하며, 여름에는 최대 온도가 나타나지만 봄에는 최소 온도를 보여 일반적인 온대해역의 계절적 수온 변동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표층 무기 영양염의 농도는 겨울에 증가하며 봄을 거치면서 서서히 감소하는 계절적 변동성을 나타냈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을 대표하는 표층 총 chlorophyll-a 농도는 온대 해역의 전형적인 쌍봉분포(bimodal distribution) 양상을 보였다. 연구 기간 동안 초미소 식물플랑크톤의 기여도는 연평균 0.5%씩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총 chlorophyll-a 농도는 약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초미소 식물플랑크톤의 기여도와 영양염 간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는 이러한 변동이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영양염의 가용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해양 생태계의 변화 조건에서 식물플랑크톤이 어떻게 반응할는지 예측 가능하게 하므로,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In thi study, we unveil the intricate interplay among picophytoplankton (0.2­2 μm) communities, warming surface water temperatures, and major inorganic nutrients within the southwestern East Sea from 2003­2022. The observed surface temperature rise, reflecting global climate trends, defies conventional seasonal patterns in temperate seas, with highest temperatures in summer and lowest in spring. Concurrently, concentrations of major dissolved inorganic nutrient display distinct seasonality, with peaks in winter and gradually declining thereafter during spring. The time course of chlorophyll-a concentrations, a proxy for phytoplankton biomass, reveals a typical bimodal pattern for temperate seas. Notably, contributions from picophytoplankton exhibited a steady annual increase of approximately 0.5% over the study period, although the total chlorophyll-a concentrations declined slightly. Th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picophytoplankton contributions and inorganic nutrient concentrations is noteworthy, highlighting their competitively advantageous responsiveness to the shifting nutrient regime. These findings reflect significant ecological implications for the scientific insights into the marine ecosystem responses to changing climate conditions.

      • KCI우수등재

        동해 표층수 중 영양염과 Chlorophyll α의 분포 특성

        윤상철,윤이용,Yoon, Sang Chol,Yoon, Yi Yong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6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19 No.2

        2009년 7월 3일부터 7월 27일까지 러시아 조사선 R/V Lavrentyev를 이용하여 러시아 연안으로부터 4개의 Line(D, R, E, A)을 따라 표층 30 m 수심의 시료를 26개의 정점(울릉분지와 일본분지를 포함한 동해의 전 수역)에서 채수하여 영양염 및 엽록소-${\alpha}$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냉수역보다 난수역에서 1.4배 높은 질산염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은 모두 난수역보다 냉수역에서 높게 나타났다($NH_4$, $PO_4$ 각 1.8배, $Si(OH)_4$ 1.2배, 엽록소-${\alpha}$ 1.9배). 암모니아와 인산염, 엽록소-${\alpha}$의 수평분포는 매우 유사한 분포를 보이며, 한류와 저층수의 용승 영향권에 있는 러시아 근해에서 최대치를 보이고, 울릉분지에서 비교적 낮은 분포를 보인다. 반면, 질산염은 대마난류수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울릉분지에서 최대치를 보이며, 점차 북상할수록 감소한다. N/P 비는 한류수계보다 대마난류 중층수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이며, 대마난류수는 동해로 유입되는 질산염의 주요 공급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난수역에서 인산염의 평균 농도는 $0.2{\mu}M$ 이하로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제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반면, 냉수역에서의 높은 농도는 엽록소-${\alpha}$와 직접적인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주성분 분석결과 주성분 I은 수온에 의해 동해의 해양환경이 주로 영향을 받으며, 주성분 II는 영양염과 엽록소-${\alpha}$ 가 주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연구해역의 해양환경은 수온에 지배되며, 그에 따라 냉수역과 온수역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보였다. During the period between July 3 and 27 of 2009,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Russian coast at a depth of 30m from 26 stations (including Ulleung and Japan basins) onboard the Russian survey vessel R/V Lavrentyev following 4 lines (D, R, E, and A).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nutrients and chlorophyll a contents. All parameters exhibited higher values in warm waters than in cold waters ($NH_4:1.8-fold$, $PO_4:1.8-fold$, $SiO_2:1.2-fold$, and chlorophyll-${\alpha}$:1.9-fold), except nitrates, which was 1.4-fold higher in cold waters than in warm waters. The horizontal distribution of ammonia, phosphate, and chlorophyll-${\alpha}$ was very similar to each other and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the waters near Russia, where a upwelling influence of cold current and bottom water prevails, while relatively low distribution was observed at the Ulleung Basin. On the other hand, nitrates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at the Ulleung Basin, which is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the Tsushima warm water, and showed a gradual decrease northward. The N/P ratio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e Tsushima middle water, rather than in the North Korean Cold Water, the Tsushima Warm Water was the primary source of nitrate flow into the East Sea. However,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hosphate in the warm waters was < $0.2{\mu}M$, thereby limiting phytoplankton growth, while a high concentration of phosphate in cold waters showed a direct correlation with chlorophyll-${\alpha}$. The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the identification of primary factors that influence the marine environment showed that principal component I was water temperature and principal component II was influenced chlorophyll-${\alpha}$ and nutrients. Therefore, Study area has greatest influenced by water temperature, and clearly distinct cold and warm water regions were observed in the East Sea.

      • SCOPUSKCI등재

        남극 남쉐틀랜드군도 주변 해역의 영양염과 식물플랑크톤 생물량 분포

        김동선,강성호,김동엽,이윤호,강영철,Kim, Dong-Seon,Kang, Sung-Ho,Kim, Dong-Yup,Lee, Youn-Ho,Kang, Young-Chu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01 Ocean and Polar Research Vol.23 No.2

        Temperature, salinity, nutrients, chlorophyll-a, and primary production were measured within the upper 200 m water column in the area around the South Shetland Islands in January, 2000. Surface temperature was relatively high in the Drake Passage north of the South Shetland Islands and low in the northeastern area of the Antarctic Peninsula. In contrast, surface salinity was low in the Drake Passage and increased toward the Antarctic Peninsula, reaching the maximum value in the northeastern area of the Antarctic Peninsula. Surface nutrients were low in the Drake Passage and high in the area near the South Shetland Islands. Surface chlorophyll-a was also low in the Drake Passage and near the Antarctic Peninsula and high in the area of the northern King George Island. The study area could be classified as four geographical zon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shape of the T/S diagrams;the Drake Passage, the Bransfield Strait, the mixed zone, and the Weddell Sea. Each geographical zone showed apparently different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Phytoplankton biomass was relatively low in the Drake Passage and the Weddell Sea and high in the Bransfield Strait and the mixed zone. The low phytoplankton biomass in the Weddell Sea could be explained by the low water temperature and deep surface mixing down to 200 m. The high grazing pressure and low availability of iron could be responsible for the low phytoplankton biomass in the Drake Passage. 2000년 1월에 남극 남쉐틀랜드군도(South Shetland Islands) 주변해역에서 수심 200 m 까지 수온, 염분, 영양염, 엽록소, 일차생산력 등을 측정하였다. 표층수온은 남쉐틀랜드군도 북쪽 드레이크해협(Drake Passage)에서 높았고 남극반도 북동해역에서 낮았다. 반대로 염분은 드레이크해협에서 낮았고 남극반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남극반도 북동해역에서 최고 값을 보였다. 표층해수의 영양염 농도는 대체로 드레이크해협에서 낮은 값을 보였고 남쉐틀랜드군도 인접해역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엽록소 농도는 드레이크해협과 남극반도 인접해역에서 낮았고 킹조오지섬(King George Island) 북쪽해역에서 높았다. 연구해역은 T-S diagram의 특징적인 형태에 따라 4개 해역으로 구분된다; 드레이크해협, 브랜스필드해협 (Bransfield Strait), 혼합 해역(Mixed zone), 웨델해(Weddell Sea) 해역. 이들 4개 해역들은 각각 특징적인 물리, 화학, 생물학적 특성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은 드레이크해협과 웨델해 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았고 브랜스필드해협과 혼합 해역에서 높았다. 웨델해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이 낮은 것은 낮은 수온과 수심 200 m 이상의 깊은 표층혼합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드레이크해협 해역에서는 높은 동물플랑크톤 포식압과 낮은 철농도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목포항 주변 해역에서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수질의 계절 및 년간변동

        박중현,박승윤,이용화,최다미,이상룡,Park, Joong-Hyun,Park, Seong-Yoon,Lee, Yong-Hwa,Choi, Da-Mi,Lee, Sang-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05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1 No.2

        목포항 주변 해역의 6개 정점에서 1997년부터 2004년까지 수질의 계절 및 년간 변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염분, pH, 용존무기질소와 용존무기인은 년간 다양하게 나타났다. 염분은 1998년에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영양염 농도들은 1998년이 다른 년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수온, DO, COD와 DIP의 농도는 계절 변동이 명확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계절적인 변화는 영산강하구언에서 유입되는 담수의 계절적인 특징에 영향을 받았다. 수온, COD와 DIP는 8월에 유의하게 높았으나, 염분과 DO는 8월에 최소로 나타났다. 정점 1(영산강 하구언)의 수질은 영산강의 유입에 따른 낮은 염분과 높은 영양염의 특성을 보였으나, 정점 6(목포항 외해)은 주로의 외해의 특성을 보였다. 목포항 주변 해역에서 수질 인자간의 관계에서 염분은 COD, DO, pH, Chlorophyll a와 영양염 농도에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Seasonal and year-to-year variations of water quality were observed at six stations in Mokpo Harbor area between 1997 and 2004. Water quality(salinity, pH, DIN and DIP) was variable between years. Salinity was significantly low in 1998, while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1998 than other years. Water temperature, salinity, DO, COD and DIP concentrations exhibited clear seasonal variations, and these seasonal trends reflected seasonal changes in fresh water discharge from Youngsan river mouth. Water temperature, COD and DI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ugust, while salinity and DO reached minimum values in August. In the station 1(Youngsan river mouth), waters with low salinity are subject to high nutrient inputs from Youngsan river, while in the station 6 (outside from Mokpo harbor) waters are primarily oceanic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parameters indicates that salinity is the primary factor influencing the COD, DO, pH, Chlorophyll a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Mokpo harbor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