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습염용 염화칼슘 대체재로서 염화마그네슘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

        이병덕,공유석,김진환 한국도로학회 2016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06

        현재 국내의 대부분 도로관리 기관의 동절기 도로 유지관리용 제설제 살포 방식은 습염식(Pre-wetted) 을 적용하고 있다. 습염은 고체 소금에 염화칼슘 30% 용액(중량비 7:3)을 섞어서 살포하는 방식이다. 그 러나 염화칼슘은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에 의존하므로 소금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수급이 어렵다. 특히 폭 설 등으로 인해 예측한 수요량 보다 사용량이 많아지면 수급의 어려움, 가격의 급등 등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습염용 제설제 다양화를 통한 공급 안정성 및 경제성을 제고하고자 염화마그네 슘에 대한 융빙성능, 강재부식성, 용해시간 시험을 실시하여 사용성을 검토하였다. -5℃에서 실시한 염화칼슘 대비 염화마그네슘의 융빙성능은 고상의 경우 10분에서는 유사한 성능을 나 타내었으나 30, 60, 90분에서는 염화칼슘에 비해 더 많은 량의 얼음을 녹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화칼 슘 습염(중량비, 고체 소금 70% + 농도 30%의 액상 염화칼슘 30%) 대비 염화마그네슘 습염(중량비, 고 체 소금 70% + 농도 22%의 액상 염화마그네슘 30%)의 융빙성능은 10분에서는 유사한 성능을 나타내었 으나 30, 60, 90분에서는 더 많은 량의 얼음을 녹이는 것으로 나타나 사용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 -12℃에서 실시한 고체의 경우, 30, 60, 90분에서 염화칼슘과 염화마그네슘의 융빙성능은 유사 한 경향을 보였으나, 10분에서의 융빙성능은 염화칼슘이 염화마그네슘의 약 1.7배로 나타났고, 습염의 경우는 -5℃와 유사한 융빙성능의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습염용 재료로 사용성 및 융설효과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재부식성은 염화칼슘 습염 대비 염화마그네슘 습염의 부식량이 1주에서 68%, 2주에서 55%인 것으로 나타났고, 부식량은 염화칼슘 > 소금 > 염화칼슘 습염 > 염화마그네슘 습 염 > 염화마그네슘 순서로 크게 나타났다. 15℃ 용액에서 염화마그네슘의 용해시간은 염화칼슘에 비해 1.34배 가량 더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나 동절기 교반수 온도를 고려하여 염화칼슘 보다 교반시간이 1.5~2배 정도 더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검토 결과 습염용 염화마그네슘 용액은 강재부식 저감 효과가 있을 수 있고, 융설효과 측면에서는 염화 칼슘 습염과 유사한 성능으로 염화칼슘 대체재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용해도가 염화마그네 슘(0℃에서 52.9, 10℃에서 53.6)은 염화칼슘(0℃에서 59.5, 10℃에서 64.7) 보다 낮고 용해시간이 더 소 요되므로 용액화하는 교반시간이 더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염화칼슘 제설제 처리농도에 따른 참억새의 내염성 및 침출수 평가

        주진희,양지,박선영,윤용한 한국조경학회 2019 韓國造景學會誌 Vol.47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salt tolerance of the Miscanthus sinensis and to characterize the content of pigments in the leachate in relation to calcium chloride (CaCl2) deicing salt. Miscanthus sinensis were cultured at fiv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alcium chloride deicing salt, 0, 1, 2, 5, and 10 g·L—1 (referred to Cont. C1, C2, C5, and C10) for four months. The salt tolerance and leachate while growing Miscanthus sinensis on soil which was artificially contaminated by calcium chloride deicing salt. Soil chemical properties (pH, E.C., Ca2+, Na+, K+, and Mg2+) and plant growth parameters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number of leaves, shoot fresh weight, root fresh weight, shoot dry weight, an root dry weight) were evaluated. Soil pH decreased, while electrical conductivity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with a higher concentration of deicing salt 0 g·L—1 (Cont.).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chloride-based exchangeable cations,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deicing salt treatments, were observed in Ca2+ > Na+ > K+ > Mg2+. Notably the Ca2+ exchangeable cations were 83∼90% higher than the others. The growth of Miscanthus sinensi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with the concentration of deicing salt higher than 1 g·L—1 (C1) when compared to 0 g/L (Cont.), except for the 10 g·L—1 (C10) treatment. The results determined that the contamination of soil by deicing salt could negatively impact the soil and Miscanthus sinensis was a tolerant species for the deicing salts. Further research will be focused on soil improvement additives and the stable stimulated plant growth of Miscanthus sinensis and a formulation on that basis for the soil-plant continuum. 본 연구는 염화칼슘(CaCl2) 처리농도에 따른 토양침출수 및 참억새의 생육 특성을 평가해 제설제 살포로 인한 토양의 화학적 변화를 분석하고, 참억새(Miscanthus sinensis)의 내염성을 살펴봄으로써 제설제의 대표적 피해지역인 가로변 식생관리방안에 적용하고자 한다. 염화칼슘 처리농도는 0(Cont.), 1(C1), 2(C2), 5(C5), 10 g·L—1(C10) 등 총 5가지로 수용액을 조제해 참억새를 정식한 화분 토양에 1회 0.2L씩 2주 간격으로 총 6회 관주한 후 생육과 침출수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참억새를 식재한 토양침출수의 산도는 염화칼슘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점차 완만하게 낮아진 반면, 전기전도도는 유의적으로 급증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염화물계 치환성 양이온의 함량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치환성 칼슘 >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순으로 치환성 칼슘이 다른 이온에 비해 약 83∼90% 높은 수치를 보였다. 참억새의 초장은 C10 처리구를 제외하고, C1∼C5 처리구까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엽장은 C5 처리구부터, 엽폭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좁아지는 경향이 뚜렷했다. 반면, 엽수는 C10 처리구를 제외하고 C1∼C5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많아졌다. 참억새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 모두 C10 처리구를 제외하고 대조구에 비해 염화칼슘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증가되었으며, 지상부보다는 지하부의 증가세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가로변 염화칼슘 제설제의 지속적인 살포는 토양 내 산도 및 전기전도도, 염화물계 치환성 양이온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참억새는 C10 처리구를 제외하고, 대조구에 비해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이 양호해 제설제로 오염된 가로변 토양에서도 현장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내구성에 공기량, 제설제, 노출조건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병덕 한국도로학회 2010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2 No.2

        In this study, the relative effects of low-chloride deicier(LCD) and two other deicing agents on the scaling of concrete were conducted in a series of tests at laboratory accordance with the ASTM C 672. The solutions concentration of deicers tested included 1, 4, 10%. Tap water was used as control. The amount of scaling was evaluated gravimetrically. As test result of deicer solution types, when applied to 4% solutions, surface scaling of concrete after 56 freeze-thaw cycles was produced significantly as about 9 times on LCD solution, as about 18 times on CaCl2 solution, and as about 33 times on NaCl solution comparing with tap water. As test result of deicer solution concentrations,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 (of the 4% by weight) of deicer were produced more surface scaling than higher concentrations (of the 10% by weight) or lower concentrations (of the 1% by weight) of deicer. It show that the damaging concentration is of the order of 3~4% for previous research result. It appears that the mechanism of surface scaling is primarily physical rather than chemical. Also, the effect of chloride deicier types, freeze-thaw cycling, and air contents on the performance of concrete wa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crete specimens subjected to freeze-thaw cycling scaled more severely in exposure to deicing salt than those in non-exposure to deicing salt, weight losses of the specimens tested in exposure to deicing salt were twice as much as those tested in non-exposure to deicing salt. Relativ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of concrete specimens decreased more quickly in exposure to deicing salt than in non-exposure to deicing salt. Also, relativ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of concrete specimens in exposure to sodium chloride deicing salt was decreased more quickly comparing with exposure to LCD salt. It is also shown that the chloride contents according to concrete specimen depths was more largely in exposure to LCD salt. When concrete specimen is exposed to chloride deicing salts and freeze-thaw cycling, performance degradation in the entrained air concrete(AE concrete) retarded more considerably comparing with non-entrained air concrete(Non-AE concrete). 콘크리트의 박리(scaling)는 수분의 존재하에 동결융해 싸이클에 따른 콘크리트의 점진적인 표면열화이다. 특히, 이것은 제설제에염화물의 존재가 콘크리트 표면박리(스켈링)와 더불어 심한 경우, 굵은골재의 노출 및 탈리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스켈링에 대한 저염화물계 제설제(low chloride deicier, LCD)와 염화칼슘 및 염화나트륨 제설제의 상대적인 영향을 ASTM C 672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시험 제설제의 농도는 1, 4, 10% 이고, 수돗물은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박리량은 중량으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4% 농도를 적용하였을 때, 동결융해 56 싸이클 후 콘크리트의 박리는 수돗물에 비해 LCD 용액에서 약 9배, 염화칼슘 용액에서 약 18배, 염화나트륨 용액에서 약 33배 정도 크게 발생하였다. 용액의 농도에 따라서는 고농도인 10%에 비해 4% 농도에서 표면 박리가 가장 현저하게 발생하였는데, 이는 스켈링 발생이 염농도가 3∼4%일 때 가장 현저해진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함을알 수 있었다(일본콘크리트공학회, 1999). 또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현장에서 염화나트륨 및 저염화물계 제설제(LCD, 염소이온중량비 50%)가 살포되고 동결융해 싸이클에 노출된 경우, 제설제에 노출되지 않은 경우의 콘크리트 동해열화에 대해, 콘크리트의 공기량에 따른 영향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동결융해 싸이클에 따른 콘크리트 시편은 제설제에 노출되지 않은 것 보다 염화물 제설제 노출에서 스켈링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염화물 제설제에 노출된 시편이 노출되지 않은 시편 보다 중량 손실이 2배나 되었다. 콘크리트 시편의 상대 동탄성계수는 염화물 제설제에 노출되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염화물 제설제에 노출된 것에서 더 빠르게 감소하였다. 또한 염화나트륨 제설제에 노출된 콘크리트 시편의 상대 동탄성계수는 저염화물계 제설제에 노출된 것 보다 더 빠르게 감소하였다. AE 콘크리트는 염화물과 동결융해 싸이클에 노출되었을 때, Non-AE 콘크리트 보다 성능저하가 크게 지연되었다.

      • KCI등재

        제설제 종류에 따른 융빙성능 및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평가에 관한 연구

        이병덕,윤병성,이주광,정영환,Lee, Byung-Duck,Yun, Byung-Sung,Lee, Joo-Kwang,Chung, Young-Hwan 한국도로학회 2005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7 No.4

        In this study, calcium chloride$(CaCl_2)$, sodium chloride (NaCl), organic acids-containing deicer(NS 40, NS 100), mixed deicier$(NaCl\;70%+CaCl_2\;30%,\;NS\;40\;70%+CaCl_2\;30%,\;NaCl\;70%+NS\;40\;30%,\;NS\;40\;70%+NaCl\;30%)$ is investigated based on the laboratory test for deicing performance, freez-thaw resistance of concrete, and corrosion rate of metal. Test items for deicing performance were ice melting and ice penetration, freezing point depressions and eutectic point, pH, thermal properties for selected deicing chemicals as well as their compatibility with concrete and metal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As a test results, in case of the use chloride-containing deicier in area that concrete structures has subjected to freez-thaw reaction in winter season, it showed that mixed deicing chemicals with optimum ratio has desirable method than use one deicing chemicals when is consider to deicing performance and effects, corrosion of steel materials, and freez-thaw resistance of concrete. When use various deicing chemicals mixed, NS40(70%)+calcium chloride(30%) showed the best effective method.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염화물계 제설제인 염화칼슘$(CaCl_2)$ 및 염화나트륨(NaCl)과 비염화물계 제설제(NS 100) 초산화합물 함유 염화물 제설제(NS 40), 그리고 이들 제설제를 중량대비 일정비율로 혼합$(NaCl\;70%+CaCl_2\;30%,\;NS\;40\;70%+CaCl_2\;30%,\;NaCl\;70%+NS\;40\;30%,\;NS\;40\;70%+NaCl\;30%)$하였을 때 제설성 능과 특성,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저항성 및 강재의 부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내시험을 통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동절기 구조물이 동해를 받을 수 있는 지역에서 염화물계 제설제를 사용할 경우 제설성능 및 효과, 강재의 부식성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저항성 및 스켈링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볼 때 하나의 제석제를 사용하기 보다는 두가지 제설제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혼합 사용시에는 제설성능 강재 및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볼 때 NS40(70%)+염화칼슘(30%)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동절기 해상으로 유출된 저유황 중질유 제거를 위한 발열 흡착포

        박한규,오경근,배병욱,송영채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6 No.4

        An exothermic oil absorbent sheet with calcium chloride crystals can be fabricated, by dipping a clean polypropylene fabric in calcium carbonate and hydrochloric acid solution and drying it. The exothermic oil absorbent sheet applied to the seawater surface, releases heat by the dissociation of calcium chloride. The dissociation heat liquefies the solidified low-sulfur fuel oil at a low temperature, and converts it to a state at which it can be absorbed. The optimum mole concentrations of calcium carbonate and hydrochloric acid required for the exothermic oil absorbent sheet, are 0.25 M and 0.5 M, respectively. The oil absorption capacity of the exothermic oil absorbent sheet for low sulfur fuel oil depends on the seawater temperature. But, it is highly excellent at 4.5-7.08 g/g at 10℃, the average seawater temperature during the winter in Korea. The exothermic oil absorbent sheet is an excellent alternative in absorbing low-sulfur fuel oil in winter and removing it from seawater. 탄산칼슘과 염산 수용액에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침지시켜 표면에 염화칼슘 결정을 생성시킴으로써 발열 흡착포를 제작하였다. 발열 흡착포를 유출 기름으로 인해 유막이 형성된 해수면에 적용하면 염화칼슘 결정이 주변의 수분을 흡수하여 이온화되면서 용해열을 방출한다. 염화칼슘의 용해열을 유동점 이하의 저온에서 응고된 저유황 중질유를 액화시켜 흡유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킨다. 발열 흡착포의 제작을 위해 폴리프로필렌 표면에 염화칼슘 결정을 생성시키기 위한 탄산칼슘과 염산의 최적 몰농도는 각각 0.25 M과 0.5 M이다. 저유황 중질유 발열 흡착포의 흡유능은 해수 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우리나라 인근 해역의 동절기 평균 수온인 10℃에서 4.5-7.08 g/g으로 매우 우수하였다. 염화칼슘 발열 흡착포를 사용하면 동절기 선박사고로 인하여 해양에 유출된 저유황 중질유를 효과적으로 흡유하여 제거할 수 있다.

      • KCI등재

        간접탄산염화를 위한 전기로제강슬래그 중 Ca, Fe 및 Si 성분의 초산수용액 침출

        윤기병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7 資源 리싸이클링 Vol.26 No.1

        It has been reported that aqueous indirect carbonation process of calcium silicate mineral could be one of the most promising methods for CO 2 sequestration. The process consists of two main steps, extraction of Ca from calcium silicate and carbonation of the extracted solution by CO 2 . Many types of acids such as HCl and HNO 3 can be used in the extraction step of the process. In the case of using aqueous acetic acid solution as the extraction solvent, acetic acid can be reproduced at the carbonation step of the extracted solution by CO 2 and recycled to extraction step for reuse it. Industrial by-products such as iron and steel slags are potential raw materials of the indirect carbonation process due to their high contents of calcium silicate.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domestic electric arc furnace steel slag by aqueous acetic acid solution, extraction experiments of the slag were performed by using the aqueous acetic acid solutions of varying extraction conditions ; acetic acid concentrations, extraction temperatures and times.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유효한 방법 중의 하나로 칼슘규산염 광물의 간접탄산염화 공정이 보고되고 있다. 이 공정은 염산, 질산등의 산에 의하여 칼슘규산염으로부터 칼슘성분을 침출하는 단계와 이산화탄소에 의한 침출용액의 탄산염화 단계의 두 과정으로 구성된다. 침출용매로 초산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출용액을 이산화탄소로 탄산염화 하는 과정에서 초산이 재생성 되어 침출단계로 순환되어 침출용매로 재사용될 수 있다. 제철 및 제강슬래그와 같은 산업부산물은 칼슘규산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간접탄산염화공정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산수용액에 의한 국내 전기로제강슬래그의 침출효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초산수용액 농도, 침출온도 및 침출시간 등의 침출조건 변화에 따른 침출실험을 수행하였다.

      • KCI우수등재

        겨울철 염화칼슘(CaCl<sub>2</sub>) 처리에 따른 가로변 3가지 상록 관목류의 생육 및 생리반응 - 사철나무, 영산홍, 회양목을 중심으로 -

        주진희,박지연,허혜,이은엽,현경학,정종석,최은영,윤용한,Ju, Jin-Hee,Park, Ji-Yeon,Xu, Hui,Lee, Eun-Yeob,Hyun, Kyoung-Hak,Jung, Jong-Suk,Choi, Eun-Young,Yoon, Yong-Ha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2

        본 연구는 도심 내에서 공원 및 가로수 주변에 식재된 대표적인 세 가지 상록 관목류인 사철나무(Euonymus japonica), 영산홍(Rhododendron indicum), 회양목(Buxus koreana) 등을 중심으로 겨울철 염화칼슘($CaCl_2$) 처리에 따른 생육 및 생리적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내염성 정도와 제설제 피해지역에 대한 내성수종을 선별하기 위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염화칼슘을 각각 0%(대조구), 0.5%, 1.0%, 3.0%, 5.0% 처리한 실험구에 2014년 11월에 정식한 후 이듬해 이른 봄인 2015년 3월에 수고, 엽장, 엽폭, 엽형지수, 엽수, 생체중, 건조중, 건물률, R/T율, 엽록소함량, 엽록소형광반응, 광합성률, 기공전도도, 증산율 등의 생육 및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사철나무는 3.0% 이하, 영산홍과 회양목은 1.0% 이하의 처리구에서 생존이 가능하였으며, 사철나무가 영산홍과 회양목에 비해 생육적 감소율이 비교적 낮았다. 염화칼슘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구에 비해 생리적 반응들이 감소되는 것은 동일하나, 영산홍과 회양목은 감소세가 비교적 뚜렷한 반면, 사철나무가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영산홍은 증산율을, 회양목은 광합성율과 기공전도도를 억제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철나무가 영산홍과 회양목에 비해 염해에 좀 덜 민감한 수종임을 알 수 있어 제설제 피해지역에 상록 관목류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It is important to know the sensitivity of shrubs to de-icing salt in order to set guidelines for ecological tolerance of evergreen shrubs along road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icing salt, calcium chloride($CaCl_2$),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evergreen shrubs, Euonymus japonica, Rhododendron indicum, and Buxus koreana. Plants were exposed to calcium chloride at different concentrations(weight percentage, 0% as control, 1.0%, 3.0%, and 5.0%) through amended soil maintained from the start of the experiment in October of 2014 until termination in March of 2015. The survival rate,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leaf shape index, number of leaves, fresh weight, dry weight, dry matter, root/top ratio, chlorophyll contents, fluorescence,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 and transpiration rate were recorded. Elevated calcium chloride concentrations decreased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leaf shape index, fresh weight, dry weight, dry matter, and R/T ratio of the three shrubs. Root growth responded more sensitively than the top growth to salinity. However Euonymus japonica was more tolerant to salt stress than Rhododendron indicum and Buxus koreana. Their growths were totally inhibited by $CaCl_2$ above 3.0% and 1.0% concentrations, respectively. Chlorophyll content, fluorescence,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 and transpiration rate of both Rhododendron indicum and Buxus koreana were reduced sharply, while Euonymus japonica exhibited mild reductions compared to plants grown in control when increasing calcium chloride was used. Especially, the transpiration rates of Rhododendron indicum, and the photosynthesis and stomatal conduct of Buxus koreana were suppressed as the concentrations of calcium chloride increased. Therefore, Euonymus japonica should be considered as an ecologically tolerant species with proven tolerance to de-icing salt.

      • KCI등재

        Analysis of the Effect of Blood Sugar, Calcium, Chloride Ions, and Blood Urea Nitrogen on Skin Wrinkles

        Hyun Sun Noh,Moon Ju Kim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1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9 No.1

        목적: 본 연구는 혈액내의 혈당, 요소질소(BUN), 칼슘, 염화이온이 폐경기 전 여성의 얼굴 주름살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확 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동방대학교 연구윤리위원의 심사를 받았으며, 참가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모집하였다. 모집대상 은 폐경기 전 여성으로 한정하였으며 질병에 걸려있거나 약물, 건강식품을 섭취하는 자는 제외하였다. 혈액채취는 녹십자사(Green Cross Corp., Seoul)에서 간호사가 진행하였으며 혈액성분도 녹십자사에서 분석하였다. 얼굴의 주름수준은 봄텍(BOMTECH, Seoul)의 피부측정기(모델명 A-ONE Smart)로 측정하였다. 모집인원은 총 77명이었으나 혈액 측정변수가 이상치를 벗어난 13명 을 제외하고 나머지 64명(평균연령 을 대상으로 통계분석(SPSS Ver.23.0)을 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혈당의 비표준화계수는 0.019, 유의확률 p=0.02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UN의 비표준화계수는 0.108, 유의확률 p=0.006 이었는데 이것은 BUN이 1 mg/dL만큼 증가할 때 주름은 0.108만큼 증가한다는 의미이다.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인 R2은 0.203 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 의하면 심혈관질환, 당뇨 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알려진 혈당과 BUN이 얼굴 주름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폐경기 전 여성 64명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전체 연령으로 일반화할 수 없다라는 한계를 갖는다. 향후 폐경기 이 후 여성과 남성을 포함한 보다 넓은 연구 대상자들을 통하여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atistically verify the effects of blood glucose, blood urea nitrogen (BUN), calcium, and chloride ions on the facial wrinkles of premenopausal women. Methods: Premenopausal women were recruited through the internet to be study participants. Those who had disease or who consumed drugs or health foods such as ginseng were excluded. The levels of blood glucose, BUN, calcium, and chloride ions were obtained, and facial wrinkles were measured with a skin me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blood glucose, BUN, calcium, and chloride ions on face wrinkles. Results: After excluding 13 people whose blood measurement variables deviated from the outlier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remaining 64 participants. Analysis revealed the nonstandardization coefficient of blood glucose to be 0.019 and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p =0.027. Th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of BUN was 0.108, and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p =0.006, which means that when BUN increased by 1 mg/dL, wrinkles increased by 0.108. The explanatory power of R2 was 0.203.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report to reveal, based on empirical data, that blood glucose and BUN, which are known factors affect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also affect facial wrinkles.

      • KCI등재

        고농도의 불소함유폐수 처리시 칼슘원에 따른 영향

        김승하(Seung Ha Kim),김금용(Keum Yong Kim),류홍덕(Hong Duck Ryu),이상일(Sang Ill Lee) 大韓環境工學會 201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3 No.5

        본 연구는 고농도의 불소가 함유된 LCD 폐수를 처리하는데 있어, 칼슘원에 따른 제거 효율과 경제성에 부합되는 조건을 도출하여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칼슘원으로 CaCl₂, Ca(OH)2 및 CaCO₃를 이용하여 각각 pH, 칼슘주입량, 반응시간 및 교반속도의 변화에 따른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CaCl₂의 경우 pH 7, 칼슘주입량 0.4[Ca] / [F] (mol / mol), 1시간, 200 rpm으로 결정되었고, Ca(OH)2의 경우 pH 7, 칼슘주입량 30 mL/L, 1시간, 200 rpm으로 결정하였으며, CaCO₃의 경우 pH 4, 칼슘주입량 30 mL/L, 1시간, 200 rpm으로 적용하는 것이 최적조건이라고 판단되었다. 그러나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용 조건의 변경이 가능하다. As production of LCD increases, it has become necessary to find an economically efficient way of treating LCD wastewater with high concentration of fluoride. This study focuses on the calcium sources: CaCl₂, Ca(OH)2 and CaCO₃ for the treatment of the LCD wastewater including high concentration of fluoride. Of course considering removal efficiency and economical aspect, study is continued. Then this study have objective giving aid to field. Consequently, each calcium source`s removal efficiency was measured in various pH, calcium dosage, reaction time, and mixing intensity. The optimum operational conditions for CaCl₂ were found to be pH of 7, calcium dosage of 0.4[Ca] / [F] (mol / mol), 1 hr of operation and 200 rpm of mixing intensity. For Ca(OH)2, they were pH of 7, calcium dosage of 30 mL/L, 1 hr of operation, and 200 rpm of mixing intensity. While CaCO₃ had operational conditions of pH of 4, calcium dosage of 30 mL/L, 1 hr operation and 200 rpm of mixing intensity. But it is recommended to use calcium sources according to various field conditions.

      • KCI등재

        광물질 혼화재를 혼합한 콘크리트의 칼슘용출 저항 특성

        최소영,최윤석,양은익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6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0 No.4

        Concrete is a very useful construction material for the sealing disposal of hazardous substances. In general, mass concrete is applied to these structures. And, the mineral admixtures are recommended for the long term performance. Calcium leaching could be happened due to the contact with pure water in underground structures. Thus, it is needed to evaluate the resistance of calcium leaching for concrete mixed with mineral admixtures. From the test results, the mineral admixtures are effective to the improvement of long term compressive strength and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in concrete members. When calcium leaching is happened, however, the reduction of compressive strength and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is severe than OPC case, the micro pore distribution is adversely affected. Consequently, when the mineral admixtures are applied to underground structures which is exposed to calcium leaching environment, it is desirable to reduce water-to-binder ratio, to expose after the sufficient pozolanic reaction, and to use BFS than FA. 콘크리트는 유해물질을 봉함처리하기 위한 매우 유용한 건설재료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설물에는 매스콘크리트가 적용되며, 장기간 성능이 요구되므로 광물질 혼화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하구조물에서는 순수와의 접촉으로 칼슘용출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광물질 혼화재를 포함하고 있는 콘크리트의 칼슘용출 저항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광물질 혼화재는 콘크리트 부재의 장기압축강도 및 염화물 확산계수 개선에 효과적이지만, 칼슘용출이 발생하면 압축강도 및 염화물 확산 저항성 저하가 OPC에 비해 심하고, 미세공극분포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칼슘용출환경에 노출되는 지하구조물에 광물질 혼화재가 적용될 경우에는, 물-결합재비를 저감시키며, 충분한 포졸란 반응 이후에 노출해야 하고, FA 보다는 BF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