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연구동향 분석

        박은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earch trends of college English education in Korea from 2001 to 2020.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Biblio data collector and a total of 313 papers were analyzed. For research purpos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nd time series analysis.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In the first instance,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regarding college English educatio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quantity for 20 years. Secondly, in analyzing the topics of the chosen papers, a total of 10 topics in college English education were found. The topics were “curriculum and level-differentiated programs (T1)”, “learners’ affective factors (T2)”, “assesment and learning strategies (T3)”, “teachers’ factors (T4)”, “English vocabulary, grammar and writing (T5)”,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T6)”,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7)”, “web-based learning (T8)”, “learner-centered education (T9)”, and “textbook analysis etc. (T10).” Among these topics, the three that were identified as topics increasing in popularity were “learners’ affective factors (T2)”,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T6)”,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T9).” The topics increasing in popularity shared one key characteristic: the topics were related to learners’ factors such as the learners’ motivation, the learners’ goals, and the learners’ activities in cla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llected a wide range of data related to college English education in Korea and produced more reliable results by using big data-based LDA topic modeling techniques. 본 연구는 대학 교양영어 교육의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교양영어 수업과 연구 방향에 대한통찰을 얻고자 실시되었다. 분석기간은 2001년에서 2020년, 20년의 기간이었으며, 분석대상 논문은313편이었다. 분석 방법은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LDA(잠재 디리클레 할당) 토픽모델링, 시계열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 분석 결과 대학 교양영어 관련 논문은 지난20년간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연구 주제도 점차 다양해졌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LDA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교양영어 교육의 주제는 10가지로 분류되었다. 주제명은 ‘교육과정 및 수준별 수업(주제1)’, ‘학습자 정의적 요인(주제2)’, ‘평가 및 학습 전략(주제3)’, ‘교수자 요인(주제4)’, ‘어휘⋅문법학습 및 쓰기활동(주제5)’, ‘특수목적영어 프로그램(주제6)’, ‘교수학습 방법(주제7)’, ‘웹 기반 수업(주제8)’, ‘학습자 중심 교육(주제9)’, ‘교재 분석 및 기타(주제10)’였다. 셋째, 시계열 분석 결과 ‘학습자 정의적요인(주제2)’, ‘특수목적영어 프로그램(주제6)’, ‘학습자 중심 교육(주제9)’, 세 가지가 상승 주제인 것으로드러났다. 이 세 주제는 모두 학습자의 동기, 학습자의 요구,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수업 활동이라는점에서 모두 학습자 요인과 관련 있는 주제임을 알 수 있었다. 이 분석을 근거로 향후 학습자 요인과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빅데이터 기반의 LDA 토픽 모델링기법으로 교양영어 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동향을 전망함으로써 관련 연구자들에게객관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반 토픽 모델링을 통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Teaching)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윤정현(Yun, Jeonghyun),박태정(Park, Taej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이후 대학 교육 변화의 흐름 속에 대학 교수자의 교수 관련된 연구 주제의 동향을 파악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구 주제의 변화에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 7월까지 교육학 관련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대학 교수 관련 주제로 수행된 논문 1,779편의 제목과 주제어를 대상으로 빈도수 분석 및 LDA를 활용한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교수와 관련하여 학습, 교수, 학생, 교육, 수업, 역량, 상호작용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연구 주제는 5개의 토픽으로 산출되었다. 이 중 ICT기반의 교수 모형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연구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전공별 다양한 교수법에 대한 연구 주제가 최근 3년 동안 상승하고 있다.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주제는 2000년 이후로 꾸준히 연구되고 있는 주제이고, 교수 역량 개발 및 평가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주제는 2009년 이후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반면, ICT기반의 교수 모형에 대한 연구 주제는 2010년 이후로 하향하는 연구 주제이다. 논의 및 결론: 대학 교수자의 교수 관련 세부 분야별 연구 현황과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들과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 주제별로 세분화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ends in research topics related to teaching of university professors in the course of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since the 21st century,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with the passage of time. Method: For this purpose,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using LDA were performed on the titles and subjects of 1,779 papers published in KCI journals of education fields from 2000 to July 2019. Results: There were high frequency words of learning, teaching, students, education, classes, competences, and interactions related to university professors, and the research topics were calculated with five topics. Among them, research topics related to ICT-based teaching models and curriculum development have been studied the most, and research topics on various teaching methods by major are increasing in recent three years. The subject of research on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since 2000, and the subjects of te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and evalu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have been studied since 2009.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subject of ICT-based teaching model has been declining since 2010. Conclusion: More in-depth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and nature of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and the research needs to be subdivided into the research topics presented in this study from a long-term and macro perspective.

      • KCI등재

        『교육행정학연구』에 나타난 연구주제의 정부별 의미연결망 분석

        김예슬(Kim, Yeseul),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행정학 연구주제의 정부별 변화동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2002년 노무현 정부부터 2016년 박근혜 정부까지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 894편이다. 연구방법은 주제어 빈도분석과 의미연결망분석, 클러스터 분석을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3년부터 2016년까지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에는 3,142개의 상이한 주제어들이 등장하였다. 둘째, 전체 연구기간 동안 주제어 간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노무현 정부시기에는 1,101개의 주제어가 도출되었으며, 학교, 교원, 평가 등이 높은 연결중심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대학 운영의 민주성과 자율성 강화’, ‘고교평준화’, ‘교육공동체’, ‘공교육 내실화’ 등의 주제들이 주로 논의되었다. 넷째, 이명박 정부시기에는 1,195개의 주제어가 도출되었다. 학교, 정책, 효과, 교원 등의 주제어가 높은 연결중심성을 나타냈으며, ‘고교 다양화 정책’, ‘대학입시’, ‘6.2지방선거’와 관련된 주제들이 연구되었다. 다섯째, 박근혜 정부시기에는 846개의 주제어가 도출되었다. 학교, 교원, 정책, 효과 등의 주제어가 연결중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 등록금 및 국가장학금’, ‘자유학기제’, ‘교원의 행정업무 경감’과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술지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trends of research topic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by period of the Presidents’ government. Subjects of this study are 894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Roh Moo-hyun government in 2002 to Park Geun-hye government in 2016.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3,142 different key words were appeared in the articles from 2003 to 2016.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n organic connection among the key words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Third, 1,101 key words were derived, and schools, teachers and assessments showed a high level of connectivity in the period of Roh Moo-hyun government. In particular, topics such as "strengthening the democracy and autonomy of university operations," "normalization of high schools," and "educational community" were mainly discussed. Fourth, 1,195 key words was derived in Lee Myung-bak government. Key words such as schools, policies, effects, and teachers showed a high level of Degree, and topics related to the "High School Diversifying Policy," "College admissions," and "6.2 Local election" were studied. Fifth, 846 key words were derived in Park Geun-hye government. Key words such as schools, teachers, policies, and effects showed a high level of of degree. Topic of "college tuition and National Scholarships" and "free-learning semester system" were studied.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will be carried out about various journals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교 과학과제 연구 수업의 주제 선정을 위한 실천 매뉴얼 개발 및 적용

        김애라,박다혜,박종석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科學敎育硏究誌 Vol.42 No.3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students and teachers commonly have difficulty in 'selecting the topic' in many activities including student-led research that is conducted from topic selection to the drawing of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nual for science teaching research. The instructional manuals of 4 stages were developed based on practical knowledge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actual class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Each stage is composed of <Orientation>, <Short essay review & presentation>, <Finding a science research topic from various sources>, and <Final scientific research topic>. In the third stage, students are expected to find scientific questions and develop them into research topics through detailed class research on newspaper articles, scientific magazines, traditional knowledge, proverbs, daily life, and textbook experim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final research topic was selected through a variety of sources such as textbook experiments, proverbs, YouTube images, newspaper articles, individual WHY NOTEs, and understood the conditions of the scientific research topic and expressed the variables in the research title.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some students did not consider the research scope of the selected research subjects to be specific or not to be able to study at their level. As a result of giving the students as much autonomy as possible, many groups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previous research and submitted i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development and use of a 'topic selection stage' centered practice manual for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would not only improve the students’ abilities to discover solutions to scientific questions, but it will also help shift their attitudes towards science in a positive direction. 본 연구는 주제 선정부터 결론 도출까지 학생 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과학 탐구가 포함된 학생 연구 활동에서 학생과 교사들이 공통적으로 ‘주제 선정 단계’를 특히 어려워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주제 선정 단계’를 중심으로 한 과학과제 연구 수업 실천 매뉴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및 문헌들을 통해 이론적 기조가 되는 내용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내용이 실제 수업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실천적 지식에 근거하여 4단계 16차시 분량의 수업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각 단계는 <오리엔테이션>, <소논문 리뷰 & 발표>, <다양한 정보원에서 과학 연구주제 찾기>, <최종 과학 연구주제 작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3단계 ‘다양한 정보원에서 과학 연구주제 찾기’에서 영상, 신문기사, 과학잡지, 전통지식, 속담, 일상생활, 교과서 실험 속 연구주제 찾기의 세부 수업 활동을 통해 과학적 의문을 찾고 이를 연구주제로 발전시키도록 한다. 개발된 내용은 경상북도 G시 읍면지역의 일반계 S고등학교 2학년 자연반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실험반은 개발된 수업 실천 매뉴얼에 따라, 대조반은 기존의 일반적인 과제 연구 수업 단계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들이 작성한 최종 과학 연구주제 작성지, 과학적 문제 발견 능력 검사,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수업 의견 조사지를 통해 적용된 수업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실험반에서는 교과서 실험, 속담, 유튜브 영상, 신문 기사, 개인별 WHY NOTE 등 다양한 정보원을 통해 최종 연구주제를 선정했으며, 과학 연구 주제의 조건을 이해하고 연구 제목에 변인을 드러내 표현하였다. 그러나 대조반에서는 일부 학생들이 선정한 연구주제의 연구 범위가 구체적이지 못하거나 학생 수준에서 연구할 수 있는 범위인지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작성했으며, 학생들에게 자율성을 최대한 많이 부여하다 보니 과제연구 활동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선행 연구물을 그대로 작성해서 제출하는 모둠이 많았다. 둘째,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 검사 결과 대조반은 14.84점에서 13.40점으로 1.44점 감소했으나(p>.05), 개발된 수업 실천 매뉴얼을 적용한 실험반의 경우 14점에서 25.42점으로 11.42점 증가(p<.05)하며, 하위 영역인 융통성, 정교성, 독창성 모두 점수가 상승함을 보였다. 셋째,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에서도 대조반의 경우 119.38점에서 116.96점으로 사전에 비해 사후 0.42점 감소(p>.05)하였으나, 실험반의 경우 119.80점에서 126.96점으로 10점 증가(p<.05)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주제 선정 단계’ 중심 과제연구 수업 실천 매뉴얼은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과학과제 연구 수업을 할 때 수업의 안내서 및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 발견 능력을 향상시키고 과학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교육재정경제연구」의 역대 정부별 연구주제 변화 동향 분석

        김예슬(Kim Ye seul),김병주(Kim Byoung 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무현 정부 이후 박근혜 정부년까지 「교육재정경제연구」에 게재된 논문 중 주제어와 초록이 제시된 339편을 대상으로 각 정부에 따른 연구주제의 변화 동향과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향후 연구자들이 보다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야 하는 연구 주제와 교육재정·경제학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교육재정·경제학 연구의 동향은 크게 빈도수 분석 방법과 의미연결망 분석 방법을 통해서 정리하였다. 전체 주제어 빈도 분석 결과 지난 14년 동안 빈도수가 높았던 대표 주제어는 ‘대학’, ‘사교육’, ‘학자금’, ‘교원’, ‘등록금’, ‘지방교육재정’, ‘정책’ 등의 순이었다. 전체 주제어 1,262개 중 15회 이상 출현한 주제어 16개를 대상으로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정책’, ‘지원’, ‘회계’가 가장 높은 연결 중앙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지방교육재정’의 경우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지만 연결중앙성 수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부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무현 정부 기간 동안 5회 이상 출현한 주제어 10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효율성’이 가장 높은 연결중앙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한 ‘교원’의 경우 낮은 연결중앙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명박 정부 기간 동안 5회 이상 출현한 단어 25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지원’, ‘정책’, ‘대학’이 높은 연결중앙성을 나타내었다. 박근혜 정부의 2013년부터 2016년 전반기 까지 5회 이상 출현한 주제어 19개를 분석한 결과 ‘정책’, ‘지원’이 높은 연결중앙성을 나타내었다. ‘지방교육재정’의 경우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지만, 가장 낮은 연결중앙성을 나타내었다. 교육재정·경제학은 인접한 다른 학문들과 서로 깊은 연관성을 가진 학문이며, 추후 융·복합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는 학문임을 시사받을 수 있다. 더불어 향후 교육재정·경제학의 외연을 넓히기 위해서는 낮은 연결중앙성으로 한정된 주제에 매몰되어있는 ‘지방교육재정’과 관련된 주제어들을 좀 더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여 활발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topics in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by successive governments from 2003 to 2016. For this study, 339 journal articles and 1,262 key words from them excluded overlapping words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To analyze research topics of the journal articles,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in which they were coded four topic area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1,262 key words of 339 journal articles cover the various study areas including evaluation, efficiency, academic achievement, communication, university, policy, and teacher, etc. It means that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can expand its field to and harmony with the adjacent research area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 variety of areas in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y research should be studied. Secondly, the key words were changed with the emphasis of the successive Government’s educational policy. More in-depth discussion and study is needed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them. Thirdly, according to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key words of 339 journal articles were connected organically. Policy, support, account, and university are posted at the center and connected each other organically. However in spite of high frequency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it is not posted at the center. It means that almost researches on educational finance were focused educational finance itself rather than connection with other areas. More various research on educational finance connected with other areas should be conducted. More expanded research on trends of research topics in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including specific topics, research methodologies, research types and overseas journals could be expected as the oncoming studies of this study.

      • KCI등재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비서 연구 동향

        이화진(Lee, Wha Jin) 한국비서학회 202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국내 ‘비서’ 연구의 동향과 연구의 ‘주제어’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03년~2019년까지의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 Korea Citation Index)에서 ‘비서’를 검색어로 한 학술논문 중 등재지와 등재후보지의 연구물 388편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1,765개의 논문 초록의 저자 ‘주제어’ 정제작업을 거쳐 최종 963개의 ‘주제어(node)’를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주제어 출현빈도에 근거한 ‘비서’ 연구의 주요 주제어를 분석하였는데, 6회 이상 사용된 주제어들을 대상으로 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지표인 연결 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분석을 활용하여 ‘비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비서’ 관련 연구는 비서, 비서학, 직무만족, 비서과, 역량, 교육과정, 비서교육, 조직몰입, NCS, 직무분석 등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다. 둘째, 주제어 중심성 분석결과, 비서, 직무만족, 역량, 교육과정, NCS 주제어가 연결강도가 높았고, 비서, 교육과정, NCS, 직무만족, 비서과 등의 주제어는 근접중심성이 높아 다른 주제어와 가깝게 위치하며, 비서, 특성, 자기효능감, NCS, 비서과 등의 주제어는 다른 주제어 사이에 존재하여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셋째, ‘비서’ 연구는 그룹별로 비서, 역량, NCS, 델파이, 직무, 역할 등이 관련되어 연구되고 있었으며,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태도,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 등이 관련되어 있었고, 전문대학, 교육과정, NCS, AHP, 개발, 비서과 등이 관련되어 연구되었으며, 직무분석, Dacum, 법률비서 등의 주제가 연관되어 연구되고 있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비서, 스마트폰 등의 연구가 관련되어 연구되고 있었다. ‘비서’ 관련 주제어 네트워크는 전체적으로 조밀하기보다는 각각 집단을 형성하여 넓게 분포되어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of secretary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keywords of articles published from 1998 to 2019 containing ‘secretary,’ retrieved from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database, which provides a range of academic information on domestic journals and articles. Finally, 388 related studies were selected from the KCI list of academic articles, and 963 keywords were extracted by refining the keyword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 refinement process, and 43 key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word frequency. The selected keywords were converted to matrix data and analyzed by social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frequency analysis,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use of keywords for analyzing the main concepts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cretary,’ ‘secretarial studies,’ ‘job satisfaction,’ and ‘department of secretary’ were among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in the articles. Second, ‘job satisfaction,’ ‘curriculum,’ and ‘trait’ showed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respectively, except for ‘secretary.’ Third, the keyword network was visualized. Based on an analysis of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index, this study diagnoses the past and present of secretary research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Overall,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because they provide a conceptual reference point that can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ecretary research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secretaries.

      • KCI등재

        연구 방법과 연구 주제에 따른 한국어 읽기 연구 분석

        심상민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2

        본 논문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읽기 영역의 연구 경향을 연구 방법 및 주제에 따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한국어 읽기 교육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78편의 논문(학술지 논문: 24편, 학위 논문: 54편)을 대상으로 연구 방법과 연구 주제에 따라 논문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학술지 논문과 학위 논문에서는 일차적 연구의 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학위 논문의 경우에는 학술지 논문과 달리 다중 연구 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논문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이 설문지법과 인터뷰 등의 특정 연구 방법에 치우쳐 있다는 분석 결과를 통해 다양한 연구 방법의 활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편, 연구 주제에 따른 분석 결과는 학술지 논문과 학위 논문의 연구가 몇 개의 주제에 편중되어 있음을 보여 주었다. 특히, 글의 요지 이해와 교수 과정에 관한 연구 주제 및 담화 조직과 텍스트 이해에 관한 연구 주제가 읽기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경향 분석을 통해 읽기 연구 방법 및 연구 주제의 다양성 제고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KSL/KFL reading research papers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f research methods and topic trends in KSL/KFL reading research. A total of 78 research papers, searched in the KERIS(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http://www.riss4u.net/index.jsp),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First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and these for a degree indicate that many primary researches were found compared with secondary researches. Secondary, the multiple research methods were used very often compared with single research method in the these for a degree. Thirdly, most of primary researches used certain research methods frequently, that i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Lastly, in term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topi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wo kinds of research papers show that only a few research topics were dealt with in reading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that various research methods and topics should be utilized in KSL/KFL reading research.

      • KCI등재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국내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관련 미술치료 연구동향

        좌유선(Joa Yoo-sun),정여주(Chung Yeo-ju)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국내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관련된 미술치료 연구의 종합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최신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외에서 발간된 학술지 논문과 박사 학위논문 중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관련 미술치료 연구 87편을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 분석을 통해 발행 편수, 연구 대상, 외상 유형, 연구 설계, 미술치료 중재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여 핵심 주제어들과 이들 주제어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빈도 분석 결과 국내 연구 중 절반 이상이 여성을 대상으로 집중 되어 있는 반면 국외에 비해 혼성 대상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상 사건을 간접 경험한 대상자를 상대로 한 연구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연구 대상의 확장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국내 연구의 경우 연구방법 유형이 실험․사례연구에 국한된 경향을 보였다. 주제어와 연결망의 특성을 알아본 결과 국내 연구의 주제가 우울, 불안과 같은 특정 외상 정서에 편중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보았을 때 향후 국내 연구에서 연구 주제의 범주를 확장하고 조사 연구와 프로토콜 개발 연구 등 과정과 절차에 따른 성과에 대해 논의하는 방법론적인 측면도 다룸으로써 연구 유형을 다양하게 발전 시켜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rehensive contents of art therapy studies related to PTSD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and to organize the latest research trends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Frequency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on 87 art therapy studies on PTSD among academic journal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2007 to 2018. Via frequency analysis, we examined the number of study publications, research subjects, trauma types, study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y intervention. Subsequently,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keywords. While more than half of the domestic studies concentrated on women, there was a shortage of mixed male-female studies especially compared to abroad. Furthermore, there was no study of subjects who indirectly experienced trauma cases. types of research methods tended to be limited to experimental and case studies. In light of these results, it is essential to expand research subjects. when the keywords and keyword networks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domestic research are mainly focused on certain traumatic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Overall, the scope of research themes should be widened and various research types should be explored via dealing with the methodological aspects of study outcomes according to processes and procedures such as research frame and protocol development research.

      • KCI등재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재난안전관리 연구의 경향과 체계 분석

        김은미(金恩美) 한국정부학회 2019 한국행정논집 Vol.31 No.3

        본 연구는 재난 및 안전관리의 복합적이고 포괄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범학문적으로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재난안전관리 연구주제의 경향과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난안전관리 연구체계는 재난관리와 안전관리로 이분화 되기보다는 10개의 다양한 연구주제군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 중 ‘재난관리’(군집1)와 관련된 연구주제들이 가장 큰 중심 군집으로 도출되었다. 최근에는 범죄(군집2)나 경찰/치안(군집3) 등에 관한 연구주제들로 크게 연구범위가 확장되었으며, 테러리즘(군집4)과 식품안전(군집10)도 하부 분야로 확실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 연구주제 경향을 살펴보면, 초기에는 위험, 재난, 위기관리에서 출발하였지만 범위와 영역이 점차 확장되어 과학기술위험, 해양안전, 원자력, 산업안전 등 다양한 안전관리 영역으로 세분화되고 있다. 이러한 재난안전관리 연구를 전체적으로 연결하는 중심 주제는 ‘예방’으로 나타나, 사후복구나 대응보다는 예방적인 견지에서 많이 연구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opic trends and analyze knowledge structure of Korea"s researches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Analysis data were comprehensively collected in an interdisciplinary wa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opic on ‘prevention’ was the most central in knowledge network. Second, research structure was divided into 10 clusters. Among them, the research topics related to ‘disaster management’(group 1) were identified as the biggest group. Recently, researches on crime(group 2), police(group 3), and terrorism(group 4) have also been a major research area. It started from topics such as risk and crisis management, but its scope gradually expanded to detailed area such as science and technology risk, marine safety, nuclear power, and industrial safety.

      • KCI등재

        ‘국악교육연구’ 게재 논문의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연구 동향 파악

        김경태,이수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1 국악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국악교육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의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해 국악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9월 이후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악교육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00편의 초록을 대상으로 언어 네트워크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주제어의 빈도수, 연결망 및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총 2872개의 주제어가 추출되 었다. 이에 대한 결과는 첫째, 주제어 빈도는 ‘음악’이 가장 높고, ‘국악’, ‘음악교과서’, ‘교육’, ‘내용’, ‘교육과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제어 간 연결빈도는 ‘음악과’와 ‘교육과정’ 이 가장 높고, ‘개정’과 ‘음악과’, ‘지도’와 ‘내용’, ‘교수학습’과 ‘방법’, ‘중학교’와 ‘음악교과 서’, ‘국악’과 ‘교육’, ‘음악교과’와 ‘수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제어의 연결중심성은 ‘국 악’, ‘음악교과서’, ‘내용’, ‘음악’순으로 나타났고, 매개중심성은 ‘음악’, ‘국악’, ‘음악교과서’, ‘교육’, ‘내용’, ‘교육과정’, ‘활동’, ‘활용’, ‘교수학습’, ‘음악과’, ‘문화’, ‘지도’, ‘제시’, ‘이해’, ‘개정’, ‘학생’, ‘방법’, ‘집단’, ‘필요’, ‘분석’, ‘영역’, ‘요소’, ‘연구’, ‘민요’, ‘방안’, ‘연계’, ‘표 현’, ‘특징’, ‘제재곡’, ‘감상’, ‘적용’이 동일하게 높았으며, 위세중심성은 ‘국악’, ‘음악교과서’, ‘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현재 국악교육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음악교과서의 지도 내용, 교수학습방법이 주요한 주제로 연구되고 있으며 향후 교육현장에서의 국악교육의 실천적 수행과 다양한 장르의 국악 제재곡, 역량 강화를 위한 국악의 통합적 활용, 국악창작활동 영역에서의 연구 수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악교육연구’의 주제어 분석 연구를 수행하여 연구동향의 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연 구가 필요한 분야에 대해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국악교육연구 주제어의 범위를 세부화하여 전문화되고 심도 있는 연구주제 도출 및 국악교육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Korean music education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usic Education Research.’ For this, 100 abstracts published between September 2015 and December 2020 were analyzed for keyword frequency, co-occurrence frequency, and centralit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2872 keywords were extra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keyword frequency analysis revealed that ‘music,’ ‘Korean music,’ ‘music textbook,’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al curriculum’ were the main keywords. Secondly, the analysis of co-occurrence frequency among keywords showed that ‘the subject of music’ & ‘curriculum,’ ‘revision’ & ‘the subject of music,’ ‘instruction’ &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 ‘method,’ ‘middle school’ & ‘music textbook,’ ‘Korean music’ & ‘education,’ and ‘the subject of music’ & ‘include’ were highly relevant keywords. Thirdly, the centrality analysis showed that ‘music textbooks,’ ‘contents,’ and ‘curriculum’ were a core subject domain while ‘application,’ ‘appreciation,’ ‘music pieces for class use,’ ‘characteristics,’ ‘expression,’ and ‘linkage’ played a role in linking keywords of Korean music education research as a domain with expandability to be studied in the future. In particular, ‘appreciation,’ ‘competency,’ and ‘integration’ were keywords with the academic value that could increase the importance of resear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research on the keyword analysis of ‘The Journal of Korean Music Education Research’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fields for further research. In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Korean music education that can support learners in term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and research that can promote the qualitative growth and utilization of Korean music linking with related studies will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