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결납세에 있어서 단일실체개념과 개별실체개념의 상충 및 조화

        이준규,박성욱 한국세무학회 2010 세무와 회계저널 Vol.11 No.3

        Under consolidated return system, the single entity concept which treats a consolidated group as one corporation and a consolidated corporation as a division of the consolidated group should apply. However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separate entity concept in some aspects for the simplicity of the system and the prevention of the tax evasion. This paper reviews and analyzes the adequacy of applying the separate entity concept in the current consolidated return system and suggests the remedy as follows;First, it is not consistent with the single entity concept that deferring intercompany gain and loss are limited to certain items even though it is designed to simplify the system. Deferring intercompany gain and loss should apply for all kinds of transactions except those with small amount of gain or losses. Second, tax attributes such as character, exemptions and holding periods should be redetermined on a consolidated basis in order to maintain the single entity concept in intercompany transactions Third, since the effect of pooling separate limitations exists for credit for research and human development expenses, foreign tax credit, credit for casualty losses and minimum taxes, those items should be determined on a consolidated basis. Fourth, in order to elimination of double taxation and double deduction effect for gains or losses from disposition of subsidiary stocks, stock basis adjustments as in partnership taxation should be introduced. 연결납세방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연결집단을 하나의 법인으로 보아 연결세액을 산정하는 방식을단일실체개념이라고 하고 연결법인별로 계산한 금액을 합산하여 연결세액을 산정하는 방식을 개별실체개념이라고 한다. 연결납세가 연결집단의 경제적 일체성을 중시하여 연결집단을 하나의 실체로 보아 과세되도록 하려는 것이라는 점에서 볼 때 단일실체개념의 수미일관한 적용이 논리적이지만 제도의 복잡성과 조세회피의 가능성을 고려해보면 개별실체개념의 일부 적용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점하에 현행 연결납세제도의 구체적인 규정별로 단일실체개념과개별실체개념 중 어떤 개념에 의하여 입법된 것인지를 구분하고 개별실체개념에 입각한 규정에 대하여는 제도의 단순화 및 조세회피방지라는 두 가지 기준 중 어느 하나에 적합한 것인지 검토하였으며 적합하지 않은 규정에 대하여는 개선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제도의 단순화를 목적으로 연결법인간 거래손익의 제거대상을 일부 항목으로 제한하고 있으나 단일실체기준의 적용결과와 차이가 클 여지가 있으므로 제한적으로 열거할 것이 아니라 포괄적으로 규정하되, 일정 규모 미만인 연결집단에 대하여는 해당 연결집단의 선택에 따라 개별실체개념을 적용하여 각 연결사업연도의 소득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둘째, 연결법인간 거래손익의 인식에 있어서 조세특성에 관하여 연결집단 전체적인 입장에서 다시 결정하도록 하지 아니한 것은 조세의 단순화를 위한 것이지만 이를 이용한 조세회피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조세특성에 관하여는 단일실체개념을 적용하여 연결집단의 입장에서 재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 경우에도 일정 규모 이하의 거래에 대하여는 예외를 두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결사업연도소득을 기초로 연결과세표준과 연결세액을 계산함에 있어서 개별실체개념에따라 비과세소득, 소득공제, 감면 및 가산세 등을 산정하도록 한 것은 제도의 단순화를 위하여 타당하다고 판단되지만, 예외적으로 한도에 의하여 규제되는 등 단일실체개념에 따른 결과가 현행규정에 의한 금액과 차이가 발생하는 항목들은 단일실체개념에 따라 연결집단의 입장에서 재산정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넷째, 현행 연결납세제도에서는 연결모법인이 보유하는 연결자법인 주식의 장부가액을 연결자법인의 손익 및 배당상황에 따라 조정하도록 하지 않음에 따라 이중과세 또는 이중공제되는 문제가있으며 단일실체개념의 취지에 따라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행 조세특례제한법상의 동업기업과세특례에서 채택하고 있는 지분가액조정제도와 같은 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과학영재들이 문제발견 과정에서 나타내는 과학개념 연결방식과 융합적 사고의 특징

        박미진 ( Mi-jin Park ),서혜애 ( Hae-ae Se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科學敎育硏究誌 Vol.42 No.2

        본 연구는 과학영재들이 문제발견 과정에서 나타내는 과학개념 연결방식과 융합적 사고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5학년도 광역시 소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중등 심화과정 전공영역별로 지원한 228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연구대상은 선발과정 1차전형에서 실시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30%에 속하는 67명을 상위집단으로, 하위 30%에 속하는 64명을 하위집단으로 구분하고, 두 집단에 속하는 총131명을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검사도구 문항은 초등과학 교육과정에서 추출한 소리, 전기, 무게, 온도, 호흡, 광합성, 날씨, 지진의 과학개념 8개를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검사문항은 과학개념 8개 가운데 가장 선호하는 과학개념 2개를 연결하여 과학적 질문을 생성하도록 제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이 진술한 과학적 질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들은 심화과정 전공영역에 따라 과학개념 연결 선호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과학적 질문에서 나타난 과학개념 연결방식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먼저관계, 유사성, 비유사성에 근거한 연결방식으로 분류하였다. 나아가 관계에 근거한 과학개념 연결방식은 속성, 수단, 영향, 예측, 원인, 측정, 현상으로, 유사성에 근거한 과학개념 연결방식은 속성, 대상, 과학적 원리, 현상에 근거한 연결로, 비유사성에 근거한 과학개념 연결방식은 병렬, 자원, 제거에 근거한 연결로 세분화하였다.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에 과학개념 연결방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p <.000) 차이를 보였다. 상위집단은 하위집단에 비해 서로 다른 과학영역에 해당하는 개념을 연결하여 과학적 질문을 더 많이 생성하였으나, 하위집단은 상위집단에 비해 동일한 과학영역 내 개념들을 연결하여 과학적 질문을 더 많이 생성하였다. 상위집단은 하위집단에 비해 유사성에 근거한 과학개념 연결방식을 더 빈번하게 사용하는 특징을 나타낸 반면, 하위집단은 상위집단에 비해 비유사성에 근거하여 단순하게 병렬시키는 연결을 더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science gifted connect and integrate science concepts in the process of problem finding. Research subject was sampled from 228 applicants for a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in 2015. A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 (CPST) in science, which administered as an admission process, was utilized as a reference to sample two groups. Sixty-seven students from top 30% in test scores were selected for the upper group and 64 students from bottom 30% in test scores were selected for the lower group. The CPST, which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included one item about how to connect two science concepts among eight science concepts, sound, electricity, weight, temperature, respiration, photosynthesis, weather, and earthquake extracted from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s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choosing two concepts among four science major areas. The ways of connecting science concepts were characterized by three categories, relation-based, similarity-based, and dissimilarity-based. In addition, relation-based was characterized by attributes, means, influences, predictions, and causes; similarity-based was by attributes, objects, scientific principles, and phenomena, and dissimilarity-based was by parallel, resource, and deletion. There were significant (p <.000) differences in ways of connecting science concepts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groups. The upper group students preferred connecting science concepts of inter-science subjects while the lower group students preferred connecting science concepts of intra-science subject. The upper group students showed a tendency to connect the science concepts based on similarity. In contrast, the lower group students frequently showed ways of connecting the science concepts based on dissimilarity. In particular, they simply parallelled science concepts.

      • KCI등재

        연결당기순이익 구성항목의 변화와 가치관련성-비지배지분귀속 당기순이익을 중심으로-

        정재연,신현걸 한국세무학회 2013 세무와 회계저널 Vol.14 No.6

        While Korean parent companies had reported consolidated net income under the parent entity concept until 2007, they have reported it under the entity concept since 2008. With respect to consolidated net income, the basic difference between parent entity concept and entity concept is that net income attributable to non-controlling interests(‘NCI’ hereafter) is excluded from the consolidated net income under parent entity concept, however, it is included in the consolidated net income under entity concept. This paper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value relevance of consolidated net income between two periods, PeriodⅠ(2004 through 2007) and Period Ⅱ(2008 through 2012). Regardless of the accounting standards applied, it is reasonable that there should no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relevance of consolidated net income under the two concepts. However, if the significant difference would be fou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market could not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consolidated net income. We found that value relevance of Period Ⅱ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eriodⅠ. It would result from the NCI that affected negatively the stock price as a noise, and the result does not change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IFRS adoption in 2011. We can conclude that the market does not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consolidated net income after adoption the entity concept, and stock prices could be affected by the form rather than the subst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우리나라 기업은 2007년까지 지배기업개념에 기초하여 연결당기순이익을 보고하였으나, 2008년부터는 실체개념에 기초하여 연결당기순이익을 보고하고 있다. 연결당기순이익에 있어서 두 개념간의 근본적인 차이는 지배기업개념 연결당기순이익에는 비지배지분순이익이 제외되는 반면, 실체개념의 연결당기순이익에는 비지배지분순이익이 포함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기간을 2007년 이전과 2008년 이후로 구분하여 연결당기순이익의 주가관련성이 두 기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검증하였다. 적용하는 회계기준과 관계없이 연결실체의 경제적 실질은 동일하기 때문에 지배기업개념의 연결당기순이익과 실체개념의 연결당기순이익의 주가관련성이 유의하게 다르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양자의 주가관련성이 유의하게 다르다면 시장에서 연결당기순이익의 의미를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과 2008년 이후 실체개념에 따른 연결당기순이익과 주가의 관련성은 2007년 이전 지배기업개념에 따른 연결당기순이익과 주가의 관련성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이는 2008년 이후 연결당기순이익에 포함된 비지배지분귀속 당기순이익이 잡음(noise) 역할을 한 데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2011년부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의무적용에 따른 효과를 고려한 후에도 실체개념에 따른 연결당기순이익의 주가관련성은 그 이전의 기간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따라서 시장에서는 공시된 연결당기순이익의 본질을 제대로 꿰뚫어 보지 못하고, 외형에 의해 주가가 오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베이스(KISVALUE)의 2008년 이후 연결당기순이익이 연결손익계산서상 연결당기순이익이 아닌 지배기업소유주귀속 당기순이익으로 입력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연결재무제표가 기본재무제표로 공시되고 있는 국제회계기준의 환경 하에서 향후 연결당기순이익을 이용하는 연구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자의 주의가 필요하며, 관련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이 조속히 수정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핵심개념의 이해 증진을 위한 해외 중학교 과학교과서 내용 및 디자인 분석

        김덕순,이현주,문공주,황요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4

        창의·융합 인재 양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과학교육 분야에서는 여러 개념들을 연결 지어 이해하도록 돕는 핵심개념의 습득과 과학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역량의 함양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미국, 호주, 싱가포르 등은 최근 국가 수준의 과학과 교육과정을 개정하면서 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핵심개념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한 교수·학습자료를 개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 호주, 싱가포르의 과학 교과서 중 핵심개념을 명시적으로 강조한 교과서의 내용과 구성방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미래형 과학 교과서의 구성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국에서 핵심개념을 강조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 1종씩을 선정한 후, 3종의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모두 다루고 있는 주제인 ‘다양성’단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미 국 교과서 Science Fusion은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단원들을 연결하는‘핵심개념 중심 구성’을 갖는 반면, 싱가포르 교과서 Science Matters는 연결개념을 중심으로 단원들을 연결하는‘연결개념 중심 구성’을 나타냈다. 호주 교과서 Big Ideas Science는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기는 하나 연결개념과의 연관성을 잘 보여주어 ‘혼합형’으로 분류하였다. 이 연 구 결과를 통해 과학 교과서 개발의 새로운 방법을 시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sponding to the societal demands for cultivating creative and convergent personnels, science educators and organizations have been putting more emphasis on promoting students’ understanding core ideas through scientific inquiry. Some countries, such as U.S., Australia and Singapore, recently reformed their science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n order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core ideas, and put the efforts on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o achieve the a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future science textbook development in Korea by analyzing contents and design of foreign science textbooks that explicitly emphasize core ideas. For achieving the aim, we selected thre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rom USA, Australia and Singapore, and targeted a‘diversity unit which commonly existed in the three textbooks. In result, the US textbook, Science Fusion , was organized to aligned the units with core ideas, whereas the contents of Science Matters in Singapore was designed to present the themes. The Australian textbook. Big Ideas Science , was organized along the core ideas as well as the cross-cutting concep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provides new visions for the next science textbook development.

      • KCI등재

        현행 연결납세제도상 연결조정에 관한 연구

        이준규,심충진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와 회계저널 Vol.12 No.3

        This article evaluates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consolidation adjustments under the current consolidated return system as follows;First, under the current consolidated return system, dividends received which are excluded from the computation of consolidated taxable income are allocated to members of the consolidated group in proportion to the rate of stock holding. This treatment causes tax inequity since the allocation of exclusions recalculated according to the single entity concept does not properly reflect each member's contribution to the excluded amount increased due to the consolidated return. For the remedy to the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two alternative methods:(i) the method of allocating consolidated exclusions in proportion to each member's exclusions computed under its separate return and (ii) the method of allocating exclusions increased due to the consolidated return in proportion to the rate of each member's stock holding. Second, under the current consolidated return system, the excess of the limitation of charitable contributions and entertainment expenses which are computed according to the single entity concept is allocated to each members in proportion to its total payment of the expenses during the year. This treatment also causes tax inequity since the allocation does not reflect each member's contribution or accountability to the excess increased or decreased due to the consolidated return. For the remedy to the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two alternative methods:(i) the method of allocating consolidated excess in proportion to each member's excess computed under its separate return and (ii) the method of charging for the use of surplus for the limitation in addition to the allocation under the first method. Third, all transactions between members should be excluded from the revenue which is the basis of calculating the limitation of consolidated entertainment expenses. Fourth, regulations necessary for the treament of forwarding the excess of limitation of consolidated charitable contributions to the following year should be provided. 2010년부터 시행되는 연결납세제도에서 연결조정에 관한 규정은 단일실체개념에 따라 연결집단을 하나의 내국법인으로 보아 연결과세표준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연결조정항목의 재계산액을 각 연결법인에게 배분하는 것은 연결세액의 분담과 연결납세의 중단 또는 연결이탈을 대비하는 등 개별실체개념에 입각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결조정에 관한 규정의 문제점을 가상의 사례를 통하여 정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현행 연결납세제도에서는 연결집단을 하나의 내국법인으로 보아 수입배당의 익금불산입액을 재계산하고 이를 각 연결법인의 출자비율에 비례하여 배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분기준으로 인하여 개별납세하였을 경우와 비교해 보면 연결법인간 유불리가 달라지며, 공평하지 못하게 배분되는 측면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는 개별납세하였을 경우 산정되는 익금불산입액에 비례하여 재계산된 익금불산입액을 각 연결법인에게 배분하는 방법(재계산액의 개별익금불산입액 비례배분법)과 연결납세로 인하여 증가되는 익금불산입액을 출자비율에 비례하여 각 연결법인에게 배분하는 방법(증가계산액의 출자비율 비례배분법) 중 연결집단이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연결집단을 하나의 내국법인으로 보아 기부ㆍ접대비 한도를 재계산하고 이를 연결법인별 기부ㆍ접대비 지출액에 비례하여 각 연결법인에게 배분하도록 하고 있으나 수입배당액의 익금불산입에서와 같이 연결납세로 인한 차이에 대한 각 연결법인의 기여도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는 각 연결법인이 개별납세할 경우 산정되는 기부ㆍ접대비 한도초과액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방법(재계산액의 개별손금불산입액 비례배분법)과 재계산액의 개별손금불산입액 비례배분법으로 하되, 개별납세시 한도미달이 있는 연결법인이 있는 경우 한도초과가 있는 연결법인으로부터 한도미달의 사용대가로서 한도초과 감소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배분받는 방법(한도미달대가를 고려한 재계산액의 개별손금불산입액 비례배분법) 중 연결집단이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 경우 한도미달대가의 분할방법은 미국의 연결납세제도에서 세무상 잉여금을 산정함에 있어서 결손사용대가를 고려한 연결세액의 배분방법 중 비율법과 사후정산법의 논리를 차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연결집단의 접대비한도를 계산함에 있어서 양도손익이연자산 이외의 자산의 연결법인간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수입은 접대비한도계산을 위한 수입금액에 포함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단일실체개념의 논리에도 맞지 않고 다른 연결법인에게 지급한 접대비를 손금에 산입하지 않는 점을 감안할 때 연결법인간 거래로 인한 수입의 전액을 접대비한도계산을 위한 수입금액에서 제외하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연결집단을 하나의 내국법인으로 보아 산정한 기부금의 한도초과액에 대한 처리방법이 규정되어 있지 않다. 연결한도초과액은 이월하여 그 다음 연결사업연도 이후에 연결한도초과액이 연결한도미달액을 한도로 손금에 산입되도록 하고 연결한도초과액은 어떤 연결법인에서 발생한 것인지에 따라 해당 연결법인에게 귀속되는 것으로 하여야 하며, 그 이후의 연결사업연도에 연결한도미달액이 발생할 경...

      • KCI등재후보

        상상표현에서의 개념적 혼성

        박용혁 ( Yong Hyuk Par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1

        본 논문은 미술교과서에 제시된 학생의 상상표현 작품을 개념적 혼성 이론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이 상상표현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개념적 혼성을 이용하는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인지언어학의 사례들을 표상하고 설명하기 위해 창조된 개념적 혼성 이론을 새로운 현상, 즉 미술에서의 상상표현의 과정에 확장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개념적 혼성은 공간횡단 사상, 총칭공간의 형성, 혼성공간으로의 투사, 발현구조를 조건으로 하며, 러한 원리를 통하여 개념적 통합 연결망이 형상화된다. 개념적 통합 연결망은 단순 연결망, 거울 연결망, 단일범위 연결망, 이중범위 연결망의 네 가지 유형이 있으며, 이를 토대로 미술교과서에 제시된 학생의 상상표현 작품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네 가지 통합 연결망 유형들은 상상표현의 과정을 인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상상표현을 위한 과정들을 확인하고 통일시키고 조화시키는 포괄적인 과정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념적 혼성 이론을 적용한 분석은 상상표현을 서로 다른 영역들 또는 유사한 영역들을 단순히 연결하는 차원에서의 설명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연결이 왜 가능한지, 그리고 그것을 통해 어떤 새로운 심상이 만들어지는지를 효과적으로 설명하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분석에 적용한 네 가지 유형들은 상상표현에 대한 더욱 세분화된 새로운 유형들을 위한 청사진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aginary works of students included in art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a conceptual blending theory in an attempt to explore how the students made use of conceptual blending in the process of imaginary expression.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had been created to represent and explain the cases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it`s meant in this study to extend the sphere of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by applying it to a new phenomenon, namely the process of imaginary art expression. There are several prerequisites for conceptual blending: cross-space mapping, generic space, projection into a blending space and emergent structure. A conceptual integration network is visualiz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se principles. And there are four different sorts of conceptual integration networks: simplex network, mirror network, single scope network and double scope network. The imaginary works of students included in art textbooks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the four kinds of conceptual integration networks. And it`s found that the four kinds of conceptual integration networks served to provide a framework of the process of imaginary expression and a comprehensive process of confirming, unifying and coordinating the processes of imaginary expression. When analysis is made by applying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it`s possible to not only link different or similar domains of imaginary expression but to explain what makes it possible to link those domains and what sorts of new imagery could be created by that. Furthermore, the use of the four types is expected to give a clue about more segmented, new types of imaginary expression.

      • KCI등재

        수학 내적 연결 관점에 따른 3차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현대적 재조명

        이예진,장혜원 대한수학교육학회 2023 수학교육학연구 Vol.33 No.3

        This study aims to derive pedagogical implications from a modern perspective on the internal connections of mathematics by analyzing the connection methods found in the 3r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using the conceptual connection elements extract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s an analytical framework. Compared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3rd curriculum showed stronger internal connections in both constitutive method aspects and relational content aspects, having a total of 17 conceptual connection elements. The vertical connection was reflected in one-to-one correspondence relation, relation between divisors and multiples, relation between fractions and decimal fractions, inclusion relation, and equivalence relation, etc, while the horizontal connection appeared in one-to-one correspondence relation, relation between fractions and decimal fractions, equivalence relation, and etc. In order to emphasize connection in the curriculum, content domains emphasizing internal connections are constructed or conceptual connection elements are introduced across several domains and units so that a concept is learned from multiple perspectives in different domains and in stages over grades. 본 연구는 3차 초등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추출한 개념적 연결 요소를 분석틀로 하여 3차 초등교육과정및 교과서에 나타난 연결방식을 분석함으로써 현대적 관점에서 수학 내적 연결에 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분석 결과 3차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구성적 방법 측면, 관계적 내용 측면에서 2022개정 교육과정에 비해 수학 내적 연결이강하게 나타난 교육과정이었으며 총 17개의 개념적 연결 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수직적 연결이 반영된 개념적 연결 요소에는일대일 대응 관계, 약수와 배수의 관계, 분수와 소수의 관계, 포함 관계, 동치 관계 등이, 수평적 연결이 반영된 연결 요소에는 일대일대응 관계, 분수와 소수의 관계, 동치 관계 등이 있었다. 교육과정에서 연결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내적 연결을 강조하는 내용 영역을구성하거나 개념적 연결 요소를 여러 영역 및 단원에 걸쳐 등장시켜 하나의 개념을 여러 영역의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여러 학년에걸쳐 단계적으로 학습하도록 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Rapid-cycling Brassica rapa 를 이용한 멘델 유전의 양성잡종 교배 실험 수업의 적용 효과

        이미향,김혜연,김성하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3 현장과학교육 Vol.7 No.1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xperimental instruction materials regarding genetics using Rapid-cycling Brass rapa (RcBr) and to determine its effects on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 change of conception in genetics and of attitudes toward science. Developed instruction materials using RcBr in this study were designed to improve the conception in genetics and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by growing RcBr, performing dihybrid cross, observing their phenotypes, and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data. Four classes of the 11th grader students of 'J' high school in Incheon were chosen for this study and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y the developed instruction materials using RcBr, while control group was taught in a traditional manner. The achievement test for the concepts in genetics and the word association test and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were given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s. The process of changes on conception was investigated concretely through before and after interviews. Students thought that RcBr is an excellent plant material to study genetics. Developed instruction materials using RcBr were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conception in genetics and strengthen the relatedness among conceptions. It will provide students good opportunities to learn Mendelian genetics and experience genetic phenomena. 이 연구에서는 속성 식물인 Rapid-cycling Brassica rapa (RcBr)을 이용한 멘델 유전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고등학생에게 적용하여 유전 개념의 변화와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에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멘델 유전 교수․학습 자료는 학생들이 직접 RcBr을 심고 배양하여멘델 유전의 양성잡종 교배 실험을 경험하면서 개체 수준의 유전 현상을 이해하고, 세포분열과 생식 개념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는 인천시 소재 J 고교 2학년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에 적용하였고, 통제 집단은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전통적 수업을 하면서변인 통제를 위하여 RcBr의 생활사 및 실험 과정을 소개하였다. 수업 실시 전후에 동일한 검사지로 유전 개념성취도 검사와 단어연결검사를 실행하였고,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정성적인 분석을 위해 4명의 학생을 선정하여 사전, 사후에 면담을 통해 구체적인 개념 변화 과정을조사하였다. RcBr을 이용한 멘델 유전 실험 수업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RcBr을 이용한 양성잡종 교배 실험 수업을 수행한 실험 집단 학생들의 유전개념 성취도는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실험 집단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과학에대한 태도의 하위 영역 중 과학 수업의 즐거움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단어연결검사 결과, 실험집단 학생 전체의 개념 연결망은 통제집단에 비해 개념 연결의 강도가 강해졌고, 상대적으로 연결이 복잡해졌다. 면담을 통한 정성적 분석 결과, RcBr을 이용한 유전 실험 후 실험 집단학생들은 개별 개념에 대한 이해와 개념간의 연결이 강화되었고 식물의 생활사와 식물의 교배 실험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서사용한 RcBr은 멘델 유전 개념을 구체화시켜 경험할 수 있는 좋은 재료이며, RcBr을 이용한 교수․학습 자료는 고등학생의 유전 개념 변화와 개념들사이의 연관을 강화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어 연결어미 ‘-지만’의 특성과 기술 방안

        박종호(Bak, Jong-H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7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에서 출현 빈도가 높은 연결어미 ‘-지만’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고 그 기술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결어미는 한국어의 첨가어적 성격을 잘 보여주는 문법 요소로 하나의 의미를 여러 형태가 공유하기도 하고 하나의 형태 안에 여러 개념들이 존재하기도 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연결어미의 기능과 용법 등을 나타내는 데 자주 쓰이는 하나의 의미만을 대상으로 논의한 경우가 많았으며, 그러한 논의들에서도 부족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한 형태의 연결어미가 다양한 의미 환경에서 쓰일 때 나타나는 그 변별적 특성을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습하는 데 다소 어려움을 줄 수 있다. 이에 연결어미가 쓰이는 상황에 따라서 각 개념별로 세분화하고 각 개념에서 나타나는 특성에 대해서 논의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연결어미 ‘-지만’을 대상으로 기존의 문법서와 사전류, 한국어 교재의 기술들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사전의 의미 기술을 활용하여 ‘-지만’을 명사형 개념으로 세분화하였다. 이렇게 세분화한 개념들은 ‘대조’, ‘독립’, ‘전제’, ‘첨가’, ‘양해’ 등이었는데, 이들 각 개념들을 시제, 상 그리고 주어일치와 문장종결법 등과 관련된 문법 제약 등의 특성을 살피고 이의 기술을 활용한 교육 방안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conjunctive ending, ‘-jiman’, which often appears in Korean learning and methods of description. In Korean, the conjunctive ending is a grammatical element that shows the features of agglutinative language very well. The conjunctive ending sometimes share a meaning in several forms, and there exists several concepts within a single form. Advanced researches often discussed to show the functions or usages of conjunctive endings by using only a single meaning that is frequently used, and such discussions tends to lack in some ways. This problem may gradually raise the difficulty for Korean learners Because they cannot figure out the individual features of various conjunctive endings in their learning. Therefore, it is needed to recognize conjunctive endings as an independent entity and subdivide the concepts into conjunctive endings which h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each concept. This study takes conjunctive ending, ‘-jiman’, as a subject in order to organize the descriptions of existing grammar books and dictionaries. The concepts subdivided in this way were ‘contrast’, ‘independence’, ‘premise’, ‘addition’, and ‘understanding, etc., and this study discusses its characteristics in terms of each concepts’ relation with tense, grammatical restrictions related with sentential ending or subject agreement.

      • 한중일연결회계제도(韓中日聯結會計制度)의 비교연구(比較硏究)

        강철승 한국행정학회 2010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0 No.-

        본 연구는 한중일3개국 연결회계기준의 비교가능성을 증대시켜 연결회계기준이 투자자와 채권자들의 의사결정을 돕는데 기여하고 나아가 일본이나 중국의 연결회계기준에서 새로운 통찰과 아이디어를 얻어 한국의 연결기준의 향상을 도모하며 한중일3개국의 자본시장에서 연결재무제표의 동질성을 추구함에 목적을 두고 진행된 한중일 연결회계기준의 비교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중일 3개국의 연결회계제도의 연혁이 연결회계기준에 대한 영향을 짚어보고 나서 연결회계기준의 목적, 연결재무제표의 목적, 연결재무제표의 종류, 연결범위, 연결기준의 접근방식 등 면에서 비교하여 3개국 연결기준의 차이들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낸 차이로는 주로 IMF를 통한 한국의 연결기준의 우수성을 인정한 동시에 연결재무제표의 목적의 차이에서 이해관계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중국과 일본에서는 서술되지 않고 있고, 연결재무제표의 종류의 규정에도 한국이나 중국은 유사한데 반하여 일본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연결기준의 접근방식에서도 한국과 중국은 경제적 단위의 개념을 채택하고 있는데 반하여 일본은 경제적 단위의 개념과 지배회사개념을 동시에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