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사회와 의사소통: 언어병리학의 지평에 서서

        김화수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 No.2

        언어는 문화 가운데서 생각하고 말하고 이해하며 타인과 관계하며 존재하기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언어치료사, 의사소통전문가는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사회에 접근하도록 하며 이러한 욕구들이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다. 이들은 언어에 문제가 있는 사람과 마주칠 때 개인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진심어린 존중을 바탕으로 하여 접근을 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먼저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에 접근하기 위해 언어장애와 언어차이의 차이점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는 의뢰인의 연령이나 발달단계에서 기대되는 언어기술에서의 불일치이다. 반면에 언어차이(language difference)는 주류문화의 표준적인 사용에서 어느 정도 벗어난, 규칙에 지배되는 언어방식이다. 특히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에 대해서는 상호관계 내에서 전생애적으로 발달하는 언어의 변화에 주목해야하며. 발달의 경로를 따라 시시각각 언어발달과 언어환경의 상호관계 안에서 언어평가 결과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설명이 가능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로 한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에 대한 여러 연구의 고찰을 통해 영유아기로부터 시작된 특수한 언어환경이 초기 언어발달 및 인지언어,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불러일으키고, 결국에는 여기에서 파생된 문제는 학령기, 더 나아가 그 이후 까지 지속되는 문제들로 발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하고 있는 우리나라 다문화언어발달정책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우선 전향적 다문화 가정 정책관점 확산 및 국민의식변화에 따른 의사소통중재의 기회를 넓혀야 할 것 이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평가도구 개발이 시급함을 논의하였으며 언어 자극 형태, 자료 수집을 위한 재료와 환경선택 등 더 많은 준비가 평가와 중재단계 에서 필요할 것이고, 가족의사소통, 가족언어중재를 통해 자연스러운 활동 안에서 발달을 촉진시켜야 함을 제안하였다. Language is essential for a human being to exist in a culture. We communicate via it by thinking, speaking, understanding others, and concerning them. The speech therapist and communication specialist are persons who help people with language problems to access to a society they belong and to balance their needs through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a sincere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clients’ own cultures. This paper discusses firstly the concept of language disorder and language difference to delineate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anguage disorder means a significant discrepancy in language skills relative to a client’s age or expected developmental level. Language difference means a style deviates from the standard usage of the mainstream culture(Paul, 2007). To explain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al change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contexts through their whole lives. The next, we discuss the effect of specific language environments on their early language development as well as cognitive language causing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and leading them subsequent problems through their school-ages and on. Finally, I propose the sp ead of prospective multi-cultural family policy and the opportunity of mediat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national change of peoples’ consciousness to settle the language developmental problem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For these, it is urgent to develop the language battery with a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contexts and materials for gathering data, the form of language stimulus, and so on to assess their language and give interventions. Also, it is desirable to prompt their language development in a family-centered communication environment.

      • KCI등재

        음성언어치료의 성과와 전망

        권순복 우리말학회 2012 우리말연구 Vol.31 No.-

        이 연구는 음성언어치료의 성과와 전망에 대한 소고이며, 언어병 리학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음성 혹은 목소리를 중심으로 관련 학문과의 연계성에서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 학제간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가를 모 색해보는 것이다. 의사소통, 언어, 구어 중 한 가지 혹은 여러 가지에 어 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좀 더 낳은 언어재활 중재를 통해서 의사소통과 언어 및 구어의 본질과 말 산출의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이러한 것 들이 서로 어떻게 관계되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말 산출을 위한 기본적인 원리에 해당하는 호흡, 발성, 공명 및 조음, 언어의 이해와 구상 을 중추적으로 담당하는 신경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루어진다. 말소리 는 언어와 관련된 호흡기관의 기능, 음성의 생성과 조음의 원리, 언어와 관련된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물리음향 및 청·지각에 대한 종합적인 접 근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언어병리학과 관련 학문과의 연계성을 통해 언어학, 심리학, 음성공학, 음성의학적 측면에서 인접한 학문과의 통섭과 융합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관련 학문들과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부분에서의 접근을 통해 음성언어치 료 분야의 필요성과 다양성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어학과 언어치료학 -인접 분야와의 협력을 위한 한국어 연구의 과제-

        이봉원 우리어문학회 2010 우리어문연구 Vol.36 No.-

        Speech-language pathology, a part of communication disorders is a related study to Korean linguistics. This paper focused on some tasks to be solved for the cooperation in research and education of the two areas. Speech-language pathology in Korea has growing very quickly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There is something of discrepancy between linguistics and communication disorder studies in Korean terminology. It is important to choose and adjust the information contents of Korean linguistics for education to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lso it should be prepared the curriculum for Korean and the plan to train educators. The basis of analysis on grammatical units must be adapted to oral language and language development. Speech-language pathologist could help not only disabled people but also others like immigrants or their children as a related service provider. Korean linguistics has to expand new field to cooperate and contribute to application areas. 언어치료학은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들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의사소통장애와 그 평가 및 치료를 연구하는 분야로, 그 다학문적 성격으로 인접 분야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한국어학과 언어치료학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지만 상호 교류 및 협력에는 여러 가지 과제가 남아 있다. 이 글은 언어치료학 분야의 여러 가지 현황과 성과를 소개하고, 언어치료학 분야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국어 지식의 교육 및 연구의 선결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음성장애, 조음음운장애, 언어발달장애, 유창성장애, 청각장애 등 의사소통장애의 여러 면을 다루는 언어치료학은 그 역사가 길지 않음에도 규모와 성과 면에서 크게 발전해 오고 있다. 여러 대학교 및 대학원에서 전문 인력 양성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언어치료학 분야에서 필요한 한국어학 지식의 획정 및 전문 인력을 위한 국어 지식 교육 방안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언어 분석의 기준안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언어발달과 관련한 연구나 구어에 대한 연구 등도 중요한 과제이며, 언어치료 전문가의 활동 범위에 대해서도 한국어 연구 및 교육 분야와의 협력과 논의가 필요하다. 언어치료학과 한국어학 분야의 인적인 교류 및 공동 학술 연구 등을 통해 한국어학 역시 그동안 축적해 온 학문적 성과를 활용할 수 있는 지평을 넓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이청준 연작소설의 치유적 읽기(2)

        김경순(Kim Kyungsoo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이청준 소설의 문학치료학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문학치료는 언어라는 매체를 통해 치유에 이르는 작업이다. 치료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스스로 만들어 낸 ‘형상화된 언어(Gestaltete Sprache)’를 통해 치료는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청준은 이 타락한 시대에 타락한 언어로 과연 진정한 소통이 가능한가를 스스로에게 묻고 있으며, 그 대안적인 언어로 우리의 ‘소리’를 제시하고 있다. 그는 끊임없이 자신에게 질문한다. 왜 글을 쓸 수밖에 없는가? 우리는 어떤 것에 심정적인 동의가 될 때, 보다 더 가까움을 느끼고 신뢰하게 된다. 왜냐하면 어떤 ‘느낌’은 상호작용하는 맥락을 가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의 경우 이청준의 작품을 읽다 보면 많은 부분 심정적으로 동의가 된다. 예컨대 ‘말이 회복된 세계로의 지향’ 같은 것이 그것이다. 그리고 그의 ‘말(언어)’에서 떨림과 울림을 느낀다. 이 심정적인 동의와 ‘공명의 느낌(Resonanz)’이 이청준 소설로 논문을 쓰게 한 동력이 되었다. 이청준은 한 산문에서 “우리의 삶과 세계를 바라보는 자신의 눈을 언제나 새롭고 자연스럽게 지니는 길이 문학의 길”이라 말하고 있다. “우리의 눈을 편견과 아집에 사로잡히지 않게, 또 이미 드리워진 편견의 장막으로부터 자신의 시선을 보다 넓고 맑고 자유롭게 해방시키려는 노력을 다해야 함”을 말한다. “문학이 삶과 세계를 총체적인 넓이로 바라보고 경험하게 함으로써 모든 사람의 삶을 그 삶 본래의 모습으로 자유롭게 되돌아가 살게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문학에 있어서 언어가 본질적 조건임은 말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언어의 본질을 잃어가고 있는 이 시대에 끊임없이 언어에 천착하는 이청준의 소설을 분석하고 그 소설 속에서 치료적 대안을 모색하려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이청준의 많은 작품들은 훼손된 말이 순결한 말로 부활하는 길을 찾고 있다. 작가는 남도사람 연작물에 대해, 조직적이고 공리적인 언어질서의 폭력에 대항하면서, 말과 삶의 창조적 자유를 회복해 나가는 문학적 탐험의 과정이라고 말한다. 인간내부의 사상(事像)을 내적 삶의 율동에 실어 노래로써 말을 한다면, 그 노래는 인간의 말 가운데서 가장 아름다운 말 형식이 되지 않겠느냐고 반문하고 있다. 또, 남도소리는 한의 마디를 풀어내는 삶의 한 지혜로운 양식이라고 생각하며, 흥이나 말의 자유, 혹은 우리 삶에 대한 사랑의 한 양식이라고 반복해서 말한다. ‘말’의 회복은 곧 ‘삶’의 회복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iterary healing value of Lee Cheong-Jun novels. Literary healing is the healing work through the medium of language. This is because people, engaging in healing, begin to be healed by their own formed language Gestaltete Sprache). Lee Cheong-Jun throws a question of in this corrupt age, true communication can be possible only through incorrupt language, and presents our ‘sori’ as an alternative language. He continually asks himself: Why should I write? When we psychologically agree to something, we will feel closer to it, and more trusty. This is because feeling has an interactive context. This author, when reading Lee Cheong-Jun works, psychologically agrees a lot with them. One example is the orientation to the world where words are recovered. And, in his words language), shaking and resonation are felt. This feeling of psychological agreement and resonation powered this author to write a thesis on Lee Cheong-Jun novels. Lee Cheong-Jun says in one of his proses, “The way that renewing and naturally holding the eye of watching our life and the world is the way of literature. This means: “We should protect our eyes from being occupied by prejudice and bigotry, and should endeavor to liberate our eyes from the already established tent of prejudice so as to broaden our horizons freely and clearly. It further means: “Literature should make us comprehensively look at our life and the world and experience them, enabling all people to return to their original life freely and live that life.” In such literature, needless to say, language is the essential condition. Thus, it would be meaningful to analyze Lee Cheong-Jun novels - which continue to delve into language - in this age of losing the linguistic essence, and to explore alternative healing solutions in those novels. Many Lee Cheong-Jun works involve a journey which revive the already damaged words into pure words. The serial work People of Namdo is said by the novelist to resist the violence of organized, utilitarian linguistic order, and to be the literary exploration process for recovering words and creative freedom. If humans’ internal images by the internal life rhythm are sung and spoken, that song would be the most beautiful of human languages, the novelist suggests. Also, the sori of Namdo is considered a life wisdom of releasing the oppressed vengeance psychology, and it is repeatedly mentioned as the freedom of fun and words, or a style of love for our life. The recovery of words is the recovery of life.

      • KCI등재

        언어치료 분야의 원격치료 연구 동향 분석

        이은선(Lee, Eunsun),최소영(Choi, So Young),황민아(Hwang, Min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20년 9월까지 국외 원격치료에서 언어치료 분야의 연구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동향의 분석을 위해 CINAHL, EBSCOHost, PubMed, ProQuest, ScienceDirect,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고, 키워드는 telepractice 또는 telehealth 또는 telemedicine 또는 teleaudiology, 또는 teletherapy, 그리고 speech language pathology(언어치료) 분야가 포함되도록 하였다. 동료의 심사가 없는 논문은 제외하였고, 전문을 분석할 수 있는 논문으로 제한하였다. 선정 기준을 중심으로 총 48개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원격치료 연구는 2015년 이후 꾸준히 발표되었다. 연구 분야로는 실어증으로 25.5%, 언어 22.9%, 청각 18.8%, 음성 14.6%, 조음음운 10.4%, 유창성 4.2%, 삼킴 4.2%였다. 대부분의 연구 목적은 중재(81.3%)였고, 평가가 20.8%이었다. 가장 많은 연구가 발표된 나라는 미국(41.7%)이었고, 다음으로는 호주(22.9%), 대만(8.3%)이었다. 그 외 국가로는 캐나다, 인도, 네덜란드, 영국 등이 있었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원격치료를 제공하는 것은 효과적이었다. 원격치료와 대면치료는 비교했을 때 78.6%가 원격치료가 대면치료만큼 효과적이라고 보고했고, 21.4%가 원격치료의 이점이 있지만 논의의 여지가 있다고 보고했다. 그럼에도 연구 설계, 기술 지원, 인식개선은 여전히 극복해야 할 장벽이며, 환자와 임상가 모두 새로운 치료 방식을 적응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This study attempted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in telepractice abroad from 2015 to September 2020. The CINAHL, EBSCOHost, PubMed, ProQuest, ScienceDirect, and Web of Science databa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and the keywords used included telepractice, telehealth, telemedicine, teleaudiology, teletherapy, and speech language pathology. Papers without peer review were excluded. We selected 48 papers based on the inclusion criteria. Telepractice studies have been published steadily since 2015. Research areas were aphasia (25.5%), language (22.9%), hearing (18.8%), voice (14.6%), articulation (10.4%), fluency (4.2%), and swallowing (4.2%). The purpose of most studies was intervention (81.3%), and the evaluation was 20.8%. The country where the most research was published was the United States (41.7%), followed by Australia (22.9%), Taiwan (8.3%). Other countries included Canada, India, the Netherlands, and the United Kingdom. Along with the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elepractice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comparison, 78.6% of the studies reported that telepractice was as effective as face-to-face treatment, and 21.4% reported that telepractice had benefits but with some controversies. The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terms of research design, technical support, and public awareness improvement. It seems that both patients and clinicians need to adapt and actively utilize new treatment methods.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다학문접근 고찰

        하영례(Young Ryei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1

        의사소통능력은 다양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학문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의사소통능력의 다양한 측면들에 대한 각 학문의 관점들을 고찰한다. 의사소통능력에 대해 의사소통의 문화기술지는 언어사용의 다양한 규칙들을 인식하는 능력, 언어사용에 관련된 요소들과 통합시킬 수 있는 능력에 주목한다. 아동발달이론과 심리언어학에서는 문법지 식의 규칙을 알고, 어떤 사회적 맥락 내에서 문법적 규칙에 대해 인식하며, 언어를 일반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한다. 사회심리학은 자신의 의도를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다양한 설득전략들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중시한다. 사회학에서는 대화의 계열적인 순서에 따라 다른 사람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전략 및 행동과 설명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에 관심을 둔다. 화용론에서는 언어의 관념적 기능, 대인적 기능, 텍스트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주목한다. 이러한 각 학문들의 관점들은 언어병리학과 청각학이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을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Communicative competence research requires a multidisciplinary per spect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llustrate what can be learned from multiple-perspective analysi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child language and psycholinguistics, social psychology, sociology, and pragmatics) in studying play. From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a better under standing of communicative competence can be derived: children are aware of the variety of rules associated with producing, predicting, and interpreting; children are capable of integrating language with other component s involved in its use. From child language and psycholinguistics, we see that children are capable of formulating a theory of the structure of language which results in the infinite sentences they can produce and under stand; children are capable of creative generalizing about language. From social psychology, we see that children are capable of communicating intentions through variations in features of communicative style; children are capable of using a range of per suasion strategies to present oneself in relation to other s. From sociology, we see that children have the capacity for applying acceptable strategies of sequential ordering; children acquire resources for converting information from the setting into guides on how to generate socially accepted behaviors and account s. From pragmatics, we see that children have the competence of performing the ideational function, interpersonal function, and textual function of language.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aspects of children s communicative competence.

      • KCI등재

        폴 리쾨르의 미메시스 이론에 기반한 이청준 연작소설의 치유적 읽기

        김경순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6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iterary healing availability of Lee Cheong-Jun novels through a therapeutic reading on the basis of Paul Ricoeur's Mimesis Theory. The literary healing process aims to write the writer's life as text. The writer's experienced life story (deepest narrative) and text meet each other naturally, creating yet another creative text of life. Lee Cheong-Jun novels, which continue to throw questions about the reason of his being, writing, agre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literary healing for a healthy life. And continue to present the life which continually look into one's life, making it an appropriate text for literary healing research. Literary healing, above all, should assume that the linguistic power and strength are recognized and accepted. Literary healing is the healing work through the medium of language. This is because people, engaging in healing, begin to be healed by their own formed language (Gestaltete Sprache). Lee Cheong-Jun throws a question of "in this corrupt age, true communication can be possible through corrupt language," and presents our 'sori' as an alternative language. 본 논문의 목적은 이청준 연작소설을 폴 리쾨르의 미메시스 이론에 기반한 읽기를 통하여 문학치료학적 활용가능성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문학치유 과정의 지향점은 ‘자기 삶의 텍스트를 쓰는 것(Life as Text)'이다. 자신이 체험한 삶의 이야기(심층적 서사)와 텍스트가 자연스럽게 만나 또 다른 창의적 삶의 텍스트가 탄생되는 것이다. 자신의 존재 이유인 글쓰기에 대해 끝없이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있는 이청준 소설은 건강한 삶의 지향을 위한 문학치료학 본래의 뜻에 맞닿아 있다. 또 자신의 내면을 끊임없이 들여다보는 삶을 계속하여 제시해주고 있다는 점에서도 문학치료학연구에 적합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문학으로 치료하려는 일은 무엇보다도 언어가 가진 힘과 위력을 인지하고 수용하는 일이 전제되어야한다. 즉 문학치료는 언어라는 매체를 통해 치유에 이르는 작업이다. 치료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스스로 만들어 낸 ’형상화된 언어(Gestaltete Sprache)'를 통해 치료는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청준은 타락한 시대에 타락한 언어로 과연 진정한 소통이 가능한가를 스스로에게 묻고 있으며, 그 대안적 언어로 ‘소리’를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장애와 치유의 문제

        이봉원 ( Bong Won Yi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인문학연구 Vol.0 No.21

        의사소통의 문제가 개인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지속적으로 주는 것이 의사소통 장애이다. 의사소통 장애의 유형은 매우 다양하지만 크게 말장애, 언어장애, 청각장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의사소통 장애에 대한 학문인 언어병리학은 인접 학문과의 교류를 바탕으로 하여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성과를 이루어냈다. 의사소통장애의 여러 문제는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 제도의 개혁과 인력 양성, 학문적 성과의 측면에서 이 분야는 계속 발전하고 있다. 의사소통 장애는 누구나 직면할 수 있으며 개인의 삶에 중대한 문제를 야기한다. 최근에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장애의 차원이 아니지만 의사소통의 문제가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여러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의사소통은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공동체의 차원에서도 해결되어야 하는 것이다. 인문학적 견지에서는 의사소통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공동체적 통합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사소통 장애의 치유는 삶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것이다. 언어병리학은 의사소통 장애인들이 사회와 연결될 수 있는 기본 도구를 제공할 수 있지만, 그 의사소통이 사회에서 수용되고 확장되어 의사소통의 총량이 늘어나려면 다른 차원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의사소통 장애가 당사자나 관련 전문가의 영역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삶의 문제임을 공유해야 하는 것이며, 인문학의 역할을 여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Communication disorders give a negative impact on the lives of individuals.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disorders, but usually can be divided into speech disorders, language disorders and hearing disorders. Speech-language pathology has made many achievements in communication disorders. Anyone can face communication disorders, which can be improved through proper diagnosis and intervention. In recent years, the dimensions of the communication problems that hinder the social integration have been appearing with according to society`s change. Communication disorders are matters of individual level but also areas of community to be resolved. It is important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share the experience of integration. Healing of communication disorders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is. Speech-language pathology has provided the basic tools to approach the problems, but the solutions have to be expanded to increase the total amount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Communication disorders and social issues are not the domain of specialists, but the challenge to be shared to all of our lives; the role of the humanities will be found here.

      • KCI등재

        한국어 연구의 융합적 가치와 과제 언어병리학과 - 자연어처리 분야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봉원 ( Yi Bong-won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1 No.-

        한국어 연구는 20세기 후반부터 다른 분야의 학문과 적극적으로 교류하여 왔으며, 최근 들어 융합적 연구가 일반화되면서 다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어학은 한국어에 내재한 본질적 구조를 밝히고 구체적인 한국어 사용 양상을 통해 그 특성을 이론화한다. 언어병리학은 인간의 의사소통 특성에 기반해서 한국어 의사소통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 방법을 모색한다. 자연어처리는 한국어를 컴퓨터로 분석하고 새로운 지식을 생성해서 응용하는 여러 방법을 실현하고 있다. 한국어학, 언어병리학, 자연어처리 분야의 융합 연구는 융합 학문의 가치와 방향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이다. 딥러닝 중심의 자연어처리 기술의 발전은 자연어처리에 대한 다른 영역의 접근 가능성을 높여 주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 필수적인 언어자료의 구축은 한국어학 분야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 영역이다. Korean language research has actively engaged with other fields since the late 20th century, and its significance has been highlighted once again as convergent research has become prevalent in recent times. Korean linguistics explores the fundamental structure inherent in the Korean language and theorizes its characteristics through specific aspects of its use. Speech-language pathology identifies issues in Korean communication based on human communication traits and seeks solution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mplements various methods for computer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and generates and applies new knowledge. Convergence research in the fields of Korean language,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s a prime example of the value and direction of convergence studies. The advancement of deep learning-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has increased the accessibility of other domains to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the creation of language corpora crucial for this process is a sphere where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