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즈베키스탄계 고려인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이중언어교육 방식에 대한 사례연구

        갈라노바딜노자 ( Kalanova Dilnoza ),박미숙 ( Park Misuk ),김영순 ( Kim Youngso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계 고려인 결혼이주여성의 우즈베키스탄과 러시아, 한국 세 나라들의 언어와 문화 그리고 사고방식이 혼합되는 문화융합 경험이 자녀의 이중언어교육을 할 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따라서 우즈베키스탄계 고려인 어머니의 이·다중언어교육경험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언어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언어교육 방식은 어떠한지, 그리고 언어교육 과정에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계 결혼이주여성 3명에게 심층인터뷰하여 고려인 결혼이주여성의 언어교육 방식과 언어교육 방식의 문제점을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려인 결혼이민자는 주로 영상매체 및 인쇄 매체 또는 베이비시터를 통한 언어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언어교육의 문제점은 주로 언어적 혼합사용, 음성적 결손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고려인 결혼이주여성의 언어교육 경험을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ildren`s bilingual education methods of Ethnic Korean marriage immigrant women from Uzbekistan. Thu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the mothers` experiences affect the bilingual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he bilingual education method of Ethnic Korean mothers from Uzbekistan, and the problems Ethnic Korean mothers face in the process of bilingual education.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the bilingual education method of Ethnic Korean marriage immigrant wome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thnic Korean marriage immigrants mainly incorporate multimedia, print media and the help of babysitters into the bilingual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lso, the problems which occurred in bilingual education were discovered to be barbarism and phonetic defect.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we could look at the children`s bilingual education methods of Ethnic Korean marriage immigrant women from Uzbekistan.

      • KCI등재후보

        비언어 행동과 한국어 교육

        박갑수 택민국학연구원 2011 국학연구론총 Vol.0 No.8

        오늘날은 국제화시대요, 다문화시대다. 따라서 사람들은 자국어만이 아닌, 외국어를 알아야 하고, 이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외국어를 배우는가 하면, 한국어를 외국인에게 가르친다. 커뮤니케이션은 언어행동에 의한 소통과 비언어행동에 의한 소통의 두 가지가 있다. 그리고 이 가운데 비언어행동에 의한 의사소통이 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가 하면, 중요성을 지닌다. 사람들은 언어행동보다 비언어행동을 신뢰한다. 그럼에도 그간 이에 대한 무지와 관심의 부족으로 교육이 소홀하였다. 광의의 언어교육은 문화교육이라 할 수 있다. 비언어행동은 문화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한국어교육은 앞으로 문화와 함께 비언어행동에 관심을 기울여 원만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비언어 행동은 독립적으로, 또는 언어행동과 더불어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한다. 언어행동과 함께 수행되는 경우는 중복, 부정, 대체, 보충, 강조, 조절 등의 구실을 한다. 비언어행동은 크게 7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그것은 신체동작학, 시선접촉학, 신체접촉학, 근접공간학, 시간개념학, 향취접촉학, 부차언어학의 대상으로서의 비언어행동이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7대 영역에 걸쳐 한국의 비언어행동과 차이를 보이는 각 민족ㆍ 국가의 비언어행동의 사례를 조사ㆍ제시하였다. 한국어교육에 이러한 비언어행동의 사례를 잘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도(企圖)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바람직한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원활한 이문화(異文化) 커뮤니케이션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특수한 문화를 반영하는 비언어행동의 사례는 앞으로 더욱 많은 것이 수집되어 한국어교육에 활용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이중언어강사의 역할 수행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김윤주 ( Kim Yoonjoo ) 민족어문학회 2017 어문논집 Vol.- No.79

        본고의 목적은 이중언어강사들의 역할 수행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본 후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초 중 고등학교 이중언어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이중언어강사는 본래의 담당 교과인 이중언어교육보다 다문화교육을 더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중언어강사들은 교재와 학습 자료의 부재, 교수법에 대한 지식 부족, 일반 교사 및 관리자와의 관계, 고용불안정으로 인한 불안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이중언어강사라는 점에는 보람과 가치를 느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점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근본적으로 이중언어강사 양성은 해당 시도교육청 내 일선 학교에 대한 충분한 현황 파악이 있은 후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이중언어강사의 현장 배치 역시 다문화 학생 재학 현황 및 필요한 지원 언어 등에 대한 수요 파악 후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교재와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공유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 가정 학부모와 이중언어강사가 연계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부모로서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일반 교사와 관리자, 신규 교사를 위한 연수 및 재교육 프로그램에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 및 이중언어강사 제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강좌를 구성해야 한다. 여섯째, 이중언어강사의 재교육 강좌도 더욱 다듬고 개발하여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하고 깊이 있는 내용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고학력 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참여 기회 확대 및 자원 활용 차원에서 이중언어교육 및 이중언어강사 제도를 활용할 가능성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assessing the role fulfillment of bilingual instructors, finding some issues, and suggesting developmental alternatives for making best use of instructors. In order to do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author conduct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o bilingual instructors in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methods show that bilingual instructors take on more classes in the area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bilingual education which is their original area of responsibilities. This situation has caused many problems; lack of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insufficient knowledge on teaching method, uncomfortable relationship with other full-time teachers and managers, unstable employment and anxiety. However, many bilingual instructors see that their roles are important and valuable despite all those problems they have to take on. Having assessed current situation of bilingual instructors, the author suggests several alternatives for better uses of bilingual instructors. In order to have good plans for providing bilingual instructors, sufficient reality-checks over all schools in a jurisdiction of municipal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be done in the first place. Second, placement of bilingual instructors need to reflect the educational demands such as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need of certain language education. Third, there are needs in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textbooks and ways of sharing of those materials and information. Fourth, it is very recommendable to have a program connecting bilingual instructors with parents of multi-cultural student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haring educational experience as parents of bilingual students. Fifth, classes that focus on the need of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job training classes for incumbent full-time teachers, managers and incoming teachers. Sixth, better re-training programs for instructors are needed in order to enhance educational quality. Finally, providing employment opportunit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higher education as instructors would be a good option since it is also a good alternative for social engagement aspect as well as bilingual education.

      • KCI등재

        결혼이민자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어려움 및 요구

        이승숙,송나리,이문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data for creating bilingual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of married immigrant mothers by analyzing their perceptions, difficulties, and needs for their children’s bilingual education. To accomplish the go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married immigrant mothers about their children’s bilingual education. The research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The mothers generally had low levels of awareness about their children’s bilingual education. They had different perceptions based on their proficiency in Korean and their mother-tongues, as well as their attitudes about bilingual education. The difficulties they face when they offer bilingual education on their own are as follows: negative reaction from others to their native languages, absence of supporters, less use of their native languages while adapting to their young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lack of knowledge in bilingual education methods. Thus, the married immigrant mothers are seeking the following for their children’s bilingual education: parent education linked to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 education methods; bilingual education link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local communities; and home visit education.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들의 인식과 어려움 및 요구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결혼이민자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의 경우 대체적으로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한국어 구사 능력, 어머니의 모국어,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에 따라 인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들이 이중언어 교육을 하는데 겪게 되는 어려움으로는 어머니 모국어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과 조력자의 부재, 자녀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을 위한 어머니 모국어 사용의 감소, 이중언어 교육 지도 방법에 대한 지식부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들은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을 위하여 이중언어 교육과 관련한 부모교육, 이중언어 교육 지도 방법에 대한 교육, 유아교육기관 및 지역사회와 연계된 이중언어 교육, 가정방문교육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이중언어 교육의 대상과 방식 확장을 위한 제언

        김춘수(Chunsoo Kim)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다문화사회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세계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21세기 교육과제라고 할 수 있는 이중언어교육의 국내 담론과 시행되고 있는 정책 고찰을 통해 국내 이중언어 교육의 문제점과 그 해결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현행 시행되고 있는 이중언어교육은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 및 사회적응과 비 다문화 학생들에게는 단순히 다른 언어를 체험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주여성들의 취업을 위한 정책 중 하나로 시행되고 있다. 물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책의 대상과 방식의 실효성을 논하는 것이 아니라 다문화 시대에 적합한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대상과 방식의 범위 확장과 교육 방향성을 논하기 위함이다. 언어는 한 민족의 정체성이고, 민족의 문화와 전통을 계승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서 언어사용이 중요하지만, 세계화 국제화 시대에 단일민족 사상과 동화주의적 다문화는 지양되어야 한다. 공존의 삶을 지향하는 상황에서 언어 다양성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전통 이민 국가인 호주와 후발 이민 국가 중 한국과 인접해 있는 일본의 이중언어교육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고 있는 한국 이중언어교육 대상의 확장과 방식의 범위 확장을 위한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problems of bilingual education in Korea and the direction of policies to solve it through domestic discourse and policy considerations of bilingual education. Bilingual education can be called the 21st century education system as globalization accelerates. The bilingual education currently in place is mainly aimed at school and social adapt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non-multicultural students, however, it is simply aimed at experiencing different languages. It is also implemented as a policy for migrant women to get jobs. Of course, it is not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policy, but to discuss the scope and direction of education for bilingual education suitable for the multicultural era. Language use is important in identity formation of Koreans and an important factor in inheriting the culture and tradition of the people. However,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single-ethnic ideas or assimilationist multiculturalism should be avoide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language diversity in the context of coexistence, I would like to suggest a direction for expanding the scope of bilingual education in Korea, which is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b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language diversity.

      • KCI등재

        헤르더에서 언어와 교육 : 교수 활동과 학습 활동의 도구적 매체인 언어와 언어 사용과 언어 행위

        조관성(KwanSung,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언어와 언어 사용과 언어 행위는, 사회화 교육과 문명화 교육과 문화화 교육 더 나아가 도덕 교육과 종교 교육 등을 통하여 ①전인 교육을 ②개체 자아이며 국가 시민이며 인류 공동체의 세계 시민인 인간의 자기실현과 자기완성을 ③상호 문화적 인류 공동체나 세계 공동체 안에서 인간성의 완성이나 도덕성의 성취를 교육의 최종 목적으로 지향하는 교수 활동과 학습 활동에서 중요한 도구적 매체의 역할을 한다. 이 논문은, 선실후명의 길을 가는 사물 중심 교육 모형인 오페라티오 중심 교육 모형이 빠질 수 있는 부정적 의미의 객관주의나 물질주의나 물리주의를 극복하기 위하여 후설의 현상학적 대상 이해와 세계 이해와 가치 지각을 도입하며, 교수 활동과 학습 활동이 주제화할 수 있는 존재 영역이나 인식 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후설과 포퍼가 공유하는 세 가지 세계 이론에 의존한다. 이와 더불어 글쓴이는 세 가지 존재 영역이며 인식 영역인 세 가지 세계를 모두 주제화하는 데 적합한 교육 모형을 확보하기 위하여 비트겐슈타인이 표방하는 언어 사용과 언어 행위 이론을 비베스와 코메니우스와 헤르더가 공유하는 오라티오에 연결함으로써 라티오와 긴밀히 상호 연속하며 함께 가는 오라티오에 근거하는 언어 사용 중심 교육 모형을 특히 언어 행위 중심 교육 모형을 현대 철학과 현대 교육 안에서 생명력과 설명력과 설득력을 갖춘 교수 모형과 학습 모형으로 제시한다. 글쓴이는, 언어 사용과 언어 행위를 매개로 하는 교수 활동과 학습 활동 속에서 가르치는 자들과 배우는 자들이 제일 세계뿐만 아니라 제이 세계와 제삼 세계도 주제화하면서 이 세 가지 세계에 관하여 마음과 의미와 가치를 담은 말과 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인식하고 학습할 수 있으며 상호 소통하며 상호 이해할 수 있음을 그리고 이처럼 세 가지 세계에 관계해야 함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dealing with Herders philosophical thinking of language, knowledge and education purports to bring forth an elaboration of the thesis that the above subtitle implies. The author starting from Herders some original works attempts a constructive interpretation of Herder which is to be differentiated from a destructive one. It is intended to make Herders philosophical thinking of language, knowledge and education clear, fruitful and convincing by drawing on some other philosophers, so far as they share a theme with Herder. In view of the whole man and the final purpose of education d. h. die Bilding zur Humanität that Herder has in mind, the whole man as homo educandus is to be seen as a triple personal subject of operatio, ratio, and oratio. The whole man as homo educandus can be characterized as the homo agens, homo sapiens, and homo loquens. Vives, Comenius, and Herder have this view of the whole man in common. This paper focusing on the homo loquens or homo dicans or the subject of oratio which presupposes the homo agens and the homo sapiens as subjects of operatio and ratio brings out by depending on Augustinus, Vives, Herder, and Wittgenstein a proper and persuasive educational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which is termed in this article as oratio oriented educational model in the sense of speech act oriented educational model or dynamic language use based educational model. The author argues that the speech act oriented educational model as dynamic didactic model can be employed in thematising, talking about and describing (in communicative acts) the so called three worlds and furthermore in getting knowledge of and expressing my feelings and views of (first in a spoken and then in a written form) not only the first objective concrete world but also the second subjective conscious world and the third abstract conceptual world d. h. three worlds, the theory of which comes from Husserl and Popper. This study offers a detailed account of the multifaceted speech act oriented educational model which can have a thematic relation and access to the three worlds.

      • KCI등재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

        윤여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1

        이 글은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내용과 실제는 주로 한국 사회・문화 교육의 차원에서 이루어지지만, 다른 한국어교육의 영역에서도 유용 하다는 점을 전제로 하였다. 즉 한국어교육에서 언어와 문화는 뗄 수 없는 관계라는 점을 전제로 하여, 한국어교육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언어교육, 문화교육의 통합 교육적 현상을 한국 언어문화 교육이라는 개념으로 포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을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세부적으 로는 한국 언어문화 교육 내용의 구체화,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법의 다양화, 한국 언어문화 교육 연구의 심화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언어문화 교육 방법에서는 필자의 전공인 한국문학 작품을 활용하는 교육적 효용성에 중점을 두고 구체 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2-1, 1-22. This study assumes that contents and practices of language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useful not only for social-cultural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for other area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is inseparab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intends to integrated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that ar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qualitative improvement plan for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the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actualizing educational contents, diversifying educational methods and intensifying educational researches of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focusing on educational usefulness, this study offers education methods that make use of Korean literatures that is my major study.(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근거이론 분석으로 본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의 자녀 이중언어 교육 경험

        권경숙,황인애,이승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pply a grounded theory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experiences immigrant mothers have with respect to the bilingual education of their children.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 this study included 10 immigrant mothers through marriage Korean men who have the experience of providing bilingual education to their children.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These were subsequently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According to the paradigm model analysis results, 'difficulty in implementing bilingual education' and 'uncertainty in the effects of bilingual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the central phenomena. Causal conditions which lead to the occurrence of these phenomena were found to be ‘the Korean language-centered child rearing experience’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bilingual development.’ Contextual conditions of these phenomena were identified as ‘lack of social awareness for bilingualism’ and ‘absence of support for bilingual education. Intervening conditions deduced from the analysis were ‘creating a positive climate for bilingualism,’ ‘efforts to strengthen bilingual education capacity,’ etc.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mothers use to handle the phenomena were found to be ‘developing native language education skills,’ ‘having bilingual experiences using various media,’ etc. The consequences of these actions and interactions were found to be ‘formation of a close family relationship,’ ‘free use of both languages,’ ‘development of confidence and identity,’ and ‘strengthened belief in bilingual education.’ As a result of performing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deduced was ‘fulfilling the role of a mother for the bilingual education of children’. 본 연구는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들의 자녀 이중언어 교육경 험을 총체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자녀 이중언어 교육경험이 있는 결 혼이민자 어머니 10명이며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근거이론 방 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패러다임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이중언어 교육 실행 어려움’과 ‘이중언어 교육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이 중심현상으로 도출되었다. 인과적 조건은 한국어 중심의 자녀 양육 경험, 어머니 모국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과 태도, 이중언어발달에 대한 이해 부족이, 맥락적 조건은 이중언어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과 유아들의 반응 차이 및 이중언어 교육 지원 부재가, 중재적 조건은 이중언어사용에 대한 긍정적인 분위기 조성, 이 중언어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 조력자의 지원, 어머니 모국어 중요성 인식이 도출되 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모국어 교육 역량 키우기, 자녀와의 긍정적인 관계 맺기, 이중 언어로 놀이하기, 다양한 매체 활용한 이중언어 경험시키기 및 이중언어 환경 조성하기였으 며 그 결과로는 친밀한 가족 관계 형성, 두 언어의 자유로운 사용, 자신감 형성 및 정체감 확립,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신념 강화가 도출되었다. 선택 코딩 결과, 핵심범주는 ‘자녀 이 중언어 교육을 위한 어머니 역할 다하기’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중언어 교육 지 원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재외동포 교육과 민족어 교육의 자세

        박갑수 택민국학연구원 2011 국학연구론총 Vol.0 No.7

        이 글은 재외동포의 민족어 교육의 현황과 바람직한 민족어 교육의 자세를 살펴본 것이다. 민족어는 그 민족의 정체성을 드러내 주는 대표적 요소다. 따라서 재외동포는 우선 해외에 거주하며 뿌리, 곧 민족의 정체성을 잃지 않기 위해 민족어를 배워야 한다. 오늘날은 세계화시대요, 다문화시대다. 재외동포의 교육이 활발히 전개되어 정체성을 확보하고, 우리의 언어문화를 세계에 보급ㆍ선양하도록 하여야 하겠다. 언어문화를 세계에 교류하고 보급함으로 모국과 거주국과의 친선ㆍ우호를 도모하고, 나아가 상호간에 문화를 발전시키며, 세계의 언어와 문화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이 국제화시대에 특히 재외동포들에게 주어진 사명이라 할 것이다. 재외동포의 언어문화 교육여건은 그런대로 괜찮은 편이다. 특히 우리의 재외동포가 많이 살고 있는 미국과 중국은 좋은 편이다. 다만 그간 정부의 활동이 미미했고, 재외동포도 많은 관심과 열의를 보이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세계는 바야흐로 트랜스 내셔널 커뮤니티를 지향해 나가고 있고, 이중언어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재외동포의 언어문화 교육의 장은 획기적으로 개선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재외동포의 언어문화 교육의 실상을 살피고 이어 민족어 교육의 자세에 대해 살펴보았다. 민족어 교육의 자세로서는 다음과 같은 여덟 가지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라 보았다. 첫째, 민족어 교육을 통해 민족의 정체성을 심어 준다. 둘째, 우리말ㆍ우리글에 대해 자부심을 갖게 한다. 셋째, 우리말에 대해 바로 알게 한다. 넷째, 우리 문자에 대해 바로 알게 한다. 다섯째, 이중언어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여섯째, 언어교육과 함께 문화교육을 강조한다일곱째, 한국어를 세계화하려는 자세를 가진다. 여덟째, 다양한 교수법을 알고, 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이글에서는 문화교육을 강조하였고, 언어문화의 세계적 교류ㆍ보급이 재외동포들이 수행해야 할 중요한 과업의 하나임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재외동포 교육과 민족어 교육의 자세

        박갑수 ( Kap Soo Park ) 택민국학연구원 2011 국학연구론총 Vol.0 No.7

        이 글은 재외동포의 민족어 교육의 현황과 바람직한 민족어 교육의 자세를 살펴본 것이다. 민족어는 그 민족의 정체성을 드러내 주는 대표적 요소다. 따라서 재외동포는 우선 해외에 거주하며 뿌리, 곧 민족의 정체성을 잃지 않기 위해 민족어를 배워야 한다. 오늘날은 세계화시대요, 다문화시대다. 재외동포의 교육이 활발히 전개되어 정체성을 확보하고, 우리의 언어문화를 세계에 보급·선양하도록 하여야 하겠다. 언어문화를 세계에 교류하고 보급함으로 모국과거주국과의 친선·우호를 도모하고, 나아가 상호간에 문화를 발전시키며, 세계의 언어와 문화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이 국제화시대에 특히 재외동포들에게 주어진 사명이라 할 것이다. 재외동포의 언어문화 교육여건은 그런대로 괜찮은 편이다. 특히 우리의 재외동포가 많이 살고 있는 미국과 중국은 좋은 편이다. 다만 그간 정부의 활동이 미미했고, 재외동포도 많은 관심과 열의를 보이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세계는 바야흐로 트랜스 내셔널 커뮤니티를 지향해 나가고 있고, 이중언어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재외동포의 언어문화 교육의 장은 획기적으로 개선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재외동포의 언어문화 교육의 실상을 살피고 이어 민족어 교육의 자세에 대해 살펴보았다. 민족어 교육의 자세로서는 다음과 같은 여덟 가지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라 보았다. 첫째, 민족어 교육을 통해 민족의 정체성을 심어 준다. 둘째, 우리말·우리글에 대해 자부심을 갖게 한다. 셋째, 우리말에 대해 바로 알게 한다. 넷째, 우리 문자에 대해 바로 알게 한다. 다섯째, 이중언어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여섯째, 언어교육과 함께 문화교육을 강조한다. 일곱째, 한국어를 세계화하려는 자세를 가진다. 여덟째, 다양한 교수법을 알고, 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이글에서는 문화교육을 강조하였고, 언어문화의 세계적 교류·보급이 재외동포들이 수행해야 할 중요한 과업의 하나임을 강조하였다. 此の論文は我ら在外同胞の民族語敎育の現況と望ましい民族語敎育の姿勢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 民族語はその民族の正體性を現す代表的要素である. それで在外同胞はまず海外に住みながら根, 卽民族の正體性を失わない爲に民族語を學ばなければならない. 今日は世界化時代であり, 多文化時代である. 在外同胞の敎育が活潑に展開され正體性を確保し, 我らの言語文化を世界に普及ㆍ宣揚しなければならない. 言語文化を世界に交流し普及して居住國と母國との親善ㆍ友好を圖り, 進んで相互に文化を發展させ, 世界の言語と文化發展に寄與するこどである. 此が國際化時代に特に在外同胞に與えた使命であると言える. 在外同胞の言語文化敎育與件は それなりに好いと言える. 特に我ら在外同胞が多く住んでいる米國と中國は好い方である. 但し其の間政府の活動が微微であり, 在外同胞も多く關心や熱意を見せながつたのが事實である. 世界は今やトランス ナシヨナル コムユニテイ(transnational community)を目指しでいるし, 二重言語の使用が要求されでいる. それで在外同胞の言語文化敎育の場は劃期的に改善される必要がある. 此のような在外同胞の 言語文化敎育の實狀を基礎に續いて民族語敎育の姿勢に對して考察した. 民族語敎育の姿勢としては次のような八つを望ましい事と見た. 第一, 民族語敎育を通して民族の正體性を植える. 第二, 我が言語ㆍ我が文字に對して自負心を持つ. 第三, 我が言語に對して正しく知る. 第四, 我が文字に對して正しく知る. 第五, 二重言語の重要性を認識するようにする. 第六, 言語敎育と共に文化敎育を强調する第七, 韓國語を世界化しようとする姿勢を持つ. 第八, 色色な敎授法を知り, 此を活用するようにする.特に此の論文では文化敎育を强調したし, 又言語文化の世界的交流ㆍ普及が在外同胞らが成し遂げなければならない 重要な課題の一つである事を强調し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