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Characteristics of Flow and Sedimentation around the Embankment

        이문옥,박일흠,이연규,Lee Moon Ock,Park Il Heum,Lee Yeon Gyu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 2000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3 No.4

        전라남도 고흥반도에 인접한 해창만의 어장환경문제와 관련하여 방조제 축조후 주변해역에서의 흐름과 퇴적환경의 변화를 파악하고 특히 수문개방시 일시에 다량으로 방류되는 담수가 인근해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7년과 1998년의 두 차례에 걸친 현장조사와 해수유동 및 담수확산에 관한 2차원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방조제 체절후에는 체절전에비하여 유속이 전반적으로 크게 감소하였고 조위는 방조제 부근에서 그 진폭이 다소 감소하였다. 방조제 수문을 통하여 담수를 방류한 경우, 전반적인 흐름 형태는 무방류시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으나, 간조시의 경우 방류한 담수의 영향으로 수문 부근에서 유속과 조위가 각각 다소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담수확산의 수치실험결과, 간조시에 담수는 만외까지 유출하지만, 만조시에는 서류하는 조류를 타고 다시 만의 안쪽까지 되돌아오는 경향을 보였다. 방조제 전면해역에서는 점토질의 실트, 실트질의 점토 및 사질점토질의 실트 등 다양한 퇴적상을 보였으나, 만의 중앙부에서는 점토질의 실트가 지배적이었다. 또한 퇴적물의 유동을 반영하는 왜도분포에서는 방조제 전면 해역에서 $\{pm}0.1$, 만의 중앙부에서 ±0.3 이상으로 양자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방조제 전면해역에서 시추한 시료의 분석결과, 하부는 실트와 점토질의 세립의 퇴적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부의 표층은 두께 약 40~50 cm정도의 굴, 바지락 등으로 구성된 패각층이 분포하였다. 이와 같은 하부의 퇴적상은 방조제 축조전의 조간대 퇴적상으로 추정되며, 상부의 패각층은 제방 축조후 주변해역에 형성된 패류 양식장으로부터 기인한 잔해일 가능성이 컸다. 즉, 이와 같은 퇴적상의 차이는 방조제 축조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wo-dimensional numerical experiments and field surveys have been conducted to clarify some environmental variations in the flow and sedimentation in the adjacent seas after the construction of a tidal embankment. Velocities of flow and water levels in the bay decreas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barrage. When the freshwater was instantly released into the bay, the conditions of flow were unaltered, with the exception of a minor variation in velocities and tidal levels around the sluices at the ebb flow. The computational results showed that freshwater released at the low water reached the outside of the bay and then returned to the inside with the tidal currents at the high water. The front sea regions of the embankment had a variety of sedimentary phases such as a clayish silt, a silty clay and a sandy clayish silt. However, a clayish silt was prevalent in the middle of the bay. On the other hand, the skewness, which reflects the behaviour of sediments, was $\{pm}0.1$ at the front regions of the embankment while it was more than ±0.3 in the middle of the bay. Analytical results of drilling samples acquired from the front of the sluice gates showed that the lower part of the sediments consists of very fine silty or clayish grains. The upper surface layer consisted of shellfish, such as oyster or barnacle with a thickness of 40~50 cm. Therefore, it seemed that the lower part of the sediments would have been one of intertidal zones prior to the embankment construction while the upper shellfish layer would have been debris of shellfish farms formed in the adjacent seas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embankment. This shows the difference of sedimentary phases reflected the influence of a tidal embankment construction.

      • KCI우수등재

        5세 아동과 1학년 아동의 읽기 쓰기 발달과 가정 문해환경의 상관관계 연구

        이문옥 한국교육학회 1997 敎育學硏究 Vol.35 No.3

        본 연구는 5세 아동과 1학년 아동의 가정 문해환경의 특성 및 차이를 조사하고 가정 문해환경과 5세아와 1학년 아동의 읽기와 쓰기발달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부모들의 문해활동에는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지만, 부모들이 자녀에게 제공하는 문해환경은 자녀의 읽기능력 보다는 연령에 따라 제공하는 지원의 형태와 양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아동들로 자신들의 가정 문해환경의 차이를 만드는 역할을 했다. 아동들은 부모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구하거나 스스로 문해활동을 주도하기도 했다. 가정 문해환경의 차이는 5세 아동과 1학년 아동의 읽기와 쓰기 발달에 영향을 다르게 미친 것으로 밝혀졌다.

      • KCI우수등재

        여자만 해양환경의 특징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이문옥,김종규,김병국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0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23 No.4

        We analyzed the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Yeoja Bay, Korea, with comprehensive data of more than 80 articles and publications issued from 1983 to 2020 in relation to Suncheon and Yeoja bays. As a result, Studies of Yeoja Bay appeared to have been poorly conducted, compared to those of Jinhae and Gamak bays, and even Suncheon Bay. In addition, Yeoja Bay has not nearly experienced harmful algal blooms, oxygen-deficient water masses, and shellfish toxicities, although it is similar to Jinhae and Gamak bays in aspects of their physical environment. That was deduced because Suncheon bay plays a role as a buffer for purification of water quality as well as sediments. In a word, we can say marine environments of Yeoja Bay is dependent on how to well manage Suncheon Bay in a sustainable way. Therefore, we need to study Yeoja Bay in connection with Suncheon Bay in the future, although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independently conducted. With this, it is judged that we can elucidate a mechanism of Suncheon Bay not only to contribute to the marine environment of Yeoja Bay, in terms of salt marsh and inhabitants, but also to more explain the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Yeoja Bay. 본 연구에서는 여자만의 해양환경연구와 관련하여 1983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80여편의 학술논문과 기타 학위논문, 연구기관에서 발행된 조사 자료 등을 바탕으로 여자만 해양환경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자만은 순천만은 물론 진해만이나 가막만 등 타 해역에 비해 연구 분야의 다양성이나 양적인 면에서 현저히 적었다. 또한 진해만이나 가막만 등과 서로 유사한 물리 환경적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적조는 물론, 빈산소수괴의 발생, 양식장에서의 패류 독성 등 특별한 환경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것은 여자만의 북부에 위치한 순천만의 염습지와 서식생물이 여자만의 수질과 저질을 정화해 주는 완충장치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다시 말해, 여자만의 해양환경 문제는 바로 순천만을 얼마만큼 지속적으로 잘 관리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여자만과 순천만 연구는 각각 서로 다른 관점에서 독자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앞으로는 여자만의 연구는 순천만과 연계하여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를 통해 순천만의 염습지나 서식생물이 여자만의 해양환경에 기여하는 기작의 해명은 물론 여자만의 해양환경적 특성도 보다 더 명확해 질 것으로 판단된다.

      • 교각건설로 인한 나로도 협수로 부근해역에서의 조류변화 수치모형실험

        이문옥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1993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2 No.-

        The field observation and numericaJ experiments with a two-dimensionaJ depthintegrated model have been undertaken in order to investigate some impacts on the flow structure resulting from the construction of a bridge connecting Kohung Peninsula and the Narodo Islands on the southem coast of Korea. TidaJ currents passing through the straits between the Narodo Islands showed that, aJthough the phase lagged one hour behind that passing through the strait between Kohung Peninsula and Naenarodo Island, it st피 kept strong flows of more than 8Ocm/sec near the bottom. The horizontal distributions of sea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ithin the study area seemed to be higher southward but uniform vertically. The results of the drogue experiments in the straits between the Narodo Islands showed that the drogues moved northward of Sayangdo 피 the early part of the flood tide, but southward in the late part of the flood tide and finally stopped when they reached a mile from the east coast of Surakdo. On the other hand, the numerical computation showed that the flow structures after construction of bridge piers were basically in line with those before construction of bridge piers except for the slight variations of velocities in the vicinity of the bridge piers. A large scale clockwise circulation has been confumed in the south area of Namsungri of Kohung Peninsula from the computational results of tide-induced residual 야rrents. Referring to these computationaJ results, the impact category on the flow structures due to the bridge piers construction has been estimated to be within around 2km. 까le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field observations.

      • 진해만 적조발생의 물리적 기구 I

        이문옥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1994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3 No.-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red tide outbreak in Jinhae Bay were examined using currents, sea water temperature and sali띠ty measurement data during the summer. Masan Bay, Kohyun Bay and Wonmun Bay, in which the red tide have been frequently occurred fcπ the last decade, has kept g∞d physical condition for the increase of the red tide organisms. Therefore in these small inner bays the red tide could occur at anytime by the upwelling of oxygen deficient water masses due to a strong wind action. The red tide was more likely to occur in Masan Bay during the n않p tide than during the spring tide because the h아izontal dispersion coefficient at the n않p tide was less than the critical dispersion c∞fficient. Masan Bay and the western part of Jinhae Bay are believed to hold the possibility of the red tide occurring if only the north or east wind blows strongly. It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when a strong north wind blew, the red tide was occuπed in Changsungpo Bay, and then the upwelling was observed by Kim(1994b) in the northern p따t of Jinhae Bay. 까le dimensionl않s quantity of 2h!Ri*ι (analogous to Wedderbum number) in Wonmun Bay was 0‘016, which was less than 12 of the critical value for the upwelling of oxygen deficient water masses by Yoon(1994).

      • KCI우수등재

        진해만 연구의 변천과 앞으로의 과제

        이문옥,김종규,김병국,김명원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0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23 No.2

        We extensively reviewed articles published in relation to the research for Jinhae Bay, Korea over the last four decades in order to diagnose and evaluate how it has been changed with time. Algal blooms, water quality and sediments, seawater behavior, and benthic animals appeared to be mostly often dealt with themes of the study. In addition, researches seemed to be densely conducted around the northern area of Jinhae Bay until the 1990s but since then,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at the western area or the whole area of the bay. This suggested that a center of the study moved from the northern area to the western area of the bay where a self-contamination is serious by shellfish farming. Algal blooms in Jinhae Bay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past but still occur in the small inner bays. Therefor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are necessary for elucidating not only ecological investigation of causative organisms but also the processes of physical accumulation and biological proliferation in the entire area of the bay. Water quality and sedimentary environment were also improved since the 2000s, and as a result, the appearance of oxygen-deficient water masses decreased. However, the western area of the bay is still suffering from oxygen-deficient water masses and exposed to domestic sewage from the land. Consequently, we will have to find a solution to current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harmful algal blooms, oxygen-deficient water masses, and shellfish toxicity by controlling pollution load in the northern and western areas of the bay. 본 연구에서는 진해만 연구가 지난 40년간 어떻게 변천해 왔는가를 진단,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및 과학인용지수(SCI)에 게재된 80여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진해만 연구의 주제로서는 적조, 수질과 저질, 해수유동, 저서동물과 어장환경 등이 가장 많이 다루어졌다. 또한 1990년대 이전에는 진해만의 연구가 북부해역에 집중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서부해역 또는 진해만 전역에 집중되었다. 이것은 진해만의 연구 중심이 북부해역에서 양식에 의한 자가 오염이 심각한 서부해역으로 이동하였음을 의미하였다. 한편, 진해만에서의 적조는 발생빈도가 과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소내만에서는 여전히 유해성 적조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진해만의 전 해역을 대상으로 한 유해적조생물의 생태학적 조사와 물리적 집적과정, 생물학적 증식과정 등에 대한 학제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진해만의 수질과 저질 환경 또한 2000년대에 들어서부터 상당히 개선되어 북부해역에서의 빈산소수괴의 출현빈도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패류양식장이 밀집한 서부 해역에서는 여전히 빈산소수괴의 출현빈도가 높고, 육수나 생활하수 유입의 영향을 계속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북부해역과 서부해역에 대한 유기물 오염부하를 억제하여 적조는 물론, 패류 독성이나 빈산소수괴의 발달 등의 제반 환경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시급히 찾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A Clinical Study on Daily Variation of Oral Malodor Gases

        이문옥,이명구,황선영,최승희 대한예방치과학회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 Vol.6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ing trend by hour of the oral malodor of ordinary people. Materials and Methods: We measured the oral malodor by using Oral Chroma which is a based on volatile sulfide compound and BB Checker which is a device that measures overall gas inside the mouth. To identify the trend, the research selected 20 applicants, of which 10 applicants were teens while the other 10 were in their 30's. The applicants's breath was measured in every 2 yours from 7:00 in the morning and they were measured 8 times in total. Results: The oral malodor is not influenced by age or gender (p>0.05). The highest possibility to have oral malodor during the day is right after applicants wake up in the morning (p<0.05). The oral malodor is reduced after meal as it is compared to before meal. The oral malodor increases as the time goes by. Conclusion: The level of oral malodor changes during the day as time goes by. In this regard, it is recommended that when the change of oral malodor is identified, the breath of participants be measured at the same time of the day in order to eliminate the time factor.

      • KCI우수등재

        득량만 해양환경의 특징

        이문옥,김종규,김병국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2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25 No.1

        We diagnosed and evaluated marine environments of Deukryang Bay, which is located at the west part of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with comprehensive reviews of 52 academic journals issued during the last forty seven years. Tidal currents of Deukryang Bay appeared to be faster on the right side of Deukryangdo than those on the left side while tidal ranges tended to increase towards inside of the bay from the mouth. In addition, transparency of the bay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destruction or development of stratification with spring and neap tides. On the other hand, water temperatures indicated a seasonal variation with heat budgets between the air and sea surface so that heat came in from outside of the bay in winter whereas it went out from inside of the bay in other seasons. Moreover, it was deduced that DIN works as a limiting factor of biological pro- duction throughout the bay in summer whereas it works as a limiting factor only inside of the bay in other seasons. On the contrary, it was judged that phosphate and silicate are being supplied by mainly freshwater in summer whereas they are being supplied by inflows of the outer seawater in other seasons. On the other hand, Deukryang Bay appeared to maintain good water quality as well as sedimentary environments for inhabitation and aquaculture of marine organisms since it showed a remarkably low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and also paralytic shell- fish toxin was not detected at all. However, it gave us lessons to have to solve because the number of benthic animals and polychaeta decreased in their species and densities, and in particular recently the production of shell- fish and its seedlings fairly decreased. Furthermore, it was thought that a persistent and minute monitoring needs for water quality and sedimentary environment, as sediment contamination had a tendency to increase towards inside of the bay and new pollution-indicator appeared as a major species. On the other hand, microplastics, which are recognized as one of pollutants to cause a mortality of marine organisms, were found even in Deukryang Bay well-known as relatively clean area.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we will have to take some measures to the inflows of microplastics (or marine litter) in order to protect Deukryang Bay’s marine ecosystems. 본 연구에서는 1974년부터 2021년까지 득량만 연구와 관련하여 한국학술지인용색인과 과학인용지수, 그리고 학위논문에 게재된 52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득량만의 해양환경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득량만의 조류는 만내 중앙에 위치하는 득량도를 중심으로 우측 유속이 좌측 유속에 비해 더 빠르고, 조차는 만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득량만에서의 투명도는 대조기(또는 태풍시)와 소조기의 성층의 파괴 또는 형성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였다. 한편 득량만의 수온은 대기와 해면과의 열교환에 의해 계절적으로 변동하며, 열은 동계에는 외해에서 득량만으로, 그 외의 계절에는 득량만에서 외해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득량만에서의 DIN은 하계에 만의 전역에서 생물생산의 제한인자로 작용하고 있으나 다른 계절에는 만 안쪽에서만 제한인자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반면, 인산염과 규산염은 하계에는 주로 담수에 의해 만내로 공급되며, 다른 계절에는 외해수의 유입에 의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득량만은 해수 중의 중금속 농도가 현저히 낮고 양식생물에서의 마비성 패독도 전혀 검출되지 않아 해양생물의 서식과 양식에 좋은 수질과 저질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저서동물과 저서다모류는 과거에 비해 그 종수와 서식밀도가 감소하였고, 특히 최근에는 패류와 종자 등의 생산 감소가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로 드러났다. 또한 저니오염도 만 안쪽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잠재적인 유기물 오염 지시종이 새로이 우점종으로 출현하여 앞으로 수질과 저질 환경에 대한 지속적이고도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편 해양생물의 사망 등을 유발시키는 오염원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이 타 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청정해역으로 알려진 득량만에서도 발견되어 향후 해양쓰레기 유입에 따른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