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승자 시의 애도 주체와 젠더 정치학

        이광호(Lee, Kwang-Ho)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5

        본 논문은 최승자 초기 시에서의 ‘애도의 주체’를 분석하면서 그 미학적 특이성과 젠더 정치학의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최승자의 시는 애도의 주체가 ‘낳은 주체’ 즉 존재를 ‘생성’하고 ‘이행’시키는 존재가 되는 시적인 과정을 드러낸다. ‘너’와 함께 한 시간의 상실 앞에서 시적 주체는 기억을 보존하는 방식으로 ‘부재’속에 머문다. 기억은 몸에 새겨져 지워질 수 없는 것으로 재구성되고, 기억의 주체는 그 ‘주체화’의 자리에서 내려와 기억에 대해 수동적인 위치에 처하게 된다. 기억의 윤리학은 몸에 새겨진 시간을 ‘기억할 수밖에 없는’ 존재로서의 ‘이중 애도’의 주체가 된다. 기억의 주체가 ‘낳은 주체’로 전환될 때, 죽어 가는 ‘여성-몸’은 애도의 예외적인 형식을 드러낸다. 죽은 여성의 몸과 ‘사산’된 존재에 대한 애도는, ‘여성-몸’이 만드는 다른 생산의 ‘(불)가능성’으로 전환된다. 애도는 죽음을 넘어서는 ‘여성-몸’의 혁명적인 상상력과 조우한다. ‘낳는 주체’로서의 ‘여성-몸’의 잠재성은, 하나의 존재를 다른 존재로 ‘이행’시키는 것이며, 애도 주체로서의 여성 주체는 통과제의적인 장소가 된다. 최승자의 초기 시의 여성 주체는 시의 언어들 속에서 구성된 애도의 ‘수행자(遂行者)’로서의 시적 주체이다. 이 애도의 주체는 사랑과 기억의 대상을 포기하기를 거부하며, ‘죽은 몸’이 대상을 ‘다시 낳는’ 행위를 통해 대상을 ‘내’ 안에서 재생성한다. ‘낳은 주체’는 모성의 이데올로기로서의 여성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낳은 행위’ 자체를 통해 애도의 주체를 재구성한다. 정상적인 애도의 경제학이 애도를 탈정치화한다면, 최승자의 시적 주체는 제도화되고 권력화된 젠더 시스템을 파열시키고 애도를 재정치화 한다. This research aimed at re-contextualizing the problem of the esthetic specialty and gender politics while analyzing "the subject of condolence" in Choi, Seung-Ja"s early poem. Choi, Seung-Ja"s poem reveals the poetic process that becomes a being that "creates" and "transmits" the "born subject", i.e. the existence that the subject of condolence gave birth. At the loss of time with "you", poetic subject remains in "absence" in the method of preserving the memory. Memory is recomposed as something that cannot be erased by being carved in body, and the subject of memory stays in the passive position in memory by descending from the position of that "subjectivation". Ethics of memory becomes the subject of "double condolence" as the being that "cannot but remember" the time carved in body. When the subject of memory is changed to "the subject that gave birth", dying "woman-body" reveals the exceptional form of condolence. Condolences on dead woman"s body and "stillborn" being is changed to "(im)possibility" of another production and revolution that "woman-body" makes. Condolence encounters revolutionary imagination of "woman-body" beyond death. Potential of "woman-body" as "the subject that gives birth" "transmits" an existence to another one, and the woman subject as the subject of condolence becomes the place of passage offer. Woman subject in Choi, Seung-Ja"s early poem is the poetic subject as the "performer (遂行者)’ of condolence composed in poetic languages. Subject of this condolence refuses to give up the object of love and memory, and regenerate the object in "me" through the act of ‘giving birth to the object again’ of ‘dead body’. ‘Birth giving subject’ does not define woman category as the ideology of mother, but recomposes the subject of condolence through ‘birth giving act’ itself. If the economics of normal condolence ex-politicizes condolence, Choi, Seung-Ja"s poetic subject ruptures institutionalized and authorized gender system and re-politicizes condolence.

      • KCI등재

        김소월 시의 애도 주체와 유령의 존재론

        이광호 ( Lee Kwang-h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9 No.-

        이 논문은 김소월의 시에서의 ``애도 주체``와 ``유령``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김소월 시 텍스트에 드러나는 수행적 주체의 한 양상을 ``애도 주체``로 명명하고, 그 애도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유령``의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김소월의 시는 상실의 시간을 잠재성의 시간으로 만드는 방식으로 애도의 시간을 재구성한다. 애도의 주체는 사라진 대상에 대한 호명과 기억의 현재화를 통해 그 애도를 지속하고자 한다. 사라진 대상을 둘러싼 기억이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등장하는 것은 유령적인 존재들이다. 소리와 냄새, 그리고 몽환적인 3인칭과 여성적인 존재로 출몰하는 유령적인 존재들은, 애도의 불가능성을 애도의 지속성으로 전환하는 이미지들이다. 유령은 소유도 동일화도 불가능한 비실재적인 가시성이고 ``존재자 없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김소월의 시는 잃어버린 대상이 익명적인 존재로 재출현하는 방식으로서의 ``애도의 제의``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시들은 부재와 현존 사이의 실체화할 수 없는 유령의 경험이 갖는 미학적이고 윤리적인 의미를 드러내준다. 김소월 시에서 애도는 타자의 기억에 충실하면서 타자를 폭력적으로 동일화하지 않는 방식이다. 유령의 형식으로 되돌아오는 미지와 익명의 타자를 ``환대``하는 애도라고 할 수 있다. 김소월이 한국시의 서정의 형식을 구성하는데 기여한 것을 생각한다면, 이런 분석은 한국현대시의 서정적 형식 안에 내재된 애도 주체로서의 시적 주체의 성격을 이해하게 해준다. 한국 서정시의 기본적인 형식이 상실된 대상에 대한 그리움과, 대상의 부재를 언어화하는 방식의 문제였다면, 애도의 형식은 한국 서정시의 미적 모더니티를 구성하는 문제적인 국면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ntended to deal with the ``mourning Subject`` and the image of ``specter`` appearing in Kim Sol-Wol`s poems. And it intended to call a patter of performing subject being revealed in Kim So-Wol`s poem texts as the ``mourning Subject``, and the to raise the question of ``Specter`` being revealed in the mourning process. Kim So-Wol`s poems recompose the mourning time as the way transforming the lost time into the creative potential time. The mourning subject intended to keep the mourning through calling a name to the lost object and making the memory present. It were the specter beings that appeared during the process calling out the memory around the lost object. The specter beings were the images conversing the impossibility of love and mourning into the continuality of mourning. Kim Sol-Wol`s poems can be expressed into the ``proposal of mourning`` as a way that the lost object reappeared as an anonymous being. Such poems reveal aesthetic and ethical meanings being contained in the experience of specter who can`t be embodied between the absence and the present existence. That is the way faithfully reminding the other`s memory but not violently synchronizing the other. The way can be said as the mourning ``welcoming`` the unknown other returning in the form of specter. Thinking Kim So-Wol`s contributory position in composing the format of lyricism of Korean poems, this analysis allow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poetic subject as the mourning subject being inherent in the format of Korean modern poem`s lyricism.

      • KCI등재

        한용운 시에 나타난 젠더화된 애도

        이광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4 No.-

        Poems written by Han Yongwun present the gender position of women as those who are ‘left’ behind as their beloved, men, ‘leave’ through repetitive acts and declarations of mourning. The form of mourning is a process of speech act and mourning is carried out on two levels: ‘declarations’ that occur within the poetic discourse and genderization of the voice of the declarations as being female. The agent of ‘mourning-waiting’ is an exclusive agent that is composed within the ‘maternity-nationalism’ frame. The agent of mourning practices the ethics of love by sacrificing her own body and the masochistic sacrifice is genderized. The agent of mourning composes metaphysical impulse that attempts to transcend national absence and loss with gender-based metaphor. In poems by Han Yongwun, femininity is absorbed in the metaphysical logic set by a hidden male ego, rather than being created as a new agent. If the existence of the ‘beloved’ was genderized as male in a way that reconstructs the fantasy of a ‘nation state,’ by contrast, the agent of ‘female-mourning’ who relies on existence of the ‘beloved’ is objectified. Suturing the autonomy and purity of a damaged nation via feminine image denotes control of sexuality. The insecurity of male agents in a colony, where historical modernity was incomplete and the ‘nation state’ was damaged and absent, had to be filled with the existence of females. ‘Gender ventriloquism’ is a way to aesthetically conceal the contradiction of (male) agent and community but also shows a trace and evidence of such conflict and contradiction. Poems of Han Yongwun presents both achievement and contradiction of literary modernity when the custom of feminization in traditional lyric is reconstructed as ethics and national discourse of mourning. 한용운의 시들은 애도의 반복적인 행위와 선언들을 통해 ‘님-남성’을 떠나 보낸 ‘남은 자-여성’의 젠더적인 위치를 상연한다. 애도의 형식은 애도를 수행하는 언어 행위의 과정이며, 시적 담화 안에서 벌어지는 ‘선언’들과 그 선언의 목소리를 여성 젠더화하는 두 가지 차원에서 진행된다. 그 ‘애도-기다림’의 주체는 ‘모성-민족주의’의 프레임 안에서 구성된 전유된 주체이다. 애도 주체는 자신의 신체를 기꺼이 희생하는 방식으로 사랑의 윤리를 수행하며, 마조히즘을 둘러싼 희생은 젠더화 된다. 애도의 주체는 민족을 둘러싼 부재와 상실을 넘어서려는 형이상학적 충동을 젠더적인 은유의 문법으로 구성한 것이다. 한용운의 시에서 여성성은 새로운 주체로 생성되기 보다는, 숨은 남성적 자아가 설정한 형이상학적 논리 안에 흡수된다. ‘님’의 존재가 ‘민족-국가’의 환상을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남성 젠더화 된다면, ‘님’의 존재에 의탁하는 ‘여성-애도’ 주체는 거꾸로 대상화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여성의 이미지를 통해 상처받은 민족의 자립성과 순결성을 봉합하는 것은 여성을 둘러싼 섹슈얼리티의 통제를 의미한다. 미완의 역사적 근대성, 즉 ‘민족-국가’의 좌절과 부재를 둘러싼 식민지 남성 주체의 불안은 여성이라는 존재를 통해 메꾸어져야 했다. ‘젠더 복화술’은 (남성적) 주체와 공동체와의 모순을 미학적으로 은폐하는 것이지만, 그 균열과 모순의 흔적이며 증좌이기도 하다. 한용운의 시는 전통적 서정시가에서의 여성화 관습이 젠더화된 애도의 윤리와 민족 담론으로 재구성될 때의 문학적 모더니티의 성취와 모순을 동시에 보여준다.

      • KCI등재

        「정헌묘지명(貞軒墓誌銘)」의 애도 작업 : 정약용 문학의 ‘애도하는 주체’를 탐구하기 위한 시론

        황정수 ( Hwang¸ Jeong-soo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3 한국문학연구 Vol.- No.72

        본고는 정약용 문학의 ‘애도하는 주체’를 탐구하려는 시론으로서, 정헌(貞軒) 이가환(李家煥, 1742~1801)을 애도한 「정헌묘지명(貞軒墓誌銘)」의 애도 주체의 특징과 애도 작업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점에 초점을 두어 「정헌묘지명」을 분석하였다. 첫째, 애도의 주체로서 정약용의 자의식에 유의하면서, 정약용의 애도 작업에 정조 시대의 관료이자 신유옥사의 생존자로서의 자아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애도 작업의 다양한 층위를 고려하여, 「정헌묘지명」의 애도 작업이 애도의 주체에게 어떠한 심리적, 윤리적, 정치적 함의를 지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발 문학’으로 규정되어 왔던 이 작품을 애도 작업이 구현된 총체로서 새롭게 조명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urning subject and the pattern of mourning work of “The Epitaph of Jeongheon Yi Ga-hwan,” which mourned Jeongheon (貞軒) Lee Ga-hwan (李家煥, 1742-1801), as an attempt to explore the “mourning subject” in Jeong Yak-yong's literature.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pitaph of Jeongheon Yi Ga-hwan” focusing on the following points. First, while paying attention to Jeong Yak-yong's self-consciousness as the subject of mourning, this paper examines how Jeong Yak-yong's self as a bureaucrat of the King Jeongjo's era and a survivor of Sinyu Oksa (⾟酉獄事) is working in his work of mourning. Second,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layers of the work of mourning, this paper analyzes what psychological, eth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the work of mourning of “The Epitaph of Jeongheon Yi Ga-hwan” has for the subject of mourning. Based on this paper's analysis, this work, which had been defined as “accusational literature,” is newly illuminated as a total implementation of the work of mourning.

      • KCI등재

        밀양아랑제(현 아리랑대축제) 전승에 대한 비판적 고찰-돌아오지 못하는 아랑의 넋, 구천을 떠도는 그녀의 목소리-

        김영희 한국구비문학회 2007 口碑文學硏究 Vol.0 No.24

        The Critical Review on Performance and Tradition of Arang-Festival in MiryangKim, Young Hee (Yonsei University)Arang(아랑 : the departed soul had been killed by sexual violence and returned to the real world)-Festival in Miryang is based on the oral-narrative and the written-narrative of Arang, has the ritual of Arang and various performances of Arang. The story of Arang follows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Missing of Arang, the daughter of the provincial governor of Miryang -The Repetitional Deaths of the new provincial governors of Miryang by the emergence of Arang, the departed soul - The Meeting of the mediator, new provincial governor of Miryang and Arang, the departed soul - The Story of the sexual violence Arang had experienced, said by Arang, the departed soul - The Clarification, Judgment and Mourning in the public and symbolic field”.The points of the story of Arang are the return of Arang, the departed soul, the event of the sexual violence experienced and said by Arang, the departed soul, and the process of clarification and judgment, of mourning in the public and symbolic field conducted by Arang, the departed soul. The aim of the return of Arang, the departed soul is mourning, in the public and symbolic field, her losses by the sexual violence.Arang invited to Arang-Festival represents the ideology of the faithful woman's chastity and virtue, and in fact Arang-Ritual is the memorial and educational field to instruct virgins to lay woman's virtue and chastity that patriarchal system demands of female subjects, to their heart.If it is possible to interpret with the story of Arang that Arang, the departed soul and the mediator are melancholic subjects and their behavior is the process for mourning losses by the symbolic criterion and regulation, Arang-Festival is to be the ritual and festival for mourning the psychologic losses of melancholic subjects ruled out to the outside of social borderline. 경상남도 밀양에서 거행되는 아랑제(현 밀양아리랑대축제)는 구전과 야담으로 전해지는 아랑이야기에 근거를 둔 축제로, 아랑을 추모하는 사당인 아랑각에서 치러지는 아랑 제향과 아랑을 소재로 한 각종 공연전시가 주를 이루는 아랑 축제로 이원화된 방식으로 진행된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한시에서부터 야담, 구전이야기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전승되고 있는 아랑이야기는 ‘밀양부사의 딸인 아랑의 실종 - 원귀 아랑의 출현으로 인한 신임 부사의 반복적인 죽음 - 중개자(대리발화자)와 원귀 아랑의 만남 - 원귀 아랑의 발화로 드러나는 폭력 사건의 전말 - 공적 영역에서의 해원(解寃)’의 구조로 서사가 진행된다. 아랑이야기에서 가장 초점이 되는 것은 원귀 아랑의 귀환과, 대리 발화된 원귀 아랑의 말, 그리고 대리자를 내세워 원귀 아랑이 주도하고 있는 공적 애도 과정이다. 원귀 아랑의 귀환 목표는 ‘열녀되기’가 아니라 성적 폭력으로 인한 상실을 남성 주체가 참여한 공적 영역에서 애도하는 것이었다. 원귀가 되어 돌아온 아랑은 대리자 선택에서부터 대리 발화 내용 및 애도 행위 전 과정의 지시에 이르기까지 해원 과정 전체를 주도하며, 여기서 대리자는 원귀 아랑이 상징계로의 진입과 공적 애도를 위해 몸을 빌린 대상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아랑제에 소환된 아랑은 ‘정절(貞節)’과 ‘열(烈)’의 이념을 표상하며, 아랑 제향은 성적 폭력에 희생된 아랑에게 ‘말할 수 없음’의 금기를 채웠던 바로 그 가부장적 가치를 여성들에게 교육하고 각인시키는 이데올로기적 기념과 교화의 현장이 되고 있다. 남성 주체에 전유된 아랑이야기와 아랑제의 전승은, 사회적 범주와 경계 설정, 상징계의 승인 등에 의해 배제되거나 소외된 우울증적 주체들의 상실을 위로하지 못한 채 오히려 공적 우울을 가속화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아랑은 현실과 초현실의 경계를 넘어 현실계로 돌아온 초현실적 존재가 되었고, 남성과 여성의 젠더 경계를 허물며 남성 주체의 입으로 말하는 여성 주체가 되었다. 원귀 아랑은 사회적 경계의 외부를 보여주며 그러한 경계가 만들어내는 모든 공적 우울을 해소하기 위해 귀환하였으며, 공적 애도를 위해 정치적 전략에 따라 남성 주체의 목소리를 전유하였다. 현실에서는 아랑의 상실을 애도할 길이 없다는 점에서, 초현실계의 힘과 남성 주체의 목소리에 의지해서야 공적 애도가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죽음을 통해 비로소 목소리와 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원귀 아랑의 귀환은 여전히 우울증적 요소를 안고 있다. 바로 이 때문에 아랑 제의, 혹은 아랑 축제는 여전히 지속되는 아랑의 상실과 원귀 아랑의 우울을 해소하는 진정한 애도의 장이 되어야 한다. 원귀 아랑과 그의 대리자가 모두 우울증적 주체였고 그들의 행위가 상징적 질서에 의한 상실을 애도하기 위한 해원 과정이었다면, 오늘날 아랑제는 열녀 아랑을 기념하고 교육하는 정치적 교화와 틀에 박힌 축제에서 벗어나 모든 우울증적 주체들의 상실을 애도하는 진정한 해원굿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주체의 궁핍과 ‘손(手)’의 윤리- 정용준, 김영하, 김애란의 소설을 중심으로

        김미현 구보학회 2018 구보학보 Vol.0 No.19

        The debate over the 'death of the subject' which was popular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has been criticised since the 21st century. It is said that the debate over the 'new subject' rather than over the 'subject impossible' is a more productive and future-oriented one. The new subject from Korean novels in 2000s comes to be subject to ethics as it is in a state of 'destitution' which is incomplete, opaque and unbalanced. The reason why is that vulnerability of the subject comes to be destitute by violence of the 'neighbor'. In three short stories-Greetings by Jeong Yong-Jun, Searching For The Child by Kim Young-Ha, Where Would You Like To Go? by Kim Ae-Lan-representative aspects of such a destitute subject are novelized through 'hands' of the subject who lost a precious family member. In the novel by Jeong Yong-Jun, there appear 'hands of the solidarity' of mothers whose sons died a suspicious death while serving in the army. However they can never lament such a death so it shows the impossibility of lamentation. In the novel by Kim Young-Ha, the hero should discern 'faceless' of the 'bad neighbor' by giving no forgiveness to a woman who abducted his son. In the novel by Kim Ae-Lan, the heroine is exposed to the ambivalence of dispossession through the cure from resentment against her husband who died while trying to save his student to the concern about an elder sister of the dead student. In these novels, the ethics of the subject symbolized by a 'hand' shows a new attempt for criticising the ethical violence against the subject. 주체는 한국근현대소설사에서 지극히 논쟁적인 개념이다. ‘근대의 발명품’에서 ‘주체의 죽음’에 대한 논의에 이르기까지 주체의 양상 자체가 한국소설의 실체를 파악하게 하는 가늠자이기 때문이다. 특히 2000년대 한국소설은 이런 주체의 ‘궁핍’에서부터 시작한다. 형이상학적 주체에 대한 비판 ‘이후’ 불완전성·불투명성·불균형성이 초래한 궁핍의 상황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주체의 궁핍이 주체의 상실이나 부재가 아닌 결여나 장애, 반성이나 책임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윤리의 문제와도 연결된다. 기존의 주체는 타자에게 윤리적 폭력을 유발하는 주체와의 동일화를 강요했다. 그러나 주체의 궁핍은 이런 윤리적 폭력을 타자의 확대 개념인 ‘이웃’과의 관계를 통해 재설정한다. 이웃에 대한 무조건적인 배려나 무한 책임 자체도 또 다른 윤리적 폭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절대적 주체가 불가능하다면, 절대적 이웃도 부당하다. 이웃의 폭력이 주체의 궁핍을 구성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가족관계와 같은 친밀한 사적 영역에서의 거부하기 힘든 윤리의 문제를 ‘잡는 손’이라는 공통된 주요 상징으로 소설화하고 있는 세 편의 2000년대 소설을 통해 이런 주체의 궁핍을 초래하는 새로운 윤리를 확인할 수 있다. 정용준의 「안부」는 군대에서 의문사한 아들을 잃은 어머니들이 상처를 통해 연대하지만, 아들의 죽음에 대한 애도는 불가능함을 강조한다. 상처받은 주체끼리의 손쉬운 연대 자체가 윤리적 폭력에 대한 망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영하의 「아이를 찾습니다」에서는 아들을 유괴한 여자를 용서하지 않음으로써 ‘나쁜(bad) 이웃’의 ‘면목 없음’을 판별한다. 무조건적인 용서는 선과 악을 구분하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김애란의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는 제자를 구하려다가 죽은 남편에 대한 원망(怨望)에서 죽은 제자의 누나에 대한 원망(願望)으로 이행함으로써 박탈된 주체의 양가성을 보여준다. 치유를 거부하는 주체 또한 피해자로서의 우월한 위치를 고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새로운 윤리를 제시하는 세 소설은 각각 절대적 윤리로 간주되는 ‘연대’ ‘용서’ ‘치유’ 등에 대한 강요가 초래하는 윤리적 폭력도 비판받아야 함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윤리의 ‘폭력’이 아닌 ‘개방’을 중시함으로써 ‘포스트 맨(Post-Man)’ 시대의 새로운 윤리가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남성 주체의 결핍과 상실을 대리 표상하는 '사그라진 신부(新婦)'

        김영희(Kim Young hee)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3

        어떤 '신랑'이 혼인을 한 첫날밤 자신의 '신부'가 간부(姦夫)와 정을 통하고 있다고 오해하고 '신부'를 버려둔 채 신방을 나온다.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신랑은 우연히 첫날밤을 보낸 집 옆을 지나다가 첫날밤 복색과 자세 그대로 신방에 앉아 있는 신부를 발견한다. 신랑이 발견한 순간 신부는 먼지와 재로 내려 앉아 사라져 버린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 <첫날밤에 소박맞은 신부>는 표면적으로 신부의 비극으로 읽히나 불안과 우울의 주체인 신랑이 사그라지는 신부의 발견을 통해 자기 내면의 결핍과 상실에 직면하게 된다는 점에서 신랑의 비극이기도 하다. 이때 신부는 완전하고 흠결 없는 대상을 갈망하는 신랑의 성적 욕망이 투사된 존재로 남성 주체의 불안과 결핍을 대리표상한다. 남성의 성적 욕망은 영원히 충족 불가능하며 성적 대상으로서 순결하고 완벽한 신부는 애초에 도달할 수 없는 성적 환상에 불과하다. 남성 주체로서 신랑은 성적 욕망의 억압과 이로 인한 죄의식, 남성성과 권력 욕망에 대한 집착 등으로 강박적 불안에 시달리는 존재며, '사그라진 신부'의 표상은 신랑으로 하여금 자기 내면의 결핍과 상실에 직면케 한다는 점에서 남성의 불안과 우울을 환기시키는 대상이다. 수십 년의 시간 동안 신방에서 자폐하는 가운데 신부는 오로지 침묵한다. 신부는 단순히 말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미동조차 하지 않은 채 같은 자세로 앉아 '온몸으로' 침묵한다. 이 침묵은 첫날밤의 폭력적인 사건이 '말로 다 할 수 없는 사건'임을 표상한다. 신부는 온몸으로 침묵하면서 언어의 표상 한계를 넘어선 폭력성, 곧 사건의 잉여를 증언한다. 서사의 변화 지향을 통해 드러난 여성 주체의 해석적 지향은 오히려 신부의 상실을 강화하고 여성을 타자화하는 젠더 정치의 기획에 공모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나 이야기 연행과 전승의 장은 새로운 애도의 가능성을 예고한다. 말할 수 없는 폭력적 사건의 기억이 전이되고 상처가 공유됨으로써 신부를 타자화의 전략으로부터 해방시켜 진정한 애도로 나아가는 길이 열리는 것이다. 어떤 '신랑'이 혼인을 한 첫날밤 자신의 '신부'가 간부(姦夫)와 정을 통하고 있다고 오해하고 '신부'를 버려둔 채 신방을 나온다.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신랑은 우연히 첫날밤을 보낸 집 옆을 지나다가 첫날밤 복색과 자세 그대로 신방에 앉아 있는 신부를 발견한다. 신랑이 발견한 순간 신부는 먼지와 재로 내려 앉아 사라져 버린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 <첫날밤에 소박맞은 신부>는 표면적으로 신부의 비극으로 읽히나 불안과 우울의 주체인 신랑이 사그라지는 신부의 발견을 통해 자기 내면의 결핍과 상실에 직면하게 된다는 점에서 신랑의 비극이기도 하다. 이때 신부는 완전하고 흠결 없는 대상을 갈망하는 신랑의 성적 욕망이 투사된 존재로 남성 주체의 불안과 결핍을 대리표상한다. 남성의 성적 욕망은 영원히 충족 불가능하며 성적 대상으로서 순결하고 완벽한 신부는 애초에 도달할 수 없는 성적 환상에 불과하다. 남성 주체로서 신랑은 성적 욕망의 억압과 이로 인한 죄의식, 남성성과 권력 욕망에 대한 집착 등으로 강박적 불안에 시달리는 존재며, '사그라진 신부'의 표상은 신랑으로 하여금 자기 내면의 결핍과 상실에 직면케 한다는 점에서 남성의 불안과 우울을 환기시키는 대상이다. 수십 년의 시간 동안 신방에서 자폐하는 가운데 신부는 오로지 침묵한다. 신부는 단순히 말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미동조차 하지 않은 채 같은 자세로 앉아 '온몸으로' 침묵한다. 이 침묵은 첫날밤의 폭력적인 사건이 '말로 다 할 수 없는 사건'임을 표상한다. 신부는 온몸으로 침묵하면서 언어의 표상 한계를 넘어선 폭력성, 곧 사건의 잉여를 증언한다. 서사의 변화 지향을 통해 드러난 여성 주체의 해석적 지향은 오히려 신부의 상실을 강화하고 여성을 타자화하는 젠더 정치의 기획에 공모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나 이야기 연행과 전승의 장은 새로운 애도의 가능성을 예고한다. 말할 수 없는 폭력적 사건의 기억이 전이되고 상처가 공유됨으로써 신부를 타자화의 전략으로부터 해방시켜 진정한 애도로 나아가는 길이 열리는 것이다.

      • KCI등재

        2010년대 소설에 나타나는 ‘불가능한 애도’의 양상과 윤리: 황정은․김숨․윤이형의 소설을 중심으로

        정혜경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여성문학연구 Vol.35 No.-

        I suggested the agenda of ‘mourning’ and analyzed the stories of Hwang Jung-eun, Kim Soom and Yun I-hyeong in the 2010s including the stories ‘after Sewol ferry tragedy’ in terms of ‘the mourning story(narrative)’. I defined this as a story(narrative) that focuses on how the survivors respond to the dead. The mourning stories of Hwang Jung-eun are willing to fail in the separation from the dead. Kim Soom repeats the mourning that faces the face of the dead. And Yun I-hyeong actively chooses the fear and breaks the completion of the mourning. Their stories pursue the unique ways respectively. Interestingly, they have the common point that searches for ‘the impossible mourning’. This refuses the mourning as the work of separation that erases and forgets the dead. Here forms the ethics of the subject to the other.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stories of the impossible mourning refuse the ‘healing’. Of cours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ose stories inquire the structural context over the individual. But we can say ‘the impossible mourning’ means the refusal to the ‘healing’ because it gives the extreme pains to the survivors. The stories of the impossible mourning volunteering the pains ‘respond’ to the current society through search for the ethics of the literature. 본고는 ‘애도’라는 윤리적 아젠다가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 황정은, 김숨, 윤이형의 소설 가운데 ‘세월호 이후’ 소설을 포함한 2010년대 소설을 ‘애도 서사’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애도 서사는 재난 서사와 달리, 죽음 모티프를 가지되 살아남은 자가 죽은 자에게 어떻게 응답하느냐 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춘 서사로 정의하였다. 황정은, 김숨, 윤이형의 2010년대 애도 서사는 각각 죽은 자와의 단절 작업에 기꺼이 ‘실패’하고, 죽은 자의 얼굴을 대면하는 애도를 거듭 ‘반복’하며, 두려움이라는 ‘감정’을 능동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애도의 종료를 흔들어 버린다. 이 소설들은 각기 개성적인 방식을 추구하지만 흥미롭게도 ‘불가능한 애도’를 탐문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불가능한 애도’는 죽은 자 혹은 사라진 자를 지우고 망각하는 ‘단절 작업’으로서의 애도를 거부하는 것이며 이 지점에서 타자에 대한 주체의 윤리가 생성된다. 특히 ‘불가능한 애도’의 서사가 이른바 ‘힐링’이라는 자족적 대안을 거부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 소설들이 개인의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 구조적인 맥락을 탐문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런데 실패하고 반복하고 감정을 동요시키는 ‘불가능한 애도’는 살아남은 자에게 사실상 극심한 고통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불가능한 애도’는 ‘힐링’에 대한 거부 행위라고 할 수 있다. 고통을 자청하는 ‘불가능한 애도’의 서사는 문학의 윤리를 탐색함으로써 이 시대에 ‘응답’하고 있다.

      • KCI등재

        1980년대 운동사회의 감성-애도의 정치와 멜랑콜리 주체-

        김정한 ( Kim Jung-h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3

        1980년대 운동사회에서 정치 주체들은 당대의 지배적인 감각 체계에 대항하여 열사들의 들을 수 없는 목소리를 들으려 했고, 애도할 수 없는 정치적 상황에서 애도의 노래를 부르려 했으며, 애도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말을 건네려 했고, 일부는 열사들의 정신을 이어받아 스스로의 삶 자체를 버리는 죽음으로 나아가기도 했다. 이 글에서는 1980년대 운동가요, 추모제와 장례투쟁, 열사들의 유서 등을 통해 애도의 정치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운동사회의 활동가들이 멜랑콜리 주체로 구성되는 과정을 탐구한다. 열사들을 애도하지 못하는 정치적 조건에서 정치 주체들은 진리와 정의를 실천하지 못하는 스스로를 자책하고 비판하는 멜랑콜리 주체로 나아갈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운동사회의 감성은 지금까지도 지속되고 있으며, 따라서 오늘날 중요한 과제는 멜랑콜리 주체를 애도의 주체로 전환시켜 진정한 애도의 정치를 개시하는 데 있다. 우리는 1980년대의 ‘열사 문화’를 넘어서 죽은 자들과 관계를 맺는 다른 길을 모색해야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resistant songs, memorial rituals, funeral struggles, and suicide notes by “yolsa”, and analyses aesthetics of the movement society in 1980’s. In political condition of mourning impossible, political subjects of the movement society were transformed into melancholic subjects. In psychoanalytic theory, major symptom of melancholy, which is a failure of the work of mourning recovering the loss of beloved object, is a loss of self-esteem and a self-reproach. Melancholic subjects reproached themselves for not following social truth and justice. But the aesthetics and “yolsa” culture of movement society has lasted at this day. Today, our important task is to transform melancholic subjects into subjects of mourning, and to initiate politics of true mourning.

      • KCI등재

        영화 〈벌새〉에 나타난 애도의 윤리와 하위주체의 우정

        한귀은(Han, Gwi-Eun) 한국어문학회 2020 語文學 Vol.0 No.150

        김보라 감독의 <벌새>(2019)는 재난과 재난영화에 대해 성찰하게 한다. 이 영화는 1994년 성수대교 붕괴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이 재난과 집단외상에 대한 애도 실패에 성공하고 있다. 데리다에 의하면, 애도는 실패할 때만 가능한 것이다. 재난을 총체적으로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것은 집단외상을 일으킨 참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난영화는 제한적으로 거부의 방식에 의해서만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바로 이 점이 역설적으로 집단외상에 대해 온전한 이야기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진실을 다시 한번 입증한다. <벌새>는 재난을 스펙터클화하지 않는다. 총체적 재현 또한 도모하지도 않는다. 하위주체의 일상을 비인과적인 방식으로 드러냄으로써 불안하고 파편화된 현실을 그대로 보여줄 뿐이다 또한 이 점이 재난과 . 재난영화에 대한 윤리적 접근일 것이다. <벌새>는 집단외상을 일으킨 재난에 대해 알레고리를 통해 이야기한다. 알레고리는 파편화된 세계를 있는 그대로 노출시키는 작법이다. <벌새>는 불확실하고 붕괴된 세상에 대해서 반인과적 방식으로 구성한다. <벌새>에서 나타나는 알레고리 수법은 다음과 같다; 부조화되는 장면의 병치, 한 쇼트 내에서의 모순적 분위기, 제목에 내포된 모순적 의미, 고속촬영을 통한 비현실적 장면, 외화면 보이스오버, 사운드와 이미지의 불일치, 아감벤적 의미의 ‘몸짓’ 쇼트로 인한 비유기적 장면 연결과 탈프레이밍 등이다. <벌새>의 알레고리로 인해 관객의 봉합작용은 차단되고 관객은 인물에 대해 연민하고 동정하기보다는 재난과 집단외상에 대해 사유하게 된다. 재난은 평등하게 오지 않는다. 하위주체가 재난에 더 취약하다. 이 영화에서는 영웅이 아니라 하위주체(영지)가 재난의 희생자이다. 그리고 이 영화는 하위주체(영지와 은희)의 우정과 연대를 보여준다. 특히 재난의 희생자 영지에 대해서는 자유간접화법, 사진의 푼크툼의 이미지, 외화면 보이스오버, 롱테이크 등을 통해 애도가 불가능함을 보여준다. 영지는 은희에게 부재하는 대상이 아니라 현존하는 주체이며, 그 점에서 데리디가 말한 ‘유령’이다. 은희는 애도에 실패한 주체로서 유령과 함께 살아가게 되고 이로써 주체화와 탈동일화가 지속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film House of Hummingbird (2019) by Director Kim Bora asks us to reflect on disasters and disaster movies. This film is about the 1994 collapse of Seongsu Bridge. The film succeeds in its failure to mourn. According to Derrida, mourning is successful when it has failed. It is impossible to represent the disaster as a whole because it is a tragedy that caused collective trauma. Therefore, a disaster film can be expressed only in the limited sense of rejection. And this point paradoxically proves once again the truth that it is impossible to fully talk about collective trauma. House of Hummingbird does not express disaster as a spectacle or as a total disaster. It simply shows an uneasy and fragmented world by exposing the subaltern"s daily life in a non-causal way. Also, this provides an ethical approach to disasters and disaster films. House of Hummingbird uses allegory to compose the disaster that caused collective trauma. Allegory is a method of exposing the fragmented world as it is. In this film, episodes about an uncertain and collapsed world are presented in an anti-causal manner. The allegory technique in this film is as follows: juxtaposition of incongruent scenes, contradictory atmosphere within one shot, contradictory meanings contained in the title, unrealistic shots through high-speed shooting, off-screen voice-over, inconsistency between sound and image, non-organic scenes due to "gesture shots’, as identified by Agamben, and deframing. The film"s allegory blocks the audience"s suturing action, and encourages the audience to think about the disaster and collective trauma rather than feeling compassion and sympathy for the characters. Disasters are not equal. Subalterns are more vulnerable to disaster. In this film, the victim of the disaster is not a hero but a subaltern(Youngji). The film depicts the friendship and solidarity of the subaltern(Eungee and Youngji). In particular, it shows that mourning is impossible for victims of disaster through free indirect discourse, the punctum in Youngji’s photo, off-screen voice-over, and long-take shots. Youngji is not an absent object for Eunhee but an existing subject, and in that sense, it is a "ghost", as Derrida says. Eunhee will live with the ghost of Youngji as a subject who has failed in mourning, and by doing so, Eunhee"s subjectification and dis-identification contin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