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문목적 글쓰기를 위한 대학글쓰기 교육 방안

        김은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is study is to design a model of Korean writing curriculum for the academic purpose in order to improve the Korean learner's academic writing skill. For the foreign Korean learners who entered the university, Korean is an academic tool required to understand the academic text and acquire new knowledge. Korea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of being the medium of expression to have mutual text-based knowledge and present the result of studies. An evaluation on how much the Korean learners for the academic purpose understand about a subject of debate and how to widen their understanding within the scope of learning entirely depends on the “academic text” constructed by the learners. Further, the learners can perform tasks and develop the communication skills using their academic text. This paper proposes a model of the academic-purpose Korean writing class to improve the academic writing skill. In this paper, we examine how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writing strategies for the learners in performing the writing project by proposing a communication-oriented education model, which is a compromise between project-oriented and course-oriented curriculums focusing on previous genre-based writing teaching method, and suggest a writing course with minimized control and guidance of teachers. To this end, we describe features and effects of new academic writing class model, the progress of this designed educational course also the educational effects of writing in discussion and presentation between learners while performing an integrated reading-writing project, discussion and presentation. Lastly, we propose a class-model to improve a creative writing skill of the learners through integrated reading-writing class, discussion and presentation so that they can use various writing skill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academic writing and type of text.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과 과정의 모형을 설계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는 학습자가 학문적 텍스트를 이해하고, 새로운 내용지식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학문 수학의 도구가 된다. 또한 상호 텍스트적 지식을 확보하고 학문적 성과를 발표하는 중요한 표현의 도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 주제에 대해서 얼마나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으며 또 그것을 어떻게 학문의 영역 안에서 확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온전히 학습자가 구성한 ‘학술적 텍스트’에 의존한다. 나아가 학습자는 자신이 구성한 학술적 텍스트를 통해 과제를 수행하고 소통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술적 쓰기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에 제시되었던 장르 기반 쓰기 교수법을 중심으로 하여 과제 중심과 과정 중심의 교육 과정을 절충한 소통 중심 교육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쓰기 과제의 수행을 위해 어떻게 다양한 쓰기 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교사자의 통제와 유도를 최소화하는 쓰기 교육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학문목적 글쓰기의 수업 모형이 갖는 특징과 수업 효과에 대하여 기술하고, 설계된 교육 과정의 진행 과정과 읽기-쓰기의 통합적 과제 수행, 토론과 발표라는 활동의 과정에서 학습자간 토론과 발표가 갖는 쓰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이로써 읽기-쓰기 통합 교육과 학습자간 토론과 발표를 통해 학습자가 학문목적 글쓰기의 목적과 텍스트 유형에 따라 다양한 쓰기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창의적 쓰기 역량을 키우는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장르 기반 환경적 쓰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원진숙 ( Jin Sook Won ),황정현 ( Cheng Hyeon Hwang ),이영호 ( Young Ho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2

        이 연구는 현행 초등 쓰기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한다. 소위 장르 중심의 쓰기 교육을 표방하고 있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틀 안에서 이루어지는 현행 초등학교 쓰기 교육 방법에 대해 교과서 단원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장르 중심 쓰기의 전형적인 3단계 모형을 적용하고 있으나 학습활동의 단순성, 초등 필자의 특수성 등으로 인해 교실 수업으로 실행될 때는 왜곡될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교실 현장의 교수,학습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이에 현행 장르 중심 쓰기 교수법에 대해 재검토하면서, 예시문을 단순히 ‘읽기 자료’로만 활용하고 정작 ‘맥락과 텍스트의 모형화’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예시글 모방에만 치우쳐 상투적인 내용만을 단순 재생산하고 있는 경우, 장르를 형식적 틀로만 인식하는 오개념을 학생들에게 확산하는 경우, 학생들이 필자로서 쓰기 과정을 온전히 경험하지 못하는 경우 등의 폐단을 극복하기 위해 ‘환경적 교수법’을 방법적 대안으로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어 환경적 교수법의 개념을 정리하고, 학습을 지원하고 유도하는 ‘환경’과 탐구를 중심으로 하는 ‘관문 활동’이라는 특성에 주목하여 ‘장르 기반 환경적 교수법’이라는 대안적 교수법을 제안하고, 교수,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장르 기반 환경적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은 ‘관문 활동을 통해 장르의 특징 탐구하기 → 교사와 협력해서 텍스트 구성하기 → 학습자 스스로 텍스트 구성하기 → 텍스트 공유하기를 통해 독자의 반응 경험하기 → 글 고쳐쓰기’ 등의 절차를 통해서 구체화된다. 학습자는 이러한 일련의 절차를 통해서 장르에 관한 지식을 익히고, 일련의 쓰기 과정을 통해서 한 편의 글을 직접 써 보고, 이 글을 매개로 쓰기 공동체의 동료 학습자들과 소통하는 경험을 통해 반성적이고 성찰적인 필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아울러 이를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교육적 가능성과 효율성을 검증해 본 결과 본 교수,학습 모형이 쓰기 능력 신장에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have attempted to suggest the genre based environmental teaching method for fostering elementary students` writing competence in the frame of 2007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 review the writing education methods through the 2007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extbooks for elementary students and investigate genre based teaching, environmental teaching. We suggest the genre based environmental teaching method and instructional model for fostering elementary students` writing competence. Genre based environmental teaching method aims to help student`s writing growth by establishing authentic writing environment, providing meaningful writing task, and offering scaffolder in ZPD space. Genre based writing environmental instructional model is realiz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investigating the genre`s features through gateway activity→joint constructing texts with teacher→ independent construction of text→ experience response of audience by sharing text→revising text. In this study, we applied this writing instructional model to the real classroom situation and verified the meaningful education effect.

      • KCI등재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한국어 쓰기 교육 모형 개발 연구

        강신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학 Vol.15 No.2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은 높은 수준의 쓰기 능력을 요구받지만, 쓰기는 가장 습득하기 어려운 능력 중에 하나이다. 한국어 교육에서 쓰기 교육에 대한 두 가지 접근이 있는데, 과정 중심 쓰기와 장르 중심 쓰기이다. 각 접근법은 장점이 있는데, 먼저 과정 중심 쓰기는 결과물 뿐만 아니라 쓰기 과정에서의 인지적 전략에도 관심을 갖는다. 한편 장르 중심 쓰기는 필자, 텍스트뿐만이 아니라 독자에도 관심을 가지면 서 쓰기 맥락을 고려하게 되었다는 점이 긍정적인 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높은 수준의 쓰기 능력을 요구 받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위 하여 두 접근법의 장점을 취한 한국어 쓰기 교육 모형을 개발하여 제 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문 목적 학습자의 쓰기 능력 신장에 기여 하는 데 본고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5–2, Learners require an advanced level of writing skills for academic purposes, writing is the most difficult language skills. In Korean education, there are two main approaches of writing education: process– centered and genre–centered. Each approach has its advantages. The process centered approach focuses on the product as well as the cognitive strategies used throughout the process of writing. The genre–centered approach puts emphasis on the reader, writer, and the tex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egrate the two approaches and develop a model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us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improve students’ writing ability.(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KCI등재

        과제 기반 한국어 수업전략 구축에 관한 연구 -‘과제’와 ‘과정’을 결합한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원해영 우리말학회 2014 우리말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한국어 쓰기 수업을 위해 과제와 과정을 결합한 교수- 학습 전략과 쓰기 수업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쓰기는 일상 생활에서 꼭 필요한 언어기능이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현장에서는 쓰기 가 말하기의 보조적 역할을 수행한다는 인식과 쓰기 지도에 대한 전문성 부족, 수업시간 내 글쓰기 시간 부족, 쓰기 과제의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적절한 쓰기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표현영역으로 서 쓰기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사가 체계적이고 효율 적으로 한국어 쓰기 지도를 할 수 있도록 과정과 과제를 결합한 쓰기 수 업전략과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글쓰기 전(全) 과정이 조정과 피드백으로 이루어지는 과정 중심 접근의 쓰기교육 방식과 실제적인 맥 락을 가진 쓰기 과제가 쓰기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와 참여를 독려하여 쓰 기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미담 기사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수업 연구

        권은영(Kwon Eun-Young) 한국리터러시학회 2012 리터러시 연구 Vol.- No.5

        이 연구는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미담 기사를 활용한 경험담 쓰기 교수 학습 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중급에서의 경험담 쓰기 교육과 초급에서의 언어형식 연습 수준의 쓰기 교육 사이에 차별성이 필요하다고 보고, 사람들의 경험을 토대로 작성되는 미담 기사를 활용하여 경험담 쓰기 교육에 장르 특성이라는 사회맥락적 지식을 포함할 것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수업 모형은 장르 중심 교수법에 따라 수업의 목표와 방향성을 제시하고 유의미한 과제 부여하는 도입을 시작으로 교사 질문으로 문맥 파악하기→ 그룹토의를 통한 장르의 구조적, 언어적 특징 파악하기 → 교사와 학습자 전체가 협력해서 작문 쓰기 → 학습자 혼자서 경험담 쓰기 → 교사 혹은 동료 피드백 통한 수정하기를 거쳐 마무리로 나아가는 형식이다. 제시된 ‘미담 기사를 활용한 경험담 쓰기 교육 모형’은 학습자가 일련의 절차를 통해서 한국 사회공동체에서 요구하는 경험담 관련 장르 지식을 익히고, 한 편의 글을 직접 써 보는 과정을 수행하여 한국어 쓰기의 목적이 공동체와의 소통에 있음을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학습자로 하여금 사회 공동체와의 소통이라는 쓰기 과제의 목적을 이해하고, ‘반전’ 전략을 비롯한 사회공동체에서 요구하는 장르 지식을 활용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학습자들은 쓰기 교육의 목표를 이해하고, 쓰기 과제에 대해 긍정적인 자세로 임했다. 그 결과 미담 기사의 단문 능동문이라는 학습자의 기학습 어휘와 문법을 활용하되 장르 특징을 반영하여 반쓰기 과제를 수행하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This paper suggests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experience essay writing for Korean intermediate learners with human interest stories. On the basis of the idea that the writing education of experience essay for the intermediate class needs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word and grammer training for beginner class, I propose the introduction of socio-contextual knowledge into the writing education of experience essay by utilizing the human interest stories based on the exepriences of ordinary people. The model I proposed is realized as following procedure: i) setting instructional objectives according to genre-centered approach instruction and providing appropriate texts to the learners, ii) contextualizing the texts through question and answer, iii) analyzing the structural and linguistic charateristics of Genre by discussions in groups, iv) writing texts with teacher, v) writing experience essay by themselves, and vi) revising essay helped by feedback of teacher and/or the collegues.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교양 글쓰기 교재 분석 -보고서 쓰기를 중심으로-

        손다정,정다운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6 No.-

        이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 글쓰기 교재를 분석해 한국어 보고서 쓰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한국어 보고서 쓰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보고서는 장르적 특징이 명확하여 교양 글쓰기 교재에서도 보고서라는 장르를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보고서 쓰기 교육에 장르 중심 접근 방법을 적용하고자 하였고 장르 중심 쓰기 교수 모형을 확인한 결과 ‘장르 이해하기-협력적 쓰기-독립적 쓰기’ 단계로 교육이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보고서 쓰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교재에서 구현되고 있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고서 쓰기 교육은 교재 내에서 그 교육 내용과 방법이 효과적으로 제시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먼저 ‘보고서’라는 장르의 사용 맥락과 텍스트의 특징을 학습자들에게 학습 활동 없이 학습 내용으로만 제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학습자가 직접 보고서 장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또한 교재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재에서 ‘협력적 쓰기’를 활동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개별 활동 후 학습자 간 상호 피드백을 주고받게 하는 활동이 일부 있기는 하였지만 이것은 ‘협력적 쓰기’ 활동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마지막 ‘독립적 쓰기’도 쓰기 절차별 안내에 따라 학습자가 자신이 쓰고 싶은 글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하는 과제가 교재에서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 글쓰기 강의에서 보고서 쓰기 교육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먼저 ‘장르 이해하기’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보고서 장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질문을 던지고 분석하고 교사가 설명하는 단계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협력적 쓰기’ 단계에서는 교사, 동료, 교재와 협력하면서 장르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텍스트를 써 보게 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독립적 쓰기’ 단계에서는 글쓰기의 절차에 따라 자신의 보고서를 스스로 써 보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보고서 쓰기 교육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general education writing course textbooks for international undergraduates, identify the content included and method employed in Korean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and suggest a direction for effective Korean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A academic essay writing is characterized as a distinctive genre, and general education writing course textbooks provide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e academic essay genre. Accordingly, a genre-based approach to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was applied in this study, and a genre-based writing pedagogical model was identified. It was found that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stages: genre understanding, joint construction of the text, and independent construction of the tex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analyzed how the content and methodology of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were incorporated in textbooks.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some elements of content and methodology were not presented effectively in the textbooks. To begin with, the context of using the academic essay gen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text were often presented to learners as learning content without corresponding learning activities. Hence, it was difficult for learners to experience and fully understand the academic essay genre. Furthermore, an analysis of the textbooks revealed that most textbooks did not present cooperative writing as an activity. Although there were some activities instructing learner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in providing and receiving feedback after completing individual activities, they were not considered cooperative writing activities. Finally, tasks for independent writing, in which learners were fully informed about each step and allowed to write freely, were not properly presented in the textbooks. Therefore,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writing courses for international undergraduates. First, in genre understanding,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step wherein learners ask questions and analyz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then, the teacher should provide an explanation to enhance learners’ independent understanding of the academic essay genre. Next, in joint construction of the text, it is necessary to instruct learners to write the actual academic essay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genre through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colleagues, and the textbook. Finally, in independent construction of the text, learners need to write academic essays by themselves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ated writing procedure. The study suggests that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would be conducted more systematically through the aforementioned proces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조형일,송지언 한국국어교육학회 2017 새국어교육 Vol.0 No.113

        Recent studies on Korean writing have pointed out the limits of writing consistently and insist that a more practical and clear writing instruction is needed. However in comparison to the necessity there is a lack of practicality and specificity in the discussions about the authentic teaching methods about how to fundamentally write instruction and how to teach in classroom lessons. In this thesis, we tried to propose a method of ‘writing three sentences’ as a way to improve learner’s writing ability in actual education field. In this study, when a learner produces a text, the learner starts by writing three sentences in a way that is prepared from the educational aspect, and based on this, we proposes a writing method that expands to three paragraphs. Through practical examples, it was shown that ‘three sentence writing’ methods considered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can improve learner’s writing ability step by step. For this, in this study, we discussed how the three sentences were set by the principles, and then examined its composition and significance. Through this, we can understand the writing education method concrete and clearly. 한국어 쓰기와 관련된 최근의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쓰기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보다 실제적이고 분명한 쓰기 지도법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근본적으로 쓰기가 지향해야 할 방법, 구체적으로 교실 수업에서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질적 교수법에 대한 논의는 그 필요성에 비해서 실제성과 구체성 부분에 있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세 문장 쓰기’라는 방법을 제안해 보고자 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하나의 텍스트를 산출해 낼 때 교육적 측면에서 구안된 방식으로 학습자 스스로 세 문장을 작성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이를 기반으로 세 문단으로 확장 구성해 가는 쓰기 교수법을 제안했다. 실제 사례를 통해서 통사적, 의미적으로 고려된 세 문장 쓰기 교수법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단계적으로 향상시켜 줄 수 있음을 밝혔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세 문장 쓰기가 어떤 원리에 의해서 설정된 것인지 간단히 논의하고 이후 그 구성 방식과 유의성을 진단해 보았다. 이를 통해서 구체적이고 명확한 쓰기 교육 방안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작문 교육을 위한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작문 공간 모형 설계 방안

        임천택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5 No.-

        본고는 새로운 작문 환경과 교수·학습 환경에 부응하여 컴퓨터 하이퍼텍스트 환경을 이용하여 작문 교육을 위한 지원 시스템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하이퍼텍스트란 노드들이 링크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는 언어적, 비언어적 텍스트의 총체를 말한다. 하이퍼텍스트의 구조는 작문을 위해 정보를 탐색하는 측면에서 방향감 상실이나 인지적 과부하의 문제와 관련이 있고, 의미 구성의 측면에서는 표현의 자율성 문제와 관련이 있는데, 하이퍼텍스트가 작문 교육에 유용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작문 과제, 작문 과정, 학습자의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할 수 있는 망 구조를 가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작문 과정을 계획하기, 탐색하기, 작성하기, 다듬기의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계획하기 단계는 과제를 인식하고, 필요한 지식이나 전략을 선택하고, 전체적인 작문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탐색하기는 계획하기 단계에서 산출한 아이디어를 단서로 삼아 필요한 내용을 찾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과정이다. 작성하기 단계는 탐색하기를 바탕으로 내용을 생성하고 초고를 작성하는 실질적인 글의 산출 단계이다.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는 작문 매체 자체는 조작이 가능하고, 텍스트의 조작과 저장이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내용을 생성화고, 조직하고, 연결하는 것과 동시에 전사하기가 이루어진다. 다듬기는 초고를 작성한 후에 작문 과제에 비추어 초고를 점검하고 수정하며, 의사 소통 상황에 맞게 편집하는 단계이다. 하이퍼텍스트 환경에서는 펜-작문과는 달리 텍스트의 조작이 용이하고 시각적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므로 다듬기 단계가 중요하다. 조정하기는 필자가 작문 과정을 점검하고 통제하고, 의미의 연결 망을 만들어 내는 과정으로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은 사고를 즉각적으로 처리하고, 작문 단계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작문 공간 모형'은 이러한 프로그램의 하나로서, 쓰기 자료, 쓰기 지식, 쓰기 전략의 설계를 통하여 쓰기 과정을 지원하는 일종의 개념 지도라고 할 수 있다. 작문 공간은 이른 바 '계획 공간', '조직 공간', '쓰기 공간' '상호작용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계획 공간은 과제를 초점화하고 쓰기 계획을 지원하는 공간이다. 자료 공간은 필자가 다양한 자료를 탐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간이다. '쓰기 공간'은 텍스트를 구성하고 교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공간이다. '상호 작용 공간'은 필자가 다른 사람들과 텍스트를 공유하고 생각을 주고받는 공간이다. 필자는 이러한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쓰기 과정에 필요한 지식과 전략을 인식할 수 있고, 내면화할 수 있다. 즉, 작문 공간은 필자에게 쓰기 지식과 전략을 내면화하는 데 비계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study proposed model of writing space for system supporting composition education in hypertext environment considering new instruction-learning environment. First, I explained characteristics and moving structures of hypertext. It is basic discussion to be necessary for searching content and method of composition education. Hypertext is the whole of verve and non-verve text having network structures that nodes is connected with link. Hypertext has to have web structure to be used within composition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composition process based hypertext to divide it four courses paining researching, composing, to divide it four courses paining, researching, composing, revising. Planning is the step to know task, choose knowledge and strategy, and make whole plan of composition. Researching is the step to understand, interpreter, and research content needed on basis of cues in planning step. Composing is the step to product text practically. Revising is the step to check a draft, revise it, and edit it on basis of situation. Regulation is the course controlling and cheking composition process, and making meaning web connected. Hypertext system supports to process thinking immediately and move composition steps easily. Model of composition space is one of the these programs, it is concept-map that support writing process with design of materials, knowledge, strategy, composition space consists of called 'plan space' , 'organization space', 'materials space', 'writing space', 'interaction space'. Plan space supports writer to know task accuracy and plan writing. 'Organization space' supports writer to make a model of text and make organizer-map. 'Materials space' supports writer to investigate and use various materials. 'Writing space' supports writer to make and revise text. 'Interaction space' supports writer to exchange think and own in common text with others, Writer knows the knowledge and strategy that can use in writing process using these spaces.

      • KCI등재

        정보문제 해결모형을 통한 소논문쓰기의 교육내용 분석

        소병문,송기호,So, Byoung-Moon,Song, Gi-Ho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소논문쓰기 교육내용을 밝히고 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활용 방안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논문쓰기 교재 7종을 절차적 설명 텍스트로 분석하여 소논문쓰기의 교육내용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7종 소논문쓰기 교재 본문은 공통으로 <연구주제 정하기, 연구방법 정하기, 연구목차 정하기, 정보 찾기, 본문 쓰기, 참고문헌 기술하기, 발표하기>를 교육내용으로 담고 있었다. 여기에 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정보 활용 전략을 추가 보완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연구계획 세우기>와 <정보 처리하기>, <논증적 글쓰기>로 재구조화 한 후, 정보 활용 교육을 위한 소논문쓰기 교육내용으로 제안하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In addition, this searches for the appropriate application method as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al course. For clarifying and supporting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expository texts with the seven kinds of published references book on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As the results of examination, the study reveals that they are made up with seven important contents. Evidently, this analysis makes up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strategy to intensify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al course. Convincingly, we propose the educational contents which contain ideas of 'making research plan,' 'managing information,' and 'writing essay' in order to optimize for the current school library environment.

      • KCI등재

        학습자중심 모듈형 의사소통교육 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박준범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earner-centered Modular Class Model for Communication Education (LMC) on liberal arts education students in the following aspects: learning motivation, student perceptions of evaluation,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abilities such as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First, in terms of learning motivation, the LMC is effective in motivating learners and improving their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communication education. Second, the LMC helps in improving learners’ awareness of strategies and abilities in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Third, when this teaching model was applied, learner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instruction and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ies was significantly high. Fourth, in terms of learner perceptions of evalu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hange when this class model was applied. However it seemed to be influenced by the evaluation method, rather than by the curriculum. We hope that this study, which was intended to determine alternatives to meet the needs of teachers and learners, will overcome some limitations and lead to more generalized research results.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 교육으로서 학습자중심 모듈형 의사소통교육(LMC) 수업 모형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학습 동기 부여, 평가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의사소통교육 영역-읽기, 토론, 쓰기-의 전략 및 능력 향상에 대한 인식, 학습 만족도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위해 연구 대상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을 구분하여 수업전·후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첫째, 학습 동기의 측면에서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의사소통교육에 대한 학습자의태도 및 인식을 향상하거나 개선하는 데 LMC 수업 모형이 효과적이다. 둘째, 읽기·토론·쓰기 영역의 전략 및 능력 향상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도 LMC 수업 모형이 효과적이다. 셋째, 학습 만족도의 측면에서 LMC 수업 모형이 적용된 경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와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넷째, 평가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에 있어서는 LMC 수업 모형이 적용된 경우 상당히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는 교육 방법보다는 평가 방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요구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시작하였다. 비록 몇몇현실적인 연구 문제가 지적될 수 있겠으나 앞으로 연구 대상의 유형을 넓히고, 연구변인 통제 방안을 보완한다면 보다 일반화된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