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 받은 40세 이하의 ST 분절 상승과 비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의 예후 비교

        김남윤,박인혜,정명호,이숙자,김동한,이기홍,이민구,심두선,박근호,윤남식,윤현주,김계훈,홍영준,김주한,안영근,조정관,박종춘,강정채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2 No.2

        Background/Aims:The prevalence of coronary artery disease has increased in young adults. We evaluated the difference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outcomes in young patients with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EMI) and non-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NSTEMI). Received: 2011. 8. 22Revised: 2011. 9. 23Accepted: 2012. 1. 9 Correspondence to Myung Ho Jeong, M.D., Ph.D., F.A.C.C., F.A.H.A., F.E.S.C., F.S.C.A.I., F.A.P.S.I.C.Professor, Director of the Heart Research Center Nominated by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42 Jebong-ro, Dong-gu, Gwangju 501-757, KoreaTel: +82-62-220-6243, Fax: +82-62-228-7174, E-mail: myungho@chollian.net Methods:A total of 164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TEMI group (120 patients; mean age, 35.7 ± 3.8 years; 118 males) and the NSTEMII group (44 patients; mean age, 35.7 ± 4.3 years; 43 males). We analyzed clinical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 including death from any cause, non-fatal myocardial infarction,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and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during a 1-year clinical follow-up of the two groups. Results:During hospitalization, Killip class II acute myocardial infarction (5.8% vs. 15.9%, p = 0.041)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the NSTEMI group. The levels of troponin-I (66.9 ± 103.6 vs. 26.6 ± 38.5 ng/mL, p = 0.014) and N-terminal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733.0 ± 1,018.1 vs. 476.2 ± 374.5 pg/mL, p = 0.012)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EMI group. One-year MACE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are metal stents (odds ratio, 3.360; 95% confidence interval, 1.105-10.217; p = 0.033) and high lipoprotein (a) levels (odds ratio, 1.047; 95% confidence interval, 1.020-1.075; p = 0.001)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1-year MACE. Conclusions:Young patients with STEMI and NSTEMI have similar clinical outcomes. Bare metal stents and high serum lipoprotein (a) levels are independent predictors of MACE during 1-year clinical follow-ups in young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목적: 최근 흡연의 증가, 식이습관 변화 등 생활양식의 변화로 젊은 연령의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젊은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ST 분절 상승 여부에 따른 장기 예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방법: 급성 심근경색증 진단하에 성공적인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을 시술받은 40세 이하의 환자 1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EMI 120명)과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증(non-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NSTEMI; 44명)로 나누어 두 군 간의 임상적 특징 및 주요 심장사건(사망, 재 경색증, 표적 병변 재개통술, 관상동맥 우회술)을 비교하였다. 결과: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군에서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증군보다 내원 시 troponin-I 수치가 높았으며(66.9 ± 103.6 ng/mL vs. 26.6 ± 38.5 ng/mL, p = 0.014), N-terminal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733.0 ± 1,018.1 pg/mL vs. 476.2 ± 374.5 pg/mL, p = 0.012)도 높았다.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증군에서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군보다 Killip class II에 해당하는 환자가 많았고(5.8% vs. 15.9%, p = 0.041), 혈청 크레아틴(0.9 ± 0.2 mg/dL vs. 1.3 ± 2.0 mg/dL, p = 0.001)도 높았다. 1년 동안 발생한 주요 심장사건은 두 군 간에 차이는 없었고, 다변량 분석에서 전체 환자의 주요 심장사건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인자는 일반금속 스텐트의 삽입(odds ratio 3.360, 95% confidence interval 1.105 to 10.217, p = 0.033), 높은 lipoprotein (a) 수치(odds ratio 1.047, 95% confidence interval 1.020 to 1.075, p = 0.001) 등이었다. 결론: 40세 이하의 젊은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과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증 환자 간 예후는 차이가 없었고, 주요 심장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일반금속 스텐트 삽입과 혈청 lipotrotein (a) 수치이었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트레드밀 운동이 심근경색증 생쥐모델의 심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김동환,배혜란,김미자,소용석,윤미연,장성동,김영준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3 운동과학 Vol.22 No.2

        연구는 생쥐 심근경색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강도의 유산소 운동이 심장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심근경색 후 심장기능 회복에 적절한 운동 강도 및 최소한의 운동 기간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생후 10∼12주된 CD1 수컷 생쥐의 좌전하행지를 차단하여 심근경색증을 유발시킨 후 운동을 시키지 않은 심근경색 대조 군과 심근경색 후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10도 경사에서 8 m/min(저강도), 12 m/min(중강도) 및 16 m/min(고강도)의 다양한 강도로 매일 30분씩 8주까지 운동을 부하시킨 운동군 간의 심장기능 회복 정도를 심장초음파 검사와 조직검사로 분석하였다. 운동군은 심근경색 대조군에 비해 8주 운동 훈련 후 심실벽 비후와 모세혈관 수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심장조직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결과 10도 경사 12 m/min의 속도로 매일 30분씩 8주간 운동시킨 운동군에서 4주부터 심근경색 흉터의 크기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심장초음파검사에서 좌심실 수축기말용적과 좌심실 내경이 감소되고 심박출량과 좌심실 구획단축 율은 증가되어 심실 수축계수가 증가되었다. 하지만 고강도 운동군은 심근경색 후 운동을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오히려 심근경색 흉터가 더 커지고 심기능 지수들이 악화되었으며, 저강도 운동군은 그 효과가 운동을 하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심근경색 발생 후 중강도의 트레드밀 운동을 8주 이상 지속하는 것이 심장기능 회복에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The p urpose o f t his s tud y w as t o i nvestigate t he a d equate i ntensity a nd the m inimal d uration o f a erobic e xercise t o o btain t he cardioprotective effect after myocardial infarction. Myocardial infarction model was established by occluding the left descending anterior artery in heart of CD 1 mice. Three day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mice were exercised with treadmill running with a speed of 8 m/min(low intensity), 12 m/min(moderate intensity) or 16 m/min(high intensity) at 10 degree incline 30 minutes per day for 8 weeks. Hematoxylin-eosin s tain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 ize of infarct scar and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normal myocardial tissue after 8 weeks of moderate intensity exercise. However, infarct scar was increased and further thinned after 8 weeks of high intensity exercise. Echocardiography revealed that both stroke volume and fractional shortening increased while both left ventricular internal diameter and endsystolic volume decreased after 8 weeks of moderate intensity exercise. Fractional ejection, a representative of cardiac function, was also increased. However, the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either became worse after 8 weeks of high intensity exercise or were not significant changed after 8 weeks of low intensity exerci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adsmill exercise of moderate intensity at least for 8 week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has beneficial effect in recovery of cardiac function in post-infarcted patients.

      • KCI등재

        심근경색 실험동물 모델에서 Insulin-like growth factor system의 조절

        태현진(Hyun-Jin Tae),안동춘(Dong-Choon Ahn),박병용(Byung-Yong Park),심정하(Jeong-Ha Sim),김인식(In-Shik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4 No.2

        Insulin-like growth (IGF) system은 여러 가지 다양한 심근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심근경색에서 IGF system의 변화에 대해서는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흰쥐 심근경색 모델을 활용하여 IGF system의 변동을 살펴보아 심근경색에서 IGF system의 역할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60일령의 수컷 흰쥐 왼심장동맥을 결찰하여 심근경색 모델을 만들었고 개흉하여 sham 대조군을 삼았다. 실험군은 심근경색 유발 후 1, 3, 7, 14 및 30일에 희생시켰고 대조군은 가슴안을 열고 30일에 희생시켰다. 혈청과 심근내 IGF-I과 IGF-II 농도와 혈청내 IGF binding protein (IGFBP)-1, IGFBP-3 농도를 측정하였다. 심장동맥을 결찰한 실험군에서 평균 심근경색의 크기는 왼심실의 35.2~42.3%이었다. 혈청내 IGF-I의 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명확하게 감소하였으나 IGF-II 농도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청내 IGFBP-1의 농도는 심근경색 후 1일과 3일에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IGFBP-3는 전 실험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심근경색 실험동물에서 심근의 IGF-I의 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명확하게 감소한 반면, IGF-II의 농도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심근경색시 IGF system의 변동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심근경색 후 심장의 반응에서 IGF system이 중요한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sulin-like growth factor system (IGF system)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the variety of disorders of myocardial function. However, the effect of myocardial infarction (MI) on the IGF system has not been fully described. Thus,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n more detail the changes of IGF system in the male rat following myocardial infarction (MI). Ligation of the left coronary artery was performed in male Sprague-Dawley male rats at 60 days of age. Control rats were obtained sham-operated animals. MI rats were sacrificed at 1, 3, 7, 14, and 30 day after ligation of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Control rats were sacrificed on 30 day after thoracotomy. Myocardial infarct size was assessed by planimetry and perimetry. Serum and heart concentrations of IGF-I and -II were determined by radioimmunoassay. Serum levels of IGF-binding protein (IGFBP)-1 and IGFBP-3 were analyzed with a twosite immunoradiometric assay. Mean infarct size was 35.2~42.3% of the left ventricle after coronary occlusion in experimental groups. Serum levels of IGF-I were markedly reduced, but the levels of IGF-II were not altered in MI rats compared with shamligated controls. Serum IGFBP-I levels in MI ra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1 and 3 day compared with sham rats. The levels of serum IGFBP-3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igated rats. IGF-I levels of the infarct/periinfarct area of the left ventricl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ra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whereas the levels of IGF-II remained unchange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IGF system is altered in the myocardial infarction and suggest that the IGF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sponse of the heart to myocardial infarction.

      • KCI등재후보

        심근경색 모델 흰쥐에서 스트레스가 B-type Natriuretic Peptide 발현 및 심박변이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삼윤(Sam Youn Lee),이미경(Mi Kyoung Lee),김남호(Nam-ho Kim),주민철(Min Cheol Joo),조항정(Hyang Jeong Jo),강지숙(Ji Sook Kang),김병숙(Byung Sook Kim),윤선식(Sun Sik Yoon),최을식(Eul Sig Choi),이문영(Moon Young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3

        심박변이율의 감소는 심근 경색 환자에서 예후의 악화와 관련되어 있다. 심박변이율 중 very low frequency가 심부전환자의 예후를 판단할 수 있는 독립적 인자로서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심실의 압력 증가에 반응해서 생성되는 B-type natriuretic peptide가 심근 경색의 예후 인자로서 사용할 수 있음 역시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근경색 모델을 제작하여 일정의 회복 기간을 거친 다음 다시 일정 기간의 스트레스를 겪게 한 후 심박변이율의 변화 및 심실 조직에서의 BNP 발현 정도를 비교하여 스트레스에 의한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 15마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동물은 인위적 스트레스 및 수술을 받지 않은 대조군(CON, n=5), 심근경색 수술을 받은 후 restraint stress를 받지 않은 군(MI+No Stress, n=5), 심근경색 수술을 받은 후 1주일 동안 restraint stress를 받은 군(MI+Stress, n=5)으로 분류하였다. 심근경색 모델 제작 직후 15분 이상 심전도의 변화를 기록하였으며, 2개월 정도 후 심근경색 수술을 받은 동물을 두 군으로 나누어 그 중 한 군에는 1주일 동안 restraint stress를 가한 후 restraint stress를 가하지 않은 동물과 심박변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심실 조직은 좌심실 전벽 부위의 위축을 관찰할 수 있었고, 대식세포에 의하여 응고, 괴사된 심근세포의 탐식과 혈관이 풍부한 육아조직 및 섬유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심박변이율은 심근경색 수술을 받은 직후 심박수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standard deviation of the normal to normal intervals (SDNN), very low frequency (VLF) 및 low frequency (LF)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심근경색 수술을 받았던 동물에서 두 달 정도의 회복 기간을 거친 후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군은 심박수 및 기타 심박변이율 분석에서 SDNN 값을 제외하고는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던 반면 1주일 동안 스트레스를 받은 군에서는 심박수가 다시 유의하게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SDNN, VLF 및 LF 역시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심근경색 동물에 대해 1주일 동안 스트레스를 가한 결과 심박변이율이 감소하고 심실에서의 BNP 발현은 더욱 증가하여 악화함을 보여주고 있다. Diminished heart rate variability (HRV) is associated with less favorable prognosi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MI). It has been reported that very low frequency (VLF) power in HRV analysis is an independent risk predictor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nd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can be used as a prognostic factor of M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tress has an effect to the changes of BNP expression and/or heart rate variability in MI model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trol group (CON), MI group (MI+No Stress), and MI followed by stress group (MI+Stress). MI+Stress group rats were raised for a two month recovery period after the operation, followed by being exposed to restraint stress for 2 hours per day for 1 week. Electrocardiogram was recorded after the operation and the last day after 1 week of stress. The frequency components of HRV were calculated in the frequency domain such as VLF, low frequency (LF), high frequency (HF) and so on. In HRV analysis, standard deviation of the normal to normal intervals (SDN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VLF and LF also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MI+Stress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In addition, BNP expression in western blotting was shown the strongest bands in MI+ Stress group among experimental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NP and HRV were aggravated by stress in MI rat model. (Korean J Str Res 2010;18:275∼28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