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활용한 초등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영희 한국실과교육학회 202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lementary tim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using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 Literature review of the problem solving method and the 2015 amendment of the elementary practical science curriculum was made. The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ime management area of the 6 verified 2015 amendment 5th grade practical science textbook was performed. The three core concepts, general knowledges, and learning contents for the elementary tim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developed, then verified and revised by the suggestions collected by the survey results from professors. The three core concepts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 as living resources, correct time management methods, and the inhibiters of the time management. The creative practical problem solving questions of the three time management area were developed, then the example of the teaching method of the inhibiters of the time management was presente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tim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adopting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 should be applied for the methodological knowledge so as to their curriculum. Second, the tim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the lower grade students to make habit by training then continually. Third, various types of the tim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observed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 and be supported by the administr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활용한 초등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들의 합리적이고 현실성 있는 시간관리 능력을 기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간관리 교육 관련 문헌분석과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나타난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시간관리 영역에 대한 내용분석, 2015 개정 초등 5학년 검정 실과교과서 6종의 시간관리 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활용한 초등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초등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 내용체계는 시간자원의 특성, 바른 시간관리 방법, 시간관리 시의 방해요소 등 3개의 시간관리 교육 영역으로 선정하여서 각 영역별로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요소 등을 개발하였다. 각 영역별 내용타당도와 현장 적합성 여부는 관련교과 교수 및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내용체계의 수정작업을 거쳐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활용한 세 영역의 실천문제들을 제시하고 그 중에서 시간관리 시의 방해요소와 관련된 교수학습 계획안을 개발하였다. 향후의 시간관리 교육은 시간관리 계획을 실천할 때 발생되는 시간관리 방해요소들에 대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게 구성되어야 하며, 올바르고 합리적인 시간관리 능력을 정착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시간관리 체험기회를 학교현장에서 마련하여 실질적인 시간관리 교육의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시간관리 교육 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시간관리 프로그램이 전환기 초등학생의 시간관리능력과 미래지향시간관에 미치는 효과

        전중원,김정섭 대한사고개발학회 2019 사고개발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 Time Management Program(TMP) improves the time management ability of the transitio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future time perspective. The author and one of the learning consulting experts worked together to reconstruct the TMP for improving the time management ability and the future time perspectiv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 students drawn from 6th grade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in Gi-Jang gun, Busan. One class was selected as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class was selected as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14 sessions, two times a week, for the regular curriculum and creative experiential classes. Data were processed using ANCOVA. As a result, the TMP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time management ability of participating students. Among the sub-factors of time management, the students’ planning and execution were improved. And the TMP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future time perspective. Among the sub-factors of future time perspective, value and continu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MP can improve the time management ability of the transitio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elp them to develop the ability to know the value of future time and the continuity from future time to current time. 본 연구는 시간관리 프로그램이 전환기 초등학생의 시간관리능력과 미래지향시간관을 향상시키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와 학습 컨설팅 전문가 1인이 협력하여 전환기 초등학생의 시간관리능력과 미래지향시간관 향상을 위한 시간관리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소재 A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학생 47명이었으며, 두 학급 중 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23명의 학생들에게 초등교육과정 중 교과 시간과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주 2회씩 총 14회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시간관리능력, 미래지향시간관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시간관리 프로그램은 참여 학생의 시간관리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 하위 요인 중 계획하기와 실행하기 요인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시간관리 프로그램은 참여 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지향시간관 하위 요인 중 가치, 연속성 요인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시간관리 프로그램이 전환기 초등학생의 시간관리능력을 향상시키고, 미래 시간의 가치와 미래 시간과 현재 시간의 연속성을 알고 이를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주택 평면계획을 활용한 초등학생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송종국(Jong-Kuk Song),유현석(Hyun-Seok Y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 평면계획을 활용한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들의 시간관리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 연구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초등학생들에게 친숙하고 공간적으로 이해하기가 쉬운 주택 평면계획과 젠가를 활용하여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은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6명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되었다. 결과 학생들의 시간관리 능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단일집단 전후검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주택 평면계획을 활용한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으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시간관리 능력이 상승하였으며, 시간관리 능력의 하위 요소에서도 목표 세우기, 우선순위 정하기, 계획하기, 실행하기, 평가하기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시간관리 능력이 상승하였다. 결론 주택 평면계획을 활용한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시간관리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학생들은 기존의 교과 수업에 비해 자신이 원하는 주택의 목표를 세우고 우선순위를 정해서 계획하고 실행해 가는 시간관리 활동에 만족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im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using a house Floor plan and to analyze its effect on improving the time manage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In this study, research literature on tim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was reviewed, and a tim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using house floor plan and jenga that are familiar and spatially understandabl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6 students in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a single group before and after test time management ability, After receiving tim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class using house floor plan, students time management ability improved. All sub-components of time management skills of setting goals, priority decision, planning, executing, and evaluating also increased. Conclusions The tim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using the house floor plan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time manage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students was satisfied with the time management activities of setting the goals for the house they wanted, prioritizing them, and planning and executing them.

      • KCI등재

        중학교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을 위한 ICT활용 시간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뢰욱,이연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7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ICT time management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in the creative extra curricular activities and to test the effect of this program in the knowledge and attitude aspects of time management. The contents of a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nine different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analyses 5 ICT lesson plans on time management were developed. The ICT instructional method was used to develop 5 lesson plans.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s a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5 ICT time management classes during middle school creative extra curricular activities. The control group of students who had some condition with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by traditional instructional methods. After experiment, the changes in attitude and knowledge of time management of both groups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Covaziance. The significant improvements of attitude and knowledge on time management were found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of students. Thus the following conclusion is made the ICT time management instruction conducted in this study was found learning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one in attitudes and knowledge of time management 본 연구는 학습자의 시간관리에 대한 태도 및 시간관리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ICT를 활용한 학습자 활동 중심의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창의적 재량활동시간을 통하여 교육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현행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과정 해설서, 9종교과서에서의 기술․가정과 시간관리 단원의 내용분석을 하여 학습지도요소를 선정하고, 학습목표를 구체적으로 진술하였다.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총 5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안은 학습자의 활동 중심방법에 기초하였는데, 이 단계는 반응의 형성-반응의 명료화-반응의 심화-반응의 일반화 의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은 ICT활용수업으로 ICT활용유형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활동을 선정하고 학습자의 흥미도와 기억력을 높이기 위한 매체를 선정하였다.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시간관리에 대한 태도 및 시간관리에 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G중학교 학생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연구자가 개발한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설명식 강의 수업을 실시한 후 공변량분석을 하여 수업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한 결과 개발된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으로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설명식 강의 수업을 받은 학생들에 비하여 시간관리에 대한 태도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개발된 시간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이 학습자의 시간관리에 대한 지식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ICT를 활용한 시간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에 대한 다양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시간관리행동 유형화에 관한 연구

        신성철(Shin Sung Chul),조현빈(Jo Hyun Bi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1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0 No.1

        경찰업무가 증대되면서 정해진 시간 내에서 처리해야 할 업무량이 많아지고 있다.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동일하게 주어진 시간에 더 많은 일을 처리하고, 각각의 업무를 어떤 모습으로 처리하는가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며, 경찰의 업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조직을 구성하는 경찰공무원들의 시간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시간관리의 모습은 어떠하고 이러한 모습들이 경찰조직 내에서 어떠한 모습을 형성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시간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간관리행동을 계획성, 대인관계지향성, 긴급성의 세 가지 하위변인으로 구분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기초로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시간관리행동은 모두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경찰조직 내에서 시간관리행동의 특징을 도출하기 위하여 시간관리행동의 하위차원에 대한 군집분석을 통하여 성과지향형, 무관심형, 과업중시형, 대인관계중시형의 4가지 군집으로 방향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간관리행동의 각 유형들은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에 따라 일정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그 관계성이 뚜렷하게 차이가 나고 있었다. 개인과 조직차원에 있어서 시간관리라는 개념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교육 등의 프로그램이 전무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경찰 직무수행에 있어서 특정 부서 및 업무 등에 한정된 교육훈련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시간 관리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개인 및 조직의 효율성 제고차원에서 시간관리라는 개념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ishes to search constituent influencing on time management behavior of police officers. Also, I wish to examine how type and time of time management are managed in police organization.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most of the police officer who wer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eemed to be a correlation between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ime management behavior. Most preceded studies about time management behavior have been confined to "definition", "component part of time management(or time management behavior)". But, in specified organization, time management behavior have an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ery diverse. Especially, there may be difference between private organization and public organization. In the beginning, I exhibited the object, the range, the way of this study. As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of all, I defined time management and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then I listed component part of time management behavior, examined preceded studies about time management. The next, I examined effect factor on time management behavior of korean police officer. Effect factor on time management behavior of korean police officer are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based largely on Time Management Behavior Scale, Time Management Questionnaire. 1,308 police officers from korea was selected as subjects and 1,110 police officers among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and use 1,033 police officers' response in actual analysis.

      • 대학생의 시간관리 수준 및 시간관리 교육 전후의 관계 -시간관리교육 수강, 비수강 학생들을 중심으로

        두경자 ( Kyoung Ja Doo )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社會科學硏究 Vol.25 No.-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시간관리 수준 및 시간관리 교육 전,후의 관계를 살펴보고 효과적인 시간관리교육 내용을 구성하기 위한 참고자료를 얻고자 실시되었다. 그 결과 학생들이 시간관리 교육 전에 인지하고 있었던 시간관리방법은 시간낭비 요소, 시간절약, 약속이행, 수면보충방법, 아니오(No)사용 등 가장 기초적인 방법이었으며, 처음 배우는 시간관리방법은 위의 항목들을 제외한 전 항목이었다. 특히 처음 배우는 시간관리방법으로서 교육효과가 높게 나타난 것은 생애설계에 의한 목표하위시간계획수립, 위임, 시간매트릭스, 우선순위, 반성, 질적여가, 전성시간활용, 꿈과 소원이 담긴 직업 찾기 등이었다. 따라서 시간관리 교육내용을 구성할 때는 첫째, 학생들이 이미 인지하고 있는 시간관리방법에 관한 내용은 더욱 더 심화시키고 둘째, 그 외의 항목에서는 거시적 시각으로 인생전체를 보게 한 후 목표하위 시간 계획을 수립하게하고 그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미시적인 다양한 시간관리 방법들을 이해시킨 후 그 중 자신에게 맞는 맞춤형 시간관리 방법을 선택하여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내용과 방법으로 시간관리 교육이 운영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생의 전성시간 및 부진시간에 따른 건강관리행동 연구

        두경자 ( Kyung Ja Doo ),서인주 ( In Joo Seo )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硏究 Vol.26 No.-

        다른 어떤 자원보다도 시간의 중요성이 커지는 바, 시간관리에 관한 세간의 관심이 증대되었다. 사람마다 다른 전성시간과 부진시간을 가지고 있으며, 그 시간대와 길이도 각각이다. 자신의 전성/부진시간을 파악함으로서 하루 일과를 효율적으로 계획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건강에 무리수를 두지 않음으로서 건강관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관리가 필요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성시간과 부진시간을 파악해 보고, 전성/부진시간에 따른 건강관리행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이 건강의 기본이 되는 규칙적 식사와 운동을 소홀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관한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둘째, 전성시간 및 부진시간에 따라 건강관리활동에 차이가 나타나 자신의 전성시간과 부진시간을 파악하여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하였다. 셋째, 전성시간 ``항상``과 부진시간 ``밤``인 경우가 건강관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 있는 변수들를 잘 조정함으로써 건강관리를 잘 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우수등재

        품질관리검토시간을 통한 감사위험에 대한 감사인의 차별적대응

        배길수(제1저자) ( Gil S. Bae ),이재은(교신저자) ( Jae Eun Lee ),노준화(공동저자) ( Joon Hwa Rho ),최승욱(공동저자) ( Seung Uk Choi ) 한국회계학회 2015 會計學硏究 Vol.40 No.6

        본 연구는 외감법 개정에 따라 2014 회계연도부터 감사보고서의 ``감사실태보고자료``에 첨부된 품질관리검토시간 공시정보가 감사위험에 따른 감사인 대응행동의 차이를 나타내는지 조사한다. 선행연구(Francis and Krishnan 1999)에서는 감사위험이 높을 경우,투입시간의 증가, 전문성이 높은 인력의 투입, 감사보수의 증가 등의 대응방법을 감사인이 선택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가정에 의하면, 감사위험이 높을수록 품질관리검토시간비율은 증가하고, 높은 감사위험에 따른 감사시간·보수 증가 효과는 품질관리검토시간비율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실증조사이다. 본 연구에서 높은 감사위험은 전기와 당기 재량발생액(실적대응재량발생액절댓값)으로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최종표본은 2014년 12월 결산 코스피·코스닥 상장 비금융업 1,449개 기업이다. 실증조사 결과, 감사인이 인지한 감사위험(전기 또는 당기재량발생액절댓값)이 높을수록 품질관리검토시간비율이 대체로 높았다. 또한 품질관리검토시간비율이 높아지면 감사위험(전기 또는 당기재량발생액절댓값)이 높을 경우의 감사시간 증분차이는 이에 따라 함께 증가하고, 감사보수 증분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시간당감사보수 증분차이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강건성 분석에서도 높은 감사위험 하에서 품질관리검토시간비율 증가시 시간당보수 증분차이의 감소라는 수익성 악화현상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 조사결과는 감사수익성을 희생하더라도 높은 감사위험에 더 많은 투입노력을 기울인다고 보고한 선행연구(Schelleman and Knechel 2010)와 일맥상통한다. 한편, 전체 표본을 Big 4 감사법인과 Non-big 4 감사법인 표본을 구분한 경우에는 양 표본그룹 사이에 감사인의 대응이 위험요소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감사위험 증가시 품질관리검토시간비율 증가현상과, 감사위험이 높을 때 품질관리검토시간비율이 증가하면 시간당보수가 하락하는 것은 동일하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외감법 개정에 따라 2014 회계연도부터 시행된 품질관리검토시간 공시정보가 감사위험에 대한 감사인의 차별적 대응행동을 식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품질관리업무에 대한 회계감독 목적으로 유용한 정보임을 확인한다. Francis and Krishnan (1999) suggest that auditors respond to earnings management in five ways: (1) screen out high-risk clients, (2) charge a fee premium, (3) adjust audit effort, (4) negotiate financialstatement adjustments, and/or (5) report more conservatively. In this study, we focus on (2) and (3) above. Several prior studies demonstrate that earnings management affects audit fees and/or hours (Gul et al. 2003; Bedard and Johnstone 2004; Schelleman and Knechel 2010), providing evidence that both audit effort and pricing are affected by accruals. In particular, Schelleman and Knechel (2010) provide explanations for engagement profitability in the context of risk-adjusted audit fees. This paper investigates (1) the effect of increased levels of audit risks perceived by the auditors on the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and (2) the combined association of the increased audit risk level (measured by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with the auditors`` responses (audit hours, audit fees, and the hourly audit fees) to the auditors`` perceived audit risks. Our paperexploits the Korean regulation setting which mandates audit firms to report the "audit details information" in the audit reports from the fiscal year 2014. This regulation requires auditors to disclose the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expended for the specific audit in each audit report. Prior studies expect that auditors respond to high audit risks by increasing audit hours (Bell et al. 2001; Bedard and Johnstone 2004) and audit fees (Gul et al. 2003). Further, Bell et al.(2008) and Schelleman and Knechel (2010) suggest that audit firms assign more experienced and (or) specialist professionals for risky clients even when they may not able to recoup the normal engagement profits from those audit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as perceived audit risk increases, audit firms likely increase audit hours and/or also put more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Moreover, Matsumura and Tucker (1995) report that audit issues raised by quality control review partners are usually addressed successfully, but tend to increase interactions among the audit engagement team, the quality control review partner, and the client in the interacting process, which eventually increases audit inputs (i.e., audit hours). Based on this argument, we expect that auditors will exhibit different behavior with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in accordance with perceived audit risk. The difference in auditor behavior, in turn, will be manifested as differences in audit hours, audit fees, and hourly audit fees. Our initial sample is consisted of 1,620 non-financial listed companies with December 2014 fiscal year. We first dropped the companies that lack the necessary financial variables and audit fee and hour information for the analysis. We also eliminated the companies with audit hours less than 100 and companies in industries with less than 10 observations. After this screen, our final sample is consisted of 1,449 companies. We use the absolute performance-matched discretionary accruals as the proxy for auditors`` perceived audit risk.We find that auditors`` perceived audit risk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ratio. We also find that an increase in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ratio leads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incremental audit hours when audit risk is high, but no corresponding increase in incremental audit fees, resulting in the significantly lower incremental hourly audit fee.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Schelleman and Knechel (2010), who find that auditors respond to higher risk by increasing audit inputs even when they sacrifice engagement profitability. One possible explanation for this auditors`` response to audit risk is that auditors address high audit risk even at the expense of sacrificing profitability of the engagement. Also, an increase in the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ratio leads to higher engagement team hours designed to address the quality control review issues. Our additional analyses also find that differential auditors`` responses are not constant across audit firms with a different size. This paper makes several contributions to the existing literature. First, prior studies find that audit risk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audit fees and quality control reviewers`` activitie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audit inputs and fees. Our work investigates the combined relationship between thequality control review inputs and audit risks, audit hours, audit fees and the hourly audit fees. As such, it provides insights into understanding auditors`` behaviors when quality control review efforts and audit risks are considered simultaneously. Second, although there are many experimental studies, few empirical studies have investigated quality control review procedures. Therefore, our empirical evidence expands the scope of the extant research. Third, we contribute to the related literature by showing that disclosing quality control review hours in the "audit details information" likely provides additional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s and other interested parties to understand auditors`` behaviors in response to the increased audit risk.

      • KCI등재

        시간관리 훈련이 여대생의 시간관리 행동, 학업적 지연행동, 의지통제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은영(Kim Eu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관리 훈련이 여대생의 시간관리 행동, 학업적 지연행동, 의 지통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S대학 재학생 61 명으로 실험집단 31명, 통제집단 30명이다. 학생들에게 훈련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에 시간관리 행동 검사, 학업적 지연행동 검사, 의지통제 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 램 참여하기 전과 후 학업성취도(GPA)를 조사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주 1회 총 10 차시에 걸쳐 시간관리 훈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간관리 훈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시간관리행동, 학업적 지연행동, 의지통제, 학업성취는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시간관리 훈련은 시간관리 행동, 학업적 지연행동, 의지통제,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 훈련은 바람직한 학업적 효과를 도출하였고, 학생들이 평 생학습자로서 갖추어야 할 자기관리 습관을 형성하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ime-management training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 academic procrastination, volitional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61 university student of Seoul Women s Universit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31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a control group. Time management behavior, Academic Procrastination, Volitional Control Tests were taken as pre- and posttest. Academic achievements were obtained from grade point average(GPA) score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were taken as pre- and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10times training for 16 weeks. On the contrary, the control group didn t get any treatment during those periods. Academic Descriptive statistics and MANOVA were used to identify the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positive effects of time-management training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and academic development as follows : First, time-management train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 Second, time-management train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Third, time-management train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volitional control. Forth, time-management train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 KCI등재

        시간관리능력이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우희순(Hee-Soon Woo),최유임(Yoo-Im Choi)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시간관리능력이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대상자는 J지역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213명이었다. 시간관리능력 및 심리사회적 요인(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측정은 시간관리척도, 자기효능감척도 및 학교생활만족도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간관리능력과 심리사회적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시간관리능력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모든 영역은 시간관리능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관리능력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는 시간관리능력 중 목표세우기 및 실행하기, 평가하기의 하위 영역이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 영역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능력은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지지를 위해 시간관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제공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ime management skills on psychosocial factors in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213 high school students in a high school located in J area. The measurement of time management ability and psychosocial factors (self - 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using time management scale, self - efficacy scal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ability and psychosocial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time management ability and self-efficacy showed that all areas of general self-effica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ime management abilit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management ability and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sub - domain of goal setting, execution and evaluation of time management abi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ub -domain of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ime management abilit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plan and provide appropriate programs to improve time management ability for high school students psychosocial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