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블렌디드러닝 환경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학습 몰입의 구조적 관계

        전중원,이승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digital literacy, social and cognitive presence, learning flow in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359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to verify the fit of the structural model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ath.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models of digital literacy, social and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flow were confirmed to be suitable. Second, digital liter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other variables. Social pres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cognitive presence, but not with learning flow. On the other hand, cognitive presenc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flow, and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d cognitive presence i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flow. The main points of discuss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operation and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overall system of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Second, it is to suggest a learning strategy for improving the cognitive presence. Third, unlike adult learners, it is necessary to discuss social reality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a discussion on teacher feedback or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is required to improve coexistence, influence, and cohesion among learner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require development and experimental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a multifaceted review on the sense of presen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meaningful data for discussing the necessity of digital literacy and examining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learners' sense of pres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러닝 환경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디지털 리터러시,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학습 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의 359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학습 몰입의 구조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변인간 개별 경로 추정치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는 다른 변인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사회적 실재감은 인지적 실재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학습 몰입과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인지적 실재감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 몰입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며,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실재감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 몰입의 관계에서 직렬 다중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주요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블렌디드러닝 환경의 체제설계 및 교수학습설계 전반에서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운영과 성취수준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인지적 실재감 향상을 위한 학습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셋째, 성인 학습자와는 달리, 초등학생과 사회적 실재감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즉, 학습자 간의 공존감, 영향력, 응집력의 향상을 위한 교사 피드백이나 협동학습 전략에 관한 논의가 요구된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초등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개발 및 실험연구와 실재감에 관한 다각적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학습자의 실재감에 관한 교수학습전략을 살피는데 의미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시간관리 프로그램이 전환기 초등학생의 시간관리능력과 미래지향시간관에 미치는 효과

        전중원,김정섭 대한사고개발학회 2019 사고개발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 Time Management Program(TMP) improves the time management ability of the transitio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future time perspective. The author and one of the learning consulting experts worked together to reconstruct the TMP for improving the time management ability and the future time perspectiv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 students drawn from 6th grade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in Gi-Jang gun, Busan. One class was selected as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class was selected as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14 sessions, two times a week, for the regular curriculum and creative experiential classes. Data were processed using ANCOVA. As a result, the TMP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time management ability of participating students. Among the sub-factors of time management, the students’ planning and execution were improved. And the TMP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future time perspective. Among the sub-factors of future time perspective, value and continu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MP can improve the time management ability of the transitio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elp them to develop the ability to know the value of future time and the continuity from future time to current time. 본 연구는 시간관리 프로그램이 전환기 초등학생의 시간관리능력과 미래지향시간관을 향상시키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와 학습 컨설팅 전문가 1인이 협력하여 전환기 초등학생의 시간관리능력과 미래지향시간관 향상을 위한 시간관리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소재 A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학생 47명이었으며, 두 학급 중 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23명의 학생들에게 초등교육과정 중 교과 시간과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주 2회씩 총 14회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시간관리능력, 미래지향시간관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시간관리 프로그램은 참여 학생의 시간관리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 하위 요인 중 계획하기와 실행하기 요인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시간관리 프로그램은 참여 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지향시간관 하위 요인 중 가치, 연속성 요인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시간관리 프로그램이 전환기 초등학생의 시간관리능력을 향상시키고, 미래 시간의 가치와 미래 시간과 현재 시간의 연속성을 알고 이를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미래 지향성, 주도적 행동, 학업 회복력 간의 구조적 관계

        전중원,김정섭 안암교육학회 2022 한국교육학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roactive behavior, between future orientation and academic buoyancy among the 4~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research, the study used a questionnaire survey from 355 4~6th grade students from four elementary schools where are located in Busan city and Gyengnam province.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25.0 and AMOS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uture orientation, proactive behavior, academic buoyancy. Second, proactive behavior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orientation and academic buoyancy. This shows that future orientation and proactive behavior are very important variables to increase the level of academic buoyancy of 4~6th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future orientation and implications of proactive behavior for improving dealing with the academic setbacks and challenges of 4~6th elementary students. For the future research, limitations to the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미래 지향성과 학업 회복력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진학이라는 학령 전환기를 준비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업 회복력 증진을 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학업 회복력과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미래 지향성, 주도적 행동과 관련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 부산 및 경상남도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4개, 4~6학년 학생 355명의 설문 결과를 최종 연구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기초 통계 및 상관분석, 문항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후,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미래 지향성, 주도적 행동, 학업 회복력은 모두 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래 지향성과 학업 회복력의 관계에서 주도적 행동은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학업 회복력 증진을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과 같은 시간과 특별 보충 시간을 통해 미래 지향성과 주도적 행동의 내용이 포함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관련 학업 회복력 프로그램 구성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는데에 교육적 시사점을 가진다.

      • KCI등재

        담도암의 새로운 고식적 항암치료

        전중원,우상명 대한췌장담도학회 2022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7 No.2

        The term cholangiocarcinoma (CC) refers to all tumors arising from bile duct epithelium. CCs are characterized by their rarity, difficulty in diagnosis, and overall poor prognosis. This leads to a paucity of data from which to define the natural history and optimal treatment regimens. Currently, surgical resection remains the only potentially curative treatment, but many patients develop recurrence. In addition, a limited number of patients can be candidates for curative resection at diagnosis. Therefore, chemotherapy is inevitable choice for the treatment of advanced CC. Gemcitabine plus cisplatin (GP) is considered a standard option for advanced biliary cancer. A randomized phase III trial (ABC-02 trial) showed the superiority of gemcitabine plus cisplatin over gemcitabine alone. Treatment with nab-paclitaxel plus gemcitabine-cisplatin prolonged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vs. those reported for historical controls treated with gemcitabine-cisplatin alone in a phase II study of 60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or metastatic biliary tract cancer. Recent data of the ABC-06 trial has provided slight evidence for the use of second-line chemotherapy after progression on cisplatin plus gemcitabine combination. Other active regimens, that c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ho include have disease progression while receiving GP and who retain an adequate performance status, includes capecitabine plus cisplatin, liposomal irinotecan plus leucovorin-modulated fluorouracil and a fluoropyrimidine alone. We herein review recent published data regarding the use of palliative chemotherapies in CC patients, with a particular focus on novel cytotoxic agents.

      • KCI등재후보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사 효능감이 직무만족도와 직무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전중원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4 초등교육연구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For this,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n 141 teachers from middle and high school in Korea and analyzed the data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Secondly, th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have the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The self-regulatory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such as the relationship of student, the relationship of co-worker, the relationship of parents, working environment. The task difficulty preference have th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such as career and rewards. Thirdly, th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have the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Th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have the influence on the job commitment,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task commitment, lesson commitment. The discussion follows about the importa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eacher efficacy for improving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in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온라인 창업교육 플랫폼 만족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전중원,정철호 한국전산회계학회 2022 電算會計硏究 Vol.20 No.1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성공모델을 기반으로 온라인 창업교육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창업교육 만족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창업교육 이수자의 이수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창업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086개의 샘플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은 창업교육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교육 만족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수 목적(의무 이수/자율 이수)에 따라 영향요인의 차이가 있다는 것도 검증하였다. 먼저 의무 이수 집단에서는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 모두 창업교육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 이수 집단에서는 서비스 품질과 창업교육 만족 간의 영향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관련 분야에 유의미한 학문적, 관리적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미래 시간관과 그릿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매개효과

        전중원,김정섭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model concerning casual relations among Future Time Perspective(FTP), Grit, and Growth Mindset. Data was collected from 283 on the 6th grade from four elementary schools where are located in Busan City.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Statics 21.0 and AMOS 20.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fit the data well and the prediction of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valid. Second, FTP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direct effect on Grit. Third, FTP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n indirect effect on Grit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Growth Mindset.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discussed on terms of Grit on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future research, Limitations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미래 시간관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에 소재하는 4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하지 않거나, 일부 문항만 응답한 설문,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을 제외한 283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모형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적용했다. 성장 마인드셋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미래 시간관과 성장 마인드셋, 그릿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 미래 시간관은 그릿과 성장 마인드셋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성장 마인드셋은 그릿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미래 시간관이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장 마인드셋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그릿 수준 유지를 위한 관련 변인간의 연구에 도움 되고, 이후 중학교 진학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 및 학업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예방적 접근 차원의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문합부 담도 협착으로 삽입한 플라스틱 스텐트 제거 후 간 이식편 부전이 발생한 예

        전중원,이남준,김혜령,백우현 대한소화기학회 202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9 No.5

        A biliary anastomotic stricture developed 13 months after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in a 19-year-old male with congenital hepatic fibrosis. Endoscopic management with balloon dilation followed by the placement of a 7F plastic stent was performed for the anastomotic stricture. After 6 months of indwelling of the stent, the plastic stent was removed because the stenosis and cholestasis were improved. One month after stent removal, he was admitted for acute liver graft failure owing to cholestatic hepatitis, and required retransplantation secondary to graft loss.

      • KCI등재

        A 10-b 500 MS/s CMOS Folding A/D Converter with a Hybrid Calibration and a Novel Digital Error Correction Logic

        전중원,김대연,송민규 대한전자공학회 2012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12 No.1

        A 10-b 500 MS/s A/D converter (ADC) with a hybrid calibration and error correction logic is described. The ADC employs a single-channel cascaded folding-interpolating architecture whose folding rate (FR) is 25 and interpolation rate (IR) is 8. To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an offset error,we propose a hybrid self-calibration circuit at the open-loop amplifier. Further, a novel prevision digital error correction logic (DCL) for the folding ADC is also proposed. The ADC prototype using a 130 nm 1P6M CMOS has a DNL of ±0.8 LSB and an INL of ±1.0 LSB. The measured SNDR is 52.34-dB and SFDR is 62.04-dBc when the input frequency is 78.15MHz at 500 MS/s conversion rate. The SNDR of the ADC is 7-dB higher than the same circuit without the proposed calibration. The effective chip area is 1.55mm2, and the power dissipates 300 mW including peripheral circuits, at a 1.2/1.5 V power supp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