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EO의 리더십스타일에 따른 위기관리 대비정도에 관한 연구 : 1997년∼2000년 국내 100대 기업을 중심으로

        유종숙 한국PR학회 2007 홍보학연구 Vol.10 No.3

        급격히 변화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기업은 위기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위기관리에 대한 최고 경영자(CEO)의 리더십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한국 기업의 위기관리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과거에 위기관리와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별개로 진행되어 왔고, 외국에서는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분적으로 진행되었으나 한국에서는 전무한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첫째, CEO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경험했던 위기유형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CEO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각 위기유형에 따른 위기 대비 정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CEO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각 위기관리 단계별 위기 대비 정도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했다. 본 연구는 CEO의 리더십 스타일과 기업의 위기관리에 대한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첫 번째 실증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의 100대 기업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100대 기업이 경험한 위기의 유형을 살펴보면 ‘경제적 위기유형’과 ‘정보관련 위기유형’이 ‘생산 및 판매 과정의 위기유형’과 ‘정신병리학적 위기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를 분류 항목 별로 살펴보면 경제적 위기의 경우에는 ‘경영 자금 부족 및 자금 순환의 어려움’이, 정보관련 위기의 경우에는 ‘기업의 이미지 손상이나 악성 루머’가, 제품 생산 및 판매 과정상의 위기의 경우에는 ‘운영 미숙’이 그리고 정신 병리학적 위기 유형의 경우에는 ‘노동 쟁의로 인한 위기’가 가장 많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CEO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른 각 위기 유형별 위기 대비 정도는 거래적 리더십 스타일이 가장 대비가 잘 되어 있으며, 변혁적 리더십 스타일과 카리스마적 리더십 스타일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생산 및 판매 과정’에 대한 위기 대비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CEO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른 위기관리 단계별 위기 대비 정도는 전체적으로 거래적 리더십 스타일이 가장 잘 되어 있으며, 다음으로는 항목별로 카리스마적 리더십 스타일과 변혁적 리더십 스타일의 순으로 약간의 차이를 나타냈다. In today’s world, it is no longer a question of whether a major crisis will strike any organization. It’s only a matter of when, which type and how. Therefore a Chief Executive Officer (CEO)’s role related to crisis management becomes more important. The studies of crisis management of companies are few in Korea and the studies of crisis management and CEO leadership have been done separately in the past. The studies of the correlation of crisis management and CEO leadership have been partially done in the other countries.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the crisis preparedness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The study objectives are (1)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crisis types experienced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2)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the crisis preparedness to crisis types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3)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the crisis preparedness to each crisis phases according to CEO leadership styles. The survey had been done on the Korean major compan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economical crisis type’ and ‘informational crisis type’ are higher than ‘production/sales crisis type’ and ‘psychopathic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shortage of money and money flow’ is high in case of ‘economical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disgrace of company image and bad rumor’ is high in case of ‘informational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unskilled operation’ is high in case of ‘production/sales crisis type; the frequency of ‘labour dispute’ is high in case of ‘psychopathic crisis type.’ 2.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is higher than the other leadership styles.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the transformational and the charismatic are almost same. Meanwhile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production/sales crisis type’ is higher than of any other crises. 3. The crisis prepared level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to the crisis management phases is higher than other leadership styles. The prepared level of the charismatic leadership is slightly higher than the transformational.

      • 관광객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특수목적관광지 선택속성 연구

        영기 ( Young Ki Choi ),홍영호 ( Young Ho Hong ) 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구 사회과학종합연구소) 2011 社會科學論叢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특수목적관광객의 구매행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특수목적관광(SIT) 선호유형, 목적지선택속성 측정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특수목적관광(SIT) 선호유형 및 목적지선택속성과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더 나아가 정교화 된 특수목적관광객의 행동과정 모델개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향력 검증을 위해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라이프스타일 유형, 특수목적관광(SIT) 선호유형, 목적지선택속성에 관한 개념적 틀을 완성하는데 관광학에서 논의 되었던 문헌고찰이 도움이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특수목적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선호유형, 목적지선택속성의 측정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상호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전통추구형, 위락추구형, 건강추구형, 사회추구형, 여가추구형으로 도출되었고, 특수목적관광(SIT) 선호유형은 문화관광, 스포츠관광, 환경관광, 기타 SIT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특수목적관광(SIT) 목적지선택속성으로는 자연적속성, 문화적속성, 사회적속성, 관광시설속성으로 도출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특수목적관광(SIT) 선호유형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유형과 세부활동유형을 도출하였는데, 활동유형에 관한 문헌과 선행연구가 미흡하여 향후 유형별 개념과 특성 그리고 특징을 잘 고려하여 체계적이고 정확한 분류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모집단의 표본 설계에 있어 비확률표본추출방법 중 할당표본추출방법을 통하여 특수목적관광(SIT) 유형별 모집단을 선정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특수목적관광(SIT)의 유형이 매우 다양하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확률표본추출방법 중 단순무작위표본 추출방법을 통하여 SIT 유형별 많은 모집단을 선정하고 체계적인 설문조사를 확대 실시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To seek very expansive and active tourism visiting destinations related to special interests and themes, modern tourists gradually prefer Special Interest Tourism(SIT).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xact conceptual theory of SIT and to develop the measuring scale of variables such as lifestyles of tourists with special interest, preference types and selected properties of destinations of SIT, information source and to verify the relations of these variables based on this. To study them, 5 lifestyle types such as tradition pursuit type, entertainment pursuit type, health pursuit type, society pursuit type, leisure pursuit type, etc were sampled for the tourists with special interest based on the theory studies and the preceding studies, 4 factors such as Culture, Sports, Environment, others SIT, etc were done for the preference type of SIT and 4 ones such as nature, society, culture, tourism facilities, etc were done for the selected attributes of destinations of SIT. And 4 information sources such as internal information ones (experience information source) and external information ones (individual information source, commerce information source, neutral information source) were derived. As for the analytical method, I executed frequency, confidence, factor, and correlation analyses using SPSS12.0 and used AMOS 6.0 to verify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ifestyle type has an positive effect on preference type of SIT. Second, It has found that the lifestyle type has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selected properties of SIT destinations. Third, the preference type of SIT has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selected attributes of destinations. Fourth, the preference type of SIT has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internal information source. Fifth, the preference type of SIT has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xternal information source. Sixth, the selected attributes of SIT destinations has the positive effect on the internal information resource. Seventh, the selected properties of SIT destinations has the positive effect on the external information resource. Eighth, the internal information source has the positive effect on the external information source.

      • KCI등재

        온라인 쇼핑몰에서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커뮤니티활동과 고객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

        문승제,정한경 한국상업교육학회 2012 상업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쇼핑몰에서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커뮤니티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고객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커뮤니티활동, 고객관계에 관한 기존 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은 ‘1.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온라인 커뮤니티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2.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고객관계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3. 온라인 커뮤니티활동은 고객관계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위해 217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사회과학통계패키지인 SPSS 17.0과 Amos 16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사교형, 여가추구형, 과시형, 생활자형, 자존형, 정보지향형, TV선호형, 성실형 등 8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가운데 과시형과 TV선호형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소비자들이 온라인 커뮤니티활동을 긍정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시형과 TV선호형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소비자들이 긍정적인 고객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은 고객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온라인 쇼핑몰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커뮤니티 활동과 고객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커뮤니티 활동은 온라인 쇼핑몰과 고객들 간의 관계형성에 있어 매개적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관계형성과 이를 통한 고객충성도 향상을 위해 인터넷쇼핑몰 업체의 보다 적극적 온라인 커뮤니티활동 육성 및 지원이 요구된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의 이론 및 관리적 측면에서의 적용과 관련하여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 및 미래연구 방향에 관해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시사점들은 인터넷 마케팅 전략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life-style type to the community activities and customer relationships in online shopping mall. In order to establish a framework, this study investigated previous studies about the consumers' life-style, online community activities, and customer relationships. Based of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this study has drawn 3 hypotheses.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onsumer's life-style type will give positive effect on community activities. 2. Consumer's life-style type will give positive effect on customer relationships. 3. Community activities will give positive effect on customer relationships. To verify those hypotheses,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In empirical test, convenience 217 samples were used. SPSS 17.0 and Amos16 were employed to test our hypothes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we identified 8 life-style types: Sociables, Leisure seeker, Self displayer, livelihood seeker, self esteem seeker, Information seeker, TV seeker, Sincerity seeker. Second, Self displayer and TV seeker group is showed up on the community activities as positive effect. Third, Self displayer and TV seeker group is showed up on the customer relationships as positive effect. Finally, Community activities are effected on the customer relationships. To summarize the result, online consumers' life-style type gives positive effect on the online communities and customer relationships. And the intermediary role of community activities between internet shopping mall and customers are found. Therefore, community activities of online shopping mall must be supported and developed for strengthening customer relationships and improving customer loyalty. In conclusion,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Also,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areas are proposed. The discussion about the result and its implications are expected to help marketing managers establish the strategies for internet marketing.

      • KCI등재

        해외여행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세분시장별 결정요인 : 유럽방문객을 중심으로

        김현,장호성,조용석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9 호텔경영학연구 Vol.28 No.8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tourism preferred by tourists in the lifestyle of Koreans visiting Europe. The study surveyed 248 Korean tourists who visited Europe and the data were classified into two variables (lifestyle, preferred tourism type). Lifestyle was further categorized into four clusters: passive, stable, individualized, and active. These were based on five factors: challenge-, consumption, health, stable, and individuality-oriented. The preferred tourism type was derived from four factors: purpose, consumption, achievement, and recreation-type. In the analysis, the four types of lifestyl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positive type was used as the reference variable). Preferred tourism typ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factor, and tourist behaviour were also included as in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male preference typ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passive market segment. In the stable segment, recreation-type tourism had a positive effect, while purpose and consumption –type tourism had a negative effect. In the individuality-style market segment, males had a more positive impact while the more purpose-type of preferred tourism had a negative impact. Marketing strategies for each segment market based on these results were proposed. 본 연구에서는 국제 관광시장에서 주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유럽지역을 방문하는 내국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세분시장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유럽방문 경험이 있는 내국인 관광객을조사 대상으로 하여 248명을 유효표본으로 하였고, 주요변수들(라이프스타일, 선호관광유형)에 대해유형화를 하였다. 그 결과 라이프스타일은 도전지향, 소비지향, 건강지향, 안정지향, 개성지향 5개 요인을 토대로 소극형, 안정형, 개성형, 적극형 4개 군집으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선호관광유형은 목적형, 소비형, 성취형, 휴양형 4개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서는 라이프스타일을 통한4가지 유형이 종속변수(적극 유형이 기준변수 사용됨)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선호관광유형을 비롯한인구통계특성 및 사회경제적 변수, 관광객행태 등은 독립변수로 포함되었다. 분석결과는 소극형 세분시장에는 남성일수록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목적형 선호관광유형이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안정형세분시장에는 연령과 휴양형 선호관광유형이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목적형, 소비형 선호관광유형은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개성형 세분시장에는 연령은 높고 남성일수록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목적형선호관광유형은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세분시장별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주거선호 연 -주택 구입 예정자를 중심으로-

        구혜경 ( Hye Gyoung Koo ),조희경 ( Hee Kyoung Cho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2

        소비자의 관점에서 아파트는 자산 가치와 사용가치 모두를 제공하는 가장 비싼 내구재이자 상품과 서비스의 총체이다. 최근 수도권의 구매수요 감소, 미분양의 증가 등 아파트 시장의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미래의 주택시장은 현행 획일적인 공급의 틀에서 벗어나 소비자들의 주거가치에 기반을 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니즈를 반영한 상품개발을 통해 공급의 다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는 침체된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적 접근 외에 주택업계의 적극적인 노력이 모색되어야 하는 영역이다. 보다 구체적인 주거선호를 파악하기 위해 향후 5년 이내 아파트 구매의향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구매상황을 가정함으로써 구체적인 주거선호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선호와 요구가 소비자의 유형별로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아파트는 개인과 가족의 삶의 터전이므로 아파트 특성뿐 아니라 가족의 여가활동, 인테리어, 웰니스에 대한 태도, 주거가치 등 라이프스타일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소비자의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요구에 부합하는 아파트 공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척도를 개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통하여 척도를 검증하였으며, 5년 이내 아파트를 구입할 계획이 있는 서울시 아파트 거주자 1,700명을 대상으로 주거가치 기반의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실속ㆍ합리형, 보편적 중산층, 품질ㆍ안전 지향형, 고급ㆍ쾌적 지향형의 4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주거선호를 파악하기 위해, 미래의 아파트 구매상황을 가정할 때 선호하는 아파트 형태와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할 주거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미래 주거선호를 보면, 채소재배가 가능한 전원형 아파트를 가장 선호했으며 스포츠/레저시설 있는 아파트, 수도권 외곽 세컨드 하우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구매 시 가장 선호하는 주거특성은 입지특성이고 다음이 브랜드특성, 내부특성, 단지특성의 순이었다. 연구결과,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아파트의 형태와 주거특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속ㆍ합리형은 미래 아파트 유형별 선호도가 낮았고, 보편적 중산층은 세컨드아파트, 스포츠/레져, 보안시설 적용 아파트를 선호했으나 전반적으로 두드러지는 특징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품질ㆍ안전형은 레저/스포츠시설, 세컨드하우스를 선호했고, 고급ㆍ쾌적 지향형의 경우는 채소재배가 가능한 전원형 아파트, 세컨드하우스, 스포츠ㆍ레저시설 아파트, 단 독형 아파트 등에 대한 선호가 높아 여유로운 삶을 즐기고자 하는 성향이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아파트는 다양한 삶의 요소를 반영하여 설계되고 공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주택업체들에게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관점에서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지표를 개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생활자로서의 소비자를 연구하는데 다양한 개념의 융합을 통해 소비자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Apartment house is the totality of the most expensive durable product and service that provides both asset values and usage values. Recently, the apartment house market is depressed because of decrease in purchase demand and increasing in unsold apartment houses. Accordingly, it is time for future housing market to diversify its supply by developing products reflected consumers’ needs for various lifestyle types based upon their housing values beyond the current uniform frame of supply. This is a realm for housing companies in the market, they have to be concerned consumers’ need to apartment house and their lifestyle related with housing to get over housing market depress. To find out more specific housing preferences, it is necessary to check specific housing preferences by assuming purchase situations targeting consumers wanting to purchase an apartment house within coming 5 years, and it is important to know how these preferences and requests differ by consumer types. Especially, since an apartment house is the base for an individual and family life, lifestyles such as family pastime activities, interior, attitude towards wellness, housing values and etc along with its features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to classify consumer types and supply them with apartment houses meeting the needs for each type. In such a background, this study developed housing value-based lifestyle criteria, verified them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ategorized housing value-based lifestyles targeting 1,700 apartment house residents in Seoul who intend to purchase an apartment house within 5 years. As a result, four types of economicalㆍreasonable, general mid-class, ‘quality and safetyoriented’ and luxuryㆍcomfort were drawn out. Preferred apartment house types and housing features to consider at time to purchase on the condition of future apartment purchase were analyzed to find out housing preferences by lifestyle type. With regard to an overall future housing preference, farming house type where growing vegetables is possible were the most preferred, followed by those with sportsㆍleisure facilities, and second houses at the outskirts of the capital area. Housing features the most preferred at time of purchase are locations followed by brands, interior, and apartment complex. Result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red apartment house types and housing features according to housing value-based lifestyle types. ‘Economical and reasonable type’ had low preference in future apartment types, ‘General mid-class type’ preferred second apartments or those with sports, leisure and safety facilities but not with conspicious features. ‘Quality and safety-oriented type’ preferred those with leisure/sports facilities or second houses, and ‘Luxury and comfort type’ preferred farming type apartment houses where they can grow vegetables, second houses, those with sports/leisure facilities, independent apartments, clearly showing their trend to enjoy leisurely life. Apartments should be designed, and supplied with various life factors reflected in them. In this light, the this study can provide housing companies with important implications and has its meaning in that it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consumers as livers by developing and empirically verifying housing value-based lifestyle indices from consumer``s perspective.

      • KCI등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이용의도에 따른 소비자 유형에 대한 연구

        나종연 ( Rha Jong-youn ),이보한 ( Lee Bohan ),박서니 ( Park Sunny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3

        친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하나의 친환경 제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던 매장에 제품군을 추가하는 형태의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의 이용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이용의도로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유형별 예측 요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11월 3일부터 11월 7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20~40대 소비자 46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에는 k-평균 군집분석, 카이제곱검정,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에 대한 방문의도, 체류의도, 구매의도로 구성된 이용의도에 따라 소비자 유형은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선호 집단, 유사 선호 집단,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비선호 집단의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선호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30.8%인 143명, 유사 선호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262명인 56.3%,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비선호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60명으로 12.9%로 구성되었다. 둘째, 유사 선호 집단과 비교하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선호 집단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비자가 지니고 있는 소비가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지각된 효용, 그리고 매장 관련 변수로 매장의 매력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성별, 연령, 학력 수준, 소득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유사 선호 집단과 비교하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비선호 집단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매장의 매력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매장의 매력도가 한 단위 증가할 때 소극적 소비자 집단에 속할 승산은 0.62배 낮아졌다. 본 연구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에 대한 이용의도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함으로써 친환경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라이프스타일이 하나의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또한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의 이용의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매장의 매력도가 중요하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lifestyle store is a retail type that sells a variety of products meeting the consumer's specific value. In recent years, eco-friendly lifestyle stores such as Patagonia, 10 Corso Como Milano have emerged as consumer interes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sumer's general level of eco-friendly consumption. Also,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consumers can be typ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eco-friendly lifestyle stores, and to demonstrate predictive factors for each type. We collected data from 465 Korean consumers through online surveys from November 3 to November 7, 2018. K-means cluster analysis, t-test and chi-squar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eco-friendly lifestyle store preference group(30.8%), indiscriminative group(56.3%), and eco-friendly lifestyle store non-preference group(12.9%) depending on the intention to visit, stay, and purchase.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eco-friendly lifestyle store preference group compared to the indiscriminate group were consumer value, perceived benefits of eco-friendly product, and store im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compared with the indiscriminate group, only the attractiveness of the store was found to affect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eco-friendly lifestyle non-preference group. This study has shown that consumers' interes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lifestyle is increasing by classifying consumers according to usage intention for eco-friendly lifestyle store, and that eco-friendly lifestyle has become one consumption behavior. Also, it was meaningful that the attractiveness of the store is important because it predicts the intention to use the eco-friendly lifestyle st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eco-friendly lifestyle store which is getting more attention recently.

      • KCI등재

        실버세대 여성유명인의 이미지 유형화 및 미용스타일 분석

        오윤경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9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7 No.1

        Purpose: This study classified silver generation female celebrities according to images of the younger generation in order to analyze beauty, style, and imag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tion type. The study data can be used to inform fashion and beauty product development through improving our understanding of silver generation women's representative style, which is emerging as a new consumer segment. Methods: 50 images of silver age female celebrities who ranged from 55 to 65 years of age. A total of 20 adjective pairs were extracted with reference to a previous study of image evaluation using a 7-point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he rating of female celebrities according to the adjectives was ‘like–dislik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1, 2018, to June 15, 2018.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our factors constituting images of silver generation female celebrities—affinity, attractiveness, activity, and individuality—and accounted for 65.28% of the total variance. Second, the silver generation female celebrities were placed into one of five groups named ‘soft style’, ‘calm style’, ‘conservative style’, ‘refined style’, and ‘social styl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age difference according to type, ‘soft style’ had the highest affinity, ‘calm style’ and ‘refined style’ were rated as more attractive, and ‘sociable style’ had the highest activity and individuality rating. Fourth, the images of silver generation female celebrities deemed the most attractive and unique by those in their twenties were those of Hwa Jung Choi and Mi Sook Kim.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dimension of the silver generation female celebrity image was the affinity factor, which could be applied to the pursuit of style presentation and image implementation with reference to communitydefined characteristics of beauty and style. Accordingly, this study found that a friendly image was characterized by a ‘soft style’; an attractive image by the external features of a ‘calm style’ and/or ‘refined style’; and an active image with individuality was characterized by a ‘social style’. 목적: 본 연구는 실버세대 여성유명인을 대상으로 젊은 세대가 느끼는 이미지에 따라 유형화하고 유형에 따른 미용스타일과 이미지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부각되고 있는 실버세대의 대표적인 스타일을 구분함으로써 실버세대 여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패션과 미용 상품 개발 및 이미지메이킹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방법: 실버세대 여성유 명인을 55세 이상 65세 이하를 대상으로 50명을 선정하였으며, 이미지 평가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로 총 20개의 형용사쌍을 추출하였고 7점 의미미분척도로 구성하였다. 여성유명인의 선호도 평가는 '좋아하는-좋아하지 않는' 문항을 사용하였고 자료 수집은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이미지 평가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실버세대 여성유명인의 이미지 구성요인은 친화성, 매력성, 활동성, 개성의 4개 요인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변량의 65.28%를 차지하였다. 둘째, 실버세대 여성유명인의 군집은 5개로 나타났으며 '부드러운 스타일', '차분한 스타일', '보수적인 스타일', '세련된 스타일', '사교적인 스타일'로 명명하였다. 셋째, 실버세대 여성유명인의 유형에 따른 이미지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드러운 스타일'은 가장 친화성이 높았으며 '차분한 스타일'과 '세련된 스타일'은 매력성이 두드러지고 '사교적인 스타일'은 활동성과 개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넷째, 20대가 선호하는 실버세대 여성유명인의 순위를 알아본 결과, 최하정, 김미숙 순으로 이들의 이미지는 매력적이고 개성이 두드러졌으며 선호도가 낮은 유명인은 김부선, 추미애 등으로 이들은 친화성이 낮게 나타났다. 결론: 실버세대 여성유명인의 이미지는 가장 중요한 차원으로 친화성 요인 임을 알 수 있으며, 군집에 따른 미용스타일의 분석된 특징을 참고하여, 추구하는 스타일 연출 및 이미지 구현에 활용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친화적인 이미지로 평가 받고자 할 경우에는 '부드러운 스타일'로 연출하고, 매력적인 이미지를 나타내고자 한다면 '차 분한 스타일'과 '세련된 스타일'의 외형적 특징을 참고로 연출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활동적이며 개성이 뚜렷한 이미지를 고려한다면 '사교적인 스타일'로 연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 KCI등재

        게임캐릭터의 패션스타일 유형 및 특성

        서미라,김애경,Seo, Mi-Ra,Kim, Ae-Kyung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5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게임 캐릭터의 패션스타일을 분석하여 게임에 적합한 유형화를 제안하고, 유형별 특성을 정의하고자 한다. 수집된 자료를 유사한 스타일로 그룹핑하여 대표성을 띤 용어로 게임 캐릭터스타일을 새롭게 명명하였으며, 명명된 스타일은 캐릭터의 의상, 헤어스타일, 액세서리를 중심으로 Creative Style, Attractive Style, Grotesque Style, Usual Style, Suit Style 등 5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Creative Style은 창의적인 디자인으로 일부를 제거 및 첨가한 독창적인 스타일, Attractive Style은 노출이 많은 디자인, 신체에 피트한 디자인으로 성적인 매력을 표현하는 스타일, Grotesque Style은 엽기적이고 괴기스러우며, 음침한 분위기를 나타내는 스타일, Usual Style은 평범하고 현실적인 스타일, 마지막으로 Suit Style은 전신을 둘러싼 갑옷 스타일이다. 이 연구를 통해 캐릭터 패션스타일에 대해 게이머와 개발자간의 견해 차이를 좁혀 게임디자인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typology suitable for games by analyzing the fashion styles of game characters and define the characteristics by type. The data collected was classified into the style groups with similarities, and the game character styles were named using representative terms. Then, five style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with the focus on clothing, hairstyle, and accessories: Creative Style, Attractive Style, Grotesque Style, Usual Style, and Suit Style. Creative Style was the unique style with partial addition or removal as the creative design. Attractive Style expressed the sexual attraction by design with significant exposure of body parts and skintight design. Grotesque Style showed grotesque, eerie, and dreary design. Usual Style was a plain and practical style. Finally, Suit Style was a kind of armor covering the whole body. The analysis results in this paper will bridge the difference of opinions between gamers and developers related to fashion style and, finally, help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game design.

      • KCI등재

        페르소나 발현 유형에 따른 패션스타일 연출에 대한 연구

        김종선,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2

        페르소나는 개인이 속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타인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다중 정체성의 외적 표현이라 할 수 있으며 패션스타일 연출을 통해 다양하게 발현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을 통해 발현되는 페르소나의 형성 원인과 발현 유형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위해 20~30대 성인기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패션을 통해 발현되는 페르소나의 형성 원인은 개인적 특성, 사회 구조적 요구,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으로 분석되었다. 개인적 특성은 페르소나를 형성하는 데 작용한 개인의 성격, 가치관, 욕구이며, 사회 구조적 요구는 집단에서 개인에게 요구하는 규범, 역할 기대, 상황 적합성과 관련하여 작용하고 있는 외적인 요인들로 확인되었다.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은 인간관계의 의식, 집단 분위기, 집단 내 개인의 선택, 사회적 요구에 대한 지연 대응으로 개인과 사회구조 간 절충과 협의가 이루어져 페르소나가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패션을 통해 발현되는 페르소나 발현 유형은 개인적 표현형, 사회적 절충형, 이상적 연출형으로 구분되었다. 개인적 표현형은 개인 내부에서 파악하는 자기의식을 드러내는 페르소나 발현 유형으로, 비효율적 소비, 일회적 이벤트성 연출, 평소 하지 않는 스타일의 자유로운 시도를 하는 패션스타일 연출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회적 절충형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타협과 절충의 과정을 거쳐 선택적으로 발현되는 페르소나 유형으로, 주변 스타일에 맞추거나, 장소에 시간에 따라 스타일 연출을 보류하기도 하였으며, 규범을 지키기 위해 불편을 감수하는 패션스타일 연출 방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정해진 규칙 내에서 유행 스타일을 추가하거나 아이템들의 믹스 앤 매치, 동일한 스타일을 반복하는 방식 등을 통해 절충안을 연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적 연출형은 이상적 모습을 위해 자신에게 존재하지 않는 모습을 연출해내는 페르소나 발현 유형으로, 특정 아이템을 선호하거나 이상적 인물의 모방, 불편함을 감수하는 패션스타일 연출 방식을 주로 활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ersona may be said that as an external expression of multiple identities formed by interaction with others in a social context to which individual belongs and revealed through fashion in various manners.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persona's formation causes and its manifestation types by fashion and in-depth interview was done for 12 adult women in their 20s~30s. Formation causes of a persona revealed by fashion may be explained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ocial-structural demands and individual-social interactions. Manifestation of a persona through fashion style has types of individual expression, social negotiation and ideal presentation. Individual expression type is a personal manifestation identified within individual showing self-awareness. Such personas are revealed through directing a free fashion style rarely used usually along with inefficient consumption and presentation of one-time event. Social negotiation type is the type of a persona revealed selectively under agreement and negotiation in a social relation. Such personas are revealed through adapting to a style around them, reserved their style presentation according to where and when, or used a fashion style presentation method submitting to inconvenience to observe a norm. Besides, it showed that they make use of negotiation through addition of a fashionable style, mix and match of items, and repetition of the same style within fixed rules. Ideal presentation type is the type of a persona revealed to show an image absent in an individual for the ideal image. Such a persona is revealed through preferring certain particular item, imitating an ideal person or using a fashion style presentation to accept inconvenience.

      • KCI등재

        식생활 중심의 라이프스타일 유형구분과 과실류 구매속성에 관한 연구

        신동훈(Dong-Hun Shin),정안성(Ahn-Seong Jeo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사회 심리적·행동적 특성을 파악하여 과실류 구매자들의 구매와 소비행태를 예측하는데 진단적 정보로 활용하기 위해 주부들의 식생활 중심의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하고 이들이 과실류를 구매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구매속성에 대한 파악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라이프스타일은 4개 유형(식문화 실용형, 식문화 고립형, 식문화 보수형, 식문화 둔감형)으로 구분되었다.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과실류 구매속성은 식문화 둔감형에서 식문화 실용형으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성향이 높아질수록 과실류의 안전성을 중요하게 고려하며 추가적으로 점포입지 및 결제 서비스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 연구들에서 시행하지 않았던 전반적인 소비자의 활동·관심·의견이 포함된 라이프스타일 유형화에 따른 점포선택 속성이 포함된 과실류 구매속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소비자의 식생활 중심의 라이프스타일 유형구분은 농업인들과 과일 마케터들로 하여금 과실류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소비자의 과실류 구매행태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은 분명한 바, 나아가 소비자의 특성과 선호도를 과실류 판매처에 반영시킴으로써 효과적인 과실류 마케팅전략 수립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separated lifestyle with mainly housewife’s food life as the center for using in diagnostic information predicting consuming pattern of fruits buyers after understanding the psychosocial and biobehavio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s of Lifestyle and understood the purchase attributes taken into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consumers buy fruit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lifestyle could be divided into 4 types. Type of lifestyle fruits purchase attributes shows that the higher the lifestyle tendency from Food culture Obtuse type as Food culture Practical type becomes, customers take safety of fruits, store location and payment services into considerations. This study can be said to show fruits purchase attributes included store choice attributes according to type of lifestyle included whole customer’s action·interest·opinion, which was not done before. It is clear that the classification of lifestyle with mainly housewife’s food life as the center helps predict fruits purchase pattern of buyers. Furthermore, by reflecting the consumer’s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on fruits market, we could expect high efficiency in marketing strategy planing in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