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화장품학 교양 교과목 수강에 따른 탈모화장품 인식 및 사용현황에 대한 연구

        오정선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3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3 No.3

        This study investigated awareness and interest in hair loss relief cosmetic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students took general cosmetology course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 of hair loss relief were analyzed. This can be presented as hair loss relief cosmetics research and marketing materials by presenting research data on the use of hair loss relief cosmetics by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as well as awareness and interest, and can also serve as basic data for setting educational goals and organizing lecture content when designing lectures for cosmetic science liberal arts cours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15, 2023, and 408 response papers were used in this study.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for research analysis,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re verified, and frequency analysis, T test, and chi-test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using cosmetics to relieve hair loss depending on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person took a liberal arts course in cosmetic science.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valu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smetic science liberal arts courses set to 11, the factors of 'cosmetic use' and 'drug use' were more influential in the hair loss relief effect than those who did not take the cours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using cosmetics to relieve hair los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took a cosmetic science liberal arts cours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본 연구는 화장품학 교양 교과목 수강유무에 따라 탈모완화 화장품에 대한 인지도 및 관심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탈모완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이는 20대 대학생의 탈모완화 화장품 사용과 인지도 및 관심도에 대한 연구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탈모완화 화장품 연구 및 마케팅 자료로 제시할 수 있으며 또한 화장품학 교양 교과목 강의설계시 교육목표 설정과 강의내용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겠다. 이를 위해 2023년 9월 1일부터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08개 응답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측정도구의 타당성,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빈도분석, T검정,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탈모완화 화장품 사용경험을 화장품학 교양 교과목 수강유무에 따라 차이점이 있는 지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탈모완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11개로 설정하여 화장품학 교양 교과목 수강유무에 따라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화장품 사용’ 과 ‘약품복용’ 요인은 화장품학 교양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이 수강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서 탈모완화 효과에 더욱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탈모완화 화장품 사용경험을 화장품학 교양 교과목 수강유무에 따라 차이점이 있는 지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화장품학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탈모완화 화장품 사용이 좀 더 많았으며 전문 화장품을 사용하는 것이 탈모완화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

      • KCI등재후보

        친환경 용기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손은혜,김주덕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1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1 No.1

        Modern consumers have a sense that what they consume represents their values. At the same time, concerns about the environment have grown as a new epidemic called coronavirus broke out around the world in 2020. Changes in environmentally conscious consumer culture have led to increased interest in cosmetics as well as in the remaining containers after using cosmetics. Governments and companies in each country are expanding their research on eco-friendly container cosmetics. The study used 420 copies as final analysis data for adults in their 20s and 40s and older through general perceptions of cosmetics, awareness and purchasing behavior of cosmetics containers, requests for cosmetics made of eco-friendly container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fter looking into the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containers among adults in the study, they were highly aware of the need for eco-friendly containers and responded that the types of cosmetics should be diversified.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ainers were preferred to be discarded. However, as consumers value previous experiences when purchasing cosmetics, it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container cosmetics should be promoted so that they can be released variously on the market and more consumers can experience them. 현대의 소비자들은 자신이 소비하는 것이 자신의 가치관을 나타낸다는 의식을 가진다. 이와 함께 2020년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라는 새로운 전염병이 발생하면서 환경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환경을 의식하는 소비문화의 변화는 화장품의 성분뿐만 아니라 화장품을 사용한 뒤 남은 용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게 만들었다. 이에 각 나라의 정부와 기업들은 친환경 용기 화장품에 대한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40대 이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화장품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화장품 용기에 대한 인식 및 구매 행동, 화장품 용기 사용실태 및 친환경 용기로 된 화장품을 위한 요구,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된 설문지를 통해 42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 성인들의 친환경 용기로 된 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 의도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친환경 용기로 된 화장품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종류도 다양해져야 한다고 응답했다. 친환경 용기는 폐기성이 가장 선호되었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화장품 구매 시 이전 경험을 중시하는 만큼 친환경 용기로 된 화장품의 개발을 촉진하여 시중에 다양하게 출시하고 더 많은 소비자의 경험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업사이클링 화장품에 대한 대학생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행동

        강명주,송연재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19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9 No.3

        In modern society, industrialization is accelerating, commodities are mass-produced, and they are benefiting from abundant supplies, while environmental pollution is aggravated by various industrial wastes and wastes. This has resulted in efforts for eco-friendly design, green design, and eco-design, and has led to concerns about sustainable values, resulting in a new category called upcyc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awarenes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purchasing behavior of up-cycling cosmetics.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in order to raise the actual environmentally friendly behavior level according to consumers' environmental problems. This has been mentioned continuously in previous studies, and various programs should be supported so that consumers' environmental awareness can lead to environmentally friendly behavior. There is also a need for more active promo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vities of cosmetic companies. While eco-friendly behavior of companies contributes to ensuring the sustainability of society, the low level of consumer awareness is that environmentally-friendly activities can negatively impact society's sustainability and expansion. In addition, while the value of consumers who value the environ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the formed purchase intention does not affect the actual purchase. In this way, in order to induce effective purchase through eco-friendly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meet basic product attributes such as quality, safety, and price more than other competing products rather than just ‘eco-friendliness' and ‘up-cycle'. 본 연구는 여대생 소비자의 환경문제의 의식정도에 따라 업사이클링 화장품 구매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소비자의 환경문제의 의식 정도가 실제 화장품의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1학년~4학년까지 여대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2학년이 39.9%로 가장 많았다. 소비지출액은 60만원 이상 사용한다는 응답이 45.1%로 가장 많았으며, 20만원 미만은 5.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소장한 화장품 중 평소 20~40%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28%로 가장 높았으며, 80~100%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9.8%로 나타났다. 또한 한 달간 화장품 구입비가 10만원이라는 응답이 2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들은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소비자의 환경문제의식은 높은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들의 실제 친환경 소비실천 행동 또한 높은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반면에, 소비자들의 업사이클링 화장품 구매행태는 비교적 낮았다. 화장품의 재활용 문제와 생산과 소비에 따른 사회적 낭비의 심각성에 대한 의식은 높은 반면 화장품 구입 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거나 업사이클링 화장품의 특성에 대한 지식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학년, 소유 화장품 사용률, 소비 지출액과 화장품 구입비, 환경의식과 친환경 소비실천행동, 업사이클링 구매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 하였다. 학년에 따라 비교한 결과 소비실천 행동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업사이클링 화장품 구매행동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판매되는 업사이클링 화장품의 가격이 높은 것을 고려하였을 때, 월 소비지출 수준과 비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환경보호의식 수준이 높은 소비자는 소량의 화장품을 소유하여 오래 사용할 것이라고 예측하였지만 소유 화장품 사용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소비자의 환경문제의식에 따라 실제 환경 친화적 행동수준을 높이기 위해 체계적으로 실천적인 환경 교육이 실행되어야 한다. 이는 기존의 선행 연구 결과에서도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는 부분이므로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실제 환경 친화적인 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환경 친화적 활동의 환경적 중요성 인식과 관련 제품의 구매의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므로, 환경 친화적 활동의 적극적인 홍보는 관련 제품의 구매의도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제주지역 모발화장품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정빈,정원지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19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9 No.2

        Modern consumers who have different hair types, seek an individualized approach to hair care. Due to the diversity of hair care, the cosmetic industry has continuously developed sophisticated products to meet consumer-specialized needs. As the sales of hair cosmetics has grown, the industry needs to appeal to customers with mor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hair care produc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buying behaviors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hair cosmetics among adults in Jeju Island. The survey is conducted in Jeju during 20 days, and 291 adults of both genders and of widely varying ages and background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n hair cosmetics. As a result of analysis on buying behaviors of hair care product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us, as a result of analysis on customer satisfaction level,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uying behaviors of hair care products. 모발화장품의 시장 규모는 확대되고 있고 제품은 점점 더 전문화, 세분화 되고 있으며, 모발화장품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모발화장품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한 소비자 마케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 모발화장품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만족도에 관해 알아보고, 모발 화장품 시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은 제주지역의 모발화장품을 사용하는 20대 이상의 남녀 291명을 대상으로 모발화장품의 구매행동과 만족도에 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모발화장품 구매행동의 차이 특성을 검증한 결과, 모발화장품 구매행동에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모발화장품 구매행동의 특성에 따른 모발화장품 만족도에서 차이 특성을 검증한 결과, 모발화장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만족도는 구매행동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화장품 안전성에 대한 인식 및 사용실태 연구

        복정은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2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2 No.3

        Consumers are moving further from their aesthetic function due to social phenomena caused by the era of aging, increasing their desire for skin health, rais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safety of cosmetics. They are exposed to information on safety through various media, and as the frequency of use of cosmetics increases, they are repeatedly exposed to chemicals, and cases of various diseases and side effects are becoming issue, making consumers feel anxious about the safety of cosmetics. Therefor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women in their 20s-40s in order to conduct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he safety of cosmetic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us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5.0 program. The study found that women are highly interested in the ingredients of cosmetics and are mainly interested in the ingredients of functional cosmetics. Preservatives were found to be among the most worrisome ingredients for consumers' safety, and they were found to be aware of safety issues through news articles.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ingredients were identified after cosmetics were purchased or purchased, the ingredients were not identified for more than half of women whose ingredients were not identified,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asons for the unidentified ingredient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women whose ingredients on cosmetics were not identified was the highest because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terminology. As a result, improvements or alternatives are required so that the ingredients of cosmetics can be more easily identified, and making consumers' reconsider about safety will help the development of the cosmetics industry. 소비자들은 고령화 시대로 인한 사회적 현상으로 인해 미적기능에서 더 나아가 피부 건강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여 화장품 안전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다양한 언론과 매체들을 통해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접하고 있으며, 화장품 사용 빈도가 증가하면서 화학물질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각종 질병 및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례들이 이슈가 되고 있어 소비자들은 화장품 안전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를 하기 위하여 20〜40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여성들의 화장품 성분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기능성 화장품 성분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가장 안전성에 우려되는 성분으로는 방부제로 나타났으며, 뉴스 기사를 통해 안전성에 문제의식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매할 때나 구매한 후 성분을 확인하는지 살펴본 결과, 성분을 확인하지 않는 여성이 절반 이상의 여성들이 성분을 확인하지 않았으며, 성분 미확인 이유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전문 용어라 이해하기 어려워서 화장품에 표시된 성분을 확인하지 않는 여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화장품 성분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이나 대안이 요구되며,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해소시켜주는 것이 화장품 산업 발달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40-60대 여성의 맞춤형 화장품 인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적욕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박윤채,최화정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4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여성의 맞춤형 화장품 인식에 따른 미적 욕구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미적 욕구의 매개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맞춤형 화장품 인식의 요인으로 브랜드 이미지, 품질, 가격, 서비스를 설정하고, 여성들의 미적 욕구와 구매 의도를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2023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서울, 수도권, 경상도, 기타 지역에 거주하는 40대에서 60대 이상 여성 맞춤형 화장품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과 자기기입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다. 부정확한 설문지 13부를 제외하고 총 487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WIN 25.0을 통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춤형 화장품 인식은 미적 욕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 요인으로는 품질, 서비스, 가격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들이 맞춤형 화장품의 품질과 안정성을 신뢰하며 미적 욕구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둘째, 맞춤형 화장품 인식은 구매 의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 요인으로는 품질, 서비스, 가격, 브랜드 이미지 순이었다. 이는 여성들이 맞춤형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추천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미적 욕구는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여성들이 동안 피부 유지와 피부 개선을 중요시하는 미적 욕구가 구매 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이다. 넷째, 미적 욕구는 맞춤형 화장품 인식과 구매 의도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였다. 이는 맞춤형 화장품 인식이 높을수록 미적 욕구가 관여하면 구매 의도가 높다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여성 소비자의 맞춤형 화장품 인식에 따른 미적 욕구와 구매 의도 간의 관계에서 미적 욕구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맞춤형 화장품 인식을 높이기 위해 소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으로 소비자의 니즈를 분석해 피부관리 정보, 맞춤형 화장품의 장점등을 설명하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취향과 차별화된 맞춤형 화장품이 4차산업혁명시대의 IT 기술 활용과 융합하여 뷰티 시장의 고부가가치 창출의 발전 방향의 토대가 되어 지속소비가능한 맞춤형 화장품 산업의 활성화가 활발하게 발전될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변수들이 투입되어 화장품 산업에 관련한 유의미한 결과를 제시하는 후속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customized cosmetic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beauty desire, and purchase intention,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beauty desire among people in their 40s to 60s or older living in Seoul, the metropolitan area, Gyeongsang-do, and other regions di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quality, price, and service,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customized cosmetic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beauty desire. Second, brand image, quality, price, and service,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ption of customized cosmetic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ird, beauty desir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urth, beauty desir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quality, price, and service, which are subfactors of recognition of customized cosmetics, an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brand awareness, it will be necessary to collaborate with beauty influencers, promote the brand through social media campaigns, and create a community where consumer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connect with the brand both online and offline. In addition, in order to use high-quality raw materials, secure quality certificates, provide customized cosmetics in various price ranges, and promote the influx of consumers, marketing such as bundle discounts and benefits for repeat customers will be necessary. By providing content explaining skin care information and the benefits of customized cosmetics through various content marketing channels, we expect that the sustainable consumption of the customized cosmetics industry will be actively developed.

      • KCI등재

        염색 인조모(人造毛)와 인모(人毛)의 역학적․형태학적 특성 비교

        김신미,문승재,나명석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3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3 No.3

        미용실에서는 사람의 머리카락에 염색, 탈색, 샴푸세척 등을 직접 진행하지만, 미용교육과 실습은 사람의 머리카락과 비슷하게 만든 인조모발을 이용하여 진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발 염색 후 모발 손상의 물리적 특성과 모발 표면의 형태학적 특성을 관찰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았다. 인장강도, 보습력, 단백질 용출량 등 모발 손상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인조모발과 인모의 차이가 있었다. 여러 실험에서의 모발손상 차이는 인조모발 보다 인모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주사현미경(SEM)을 이용한 모발 표면의 형태학적 관찰 결과, 인간의 모발과 달리 인조모발에서는 전형적인 큐티클 패턴이 관찰되지 않고 비교적 매끄러운 형태를 나타내었다. 탈색된 인모에서는 탈색제의 화학적 처리로 인해 큐티클이 심하게 벗겨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헤어매니큐어 시술 후에는 염색의 착색으로 인해 인조모발과 인모의 모발표면 박리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원자현미경(AFM)을 이용해 모발 표면을 분석한 결과, 인조모발과 달리 인모의 탈색모발은 큐티클층의 높낮이가 불규칙하고 또 벗겨짐으로 인해 심각한 손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D영상과 3D영상에서 인조모발과 인모의 명암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인조모발과 인모의 물리적 특성 및 모발손상에 대한 형태학적 관찰 결과, 인조모발과 인모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용교육 및 산업현장에서는 이를 최소화하고 보완할 수 있는 연구와 대책을 통해 고객의 미용시술 시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Hair shops perform dyeing, bleaching, and shampoo cleaning directly on human hair, but beauty education and practice are performed using artificial hair made similar to human hair. In this stud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air damage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ir surface were observed after hair dyeing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hair damage in terms of tensile strength, moisture retention capacity, and protein elution amount showed differences between artificial hair and human hair. This difference in hair damage had a greater effect on human hair than on artificial hair. In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the surface of hair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unlike human hair, the typical cuticle pattern of artificial hair was not observed in artificial hair and showed a relatively smooth shape. The bleached human hair showed severe peeling of the cuticle due to the chemical treatment of the bleaching agent. After hair manicure treatment, surface peeling of artificial hair and human hair was reduced due to the coloring of the hair manicure. Analysis of the hair surface using an atomic force microscope (AFM) showed that, unlike artificial hair, bleached human hair showed significant damage due to rapid irregularities and peeling. Additionally,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height and shade of artificial hair and human hair in 2D images and 3D imag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between artificial hair and human hair as a result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ical observations of hair damage between artificial hair and human hair.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hair care education and industrial sites need to improve customer hair care through research and measures to minimize and supplement this.

      • KCI등재

        초음파 결합 마이크로니들 시스템을 통한 진정 및 재생 활성성분 경피전달

        우재현,곽나영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3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3 No.1

        The beauty treatment industry has been growing worldwide since the 2000s. However, despite this progress, research and post-treatment care for the pain and side effects caused by beauty care treatments have been lagging behind. This study proposes a new device that combines the advantages of the Dissolving Microneedle Channeling System and ultrasonic treatment. Dissolving Microneedle Channeling System and ultrasonic treatment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conventional treatments such as laser skin resurfacing and Microneedling Therapy Systems (MTS). To address the disadvantages of Dissolving Microneedle Channeling System and ultrasonic treatment, a Sucralfate 0.5% and Vitamin K 3% solution is applied to the Dissolving Microneedle Channeling System, which is known as KS-DMCS, to facilitate wound healing caused by the microneedles. Additionally, an external serum (Ceutisome Serum) containing liquid oxygen cosmetics is used to activate skin cells.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the combination of ultrasonic treatment and Dissolving Microneedle Channeling System demonstrates significant improvement. The feasibility test confirms the stability of the Sucralfate 0.5% and Vitamin K 3% solution with the needle array.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serum, which contains liquid oxygen cosmetics, diffuses to the target depth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Sucralfate 0.5% and Vitamin K 3% solution.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ultrasonic treatment and Dissolving Microneedle Channeling System exhibits a better delivery effect compared to using Dissolving Microneedle Channeling System or ultrasonic treatment alone, successfully delivering each active ingredient to the desired depth. This study proposes this combination as an innovative strategy for a system that enhances the efficacy of skincare and facilitates the delivery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ausing pain or side effects to the user. 미용치료 산업은 2000년대부터 전 세계적으로 성장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미용 시술로 인한 통증과 부작용에 대한 연구와 사후 관리는 뒤쳐져 왔다. 본 연구는 용해 마이크로니들 채널링 시스템과 초음파 처리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장치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레이저 피부미용 시술(Skin LASER) 및 마이크로니들링 테라피 시스템(MTS)과 같은 기존 치료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용해 마이크로니들링 시스템과 초음파 치료법이 개발되었다. KS-DMCS로 알려진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채널링 시스템에는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채널링 시스템과 초음파 처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크랄페이트 0.5%와 비타민 K 3% 용액을 적용하여 마이크로니들에 의한 상처 치유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액체 산소 화장품이 함유된 외부 세럼(Ceutisome Serum)을 사용하여 피부 세포를 활성화한다. 실험 결과 초음파 처리와 용해 마이크로니들 채널링 시스템의 조합이 상당한 개선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타당성 테스트를 통해 마이크로 니들과 Sucralfate 0.5% 및 Vitamin K 3% 혼합 용액과 서로 반응치 않는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액체산소가 함유된 세럼이 Sucralfate 0.5% 및 Vitamin K 3% 혼합 용액과 간섭 반응성 없이 목표 깊이까지 확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초음파 처리와 용해 마이크로니들 채널링 시스템의 조합은 용해 마이크로니들 채널링 시스템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초음파 처리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나은 경피전달 효과를 보이며, 각 활성 성분을 원하는 깊이까지 성공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합을 사용자에게 통증이나 부작용을 주지 않으면서 스킨케어의 효능을 높이고 유효성분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을 위한 혁신적인 전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화장품 구독 서비스의 성공 요인 가설 도출을 위해 귀납적 기계 학습 방법을 적용한 탐색적 다중 사례 연구

        이선미,진동수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3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3 No.3

        Since the debut of Beauty Fix in 2008, numerous cosmetics subscription services have emerged. This research employed a multiple case study method, grounded in inductive learning, to analyze the commercial successes and failures of these cosmetics subscription services. In this research, we identified several key factors influenc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cosmetics subscription services. These factors include the 'subscription price range', the 'presence of versioning', the 'integration of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values', the 'availability of customized services', the 'inclusion of expert recommendations', and the 'complexity of product composition'. We analyzed 20 commercialized cosmetics subscription services, comprising 12 successful and 8 failed cases, from 2008 to April 30, 2023, using the six identified variables. By employing an inductive learning approach based on the ID3 algorithm, a machine learning methodology with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our analysis revealed that 'existence of ESG value' emerg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mong the six variables. This was followed by 'subscription price range', with 'existence of expert recommendation' also identified as a significant variable.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four hypotheses concerning the success and failure of cosmetics subscription services.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1) Cosmetic subscription services that lack ESG factors are likely to fail. 2) Services with ESG factors but without expert recommendations tend to fail, especially when priced in the mid-range. 3) Cosmetic subscription services that offer expert recommendations, along with the presence of ESG factors and mid-range pricing, are likely to succeed. 4) Services incorporating ESG factors tend to be successful when adopting either a high or low pricing strategy. These hypotheses provide strategic insights for enhancing the commercial success of cosmetics subscription services. 2008년 Beauty Fix의 출시이래, 국내외에서 다양한 화장품 구독 서비스가 출시되었다. 본 연구는 화장품 구독 서비스의 상업적 성공과 실패 여부를 귀납적 추론 기반의 다중 사례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화장품 구독 서비스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구독 가격대’, ‘버저닝(Versioning) 존재 여부’, ‘ESG 가치 존재 여부’, ‘맞춤형 서비스 존재 여부’, ‘전문가 추천 존재 여부’, ‘제품 구성의 복합성’이라는 여섯 가지 변수를 도출하고, 2008년부터 2023년 4월 30일 기준까지 상용화된 화장품 구독 서비스 사례 20개(성공사례 12개, 실패 사례 8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인공지능 분야의 기계 학습 방법론의 ID3 알고리즘 기반의 귀납적 추론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여섯 가지 변수 중 ‘ESG 가치 존재 여부’변수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그 다음으로 ‘구독 가격대’ 변수가, 마지막으로 ‘전문가 추천 존재 여부’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세가지 변수로 이루어진, 화장품 구독 서비스의 성공과 실패와 관련한 가설 네 개가 도출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가설 네 개를 기반으로 화장품 구독서비스가 성공하기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