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보호정책 관점에서의 한국형 스마트 그리드 추진 방안에 관한 연구 : 미국과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이경복,박태형,임종인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정보화정책 Vol.16 No.4

        최근 그린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기존 전력망에 IT 기술을 융합하여 지능적으로 전력을 송·배전하는 스마트 그리드의 사업이 급속하게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그리드가 주요기반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은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은 채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에 대한 고려가 미흡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법·제도, 조직, 기술의 정보보호정책 관점에서 미국과 국내의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 현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스마트 그리드 추진을 위한 정보보호정책 방안으로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에 대한 법·제도의 정비, 스마트 그리드 관련 보안 조직의 창설 및 연구기관에 대한 지원, 스마트 그리드 보안 기술에 대한 체계화된 연구계획의 수립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안은 스마트 그리드 보안의 제고와 함께, 스마트 그리드 추진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Smart Grid is a new electricity grid which transmits and distributes electricity intelligently by convergi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to the traditional electricity grid. Recently, the Smart Grid projects are promoted rapidly because the ‘Green Energy’becomes more and more interesting. However, the projects are underway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Smart Grid Security seriously, though Smart Grid is a critical infrastructure. In this paper, we find that the consideration of Smart Grid Security is not insufficient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Smart Grid. And we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mart Grid Security statu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On the basis of results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we suggest the following three methods: 1)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related with the Smart Grid Security, 2) the establishment and support of the Smart Grid Security organizations, 3) the making of strategic R&D plan for the Smart Grid Security technology. These proposals will contribute the Smart Grid Security and guarantee promotion of the Smart Grid.

      • KCI등재

        우리나라 스마트그리드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전제조건

        박훤일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경희법학 Vol.48 No.2

        Combining conventional electrical grids with information technologies, smart grids gather, distribute and supply electric power based on two-way information about the behavior of users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reliability and value-added nature of electricity services. Smart grids are also connected with renewable energy sources and electric vehicles. Korea has seen its own Smart Grid Law and a test bed being implemented for years. However, the smart grid project is currently in the doldrums. It’s because the administrative decision to designate hub cities has been delayed and appropriate business model could not be worked out. Most of all, the prime mover of such project disappear during the transition of power. On the other hand, as the atomic power plants stopped more often than not and the construction of power-line towers face the opposition of residents of their locations, the smart grid project has been again under the spotlight. Furthermore the smart grid may be regarded as a typical example of the so-called “Creative Economy”. Smart grid is expected to promote convergence of industries and create a new market related with smart meters,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AMI), energy storage system(ESS), electric vehicles(EV), etc. Some big businesses started to invest in AMI, ESS, EV batteries as new promising products or services. To this end, the government is going to set up smart grid hub cities by 2016 in the first phase under the Smart Grid Basic Plan, and to develop needs managing products and promote related industries. In this regard, the smart grid governance would be useful to stave off the data breach incidents related with data collection via smart meters. And the metropolitan smart grid areas in the second phase and its nationwide enlarged implementation call for continued government efforts of corrective feedback and educative public relations to electric power consumers. 스마트그리드란 기존 전력망에 IT를 접목하여 전기의 공급자와 사용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는 등의 방법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차세대 전력망을 말한다. 스마트그리드의 양방향 정보교환을 통해 합리적인 에너지 소비를 유도하고, 고품질의 에너지 및 다양한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에서는 정부와 전력ㆍ통신ㆍ자동차ㆍ가전 분야의 기업들이 지능형전력망 구축, 지능형 전력시장과 소비자, 운송, 신재생 에너지 등 5개 분야에 걸쳐 시범사업을 벌여 왔다. 2011년에는 지능형전력망법이 시행됨으로써 그 동안 전기사업법만으로는 추진이 어려웠던 지능형전력망 구축 사업이 본격화되는 듯하였다. 그러나 현재 스마트그리드 사업은 정체상태에 빠져 있다. 그 이유는 거점도시 선정이 연기되면서 마땅한 사업모델을 창출할 수가 없고 정권교체기에 사업의 추진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스마트그리드 사업은 창조경제의 모델이 될 수 있고, 원자력발전소의 빈번한 고장과 점검, 송전탑 건설의 차질 등으로 당분간 전력수급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다시 각광을 받고 있다. 스마트그리드 사업은 산업간 융합을 도모하고 스마트미터기와 AMI,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차 등의 보급을 촉진함으로써 해당 산업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의 수요를 창출하거나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대기업들은 AMI, ESS, 전기차 배터리 등을 신수종 사업으로 선정하고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에 따라 제1단계인 2016년까지는 거점도시 스마트그리드를 구축하여 스마트그리드 수요 패턴에 따른 다양한 수요관리 상품을 개발하고, 새로운 수요에 따른 관련 산업의 진흥을 도모하여야 한다. 일부 우려되는 개인정보침해 가능성은 스마트그리드 거버넌스를 확립하여 해소하도록 한다. 제2단계인 광역단위 스마트그리드의 구축과 제3단계인 2030년까지는 국가단위의 스마트그리드 건설을 순조롭게 추진하려면 사업 본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지속적으로 피드백 보완을 하는 한편 대국민 교육ㆍ홍보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제주도 실증단지 홍보관 디자인 개발

        이주형 ( Joohyoung Yi ),박진호 ( Jinho Par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4

        (배경 및 목적)최근 많은 국가들이 정부주도하에 친환경 에너지개발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효율성 증대 측면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 스마트그리드이다. 스마트그리드는 전기의 생산, 운반, 소비과정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함으로써 공급자와 소비자가 서로 상호작용하며 효율성을 강화한 지능형전력망 시스템을 말한다. 우리나라 정부는 스마트그리드를 통한 국가성장 기반조성 1단계사업으로써 2011년 제주도 구좌읍 일대에 세계 최대의 스마트그리드 신기술테스트 단지를 구축하여 기술개발의 결과물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는 2단계 사업이 진행 중에 있으며 2025년까지 제주실증단지를 광역 단위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기반조성 중에 있다. 이에 본 디자인제안에서는 제주도 실증단지 내에 2단계 추진사업의 비전과 사업내용을 홍보하는 전시관을 구축함으로써 실증단지를 찾은 방문객에게 스마트그리드의 기술적 장점과 연구개발을 위한 투자의 필요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범위와 방법)본 디자인 개발에서는 현황 및 자료 분석을 통한 콘텐츠기획과 건물외부의 체험시설 및 내부의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디자인을 진행하였으며 전시관의 건축부분은 제외하였다. 디자인의 진행방법은 첫째, 현황분석 단계로써 스마트그리드기술에 대한 이해 및 가치분석과 전시관을 둘러싼 환경 및 공간을 분석하였다. 둘째, 디자인개념 단계로써 전시관이 효과적인 홍보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공간매체로서의 기능강화와 방문객의 적극적인 관람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방향과 콘셉트를 제시하였다. 셋째,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로써 전체적인 전시스토리 라인, 평면 및 동선계획과 공간디자인의 세부내용을 진행하였다. (결과)제주실증단지 홍보관의 전시 프로그램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홍보관 1층은 스마트그리드기술을 통한 거시적 관점에서의 공간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간으로써 지구촌과 도시의 미래모습을 보여주는``스마트그리드, 세상을 변화시키다!``존으로 제안하였다. 홍보관 2층은 미시적 관점에서의 공간변화에 대한 체험공간으로써 기존의 홈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결된 스마트그리드기술의 다양한 적용방법에 대한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스마트그리드, 집안환경을 변화시키다!``존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야외전시공간에서는 관람객이 전기자동차에 탑승해 충전 및 텔레메틱스 서비스 환경을 체험하는``스마트그리드, 교통 환경을 변화시키다!``존으로 기획하였다. (결론)제주도 실증단지 홍보관은 인간의 삶과 기술의 실질적 접점인 주거와 교통 환경중심의 체험공간을 계획하고 쌍방향매체를 적극적으로 도입함으로써 능동적 관람객 참여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스마트그리드기술의 에너지효율 및 생활편의성을 중심으로 한 전시콘텐츠와 이를 체험하기 위한 디지털 매체의 제안은 결과적으로 스마트그리드의 최초 개발이슈(Issue)인 ``친환경성`` 이라는 주제를 약화시켰다. 이러한 문제점은 3단계 전시관 구축 시, 전시관의 효율적 에너지관리를 통한 운영 방안과 친환경에너지를 활용한 생태공원 조성 등의 직·간접적 체험콘텐츠 강화를 통해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Background and Purpose)In Recent years, Smart Grid has become the most noticeable technology in terms of the enhancing energy efficiency while many nations are eager to explore new sustainable energy sources. Smart Grid is an intelligent power network that integrates IT with the existing power system to optimize energy efficiency through the interactive exchange of real-time information between the supplier and the consumer. The most remarkable plan in Korea``s Smart Grid project is the construction of a Smart Grid Test-bed in Jeju Island. As the 1st stage of the project, the Korean government selected Gujwa-eup, Jeju Island in 2011 as the location for Smart Grid Test-bed. The Test-bed ranked the world largest Smart Grid community that allows the testing of the most advanced Smart Grid technologies and R&D result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business models. At the present, the national project is proceeded to the 2nd stage expanding Test-bed to wide area coverages. Dedicated to deliver administrators`` visions and project results in detail, Jeju Test-bed Exhibition Center will enlighten visitors recognized the not only advantages of Smart Grid, but also needs of R&D. (Method)The design proposal is not including architectural plans but focusing on content plans by analyzing the present Gujwa-eup environments and documentary data. The 1st design step is the analysis of existing conditions nearby surrounding the exhibition center and getting insights of separate technologies consisted in Smart Grid. The next step is the establishing design directions and the concept that makes exhibition space as an effective marketing medium and a cultural landmark attracting community consistently. The last step is presenting spatial program and schematic design that is leading visitors`` circulation and assembling hands-on media in detail. (Result)The overall exhibition programs of the museum are divided in 3 parts. The 1st floor of the center ``Smart Grid, Changing the Global Village!`` is dealing with changing earth, cities`` energy and technology environment on a macro level. The 2nd floor ``Smart Grid, Changing the domestic environment!`` is providing hands-on items that enable to understanding Smart Grid technical applications related with home networking services. the last, out door experiencing zone ``Smart Grid, Changing the transportation environment!`` is delivering real traffic situation by which visitors would grasp the Smart Grid services benefits; driving and charging electric vehicles in person. (Conclusion)To lead visitors`` active participation for experiencing contents, Jeju Test-bed Exhibition Center is designed by residential and traffic environment in that people and technologies are correlation. As a result, the exhibition contents excessively focused on the technical benefits and interactive media fabricated by digital technology worsen the crucial issue of initial needs of developing Smart Grid; the sustainability. the technological issue will be intensified in the 3rd stage exhibition center dealing with the eco-friendly operating system maintaining the museum and the ecology park operated by ecological energy resources.

      • KCI등재

        스마트그리드 입법에 관한 고찰

        홍완식(Hong, Wan Sik) 한국법학회 2012 법학연구 Vol.45 No.-

        이 글에서는 스마트그리드 정책이 지능형전력망법령으로 법제화되는 과정과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녹색법제라고 하는 큰 틀에서 지능형전력망이 차지하는 위치와 의미, 기존의 법체계와 지능형전력망법의 관계, 지능형전력망법의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제정하는 과정도 내용으로 하였다. 규범적으로 볼 때, 스마트그리드는 관련 법제의 체계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아직 많은 입법적 과제가 남아있다. 앞으로 스마트그리드 관련 사업이 활성화되면 초기 정부주도의 사업추진방식에서 벗어나 민간주도의 사업추진방식으로 전환될 것이며, 이 경우 법령의 개선 및 정비에 대한 요구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 하나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향후 일어날 문제점을 미리 예측하고 대처하는 입법작업이다. 스마트미터와 스마트기기는 소비자로부터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는 보관?분석되고 활용될 수 있다.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적 보호에 대하여 서술하였지만, 점증하게 될 프라이버시의 침해위협에 대응하는 입법작업도 필요하다. 또한 점점 대규모로 네트워킹되는 스마트그리드는 조직적인 해킹그룹, 테러리스트, 적대적인 국가 등의 사이버 공격에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비하는 정책이 수립되어야 하고 이러한 정책도 역시 법령에 근거를 두어야 하기에 이를 위한 입법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문에서 언급한대로 ‘정보통신기반보호법’이 있기는 하지만, 스마트그리드 기술발전과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입법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지능형전력망법 등은 규제와 금지만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스마트그리드는 앞으로 가스나 수도 등 더욱 많은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체제나 정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발전과 정책변화를 육성하고 촉진하는 법령을 필요로 한다. Global warming is largely brought about by fossil fuels like petroleum, which take up about &5 percent of energy consumption. The green growth policy has been developed by many nations. Many nations are determined to develop renewable energy sources because they are needed to overcome todays economic recession. A smart grid or a power grid is the one of the green growth policy. A smart grid is a digitally enabled electrical grid that gathers, distributes, and acts on information about the behavior of suppliers and consumers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importance, reliability, economics, and sustainability of electricity services. The term smart grid has been in use since at least 2005, when the article Toward A Smart Grid appeared. There are many smart grid definitions, some functional, some technological, and some benefits-oriented. A common element to most definitions of smart grid is the application of digital processing and communications to the power grid, making data flow and information management central to the smart grid In Korea, Low Carbon and Green Growth Act (Framework Act on Low Carbon and Green Growth) was enacted and went to effect in 2010, and Smart Grid Act (Special Act on Establishment of and Support for Smart Grid) was enacted and went to effect in 2011. Korea became the first country to complete a legal framework to develop a national smart grid digitally enabled to collect and act on information about the behavior of suppliers and consumers, making electricity provision more efficient and reliable. According to the plan, the realization of the re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between electric power suppliers and consumers to optimize energy efficiency will be possible by 2030 in Korea. Under the smart grid system, electricity will be charged at different rates depending on the demand and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costs. Consumers will be able to consume the electric power when electricity rates are cheapest.

      • KCI등재

        스마트그리드 소비자 수용성 요인 연구

        김현제,박지현,박찬국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정보화정책 Vol.19 No.1

        스마트그리드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수용성 확보라는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소비자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나가야 한다. 결국 최종 소비자가 스마트그리드 제품 및 서비스를 받아들이느냐 여부에 따라 스마트그리드의 확산이 달려 있기 때문이다. 아직 국내에서 스마트그리드 소비자 수용성 요인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사례가 없는 가운데, 본 연구는 기존 스마트그리드 수용성 요인에 대한 검토를 통해 스마트그리드 수용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수용요인으로 금전적 편익, 친환경성, 사이버 보안, 이해도 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소비자 중심의 스마트그리드 교육 및 홍보, 환경 친화적 제도와 연계, 스마트그리드 사이버보안 강화 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그리드 소비자 수용성 관련 실증분석을 시행함에 있어 주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고, 스마트그리드 소비자 세분화 연구에 있어서도 주요 이론적 토대가 될 것이다. We should set up a policy objective to obtain consumer engagement in smart grid and analyze the key influencing factors in smart grid consumer engagement in oder to deploy smart grid successfully. It is because the successful deployment of smart grid depends on whether the end users accept the smart grid products and services. So fa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in Korea which focus on the smart grid consumer engagement. Therefore, we carried out an literature review in terms of smart grid consumer engagement and tried to suggest related policy implications. As a result, we identified key influencing factors such as monetary benefits, environment-friendly characteristics, cyber security and understanding of smart grid. Futhermore, we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customer education, linkage between smart grid policies and other environmental ones, cyber security enhancement, etc.

      • KCI등재

        다단계 구간선형 비용함수를 이용한 마이크로그리드 최적 전력 생산량 결정

        김학진(Hak-Jin Kim) 한국생산관리학회 2014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5 No.3

        국가 산업발전의 근간으로서의 사회 간접자본인 전력 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해 전력 배급 네트워크와 정보 네트워크의 결합을 통한 지능화된 스마트그리드 네트워크는 미래형 전력시스템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스마트그리드 안에서 마이크로그리드는 한 지역에서의 전력의 생산·분배·수요의 충족을 책임지는 국지적인 전력 네트워크이다. 이는 전력의 생산·분배·소비의 효율화를 위한 스마트그리드의 한 구성요소로서 전체 스마트그리드 네트워크의 운영의 유연성과 효율적 전력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논문은 스마트그리드 네트워크에서 상위의 발전회사나 배분회사와의 쌍무적 계약 관계를 전제로 주어진 전력 가격에 따라 마이크로그리드가 경제적인 동기에 따라 어떻게 최적의 전력 생산량을 결정하는지를 연구한다. 특히 마이크로그리드의 활성화를 위해 누진적인 전력 가격구조가 주어졌다고 가정하고, 이를 반영하여 두 계약 당사자들의 의사결정 모형을 다단계의 구간 선형 함수를 통해 수리적으로 제시하고 마이크로그리드의 모형 분석을 통해 해석적으로 최적 전력생산량에 대한 해를 도출한다. 또한 최적 전력생산량과 전력 가격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스마트그리드에서의 마이크로그리드 활성화를 위한 조건을 도출함으로써 마이크로그리드의 활성화를 위한 전력가격 정책에 대해 제안한다. Efficient power grid system is one of fundamental social infrastructures for industrialization. Smartgrid is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purporting to advance the efficiency of supply, damand and distirubiton of power using intelligence. For the construction of a smartgrid network, a microgrid system-as a small local power network that charges supply, demand and distribution of power in a local area-plays a critical role to produce power efficiently together with the use of renewable energy sources. As a continuent of a smartgrid, it transacts with a power distribution firm for its deficiency and surplus of power it produces locally. This paper builds up a microgrid cost minimization model for the optimal power generation, where it cost function reflect the graduated price scheme by multistep piecewise linear functions, under the assumption of bilateral transaction between a microgrid system and a power distribution firm. It also analyses the model and reduces its cost minimizing solutions analytically to understand the microgrid economical decision making. Using the resulted solutions, it finally discusses the pricing decisions to encourage the maximum power production in a microgrid system and suggest some pricing policies.

      • KCI등재

        스마트그리드 갈등양상 및 조정방안 연구

        박찬국,용태석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정보화정책 Vol.19 No.4

        다양한 기술의 융합 형태인 스마트그리드는 결국 다양한 기술부문 산업주체의 협력과 공정한 경쟁을 통해 구축 가능하다. 산업 및 기업 간 갈등이 조정되지 않고 심각하게 유지된다면 사업 추진이 지연되고 투자가 미흡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그리드 사업이 추진되면서 발생하는 갈등 원인과 관련 사안을 살펴보며, 주요 이슈별 정책방안을 제시한다. 스마트그리드 부문의 주요 갈등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AHP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설문 응답자들은 스마트그리드 분야에서 갈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역할과 권한의 모호성’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두었다. ‘역할과 권한의 모호성’ 다음으로는 ‘가치의 차이’ 와 ‘의사소통 장애’를 주요 갈등원인으로 지적하였다. 스마트그리드 갈등 조정과 관련해서는 현 시점에서는 특히, 스마트그리드 이해관계자 간 이해 조율에서 정부의 리더십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정부는 스마트그리드 시장 활성화 차원에서 법제도 개선과 함께 이해관계자 간 이해 조율에 주력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이해관계자간 바람직한 역할에 대한 공감대 형성의 장을 제공해야 한다. Smart grid, which is a sort of convergence of numerous technologies, can be deployed only with cooperation and fair competition among various stakeholders. If the interest conflicts were not coordinated properly, related business and investment would become delayed and inactiv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of interest conflicts and related issues in smart grid sector and suggests policy directions by issue. As the result of AHP analysi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urveyed said that ambiguity of the role and authority is the key problem causing conflicts of interest in smart grid deployment process. Differences in values, communications problems, etc. are pointed as additional main reasons of the interest conflicts. To resolve interest conflicts in smart grid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enhance its leadership in the coordination of stakeholders’interests.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to coordinate the various interest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grid market and win stakeholders’ sympathy of their desirable roles in the smart grid market.

      • KCI등재

        스마트 파크 그리드 개발을 위한 측정방법으로써 생태 그리드의 탐색연구

        윤지원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5

        스마트 파크는 인간과 생태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화한다. 이를 위해 인간을 중심으로 생태환경을 총체적 유기적으로 측정가능한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 생태환경 측정모델인 스마트 파크 그리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측정방법인 생태그리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기존 측정 시스템의 문제점으로 격자 그리드의 거시적 측면의 한계점(도심 내의 공원, 시설, 서비스 부족에 대한 생태환경요소와의 통합적 이해 부족, 이용자 비 고려)을 분석하고, 미시적 측면의 생태 그리드를 제시하였다. 생태그리드는 측정요소와 측정방법으로 제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생태환경의 개념 정립 및 생태환경요소를 물리적 요소(공원녹피율, 공원율, 1인당 공원면적, 공급적정성), 심리적요소(이용가능한 거주민수, 공원접근성, 시설접근성), 사회적 요소(서비스접근성)로 총 8개의 측정요소를 도출하였다. 측정방법은 육각형 그리드 형태로 3단계의 프로세스를 통해 측정한다. 1단계는 8개의 생태환경요소를 측정한다. 2단계는 거주밀집지역을 분석한다. 3단계는 거주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육각형 그리드에 따라 생태환경요소를 분석한다. 측정 프로세스를 마포구 상암동과 성산2동에 적용하여 생태그리드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거주지를 중심으로 3가지 생태환경요소가 미시적으로 파악 및 총체적 파악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생태 그리드는 스마트 파크 그리드의 개발에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mart parks evolve through interactions with people and ecologic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is capable of measuring ecological environment in a general and organic way focusing on people. This research is a preliminary research to develop a smart park grid as a measuring model of urban park ecological environment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a possibility of ecological grid as a measuring method. In terms of problems with the preexisting measuring system, limitations of lattice grids in a macroscopic aspect(lack of overall understanding of ecological elements for the lack of urban parks, facilities and services, inconsideration of users) were analyzed to propose an ecological grid in a microscopic aspect. Ecological grids were proposed in measuring elements and measuring methods. Literary investigation produced a total of eight measuring elements of establishing ecological environment concepts and ecological elements such as physical elements(green coverage ratio of parks, ratio of parks, park area per each individual, propriety of supply), psychological elements(a potential number of resident-users, accessibility to parks, accessibility to facilities) and social elements(accessibility to service). The measuring methods are in a form of hexagon grid through a 3-step process. The first step measures the eight ecological elements. The second step analyzes concentrated residential areas. The third step analyzes the ecological elements according to a hexagon grid focusing on concentrated residential areas. The measuring process was applied to Sangam- dong and Seongsan 2-dong to explore a possibility of ecological grids. The three ecological elements surrounding the residential areas proved to be capable of presenting microscopic and general findings. As a result, the ecological grid is likely to develop into a smart park grid.

      • KCI등재

        글로벌 에너지 위기 대응을 위한 한국전력의 스마트 에너지 전략 - Smart Grid를 중심으로 -

        최향미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2 국제경영리뷰 Vol.16 No.1

        일본 후쿠시마 발전소 위기, 대규모 광역정전, 화석연료의 고갈, 이산화탄소 배출권 도입 등 글로벌 에너지 위기가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지형을 바꾸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 전력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함으로써 에너지 수출기업의 위상을 가지고 있는 한국전력이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에너지 수급을 통해 산업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고 글로벌 에너지 시장을 선도하는 에너지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에너지 전략을 스마트 그리드를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풍력, 태양력 등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을 중심으로 에너지원의 다변화를 이루어야 한다. 둘째, 스마트 그리드를 기반으로 한 전력망 신뢰도 향상 및 전력 수요의 조절을 통해 새로운 에너지원을 발굴하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셋째, 국가 에너지 재난 시스템의 체계적 정비를 통해 에너지 위기의 순간에 재난이 확대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스마트 그리드 기술 표준화를 선점함으로써 해외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고, 국가별 상황에 맞는 맞춤형 스마트 그리드 수출 패키지 모델을 개발하여 현지화 전략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그리드를 중심으로 글로벌 에너지 Global energy crisis such as Fukushima nuclear crisis, the massive blackout in September 2010 due to unseasonably high temperatures, fossil fuel depletion and certified emission reduction of carbon dioxide is changing the landscape of energy industr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global energy crisis and suggest smart energy strategy, in particular, focusing on Smart Grid for KEPCO, which have implemented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global electric energy market. First, KEPCO should change energy mix policy by renewable energy such as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energy, where energy sources replacing nuclear power are vague. Second, improving grid reliability and moderating electric power demand based on Smart Grid is indispensible. Building Smart Grid brings about the same effect as building additional power generation plant, and being a first mover in Smart Grid, KEPCO will be able to achieve competitive advantage over competitors in global energy market. Third, the national energy disaster system needs to be maintained in order to secure systematic approach to prevent the spread of disaster in an energy crisis. Forth, Korea has been selected as a leading country in Smart Grid technology in G8 summit in 2009. KEPCO needs to take first-mover advantages by making international technology standardization. In doing so, KEPCO will be able to lead Smart Grid system worldwide by developing customized Smart Grid package depending on market condition with which KEPCO advances into the overseas market. This study explores the new energy strategy of KEPCO and provide strategic implication, in particular, on Smart Grid strategy in order to help overcome global energy crisis and make a step forward as a energy leader in overseas market.

      • KCI등재

        스마트 미터 서비스(power planner)의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제현 ( Jae-hyun Kim ),안재영 ( Jae-young An ),윤혜정 ( Hae-jung Yun )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9 기업경영리뷰 Vol.10 No.1

        기존의 전력산업에서 소비자는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이용자일 뿐 전력산업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핵심 이해당사자가 아니었다. 때문에 기존의 스마트그리드 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공급자 중심으로 이루어진 정책 위주연구였으며, 이용자 측면의 연구는 미미하였다. 하지만 스마트그리드가 기존의 전력망을 공급자가 소비자에게 단순하게 전달하는 단방향 방식에서 벗어나 공급자와 소비자가 서로 상호 작용하는 양방향 형태로 바뀜에 따라 소비자는 이제 단순히 전력을 받아 사용하는 수동적 대상이 아니라 스마트그리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소비의 주체이자 공급 계획에 참여 가능한 형태로 변화하게 되었다. 한국 전력은 2020년까지 스마트 미터 서비스의 전국 확산을 목표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여러 난관에 따른 지연을 겪고 있다. 대표적인 문제점은 소비자의 서비스에 대한 이해 부족과 낮은 인식이기 때문에, 공급자 입장에서는 소비자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그리드 사업 중 모바일(앱)이나 포털(웹) 서비스 형태로 직접 제공된 스마트 미터 서비스(power planner) 사용자를 대상으로 스마트그리드가 소비자 입장에서 가지는 가치와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조건부 가치 측정법과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수용모델 및 스마트그리드, IoT 스마트 홈서비스, HEMS(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등의 선행 연구로부터 5가지 변수(유용성, 편의성, 신뢰성, 친환경성, 보안성)를 도출하였으며, 각 변수가 스마트 미터 서비스의 가치(지불 의사 금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 미터 서비스의 유용성과 사용 편의성, 보안성이 높을수록, 스마트 미터 서비스 지불 의사 금액, 즉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스마트그리드가 소비자 측면에서 가지는 경제적 가치와 편익을 알아보고 스마트 미터 서비스 운용방식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In the existing power systems, consumers who use electricity have not been the key stakeholders who can exert influence on the electric power industry. Therefore, most of the existing Smart Grid-related research was supplier-oriented, and the research on consumer perception has been hardly conducted. However, as the smart grid transforms the existing power system into a interactional one rather than a unidirectional service, the consumer became a key player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grid. Currently, KEPCO is conducting a pilot project aimed at spreading power planner nationwide by 2020, but there are undergoing delays due to various difficulties. Typical problems include low consumer value perception and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servi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perceived value of Smart Meter(power planner) provided in the form of app or web service,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derived five independent variables(usefulness, convenience, reliability, eco-friendliness, security) from previous studies of technology acceptance and Smart Grid, IoT Smart Home Service, and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set up to examine the effect of each variable on perceived value(willingness to pay) of smart meter services. As a result, the higher the usefulness, convenience, and security of smart meter services,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pay smart meter services. The study could provide implications on the power planner oper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