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서형 로짓모형을 활용한 건물등급의 예측

        강신만 ( Sin Man Kang ) 한국감정평가학회 2015 감정평가학논집 Vol.14 No.2

        현행 건물 재산세 과세표준 산정모형의 가장 큰 문제점은 ‘건물등급’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나 건물의 품질이 건물가치 추정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현재 과세표준산정모형에서 이러한 건물등급은 모형의 구성요소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건물등급 판정자(과세 공무원 등)의 주관성 때문이다. 본 연구는 건물등급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순서형 로짓모형을 구축, 개별 건물들의 등급을 예측함으로써 건물등급 판정의 주관성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건물용도, 건물구조, 부대시설 등이 건물등급 예측에 유용한 요인들로 밝혀졌으며 지가(공시지가) 역시건물등급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높은 지가의 토지상에는 우수한 등급의 고급 건물이 건축되는 경향이 강한데, 인근의 희소한 토지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공간차 변수(spatially lagged variable)를 구성하여 모형에 추가함으로써 유사한 등급의 건물들은 공간상에 집적하여 나타나는 경향을 반영하였다. 그 결과, 순서형 로짓모형의 건물등급 예측력이 탁월하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순서형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사전에 건물등급을 예측하고 이러한 결과를 과세공무원 등에게 제공함으로써 건물등급 판정의 자의성을 줄이고, 또한 건물 재산세 과세표준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가 건물 과세표준과 시장가치와의 괴리를 줄이고, 더 나아가 건물과세 형평성 제고에 일조하길 기대한다. The most serious drawback of the current building assessment method is that it does not take account for a ‘building grade’.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 building grade or workmanship of constru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stimating building value. However, the main reason why having not incorporated it in the assessment model is surveyor’s (public officials in assessment office) arbitrariness in building grading. This study identifies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building grade, constructs a proportional odds logit model, and predicts grades of individual buildings. The identified factors to help to predict building grades include physical variables such as the building use, the structure and the supplementary facilities. Land price (assessed land value) was also found to affect building grades in the study. In particular, high land price was found to force high-class buildings to be constructed for maximizing scarce land resources in neighborhood. In addition, a spatially lagged variable was constructed and added into the model in order to reflect the tendency of buildings with similar grades being clustered together. The inclusion of the spatially lagged variable resulted in remarkable increase in classification accuracy of building grades. We expect that the current building assessment method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surveyors with classification results estimated from our proportional odds logit model, and therefore minimizing arbitrariness in building grading.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help to reduc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ssessed and the market value, and to enhance the property tax equity for buildings.

      • KCI등재

        경북지역 농촌관광자원에 대한 방문객의 만족도 요인 분석

        이상호 동북아관광학회 2017 동북아관광연구 Vol.13 No.3

        이 논문에서는 농촌관광자원에 대한 방문객의 만족도 요인를 분석하였다. 첫째, 농 촌체험마을 방문객의 전체 만족도는 77.3%가 “만족한다”이상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농촌체험관광 자원 요인별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환경자원인 물, 공기 등이 4.54점, 경관자원은 4.31점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인자분석 결과 제1인 자는 공기, 물, 하천 및 산림경관, 건축물 등 환경자원과 경관자원이 결합된 요인이다. 제2인자는 문화자원과 공동체활동자원이 결합된 요인이다. 넷째, 순서형 로짓모형 분 석결과, 방문객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농촌체험관광 인자, 학 력(중졸 및 고졸이하), 월별 소득(301만원~400만원이하, 401만원~500만원이하) 등 으로 나타났다. 즉 농촌체험관광의 전체 만족도는 농촌체험관광 자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소득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더욱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consumer satisfaction by factors of rural tourism. Data was collected from 273 people by interview survey in Gyeongbuk provinc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visitors to rural villages was found to be "satisfactory" by 77.3%.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rural tourism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environmental resources are 4.54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amenity resources were 4.31. Third, factor analysis shows that the primary factor is the combination of environmental resources and landscape resources. The second factor is the combination of cultural resources and community activities. Finally, the ordered logit model shows that the rural experience factors,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are significant variables.

      • KCI등재후보

        로짓모형을 이용한 월세 거주자의 주거비부담능력 결정요인 분석

        최열(Choi Yeol),김상현(Kim Sang Hyun),이재송(Lee Jae Song) 한국부동산학회 2014 不動産學報 Vol.59 No.-

        본 연구는 렌드 푸어(Rent Poor)에 초점을 맞추어 월세 거주자를 대상으로 주거비부담능력의 특성을 파악하고, 주거비부담능력을 결정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의 주거비부담능력은 소득관련부담능력을 기준으로 하는 소득대비임대료(Rent to Income Ratio; RIR)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RIR가 30%를 초과하는 계층을 렌트 푸어로 정의하고, 50%를 초과하는 계층은 심각한 렌트 푸어로 정의하였다. 실증적 분석은 이항로짓모형과 순서형로짓모형을 사용하여 RIR 지표를 종속변수로 하고 가구주 특성, 주택 및 주거특성, 사회적 인식을 독립변수로 반영하였다. 이항로짓모형을 이용한 객관적 측면의 실증 분석 결과, 가구주 연령이 높고 1인 가구일수록 주거비부담능력이 증가할 확률이 높아졌고, 단독주택과 아파트에 거주할수록, 좁은 면적일수록 주거비부담능력에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졌다. 순서형로짓모형을 이용한 주관적 측면의 실증 분석 결과, 주택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주거비부담능력이 증가할 확률이 높아졌고, 주택 소유 의식을 가진 응답자 일수록 주거비부담능력의 증가 확률이 감소하였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housing affordability for rental residents, especially Rent Poor classes. (2) RESEARCH METHOD Based on "Housing Condition Survey", conducted in 2010, the data were collected by random extraction. The sample size of data which include Busan rental residents is 514. Methodologies used in the study were Binary Logit Model and Ordinal Logit model. (3) RESEARCH FINDINGS The significant variables of determinant of Rent Poor class is household's age, number of family, areas, commuting time, house satisfaction, house own consciousness, housing cost burden. 2. RESULTS In this study, we consider affordability problem with housing type, house characteristics, household's satisfactio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e consider not only stress status of housing affordability, but also crisis of housing affordability thresholds of RIR are 30% and 50%.

      • KCI등재

        Ordered Logit Model을 이용한 보행자 사고 심각도 요인 분석

        최재성,김상엽,황경성,백승엽 한국도로학회 2009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1 No.1

        This paper presents the severity analysis result of the year 2006 national pedestrian crashes using the data base of 37,589 records prepared for the National Police Bureau. A set of attributing factors considered to affect pedestrian crash patterns were selected, and their contributing effects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the Ordered Logit Model. This model was selected because this model has been able to afford satisfactory results when the dependent variable involved ordered severity levels; fatal, injury, and propertydamage-only in this investigation. The investigation has unveiled the followings; First, the pedestrian crash patterns were dependent upon human -driver and pedestrian-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ge, and drinking conditions. Second, other contributing factors included vehicle, roadway geometric, weather, and hour of day characteristics. Third, seasonal effect was not contributive to crash patterns. Finally, the application of the Ordered Logit Model facilitated the ordered severity level analysis of the pedestrian crash data. This paper concludes that conventional wisdom on the pedestrian crash characteristics is largely truthful. However, this conclusion is limited only to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an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for its generalization. 본 연구에서는 경찰청에서 제공한 2006년 전국 37,589개의 보행자 사고 자료에서 나타난 보행자 사고 심각도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요인을 미리 선정하여, 그 영향을 순서형 로짓 모형(Ordered Logit Model)을 통해 분석했다. 이모형은 사고 심각도와 같이 종속변수가 순서형으로 표시되는 경우 매우 유용한 결과를 제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본 연구에서 사용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첫째, 우리나라 보행자 사고 심각도는 운전자와 보행자로 나타나는 인적요인에서 성별, 나이, 음주여부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둘째, 기타 요인에는 차량, 도로기하구조, 날씨, 시간대가 포함된다. 셋째, 보행자 사고 심각도는 계절요인과 무관하다. 끝으로, 보행자 사고 심각도 분석을 위해 순서형 로짓 모형을 적용하면 매우 적절한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행자 사고 심각도는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은 방식인 것으로 확인했다. 이 결론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사고자료에 국한한 것이며, 이 결론을 일반화시키려면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MLM(Multi-Level Marketing)기업의 판매원 활동기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종원(Jong Won Lee),문지효(Ji Hyo Moon) 글로벌경영학회 202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국내 MLM(Multi-Level Marketing)과 관련하여 해당 산업의 규모 및 종사자 수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직접판매가 소비채널로 자리 잡으며 사회경제적 비중이 날로 커짐에 따라 MLM기업의 효과적 경영활동을 위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고용 증대 효과와 함께 MLM기업의 수익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판매원의 지속적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MLM기업에 종사하는 판매원의 개인적 특성, 사회관계적 특성 및 브랜드 특성이 판매원 활동기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종속변수가 ‘활동기간’으로 순서화된 형태를 취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순서형 로짓모형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순서형 로짓모형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 중 연령(20대-30대)이 유의수준 1%에서, 학력(대졸 이상)이 유의수준 5%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판매원의 위험감수성과 자율성이 유의수준 1%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유의수준 10%에서 판매원 활동기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차별성이 유의수준 1%에서 판매원 활동기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적극성과 가족에 의한 사회적 지지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MLM판매원의 활동기간을 장기화하기 위해 기업차원에서 필요한 구성요소를 발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기업차원의 마케팅 전략 및 판매원 교육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cale of Multi-Level Marketing(MLM) industry and the number of employees are continuously expanding. As the socio-economic role of MLM grows day by day,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for effective management activities of MLM companies.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ous activities of salespeople who play an important role in terms of profits of MLM companies along with the effect of increasing employmen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personal, social, and brand characteristics of salespersons working in MLM companies affect salesperson activity period. In particular, we examined whether 5-dimensional entrepreneurship (innovation, activeness, risk taking, autonomy, aggressi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sponsor, family), and brand differentiation affect activity periods. For this study, data were gathered from the respondents who are MLM salespeople and analyzed by using ordered logit model. All measures were adapted from or developed based on prior research.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247 salespeople of MLM company. Stata13 and ordered logit model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marginal effec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 activity period is affect by a age, education, entrepreneurship (risk taking, autonomy, aggressiven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family), and brand distinctivenes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e components that companies need to prolong the period of activity of MLM salespeople. Based on this, MLM companies will be able to conduct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and salesperson training.

      • KCI우수등재

        고령층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주택연금 이용 및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이재송,최열 대한토목학회 201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reverse mortgag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Based on the survey data of the reverse mortgage demand in 2016, we carried out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binary logit model and the ordered logit model. First of all,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binary logit model, the determinants of using the reverse mortgage were age, region, assets, household member, children with financial help, and education level.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ordered logit model, the determinants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reverse mortgage were estimated to be age, gender, and reg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reverse mortgage and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주택연금 이용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2016년 주택연금 수요 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이항로짓모형과 순서형로짓모형을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이항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주택연금의 이용의 결정요인을 실증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연령, 거주 지역, 보유자산, 가구원 수, 경제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는 자녀의 유무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연령이 높고, 수도권에 거주하며, 학력이 높을수록 주택연금의 이용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보유 자산이 작고, 가구원 수가 적으며, 경제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는 자녀가 없는 경우에 주택연금의 이용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음으로 순서형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주택연금 이용 만족도를 실증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연령, 성별, 거주 지역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연령이 높고, 수도권에 거주하는 경우에는 주택연금 이용을 만족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남성보다는 여성이 주택연금 이용에 만족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 주택연금 가입률을 제고하고, 이용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개인의 모바일 인터넷 활용 수준 영향요인 연구

        정준화 ( Joonhwa Jung ) 한국정책학회 2017 韓國政策學會報 Vol.26 No.1

        이 논문은 개인의 모바일 인터넷 활용 수준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모바일 정보격차 해소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했다. 먼저 개인의 모바일 인터넷 활용 영역을 정보생산·인맥관리·사회참여·경제활동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 모바일 인터넷 활용 수준에 대한 PC 및 스마트폰 접근성·조작역량·활용역량의 영향력을 순서형 로짓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 접근성과 활용역량은 모바일 인터넷 활용 수준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스마트폰 조작역량은 일부 상황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달리 PC 접근성·조작역량·활용역량은 모바일 인터넷 활용 수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다음으로, 이 결과가 모바일 정보격차 해소 정책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정보격차 해소 정책은 인터넷 활용 영역 혹은 정책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PC 보급뿐만 아니라 모바일 접근성을 개선하는 정책도 필요하다. 셋째, 모바일 조작역량을 개선하는 정책은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낮다. 넷째, 적극적인 모바일 활용역량 개선을 위해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에 모바일 역량에 관한 내용을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보격차 정책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한데, 그 출발점으로 현행 「국가정보화 기본법」상 정보격차의 개념에 정보 활용 역량의 차이까지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level of mobile internet usage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to eliminate the mobile digital divide. Generally the mobile internet usage area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information production, human network management, social participation, and economic activity. And the accessibility, manipulation capability, and utilization capacity of PC and smart-phone are affecting on the mobile internet usage level in each area. The extent of effects can be analyzed through the Ordered Logit Model. As a result, smart-phone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capacity have an overall positive impact on the level of mobile internet usage. In addition, smart-phone manipulation capability has a strong influences on some situations. On the contrary, PC accessibility, PC manipulation capability, and PC utilization capacity have little effect on the level of mobile internet usage.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y eliminating mobile digital divide should be customized a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arget group. Second, the policy to improe mobile accessibility of the information-poor is important. Third, the policy improving mobile operation capability has relatively low priority. Fourth, improving mobile utilization capacity is strongly needed.

      • KCI등재

        해수욕장 유형별 이용객 만족도 및 재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배경완(Bae, Kyung-wan),강정은(Kang, Jung Eun),이상혁(Lee, Sang-hyeok),김종성(Kim, Jong-su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부산지역 해수욕장의 입지 및 배후지 특성 분석을 통해 도심형 및 비도심형으로 유형화하여, 두 유형간 해수욕장 품질에 대한 이용객 인식을 비교분석하고 이용객 만족도와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유형별 현황파악을 위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설문결과의 비교를 위해서 맨-휘트니 검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용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도출을 위해 순서형 로지스틱 모형과 이항 로지스틱 모형이 활용되었다. 도심형 해수욕장은 주변 숙박 및 상업시설, 체험 및 테마프로그램에 대한 만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도심형 해수욕장 이용객들은 해수욕장의 수질과 안전성 측면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재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두 유형 모두 만족도가 재방문에 가장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해수욕장 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ompared visitors’ perception on the quality of urban beaches with that of non-urban beaches. Also we examined factors affecting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is study employed text-mining for analyzing big text data and Man-Whitney test for comparing survey data between urban and non-urban beaches. In order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we utilized ordinal logistic model and binary logistic model. While urban beach visitors showed a relatively high degree of satisfaction in comfort, accommodations and commercial facilities, and experience programs, non-urban beach visito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water quality and safety issues. The degree of visitors satisfaction is a critical factor which affects visitors’ decision to revisit both urban and non-urban beaches. The result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develop customized policies for each beach type.

      • KCI등재

        의료시설 접근성과 대중교통 접근성이 농촌 및도시 지역 거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일반화된 순서형 로짓 모형의 적용 -

        이유진,김의준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1

        본 연구는 의료시설 및 대중교통 접근성이 농촌 및 도시 거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건강상태에 따라 의료시설 및 대중교통 접근성 등에 의한 영향력의 크기가 상이하므로 종속변수의 모든 범주에서 설명변수의 영향력이 동일하다는 평행선 가정을 완화하여 일반화된 순서형 로짓모형을 적용하였다. 의료시설 접근성과 대중교통 접근성이 양호한 경우 농촌 노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가 나쁠 확률이 감소하나 도시 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특히 의료시설 및 대중교통 접근성과 농촌 노인의 건강상태 간의 긍정적 상관관계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보통 이하인 경우에 보다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차량 보유율이 낮고, 의료 시설과의 거리 및 이동시간이 긴 농촌지역에서 의료 서비스 이용에 따르는 제약이 크며, 이러한 환경적 요인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농촌지역의 건강 취약 노인 계층의 의료 서비스 이용 제약 완화를 위해 대중교통체계의 효율적 개선, 이동식 의료 서비스의 확장 등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mpact of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on perceived health of urban and rural elderly. Since the influence from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on perceived health of elderly depends on their health status, this study applies generalized ordered logit model which relaxes parallel lines assumption. The results show enhanced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lowers the possibility that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rural elderly is bad or very bad, and better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reduces the likelihood of rural elderly having lower perceived health status.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on perceived health is greater among the elderly in worse health condition. On the other hand, the perceived health of urban elderly is not affected neither by the accessibility to medical service nor by public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It implies that weak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impedes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 in rural area, and the elderly in lower health status is more vulnerable to the lack of access to medical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