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진요인과 제약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고재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진요인과 제약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2개 시⋅도 교육청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23명을 대상으로 개념 도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진요인과 제약요인 각각에 대해 교육 차원과 학교 차원의 두 가지 차원 에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 진요인과 제약요인은 각각 4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촉진요인은 학생 및 수업에 대한 관심, 교사 존중 풍토 및 수업 개선에 대한 요구, 수업 관련 정책 및 제도의 지원, 수업 연구 및 협 의 활동의 참여의 순이었다. 반면에 제약요인은 수업 관련 행정 및 정책 지원의 미흡, 수업 연 구 및 협의 활동의 소홀, 수업 개선 의지의 부족, 수업 환경 및 여건의 열악 순이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진요인으로 중요하게 평가한 군집은 수업에 대한 관 심과 수업 개선 요구이었고, 제약요인으로 중요하게 평가한 군집은 수업 관련 행정 및 정책 지 원의 미흡이었다. 이 연구의 결론은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진 요인과 제약요인은 바로 교육차원과 학교차원에서 다양한 요인들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전문성 개발의 제약 조건을 해소하고 이를 촉진하 기 위해서는 수업 개선에 대한 요구를 적극 반영함과 동시에 수업 관련 행정 및 정책을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전문성 개 발에 영향을 미치는 촉진요인과 제약요인의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 은 물론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factors fostering and inhibi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truction by using concept mapping methods. 23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through the process of synthesizing and editing, the final statements were reduced to 46 fostering factors and 47 inhibiting factors. 23 participants classified and rated the final statement list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estimate dimensions in the previous extracted factors. As a result, concept maps were formed that consisted of each 2 dimensions and 4 clusters of both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by two dimensions of ‘education’ and ‘school’. Second, both fostering and inhibiting factor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truction were 4 clusters. The fostering factors were ‘attention to students and instruction’, ‘culture of respect for teachers and demand for improved class’, ‘support for policies and systems of instruction’, and ‘participation in class research and consultation activities’. The inhibiting factors were ‘lack of class-related support policies’, ‘neglect of teaching research and consultation activities’, ‘the lack of willingness to improve teaching’, and ‘poor classroom environments and conditions’. And last, the cluster of ‘attention to students and instruction and demand for improved class’ in the fostering factors were highly evaluated; Instead of, the cluster of ‘lack of instruction-related support policies’ in the inhibiting factors were highly appreciat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factors fostering and inhibi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truction were related with various factors by the two dimensions of education and school.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structions it needs to reflect the requirements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as fostering factors as well as there is a need to strongly support the class-related polices as impeding factors. And last, this study will provide appropriate basic data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s about fostering and inhibiting factors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teaching.

      • KCI등재

        초등교사들이 수업을 하는 과정에서 주목하는 수업측면

        고창규(Koh Chang G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본 연구는 교사의 수업주목하기(noticing) 개념을 바탕으로 우리 초등교사들이 실제로 자신의 수업을 하는 과정에서 주목하는 수업측면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수업의 상호작용계열인 교사의 시작차례(I)-학생의 대답차례 (R)-교사의 평가 및 피드백차례(E/F)에서 교사가 하는 말과 행동의 뜻과 기능을 문화기술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초등교사들이 수업 중에 주목한 것은 교과내용과 관련된 학생들의 지식과 이해 및 생각, 전체 학생들과의 수업내용 및 수업활동 공유, 학생의 격려와 참여, 수업진행 및 관리, 교과내용과 학습활동의 연계성이었다. 특히 연구참여 교사들은 학생들의 지식과 이해 및 생각의 표면적인 측면인 학생들 대답의 정확성과, 그 대답에 이르는 절차의 정확성에 더 주목하였다. 즉 실질적인 내용 측면인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와 추론과정은 덜 주목하였다고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초등교사들이 수업을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무엇을 왜, 어떻게 생각하고 말과 행동을 하는지를 학생들의 관점에서 주목할 수 있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eatures of lesson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notice while teaching. The data were collected by 2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ssons and classroom discourse which consists of initiation-response-evaluation/feedback interactional sequence were analysed with ethnographic method. The article concluded as follows: The categories which the teachers noticed were 1) student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thinking 2) sharing lesson contents and activities with students 3) students encouragement and participation 4) classroom progress and management and 5)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Specifically, the teachers noticed the surface features of student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thinking: correct answers, the accuracy of students’ ideas, and errors and misconceptions. In contrast, they less noticed the substantial features of student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thinking: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reasoning. Therefore, in order for instructional improvement, it was suggest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 to notice and respond to the substantial features of student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thinking: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reasoning.

      • KCI등재

        수업비평을 위한 관찰 요소와 모형

        진용성 ( Yong Seong Jin ),박태호 ( Tae Ho Park ),신헌재 ( Hun Jae Shi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5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비평을 위한 수업현상 관찰요소와 모형을 구안하는 데 있다. 수업비평의 실천현장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수업관찰 시에 누구의 눈으로, 무엇을, 어떻게 보는가?’로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문학비평이론을 수업비평에 적용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고, 보다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논의를 위해 수업이론과 문학비평이론, 문학이론을 상호교섭적으로 살핀 후 수업 관찰의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는 문학비평과 문학, 수업비평과 수업이 구조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먼저, 문학이론의 시점과 구분되는 초점화이론을 바탕으로 누구의 눈으로 보는가에 대한 종합적인 요소를 도출했다. 그리고 문학 비평의 좌표와 수업이론을 바탕으로 수업비평의 좌표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보완했다. 이것은 무엇을 보느냐에 대한 접근이다. 마지막으로 문학비평의 기능을 수업관찰에 적용해서 감상적보기를 제언했고, 평가적 보기의 위상을 재고했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현상의 관찰모형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수업연구와 개선을 실천하는 전통적인 방법과 현대적인 방법들이 서로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대화하며 포섭하는 가운데 상호 보완할 수 있음을 제언하고, 이에 대한 가능성을 논의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make the elements and models of classroom observations for Class Critique. Difficulties in the field of classroom observation ‘someone’s eyes, what, how do you watch?’. So, investigate the preceding researchs which is about the literary criticism applied to class critique. In order to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 theory, This study look of transaction between literary criticism and theory of class, The literary criticism, criticism and theory of teaching that are considered to be structurally related. First of all, literary theory based on the theory ‘focalization’. It can explains comprehensive perspective. and The Some coordinates of Art Criticism is complemented by the theory of class. finally, apply functions of literary criticism to classroom observations. and deduce the important of ‘view of appreciation’, ‘view of evaluation’. And made the model of classroom observation for the class phenomenon. Therefore, improvements of Class whic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and modern methods, will be to cooperate complementary rather than exclude each other.

      • KCI등재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신영준,하지훈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거꾸로 수업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초·중·고등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거꾸로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여 과학교과에 대한 거꾸로 수업의 적용을 위한 정보를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집단을 통해 거꾸로 수업에 대한 교사 인식 문항을 개발하였다. 교사의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거꾸로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이해 정도는 기존 연구(Park & Cha, 2015)에 비해 높아졌으며, 교사들이 과학 교과를 거꾸로 수업 적용이 적절한 교과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도 다시 확인하였다. 거꾸로 수업 도입의 영향과 필요성에서 모두 다소 긍정적인 수준인 보통 이상의 응답을 보였지만, 도입 필요성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다소 낮은 응답을 나타냈다. 수행 준비 정도에 대해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다소 부족하다는 의견을 보였고, 기존 수업에 비해 거꾸로 수업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거꾸로 수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으로 수업설계능력을 선택한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학습자료 제작 능력이 그 다음이었다. 이는 Shin et al.(2016a)에서 교사들이 부담을 느꼈던 부분과 일치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거꾸로 수업의 도입에 대해 교사들의 일반적인 인식은 다소 긍정적이나 실제 적용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거나 수행을 위한 준비가 부족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 교과의 경우 다른 교과에 비해 거꾸로 수업 적용에 대한 교사의 저항은 적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고, 교사들이 기존 과학 수업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거꾸로 수업을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and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learning for science class, through investigating perceptions of 100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s for teacher’s perceptions about flipped learning were developed by the expert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understanding of flipped learning was higher than in previous studies (Park& Cha, 2015), and the fact that teachers are aware of science as an appropriate subject for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was confirmed again. Most teachers selected instructional design skills as the most needed ability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flipped learning, which is followed by material production skills. Two skills are related to difficulties presented in Shin et al.(2016a). Based on these results, teachers’ opposition to flipped learning applied in science class is expected to be low, compared to other subject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applicability of flipped learning may be a solution to the current science class in which teachers’ lecture takes up most part of the lesson.

      • KCI등재

        통합교실에서 정착수업이 장애아동의 수업 참여와 교실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허승준 ( Suhng June Hur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정착수업이 장애아동(학습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수업참여와 교실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단일대상연구(single-subject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총 7주, 주당 3-4회, 회기당 40분, 총 23회기에 걸쳐 진행되었고, 정착수업 중재는 5주, 총 17회기였다. 이 연구에는 3명의 초등학교 교사(4학년 담당)와 4명의 통합학급 장애아동이 참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4학년 수학 교과에서 두 단원을 선정하였고, 두 단원을 교과과정으로 한 정착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비디오 앵커(anchor)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앵커를 이용한 수업을 중재하기 위해 수업계획 서를 작성하였다. 정착수업은 학습준비, 동영상 시청, 문제 확인, 문제 해결, 발표 및 토론의 다섯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정착수업 동안 아동들의 과제 집중 행동 시간은 수업 이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고, 동료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은 6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수업관련 상호작용은 3배 이상 증가하였다. 따라서 정착수업은 통합교실에서 장애 아동들의 수업참여와 교실상호작용에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chored instruction on the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the classroom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This study employed an ABA design adapted from the single subject research. The anchored instruction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seventeen class periods over five week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included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four forth-grad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curriculum employed in this study was selected from forth-grade mathematics area and a video anchor for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six phases: (a) preparing for learning, (b) watching the anchor, (c) identifying the problem, (d) solving the problem, and (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Results indicated that anchored instruction was effective for enhancing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classroom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

      • KCI등재

        수업실습지원 사전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하문선,설양환,황명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3

        목적 본 연구는 실시간 비대면 교육 방식의 수업실습지원 사전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수행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G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총 55명(실험집단 34명, 통제집단 21명)을 대상으로 실시간 비대면 교육방식의 수업실습지원 사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수업수행능력 사전-사후검사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수업실습지원 사전교육 프로그램의 집단 내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종속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수업수행능력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ANCOVA와 MANCOVA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수업수행능력 수준이 유의미하게 향상된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하위요인들 중 교육과정분석 및 수업설계, 학생발달지원 및 생활지도, 수업성찰 및 비평, 수업분위기조성및 수업운영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실습지원 사전교육 프로그램은 예비교사의 수업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어 궁극적으로 수업실습효과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 사회 수업에 대한 관점 연구 - 수업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9 사회과교육 Vol.48 No.3

        <P>수업을 어떻게 바라보고 이해하는가는 교사의 교수 활동 및 수업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적 실효성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현직교사 및 예비교사가 수업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이에 우수 수업으로 선정된 5학년 사회 수업텍스트에 대한 현직교사 및 예비교사의 반응을 통해 수업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였다. 반응 자료에 대한 분석에는 수용자 반응 비평의 방식을 활용하였다.</P><P> 분석결과, 현직교사는 수업텍스트에 대해 교수학습 단계에 따라 나타난 수업자의 행위를 평가하는 반응양식 즉, 수업에 대한 분절된, 평가적 시선이라는 정형성을 띠고 있었다. 예비교사는 개인적 경험을 기반으로 수업텍스트에서 발견되는 인상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한 비교적 우호적인 반응양식을 나타냈다. 한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는 공통적으로 수업텍스트 사례에서 보여지는 학생중심의 수업전개 방식에 긍정적 반응을 보였고 이것이 수업이해의 중요한 기제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수업현상이 가지는 본래적 특성과 사례 수업텍스트 자체에 대한 분석을 더하여 수업에 대한 관점으로‘분절된, 평가의 시선’에 기반한‘우수한’수업이 아닌, ‘총체적, 이해의 시선’에 기반한‘좋은’수업을 제시하였다.</P>

      • KCI등재후보

        배드민턴수업의 기능중심모형과 이해중심게임모형에 대한 인식도와 수업만족도 비교

        정인국(In Guk Jeong),황영성(Young Sung Hwang),정일홍(Il Hong Jeo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1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고등학교 배드민턴수업에 기능중심수업모형과 이해중심게임수업모형을 적용하고 각 모형에 대한 학생의 인식의 차이 및 수업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체육교육목적에 적합하고, 수업의 질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수업모형을 찾고자하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으로 B시 소재 G고교 1학년 여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체력 및 체격에 관한 동질성 검사를 통해 기능중심수업모형 집단 41명, 이해중심게임수업모형 집단 41명의 2개 집단(반)을 선정하였다. 배드민턴수업에서 수업모형 적용은 주 2시간, 약 2개월간의 12차시로 운영하였다. 수업모형 적용 후 배드민턴수업의 인식도와 만족도에 대한 이해중심게임수업모형 집단과 기능중심수업모형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집단 간 평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론을 얻었다. 첫째, 배드민턴수업에 있어서 여고생의 수업인식도는 이해중심게임수업모형이 기능중심수업모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배드민턴수업에 있어서 여고생의 수업만족도는 이해중심게임수업모형이 기능중심수업모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survey investigation aimed at finding teaching learning methods that can improve qualitative teaching effectiveness and be appropriate for the purposes of physical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students` perception difference and the satisfaction about each approach-the technique-oriented approach and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approach-applied to badminton classes of a high school.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 chose 2 groups-as an object of this study, one was 41 students of technique-oriented approach group and the other was 41 students of the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approach group-through the homogeneity test on stamina or physical conditions of 208 first-year girls students in G high school located in B city. Two groups were composed of homogeneous ones which had similar stamina or physical conditions, and I conducted the teaching approaches in badminton classes of 12 periods twice a week for around 2 months. After conducting two teaching approaches, I calculated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in order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the technique-oriented approach group and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approach group-about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badminton classes. On the basis of these, I used the independent sampling t-test in order to know the difference of average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badminton classes, concerning the class perception of high school girls students, the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approach was higher than the technique-oriented approach. Second, in badminton classes, concerning the class satisfaction of high school girls students, the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approach was also higher than the technique-oriented approach.

      • KCI등재

        수업비평의 발현과 전개 과정

        이혁규 ( Hyugkyu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6 시민교육연구 Vol.48 No.4

        본 연구는 수업비평의 발현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수업비평의 발전에 필요한 논의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업비평의 발현과 전개과정은 크게 수업비평의 태동(2002년~2005년), 수업비평의 실천 및 독자적 개념 모색(2005년~2008년), 수업비평의 실천 및 이론화의 확산(2009년~)의 세 단계로 나뉜다. 수업비평의 태동 단계(2002년~2005년)는 기존의 수업 관찰 및 연구 방법에 대한 대안으로 새로운 방법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수업비평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단계이다. 수업비평의 실천 및 독자적 개념 모색 단계(2005년~2008년)은 월간 『우리 교육』에 수업비평문이 연재되고, 수업비평 연재에 참여한 학자들이 수업비평에 대한 독자적인 개념화를 시도하기 시작한 단계이다. 수업비평의 실천 및 이론화의 확산 단계(2009년~)는 수업비평의 개념, 방법, 활동 등에 대한 다양한 논문이 양적, 질적으로 확대되는 한편, 수업비평이 현장에 다양한 방식으로 전파되어 소비되고 활용되는 단계이다. 이 과정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수업비평의 전개 과정은 먼저 수업비평의 맹아적 개념이 동시다발적으로 생겨나고, 이후에 수업비평문이 월간지에 연재되고, 뒤이어서 수업비평에 대한 다양한 실천과 이론화 작업이 확산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논의에서는 수업비평 장르 등장의 역사적 의미와 수업비평의 발전을 위한 제도적 생태계 형성 문제 등을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lass critique has emerged and developed throughout the years and to discuss how it can be.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process of class critique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emergence of class critique (2002 to 2004), practice and unique conceptualization of class critique (2005 to 2008), and practice and theorization of class critique (2009 to present). The emergence of class critique stage (2002 to 2004) refers to the period when the term, class critique, has begun to be used and the need for new methods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classroom observations and research methods has begun to be recognized. The second stage, the practice and unique conceptualization of class critique stage (2005 to 2008), is a period in which class critique was serialized in the monthly magazine, "Uri-Kyoyuk", and scholars have begun to attempt their own conceptualization of the term. The last stage, the practice and theorization of class critique (2009 to present) is the period when the concepts, methods, and applications of class critique have bee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expanded in research and the period in which class critique has been dispersed, applied, and utilized in practice. The evaluation of these processes comprehensively reveal that the process of developing class critique bega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rudimentary concept of class critique, followed by monthly publications on class critique, and the dispersion and theorization of class critique. Base on this evaluation, the current study discuss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emergence of class critique and the formation of institutional ecosystem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lass critique.

      • KCI등재

        모의수업 활동에 기반한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강숙희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법을 적용하여 예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좋은 수업’의 개념적 구조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30명의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모의수업 활동을 하게 한 후, ‘좋은 수업’의 특성들을 단문 형식으로 자유롭게 산출해 보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출된 45개의 특성을 다차원 척도법과 위계적 군집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좋은 수업’의 특성들은 5개의 군집-‘과목의 철학적 성격’, ‘수업 방향’, ‘교수방법’, ‘수업운영’, ‘교사의 태도 및 성향’-으로 나타났다. 개념도에 표상된 2개의 차원은 ‘인지 대 정서’와 ‘철학적 대 방법적’ 차원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5개의 군집 중에서 ‘수업방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교수방법’, ‘과목의 철학적 성격’, ‘수업운영’, ‘교사의 태도 및 성향’의 순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산출된 개념도는 예비교사들이 모의수업 활동을 기반으로 수업이 갖는 다면성을 지각하면서 ‘좋은 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을 갖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good instruction’ using the concept-mapping method. For this study, 30 pre-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perform teaching demonstrations. They were also asked to provide their feedbacks after observing their peers' teaching demonstration. After that, they were ask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good instruction, from which 45 key conceptions were extracted.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methods were used in order to identify the dimensions and clusters of their conceptions. 5 clusters, namely, ‘subject's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direction of instruction’, ‘teaching pedagogy’, ‘class management’, ‘teachers’ attitudes and styles', were identified under the 2 dimensions - ‘cognitive vs emotional’ and ‘philosophical vs. methodical’. Among the 5 clusters, the pre-service teachers rated ‘direction of instruction’ as the most important while they considered ‘teachers’ attitudes and styles' the least important. The concept map produced in this study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seem to have a very specific, complicated notion of ‘good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