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컨설팅의 새로운 방향 탐색

        심미자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2

        수업컨설팅은 수업교사가 컨설턴트와 협력하여 자신의 수업에 대하여 진단, 해결방안 모색, 실행을 통해 실질적인 개선을 이루어가는 자기주도적인 문제해결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업컨설팅의 강점은 교사와 컨설턴트 간에 수평적 관계가 유지되며 컨설팅 자체는 교사의 자발적 참여를 전제하거나 유도한다는 점에서 장학활동과는 달리 교사의 참여적 문화를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 교육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수업컨설팅은 교육정책에 의한 의무적인 참여와 단편적인 차원의 컨설팅으로 수업컨설팅의 본질적인 목적 실현에 부족함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업컨설팅의 궁극적인 목적인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통한 좋은 수업을 위해 수업컨설팅이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 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모형, 좋은 수업의 특징 등에 대해 살펴보고, 초·중등학교와 대학교에서의 수업컨설팅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업컨설팅의 새로운 방향으로 성찰에 기반한 컨설팅과 좋은 수업 실현을 위한 컨설팅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수업장학을 통한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향상에 대한 질적 탐구

        윤석주(Yoon Seok-Ju)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敎育問題硏究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수업장학을 통해 어떠한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있는지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서울 소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초임교사 7명을 면담하였다. 본 연구 결과, 초임교사들은 수업장학을 통해 수업기술과 지식의 측면에서 그리고 수업에 대한 성찰 측면에서 수업전문성을 발달시켰다. 우선, 수업기술과 지식의 차원에서, 초임교사들은 수업장학을 통해서 학습자 수준에 대해 좀 더 배울 수 있었고, 어떻게 수업 전략을 짜야 유의미한 학습을 도출할 수 있는지 습득하였으며, 수업장학에서 배운 수업기술과 지식을 평상시 수업 때도 활용하였다. 두 번째로 수업에 대한 성찰 측면에서, 초임교사들은 수업장학을 통해 평상시 수업에 대해 다시 되돌아보고 자신의 수업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었으며 "진짜"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지 성찰해보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arnt from supervision of instruction in the aspects of developing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author interviewed seven teachers of three elementary schools at Seoul. She found that the supervision helped teachers improve their knowledge and skills for instruction and reflect on their teaching practice. First, they developed teaching strategies considering students' learning abilities, making learning more meaningful, later adapted the strategies getting from the supervision for daily instruction, and learnt how to prepare for this kind of supervision. Second, they reflected on their daily instruction: they recognized other perspectives of good instruction and began to contemplate what makes good instruction.

      • KCI등재
      • KCI등재

        수업비평문에 드러난 예비교사의 수업을 바라보는 안목 탐색

        정한호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수업비평문 분석을 통해 그들의 교육적 안목을 파악하고 사범대학 교원양성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 소재 사립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35 명으로부터 수업비평문을 수집하였으며 수업비평문 분석을 위한 도구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서울시 소재 ○○ 중학교에서 수행된 2학년 영어과 7단원 (Life without sight) 의 1차시 수업 동영상을 탐색하고 수업비평문을 작성하였다. 이 수업은 ‘서울특별시교육청 우수수업’의 하나로 선정된 것으로 교사 웹사이트에 공개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비평문에 내재되어 있는 예비교사의 수업안목을 ‘수업읽기’, ‘수업보기’, ‘수업배우기’의 3가지 영역에서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학습자 측면’, ‘학창시절에 경험한 교실환경 및 수업상황’, ‘반성적인 인식’, ‘교수 -학습방법의 문제점 탐색 및 방안 제시’와 같은 관점에 초점을 두고 수업을 비평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하여 논의하고 중등교원양성기관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수업비평의 기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was aimed to identify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perspectives through analysis of class critiques written by pre-service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teacher training courses in college of education. In this paper, we collected critical essays from 35 pre-service teachers in private university around the metropolitan area. A tool for analyzing the critical essays was produced. They were asked to write a class critique after watching a video-taped 2nd graders’ English class in ○○ secondary in Seoul. This lesson has been selected as one of the best lessons i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were being published on websites for teachers. In this paper,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in critical essays were investigated with three sections, such as ‘reading lesson’, ‘reviewing lesson’, and ‘learning lesson’. Through this paper,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a tendency to criticize a lesson for focusing on ‘learners’ point of view’, ‘classroom environment and lesson situation of their school days’, ‘introspective awareness’, and ‘searching for problems and suggesting solutions for teaching & learning in right direct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to present basic measures of class critique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in secondar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 KCI등재

        체육수업 명장(明匠)의 10년간 수업 공개 기록 고찰

        김재우,박대원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31 No.4

        교육은 변화하는 시대적 가치를 온전히 담아내기 위해 끊임없이 수업 성찰을 요구하고 있다. 이 연구는 10년간 수업 기록을 연속선상에서 바라보며 교사와 학생, 수업의 본질적 의미를 통합적 성찰 과정으로 접근하였다. 한 교사의 교직 생애가 반영된 기록은 과거와 현재의 발자취를 되짚어 지속가능한 수업의 청사진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체육수업의 문화 계승적 가치를 지닌다. 이 연구 목적은 체육수업 명장(明匠)의 10년간 수업 공개 기록을 바탕으로 교육 3요소(교사, 학생, 수업)의 변화 과정을 성찰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수업 공개 기록은 ‘수업 동기’, ‘수업 설계’, ‘수업 운영’, ‘수업 환류 및 성찰’ 범주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들여다보기’, ‘펼쳐가기’, ‘함께 가기’, ‘버텨내기’라는 경험이 나타났다. 수업 공개는 교육 3요소를 중심으로 ‘알아차림’, ‘채움의 길’, ‘비움의 여백’, ‘지속가능한 성장’의 변화를 통해 ‘교사다움’, ‘학생다움’, ‘수업다움’이라는 교육 구심점을 형성하고 끊임없는 ‘자기 객관화’ 과정을 거치고 있었다. 수업 공개 기록은 지속가능한 수업을 위한 교육적 자산으로 현장 수업 실천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Education continuously demands reflection on teaching practices to fully incorporate the changing values of the times. This study examines ten years of teaching records through a continuous lens, approaching the essential meanings of teachers, students, and lessons as an integrated reflective process. The records reflecting a teacher’s career provide a blueprint for sustainable teaching by tracing the footprints of the past and present, thus embodying the cultural heritage valu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and explore the changes in the three educational elements (teachers, students, and lessons) based on the public teaching records of a master teacher over the past decade. The analysis of these records, categorized into ‘teaching motivation’, ‘lesson design’, ‘lesson implementation’, and ‘lesson feedback and reflection’, revealed experiences of ‘looking in’, ‘expanding out’, ‘moving together’, and ‘enduring’. Public teaching practices centered around the three educational elements formed an educational focal point of ‘teacher identity’, ‘student identity’, and ‘lesson identity’ through changes in ‘awareness’, ‘path of fulfillment’, ‘space of emptiness’, and ‘sustainable growth’, all undergoing a continuous process of ‘self-objectification’. The public teaching records serve as an educational asset for sustainable teaching and provide insights for practical research in classroom instruction.

      • KCI등재후보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reflective thinking as a tool for improving teaching methods

        이진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00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9 No.3

        수업개선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수업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교사의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수업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수업개선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의 반성적 사고의 의미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의 주요내용은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수업의 개념, 반성적 사고수준, 반성적 수업모형,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방법 등이며, 이를 기초로 수업개선을 위한 반성적 수업 프로그램 개발의 당위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PBL교과수업과 학교도서관 LAI의 연계를 위한 기술적 분석 - PBL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정종기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ases related with PBL and to suggest the activation plan of LAI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The analysis objects were the PBL cases which have been performed from 2000 to 2018 in Korean schools. The PBL cases were analysed in the aspects of school levels, target grades, subject clusters, teaching patterns, information sources, cooperative teaching status, library cooperative teaching status, and educational effects. The results were like these; 1)The PBL was applied at the elementary schools the most, the next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2)The teaching pattern was the exclusive teaching the most, and the next pattern was team teaching with other teacher, and the lowest pattern was with librarian teacher. 3)The subject cluster was natural science cluster the most and the next was the human & social science cluster and the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cluster. 4)The PBL performed with school library was low. 5)The main effects of PBL were the improvements of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degree, creative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s the results, it’s proposed that it’s important for librarian teachers to have the aggressive attitude for the activation of LAI as well as the cooperation with PBL subject teachers from the planning step to the evaluation.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과 관련된 사례 연구들을 조사·분석하여 도출된 기초자료를 근거로 PBL 수업과 연계하여 학교도서관의 도서관협력수업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PBL 수업이 국내 초·중등교육 현장에 도입되어 사례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0년대부터 2018년 현재까지 수행된 국내 PBL 관련 사례연구들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초·중·고등학교로 구분하여 대상학년, 교과목, 수업형태, 학습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원 종류, 협력수업 여부, 도서관협력수업 여부, 교육적 효과에 중점을 두고 조사·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BL 사례연구가 가장 많이 실시된 학교급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순으로 많았으며 수업형태는 협력수업보다는 단독수업진행이 대부분이었다. PBL을 적용한 교과목계열은 자연과학, 인문사회, 예체능계열 순으로 많았으며 도서관과 협력하여 실행된 PBL수업은 저조하였다. PBL수업의 주된 교육적 효과로는 학업성취도, 만족도,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학교현장에서 도서관협력수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사서교사들의 적극적인 인식전환 뿐만 아니라 PBL수업에 집중하여 교과교사와 수업지도안 설계단계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협력하여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수업 참여도 제고를 위한 팀 활동 기반 프레젠테이션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연구

        이혜원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2 한국어문교육 Vol.38 No.-

        This study devised a team-based presentation class model and empathic sharing activity as a team building strategy with a view to increasing participation level in liberal arts class in universities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To this end, the model devised for this study was applied in a total 50 students for 10 weeks and t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fter applying the model, learners’ self-efficacy and relation with teammates, awareness of collaboration,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 satisfaction were high and learners experienced careful listening attitude, awareness of diversity, increased intimacy, and improvement in community spirit through empathic sharing activity. The usefulness and applicability of the ‘Team Activity Based Presentation Class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model is applicable in major subjects, middle and high school classes, and classes for foreign learners and even online classes. Second, it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level by inducing educational paradigm change into a learner-centered class. Third, it can encourage learners to develop their empathic communication skill by doing empathic sharing activities. Fourth, it can provide a significant guideline for teachers who are trying a team-based activity first. Fifth, this model is expected to increase foreign leaners’ communication skill and improve class participation. 이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 교과목에서의 수업 참여도 제고를 목표로 팀 기반 프레젠테이션 수업 모형과 팀 빌딩 전략으로서의 공감적 나누기 활동을 고안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모형의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50명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10주간 본 모형을 적용하고 양적, 질적 분석 도구를 통하여 모형 적용 결과를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형 적용 후 학습자들의 자기 효능감 및 구성원과의 관계, 협업에 대한 인식, 수업 참여도 및 수업 만족도가 높아졌으며, 학습자들은 공감적 나누기 활동을 통해 경청 태도, 다양성에 대한 인식, 자신감 및 팀원 간의 친밀도 상승, 공동체 의식, 수업 내용에 대한 능동적 이해, 주체적 수업 참여, 수업 집중도 향상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에서 제안한 ‘팀 활동 기반 프레젠테이션 수업 모형’의 활용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모형은 지식의 주체적 구성과 정의적 영역 및 의사소통 능력에 초점을 맞춘 모형이므로 교양 교과목 뿐 아니라 전공 교과, 중·고교 수업,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수업, 나아가 온라인 수업에도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 둘째,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의 교육적 패러다임 변화를 통해 수업 참여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셋째, 팀 빌딩 전략으로 고안한 공감적 나누기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의 공감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도모할 수 있다. 넷째, 팀 활동 기반 수업을 처음 시도하는 교수자들에게 유의미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모형의 적용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 및 수업참여도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 수업컨설팅 분석도구 타당화 및 구성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남민우,박성열,이해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validate instructional consulting items which were importantly utilized in instructional consulting programs in universiti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instructors’ behavioral constructs (linguistic expression, nonlinguistic expression, instructional material·utilization of media, systematical structure, clarity, and interaction) with facilitating learning constructs (learning atmosphere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analyzed. 504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20 courses in two universities. Major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Instructional consulting items consisted of 8 sub constructs, producing 29 items: linguistic 3, nonlinguistic 3, instructional material·utilization of media 3, systematical structure, 3 clarity 3, and interaction 4, learning atmosphere 3 and learning motivation 4. Construct validity was checked by mean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measurement mode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tructural model, it was identified that learning atmosphere was related with clarity, interaction, systematical structure, and linguistic expression. It was further determined that learning motivation was related with interaction, clarity, nonlinguistic expression, linguistic expression, and systematical structure of instruction. 이 연구는 대학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는 수업분석 도구를 타당화하고, 하위 구성요인들의 구조적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구성요인 간의 관계성은 교수자의 수업행동 요인들(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표현, 수업자료․매체 활용, 수업구조 체계성, 수업내용 명료성, 상호작용성)이 학습자의 학습촉진 요인(수업분위기, 학습동기)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수업컨설팅을 수행한 20개 과목의 수강생들(504명)이 응답한 수업분석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 수업컨설팅에서의 수업분석 도구는 언어적 표현(3문항), 비언어적 표현(3문항), 수업자료․매체 활용(3문항), 수업구조의 체계성(3문항), 수업내용의 명료성(3문항), 상호작용성(4문항), 수업분위기(3문항), 학습동기(4문항)로 총 8개 요인, 29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측정모델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수업컨설팅에서 활용될 수업분석 도구의 구성요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업분위기는 수업내용의 명료성, 상호작용성, 수업구조의 체계성, 언어적 표현이, 학습동기는 상호작용성, 수업내용 명료성, 비언어적 표현, 언어적 표현, 수업구조 체계성이 주요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후보

        혼성체육수업의 남학생 역차별이 체육교사에 대한 동일시, 체육수업의 재미, 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창섭(Chang Seop Lee),여정권(Jeong Kwon Yeo),윤대현(Dae Hyun Yun),황명구(Myoung Goo Hwa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1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남학생들 대상으로 혼성체육수업의 역차별이 체육교사 동일시, 체육수업의 재미,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남학생 87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5.0을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혼성체육수업의 처벌, 수업활동의 차별이 체육교사 동일시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혼성체육수업의 역차별이 체육수업 재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평가의 차별은 사회성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혼성체육수업의 역차별이 체육수업 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평가의 차별은 체육수업과정 통합과 수업행동과 의식의 일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혼성체육수업의 체육수업 재미가 체육수업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업의 용이성이 자기 목적적 경험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reverse discrimination in coeducational classes affected students` overall enjoyment of P.E. students` personal identification with the P.E. teacher, and student`s flow. For achieving this purpose, some relevan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871 third grade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different methods of punishment between genders during class activity produced a negative effect on students` trust and identification with the P.E. teacher. Second, reverse discrimination in coeducational classes also produced a negative effect on the enjoyment of P.E., whereas differing standards in evaluation produce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ociality. Third, while reverse discrimination in coeducational classes had a negative effect on students` absorption in P.E., differing gender requirements in student evaluations produced a positive effect on the accord between class behavior, consciousness, and the integration of the P.E. course. Finally, the overall enjoyment students experienced from a coeducational P.E. class played a positive role that improved student`s flow. The subsequently easier drills and exercises, however, were found to produce a negative effect on the overall experience for mal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