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이러닝 활용과 영향요인 간의 구조방정식 모형

        박성열,남민우,박운구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2

        이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러닝을 활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들간의 인과관계성을 구조 모형적인 측면에서 분석 ·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모형에 포함된 요인은 교직경력, 컴퓨터 사용경험, 이러닝 지원부문, 이러닝의 사회/조직 관련성 등의 외생변인과 이러닝 활용을 위한 컴퓨터 리터러시, 이러닝 활용 의향도 등의 내생변인 등이며, 요인들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그 행렬을 이용, LISREL 프로그램에 의해 공변량 구조 이론 모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이러닝 활용을 위한 컴퓨터 리터러시에는 설정된 외생변인 중 컴퓨터 사용경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고 있으며, 다음으로 이러닝 지원정도, 사회/조직 관련성 등의 순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 둘째, 최종 내생변인인 교사들의 이러닝 활용 의향도에는 외생변인 중 이러닝의 사회/조직 관련성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내생변인간의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이러닝의 활용 의향도는 이러닝 활용을 위한 컴퓨터 리터러시에 매우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e-learning use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odel career, computer experience, e-learning support, social and organizational norm related to e-learning as exogenous variables and computer literacy and intention to use as endogenous variables. The researcher produces a correlation matrix among the variables and run a structural model using LISREL program. The major findings after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omputer experience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ir computer literacy to utilize e-learning, followed by e-learning support and soial and organizational norm. Second, intention to use e-learning, terminal exogenous variable was influenced by e-learning social and orginizational norm among exogenous variables. Thir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endogenous variables, intention to use e-learning was largely influenced by computer literacy from the model analysis.

      • KCI등재

        친환경농업 애니메이션 e-learning 컨텐츠 교육효과성 검증

        박성열,김수욱,유병민,남민우,김학섭,이현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2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agriculture has been paid attention. It is generally publicized that sustainable agriculture is an alternative in terms of core competency means in current agricultural situ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sustainable agriculture animation e-Learning contents and to verify whether educational effects took place with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The contents consist of sustainable agriculture story and validation system, and each was developed by means of flash animation. 110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quasi experimental study and were asked to answer cognitive questions and affective items after taking e-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major findings, the followings were concluded and proposed. First, the e-Learning contents dealing with sustainable agriculture need to be multimedia type including animation, and various type of contents need to be developed according to learning subjects. Second, it was concluded that the developed animation contents had no 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s on the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items. However, it may be a possibility that the animation contents could affect cognitive domain items considering practical significance. Third, it is recommended that video with electronic board type contents need to be adopted in further study and compared with the result from this study. Finally, stri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should be implemented such as completely randomness design or block design to test contents effect on educational achievement even though the design has a few sample or replications. 친환경농업의 중요성은 국내의 농업 농촌 현실에 비추어 갈수록 증대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의 농산물에 대한 경향변화와 국내외 농업여건의 변화로 친환경농업은 농업발전의 대안으로 떠오르는 실정이다. 친환경농업 e-Learning 컨텐츠 부재와 그에 따른 학습효과 발생여부에 대한 분석 미흡으로 인해 연구 필요성이 제기 되었으며 그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농업 e-Learning 컨텐츠를 실험도구로 삼아 이러한 컨텐츠가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파악하는데 두었다. 실험디자인은 동일 피험자 사전 사후 검증으로 설계하였으며 110명의 농업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실험에 참여를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인지적인 측면에서 친환경농업 e-Learning 컨텐츠 효과성 분석 결과 컨텐츠를 학습한 농업계 고교생의 경우 사후점수가 사전점수에 비해 어느 정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아니었다. 다만 학습자의 수를 일정부문 늘린다면 학습효과가 나올 수도 있는 실질적 유의성(practical significance)이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정의적인 측면에서는 유의한 차가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친환경농업이나 농산물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정보의 접촉은 농업계 고등학생인 경우 일반계 학생에 비해 친환경농업과 농산물의 필요성에 대해 이미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며 그에 따른 긍정적인 태도가 있었으리라 유추되어 효과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농업기초기술I 및 조경과목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방법에 따른 학습효과성 분석

        박성열,김수욱,남민우,차승봉,박혜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distinctions between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of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field experimental research by 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Nonequivalent Control-Group Design.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 by using pre-post t-test and one way ANCOVA. This study showed two results. First, agricultural basic technology I class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in lecture that taught by same teacher. On the other hand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has no had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e-learning classes shoed higher learning achievement then the face-to-face classes thus it means the e-learning classes have positive effect in learning achievement. Second,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Yet,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has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face-to-face classes. Because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curse had problems when it was conducted like connecting errors with LMS server, delaying play of the content. It caused students’ low concentration and low motivation. According to this researchers are able to know the importance of checking stable infra, when they want to apply really courses. 이 연구는 농업 교과 과정에서 동일 교수자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환경을 비교ㆍ분석하여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학습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이질집단 전후 검사설계 방법에 의한 현장실험연구(Field Experimental Research)를 수행하였다. 통계방법은 사전-사후 t-test와 one way ANC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농업기초기술I 과정은 동일한 교수자에 의한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조경 과정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학업성취도의 평균점수가 이러닝 집단이 면대면 수업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얻어 교과서 위주의 면대면 수업보다 학업성취도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동일 교수자에 의한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의 학습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두 과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조경 과정은 면대면 수업에서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경 과정의 경우 실험연구 당일 LMS 서버와 네트워크 상의 접속 오류와 이러닝 콘텐츠 재생의 버퍼링 현상이 학생들의 주의 집중 및 동기가 저하된 원인으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닝 코스웨어를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자 할 때에는 학교의 정보화 시설(인터넷 환경과 컴퓨터 사용 실습실 환경)에 대한 점검과 이러닝 운영하는데 필요한 LMS와 같은 제반 시스템 환경 등 안정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인프라(infrastructure) 구축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로써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농업기술센터 농산물 이력추적제 현장교육 실태분석

        박성열,이철희,남민우,차승봉,이현아,박혜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4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of agricultural traceability education from farmers,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of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on-site education and consulting method which bring out early adoption and successful diffusion of agricultural traceability system in local areas. Relating to the purposes, the researchers implemented mail survey and 165 farmers, 43 extension educators and 42 directors i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based on the purposes of the study. There were three different versions of questionnaires for each group. Based on the findings and statistical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made. First, it was revealed both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considered lack of time and advertising traceability as barriers in terms of traceability education. Second, it was revealed farmers recognized less about traceability systems compared to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i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towards overall satisfaction of traceability education in local area. Fourth, the participants appraised the contents of education about traceability system at importance. Specially, they valued know-how and practice of advanced farmers adopting traceability system and vision and futuristic expansion at significance. Lastly,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 provincial extension office and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should take each role according to its own infrastructure and mission. Furthermore, offline education has to go side by side with online education and education has to be offered in line with farmers’ agricultural products. 이 연구는 농산물 이력추적제의 이용 활성화 및 확산․보급을 위하여 현장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농업기술센터 교육담당자와 소장 그리고 교육 수요자인 농업인 등을 대상으로 현행 교육실태를 중점 분석하여 향후 농산물 이력추적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교육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농업기술센터의 소장 42명, 교육담당자 43명과 농업인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실태 분석 중심의 문항을 구성하여 필요한 경우 내용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사용된 통계방법은 빈도, 퍼센트,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술통계치와 조사대상자 그룹간의 차이검증을 위해 t-test, ANOVA 등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산물 이력추적제의 현장교육에 있어서 소장이나 교육담당자가 가장 어렵게 느끼는 것은 교육준비 시간부족과 이력추적제에 대한 홍보의 어려움, 담당 전문인력의 부족 등이었다. 둘째, 농산물 이력추적제에 대한 인지도는 농업인들이 소장이나 교육담당자에 비해 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행 농산물 이력추적제 교육실태에 대한 만족도는 농업기술센터 교육담당자와 소장 간에 차이가 있었으나, 세 그룹 모두 2점대의 낮은 만족도를 표시하고 있었다. 넷째, 농산물 이력추적제 시행을 위한 교육의 도움도와 필요도는 비교적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소장이 농업인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농업인들의 이력추적제 교육에 대한 참여의향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이력추적제의 세부 교육내용별 중요도에서는 이력추적제 우수 농가 및 노하우 소개, 이력추적제의 비전 제시 등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이력추적제 교육의 방법적인 측면에서 이론+실기로 이원화하여 농촌진흥청이나 기술센터에서 역할 분담으로 수행하거나, 작목이나 품목별로 분리하여 실시하는 것 등을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식품안전성 e-Learning 콘텐츠가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박성열,이철희,남민우,차승봉,박혜진,채경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3

        It is well known that food safety make human life better sustainable. Especially, to let young students build up appropriate attitude toward food safety may bring about preventable outcomes to food accid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food safety education under the current formal schooling.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verify whether or not food safety e-Learning content affected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e-Learning content was developed by animation programming based on ISD and Rapid Prototyping model. 183 students participated in quasi experimental study and were asked to answer 10 cognitive questions and 10 affective items after taking e-Learning. Based on the major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Student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increase in terms of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score and posttest score. This may be due to e-Learning content’s educational effect. It is also concluded that the content influence positively not only knowledge or understanding but attitude. Further, it may be considered an alternative of offline education for food safety. 식품안전성은 삶을 유지하고 지속시키는데 아주 중요하다. 특히 자라나고 있는 학생들에게 식품 안전에 대한 가치관을 형성토록 하는 것은 식품에 대한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하지만 현행 학교교육으로는 식품안전성 교육을 시행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식품안전성에 대한 e-Learning 콘텐츠 부재와 그에 따른 교육효과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체계적 분석도 매우 힘들다. 이 연구는 식품안전성 e-Learning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시켜 교육효과가 발생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e-Learning 콘텐츠는 ISD와 빠른원형모델을 근거로 애니메이션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연구 설계는 동일 피험자 사전사후 검증으로 설계하였으며,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 중학교 1학년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총인원수는 203명이며, 이중 설문지 작성 오류와 미회수를 제외한 18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영역에서 식품안전성의 교육효과성 분석결과를 보면 안전한 우리농산물 알기 콘텐츠에 대한 인지적인 문항의 총합평균점수에서 사전점수(65.79)보다 사후점수(70.11)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의적 영역에서 사전점수(4.24)와 사후점수(4.54)의 총합점수(summated score)를 살펴보았을 때 ‘안전한 우리 농산물 알기’ 콘텐츠를 학습하고 난 후 어느 정도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설 검증 결과 인지적ㆍ정의적 영역 모두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발생하였다. 이는 e-Learning 콘텐츠 학습이 식품안전성에 대한 지식과 이해도를 높이고, 태도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해석되며, 오프라인 학교교육의 대체 교육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농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컴퓨터 태도, 지식, 사용실태에 관한 경향분석

        박성열,한상용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4 No.1

        Agricultural high school teachers are considered important as moderators whose major roles are connecting agricultural information as well as teaching agricultural subjects to the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information ages.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term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teachers' computer attitude, knowledge, and use with time change.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current computer attitude, knowledge, use of agricultural high school teachers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f five years by the means of trend analyses approach. Since the main methodology was the trend analyses, the same questionnaire adopted five years ago was used to meet the purposes. Based on major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1. Almost all agricultural high school teachers owe computers at home and their use have increased compared to five years ago. 2.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between computer attitude of five years and that of the current.3. The teachers' computer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training programs have increased and its' reasons probably are related to the efforts of information project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4.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trend analysis of computer use of agricultural high school teachers. In addition, they changed the educational need in terms of software programs.5. There also statistical significance has taken place in terms of computer knowledge of agricultural high school teachers. However, knowledge level remains still low.

      • KCI등재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사이버교육 이용의도 영향요인 분석

        박성열,차승봉,문승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1

        Cyber education is currently believed to be effective for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education.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and usage related factors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ttitude) and personal factors (self-efficacy, relevance of major, educational level, social norm). Major results based 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hich adopted age and educational level and interaction effect of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as dependent variable, main effect of educational level was significant. Meanwhile, main effect of age was not significant. Second, attitude toward cyber education use (=.479, p=.000), and relevance of major(=.229, p=.000) or self-efficacy (=.133, p=.030)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All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positiv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when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cyber education use is positive and relevance of major related to other colleagues use is positive, their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will be increased accordingly. Further, higher self-efficacy and education level, higher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would take place. It is finally proposed that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level should be considered when cyber education courses or programs are developed, and educational efforts to increase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positive attitude and their norms’ to others should be implemented. 본 연구는 농업분야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 사이버교육을 도입하기 이전에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이용의도 차원에서 나타나는 요인(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사용에 대한 태도)과 개인적 요소(나이, 학력, 자아효능감, 학업관련성, 주관적 규범)가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나이와 학력에 따라 사이버교육 이용의도에 대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나이의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학력의 주효과(F=8.872, p<.004)와 상호작용효과(F=4.591, p<.014)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의확률(p)에서 .05를 기준값으로 보았을 때, 사이버교육 이용의도에 유의미적 영향 변인은 사용에 대한 태도(=.479, p=.000), 학업관련성(=.229, p=.000), 자아효능감(=.133, p=.030)으로 3개의 변인 모두에서 정적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사이버교육 사용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농업분야나 또는 자신의 학업과 관련성이 크다고 느낄 때, 이용의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이버교육에 대한 자아효능감이 높을 때와 학력이 높을수록 사이버교육 이용의도가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학력에 따라 사이버교육에 대한 이용의도가 다를 수 있으며,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 본인 및 학업에 대한 사이버교육의 긍정적 인식이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사이버교육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사이버교육을 실행하거나 전개할 시 이를 증가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