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계획서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만족에 대한 융합적 연구

        박옥희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6

        본 연구는 D광역시 소재 P사립대학교의 수업계획서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에 대한 만족 도를 조사 분석하여 수업계획서의 실체를 파악하고 개선점과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P대학교 재학 생 99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현 수업계획서에 대한 인식에서 성별, 학년별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학년이 저학 년보다 수업계획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높았다(p<.05). 수업계획서의 11개의 구성요소에 대한 만족도를 상하 각 10%선 내의 표본 집단을 추출하여 알아본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상위집단은 ‘시험’, ‘과제’, ‘담당교수정보’ 항목에 서 만족도가 낮았고, 이 부분은 상하집단간 차이도 제일 커서 이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 를 토대로 수업계획서 개발에 대한 교육적 함의 및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syllabus and their satisfaction of its components. A survey was conducted of the whole student body in a university located in Daejeaon city. 996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emales or upper grade students showed a more positive response to the syllabus than males or lower grade students. The group who positively perceived satisfaction of the syllabus showed less satisfaction of the syllabus components. The subjects evaluated the details or directions of the categories of Exams, Assignment, and Instructors’ information were insufficient or incorrect.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syllabu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학생중심 역량기반 수업계획서 개발 사례 연구

        조진숙(Jinsuk Cho),전영미(Youngmee Je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최근 강조되고 있는 역량기반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학생중심의 역량기반 수업계획서를 개발한 사례 연구이다. 문헌연구, 전문가자문, 기존 수업계획서에 대한 분석, 파일럿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기존 수업계획서와 구분되는 학생중심 역량기반 수업계획서를 개발하고, 개발된 수업계획서에 대한 학생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파일럿 테스트 참여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 155명과 최종 수업계획서에 대한 만족도 설문에 참여한 학생 246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중심 역량기반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는 핵심역량, 전공역량, 교과개요, 학습성과, 수업운영방식(운영방식/세부진행방식), 평가방법(평가항목/세부기준), 수업규정, 주차별 수업계획(학습성과, 학습내용, 수업진행방식, 학생들의 학습활동(수업전, 중, 후), 수업자료 등이다. 둘째, 파일럿 테스트에 참여한 학생들은 새롭게 개발된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의 적합성에 대해 4.25이상의 높은 점수를 주었다. 특히 주차별 수업진행방식과 학생활동 구성요소의 점수가 높았다. 또한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는 의견 역시 많았다. 셋째, 파일럿 테스트 결과를 반영하여 시스템으로 구현된 최종 수업계획서에는 핵심역량 및 전공역량과 교과목과의 연계성 요소가 추가되었으며, 학습성과요소에 교과목표를 부제로 보완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수업계획서에 대해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만족하며 학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역량기반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대학의 상황과 역량기반교육에 적합한 수업계획서를 개발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개발된 학생중심 역량기반 수업계획서가 실질적으로 학습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수업계획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도록 지원하고 실제 수업에서 학생과 함께 수업계획서를 많이 활용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competency-based syllabus design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professional advice, analysis of an existing syllabus, and pilot study results, a competency-based syllabus for college students was designed.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is syllabus was analyzed. For this study, 8 professors and 155 students in the pilot study and 264 students completed a survey questionnaire to analyze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syllabus design.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the competency-based syllabus components were core competency, major competency, subject outline, learning outcomes, classroom operation methods, assessment methods, class rule, weekly lessons plans (learning outcomes, learning content, classroom operation methods, student learning activities-pre class, during class, after class), and learning materials. Second, students showed very positive perceptions of the suitability of syllabus components, especially of the class operation methods and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in weekly lesson plans. Additionall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specificity of the syllabus were also favorable. Third,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final competency-based syllabus for students and anticipated it would be helpful for their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ompetency-based syllabus design for students should be central to a university’s mission to provide competency-based education. Furthermore, the university should regularly and consistently conduct workshops or training for professors to write syllabuses with more specifics and to use them actively during their classes.

      • KCI등재

        대학 수업계획서의 학습자 중심성 분석

        김주연(Kim, Joo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수업계획서의 작성 시기와 이수 구분이 수업계획서의 학습자 중심성에 미치는 영향을 커뮤니티 요인, 권한과 통제 요인, 평가 요인으로 나누어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시내 A대학교의 2015-2학기 수업계획서 165개와 2020-2학기 수업계획서 162개를 11개 요인, 4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과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활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커뮤니티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권한과 통제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평가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업계획서에서 학습자 중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교수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여러 시간대 및 전화, 이메일 등을 포함한 더 많은 경로 및 기회 제공, 학습 결과와 연결된 과제와 활동, 방법,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이론적 근거 제공, 수업 시 협력 요구, 더 많은 팀 프로젝트 수행, 과제 유형, 분량, 마감일, 학습 내용 등의 개발에 학습자들의 더 많은 참여 권장, 수업에 더 많은 지식을 가져오거나 생성할 책임을 학습자에게 부여, 학습 결과 및 평가 수단에 무게를 둔 수업계획서 작성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of learner-centeredness of university syllabus by community, power and control, and evaluation factors. Methods The analysis targets were 327 syllabi for the 2015-1 and 2020-2 semesters at A university in downtown Seoul, and a total of 11 factors were analyzed on a four-point scale.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multi-variate variance analysis(MANOVA).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d influence of the community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confirmed. Second,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d effect on the power and control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confirmed. Third,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 effect on the evaluation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confirm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some solutions such as multiple time zones for learners to access professors and more routes and opportunities including phone, e-mail, etc., providing rationale for tasks and activities, methods, policies and procedures linked to learning outcomes, asking for collaboration and more team projects in class, encouraging learners to be mo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ssignment types, volumes, deadlines, contents, etc., giving learners the responsibility to bring or generate more knowledge to the class, developing syllabi that focused on learning outcomes and evaluation methods and standards to improve learner-centeredness in future syllabus.

      • KCI등재

        대학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 및 학생 인식 분석

        전영미(Jeon Young Mee),조진숙(Cho Jin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중심의 대학 수업계획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기존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에 재직 중인 교수 267명과 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별 내용제시의 구체성, 구성요소별 중요도, 수업계획서의 활용과 만족도 및 개선 요구사항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평균비교),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 대상인 수도권 소재 대학의 교수와 학생의 설문 조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별 내용제시의 구체성, 구성요소별 중요도, 수업계획서의 활용과 만족도 등에서 교수와 학생 간의 인식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수업계획서의 구체성이나 만족도에서는 교수들이 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으며, 수업계획서 구성요소별 중요도에 대해서는 강의개요나 목표, 내용 등은 교수가, 강의내용과 수업방법, 주차별 학습정보 등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학생이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대학 수업계획서가 교수 중심의 수업계획서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생 중심의 수업계획서로 개선되기 위해서는 학생의 학습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수업계획서 양식이 수정되어야 하며, 각각의 구성요소가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또한 학생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과 학생 중심 수업계획서 개발에 대한 교수 대상 워크숍 및 작성된 수업계획서에 대한 피드백 시스템을 갖출 것 등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syllabus at university to improve the syllabus as a tool for student-centered learning. Methods For this,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syllabus were analyzed. 267 professors and 334 students at university, located in a capital area, participated. The major research method was a questionnaire survey, an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sed. Results It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following categories: specificity of syllabus, importance of syllabus components, syllabus usage, and satisfaction about the syllabus. As a result of analyzing responses from participant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ere found in every category. Professors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at the specificity of syllabus and satisfaction. As for the importance of syllabus components, professors respond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omponents of the course outline, goal, and content. But students respond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omponents of the course content, learning method, and weekly learning information. Conclusions Form thes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urrent syllabus is a professor-centered one. To improve this into student-centered syllabus, some suggestions were made. First, syllabus form should be modified around the components helping student-centered learning. Second, the syllabus should be presented more concretely. Additionally a channel to interact with the students needs to be arranged more. Workshops for professors and a system for feedback on the syllabus are also required.

      • KCI등재

        대학 수업계획서의 설계 실태 및개선방안 탐색

        강정찬(Kang Jung Chan),박한숙(Park Han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대학의 수업계획서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수업설계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좋은 수업을 설계, 실행하기 위한 수업계획서 개선방안을 탐색 제안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 대학을 중심으로 5년간 이루어진 수업계획서 작성 사례와 함께 수업계획서 컨설팅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교차사례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근거로 현장 기반의 활용 가능한 수업계획서 작성의 실천전략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업설계의 7가지 구성요소 중에서 수업방법, 수업매체, 평가방법 요소에서 적합성이 다소 부족한 수업설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해당 요소에 대한 수업설계 지원 및 교수자 역량 강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 학습 환경, 수업매체, 평가방법의 세부요소에 대한 체계적 설계가 이루어지고, 설계 결과를 기술할 수 있는 부분이 수업계획서 양식으로 추가되어 수업계획 및 준비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수업설계의 7가지 구성 요소별 수업계획서의 개선방안 및 실천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개선방안 및 실천 전략은 현재 대학에서 작성되고 있는 수업계획서 작성에서 발생하고 있는 수업설계의 오류나 문제점, 어려움 등을 해소할 수 있는 개선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state of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the case analysis of the university s syllabus, and to explore and propose ways to improve syllabus to design and execute good instruction based on this. To this end, a cross-cas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syllabus consulting along with the case of planning a syllabus for five years centering on University A, and based on this, a practical strategy for planning a syllabus that can be utilized based on the field was proposed. As a result, first, it can be confirmed that among the seven elements of instructional design, instructional design, which is somewhat insufficient in suitability in instructional method, instructional medium, and evaluation method element, is being made. Accordingly, it was necessary to support instructional design and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instructors for the relevant elements. Second, systematic design of detailed elements of learner, learning environment, instructional medium, and evaluation method should be made, and a part that can describe the design result should be added in the form of a lesson plan so that lesson plans and preparations can be made more effectively. Third, the improvement plan and practical strategy of syllabus for each of the 7 component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were proposed. These improvement plans and strategies can be used as an improvement strategy that can solve the errors,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the instructional design that occur in the preparation of instructional plan currently being prepared in universities.

      • KCI등재후보

        상세 수업계획서 구조 설계 연구

        이재성 ( Lee Jaeseong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4 교양교육과 시민 Vol.9 No.-

        본 연구는 상세 수업계획서의 구조를 설계하기 위해 수업계획서의 구성 요소와 상세화 항목, 확장 가능한 항목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수업계획서의 구성 항목을 어떻게 상세히 기술할 수 있는지와 구성 항목의 확장으로 어떻게 구조화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일반 수업계획서는 거의 모든 항목에 대해 상세화가 가능하며, 주차별 수업계획은 세분화와 확장을 통해 상세화가 가능하다. 상세 수업계획서 활용은 수업의 질을 일정 수준 이상 제고할 수 있으며, 교수학습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상세 수업계획서의 표준화는 데이터마이닝을 통한 수업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수업 관리와 교육의 질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 수업계획서는 분반이 많은 교양필수 교과목과 교과목 간의 유기적 연계성이 약한 교양선택 교과목들로 교육과정이 이루어진 교양교육과정에 효과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structure of extended syllabus. To this end, specific examples were analyzed for the components of the syllabus, specification items, and expandable items. In this study, we looked at how the components of the syllabus can be described in detail and how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components. Syllabus could be detailed in almost all items. The lesson plan for each week could be detailed through subdivision and expansion. All classes using extended syllabus can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above a certain level and diversif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tandardization of extended syllabus enables objective instructional analysis through data-mining, thereby continuously improving instructional management and quality of education. It is effective to apply the extended syllabus to the liberal arts curriculum, which consists of liberal arts elective subjects with weak organic linkage between essential liberal arts courses operated in several classes.

      • KCI등재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메타버스 기반 수업계획서 개발 및 학습자 경험 분석

        김세영 ( Seyoung Kim ),김혜림 ( Hyerim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대학에서 활용되고 있는 기존 수업계획서가 지닌 한계를 보완하고자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해 메타버스 기반 수업계획서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의 2022년 1학기 개설 강좌 중 4과목에 대해 2022년 1월 약 3주간 교수와 학생이 팀을 이루어 게이미피케이션 개발 방법론 4F Process에 따라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Gather.town)을 활용해 수업계획서를 개발하였다. 먼저, 파악하기(Figure Out) 단계에서 수업계획서의 목적 및 기존 수업계획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수강 대상 학습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초점 맞추기(Focus) 단계에서는 메타버스 기반 수업계획서의 목표와 범주, 재미유형 및 동기부여 요소를 설계하고 게더타운 맵 개발을 위한 팀원들 간 협력 구조를 구성하였다. 셋째, 재미 설계(Fun Design) 단계에서는 각 과목별 맥락을 반영한 스토리를 구성하고 게임 메커닉스를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출물 개발(Finalize) 단계에서는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테스트를 통해 개선 사항을 파악하였다. 또한 개발된 수업계획서를 탐색한 학습자의 경험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수집,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 적극적 수업 탐색,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메타버스 환경에서 인지적ㆍ정서적 몰입, 메타버스 기반 수업계획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인식의 세 주제와 범주,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메타버스 기반 수업계획서의 가능성과 수업 활용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a metaverse-based syllabus by applying gamification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yllabi used in universities. To this end, professors and students teamed up for about three weeks in January 2022 on four courses of A University's spring semester to develop a syllabu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Gather.town according to the 4F Process of gamification development methodology. First, in the step of Figure Out, the purpose of the syllabus and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yllabus were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were analyzed. Second, in the focus stage, the goals and categories, fun types, and motivational elements of the metaverse-based syllabus were designed, and a cooperative structure between team members was constru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Gather.town map. Third, in the Fun Design stage, a story that reflects the context of each subject was constructed and game mechanics was designed. Finally, in the finalize stage, a prototype was produced and the improvement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learner's experience of exploring the developed syllabus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as a result, three topics,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of perceptions on the possibility of using metaverse-based syllabus were derived. Through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metaverse-based syllabu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등과학교사의 통합과학 수업설계 과정에 대한 사례분석 및 컨설팅-통합과학 5단계 수업계획서 설계를 중심으로-

        이은주 ( Eun Ju Lee ),손연아 ( Yeon A So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교사의 통합과학수업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심층적으로 사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와 문헌을 분석하여 이 연구에서 적용할 통합과학이론을 정립한 후 이를 실제 수업을 설계할 교사(중학교 교사1인, 고등학교 교사 1인)와 공유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적용하였던 ``통합과학 5단계 수업 계획서`` 양식을 연구진과 교사가 공유하고, 이를 적용하여 교사가 통합과학수업 계획서를 설계하도록 하였다. 통합과학수업을 위한 단원 선정, 교육과정 분석, 구체적인 수업 계획서 설계(8차시분) 등의 모든 과정은 연구진의 컨설팅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가 주도적으로 개발하도록 하였다. 모든 컨설팅 과정은 연구진의 관찰일지로 정리하였으며 협의 과정에서 면담지를 작성하였고, 이를 통하여 수업교사의 수업설계 과 정에서의 어려움과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 교사와 고등학교 교사는 모두 통합과학수업을 준비하는 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합과학수업을 위한 전체적인 통합의 방향과 수업주제를 설정하여 이와 관련된 내용을 선정하고, 수업 내용을 재구성 및 조직화하는 단계에서 가장 어려움을 크게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condary science teachers` planning process for an integrated science lesson. For this study relevant reference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literatures previous studies regarding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and individual studies. Two teachers (one from middle school and the other from high school) participated and ``the five-step instructional design`` was adopted from former studies in this subject. The teachers were asked to develop an instructional plan based on ``the design`` provided. While the consultation provided a framework for an instructional plan the teachers were asked to take a leading role in terms of selecting the chapter to be taught; analyzing the course structure; and making detailed teaching plans. In the course of consultations discussions records and analysis were organized into a journal. Based on the journal the aspects of the planning process including difficulties and problems faced by teachers were analyzed in-depth. From the study it could be observed that both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teachers face various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integrated science lesson. Among other things the teachers emphasized the difficulties in the stages of selecting the topic collecting the relevant information and restructuring and organizing the lecture contents.

      • KCI등재

        수업계획서의 구체성에 대한 교수-학생의 인식 연구

        오미자(Oh Mi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는 수업계획서의 구체성에 대해 교수와 학생이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6개 대학의 수업계획서를 분석하여 8개 대분류와 36개 소분류로 구성 요소를 분류하였다. 설문은 8개 대분류 영역 중 수업 진행 정보(시간, 교과목명, 교수자명 등), 교재, 기타 사항 등 3가지를 제외하고, 5개 영역에 대한 구체성(교과목 정보, 수업 목표 및 내용, 수업 방법, 과제, 평가방법)에 대해 교수와 학생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은 학생 11,114명, 교수 81명에 답한 내용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학생은 5가지 영역 모두 평균 4점대로 나타나 모든 영역에서 수업계획서가 구체적으로 작성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의 경우 5가지 영역 중 2가지 영역인 교과목 정보와 평가 방법의 구체성에서만 평균 4점대를 보여 학생과 교수의 인식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계획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에 대한 개방형 설문 결과 개선 사항으로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의 인식 변화’, ‘선 이수과목’, ‘비연관전공자 수강가능 여부 표시를 위한 시스템 변경’, ‘주기적 수업계획서 업데이트 가능’을 필요성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the specificity of syllabu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To examine how much they think it important to prepare syllabu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syllabus from six colleges, classifying components of syllabus into eight categories and 36 sub-categor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professors and students about the specificity of five categories, including course information, lesson objectives and contents, lesson methods, assignments, and assessment methods. From the eight categories, the survey excluded three categories, such as lesson procedure information (time, course name, teacher’s name), teaching materials, and other matters. As a result of analyzing responses from 11,114 students and 81 professors, it was found that students scored an average of 4 points in all the five areas, which showed they thought it important to prepare syllabus specifically. Professors scored an average of 4 points in only two areas, which show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Also, as a result of performing an open questionnaire survey about preparing syllabus specifically, three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rovement: i) professors’ perceptions of syllabus be changed, ii) system be changed to indicate prerequisites and whether students of unrelated majors can register for the course, and iii) syllabus need to be updated periodically.

      • KCI등재

        교정복지학 교육실태 연구

        도광조(Do Gwang jo),김금자(Kim Geum ja),임서현(Lim Seoh hyeon),전명주(Jeon Myeong ju),유영희(Yoo Yeong hee),조희원(Cho Hee won) 한국교정복지학회 2016 교정복지연구 Vol.- No.43

        Correction welfare is offered as an elective course by Korean universities or social welfare education institutions, but its education is not so active yet in this country. Correction welfare for pre-service correction welfare workers is considered a complex science, comprehending law, correction, criminal justice, and social welfare.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acquire correct knowledge and skills in the area of correction welfare, they need to have practice-oriented education. Thus, analyzing the syllabuse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which provide guidelines for educat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ystematization of the correction welfare curriculum and the effectiveness of its classes. Thus, this study raised the questions of what should be taught to students through correction welfare courses in college education in Korea and what outcomes should be pursued through the courses. As an effort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llected syllabuses through a total survey of universities throughout the country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offered in Korean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yllabuse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part based on the basic form, and the part reflecting the teacher s purposes (intentions). The contents of the part reflecting the teacher s intentions are summarized into five components. This study compared the syllabuses focusing on the five components of contents, and based on the results, made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a correction welfare course should present the teacher s beliefs clearly. In particular, the course outline should express the teacher s basic purposes of the course definitely. Second, the syllabus of a correction welfare course should reflect the teacher s specific goals of instruction throughout the course. Third, the contents of a correction welfare course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for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Fourth, the syllabuse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should allow the students to see the big picture of correction welfare. Fifth, information on the prerequisite course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induce the students to take interest in various areas related to correction welfare. Lastly, detailed regulations should be specified in syllabuses. At present, places executing correction welfare education are not diverse in Korea, and some schools opened courses but had to cancel them because the number of students was too small. These may represent the current state of correction welfare education in Korea. Nevertheless, the demand for correction welfare specialists is increasing gradually. Therefore, the syllabuse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need to spotlight the prospect and visions of this area.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survey of Korean universities throughout the country, bu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hone calls to relevant school employees or professors rather than through in-person visits. Accordingly,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superficial meanings expressed in the syllabuses, not fully reflecting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teachers and the schools offering the correction welfare courses. 교정복지학은 국내 대학이나 사회복지교육 기관에서 선택교과목으로 개설을 하고 있지만 아직은 활발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비 교정복지 실천가를 위한 교정복지 학문은 법학과 교정학, 그리고 사회복지학의 복합학문으로 볼 수 있다. 교정복지분야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기술습득을 위해 실천중심의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런 교육의 길잡이가 되는 교정복지학 수업계획서의 실태를 분석하는 것은 향후 교정복지 교과과정을 보다 체계화하고, 수업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기여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교육에서 교정복지교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어떤 교육의 결과를 지향할 것인가를 고민하였다. 그런 고민의 과정에서 전국 대학을 전수조사하여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였으며 현재 교정복지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대학교의 현황기초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교정복지학 교과목 강의계획서 작성과정에는 기본적인 양식에 의하여 작성하는 부분과 교수자의 의지(의도)가 반영된 부분으로 구분이 되었다. 그중에서 교수자의 의도가 반영된 부분을 5가지 구성요소로 축약할 수 있었다. 5가지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교정복지학 수업내용에서는 교수자의 신념에 대한 부분이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특히, 강좌의 개요에서는 교수자가 수업을 진행하는 기본적인 의중을 표현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명확하게 표현해야 할 것이다. 둘째, 수업계획서에는 교수자의 수업진행 全(전)과정에 있어서 구체적인 수업의도가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셋째, 수업의 내용은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를 기준으로 작성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정복지 수업계획서를 통하여 교정복지의 큰 테두리를 볼 수 있는 눈 을 키울 수 있다는 기대를 주어야 한다. 다섯째, 선수교과목에 대한 부분을 알려주어서 교정복지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학생들이 관심을 갖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강의계획서에 세부적인 규정이 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교정복지학을 교육하는 곳이 다양하지 않고 일부 학교의 경우 강의 개설을 하였으나 수강생이 적어 강의 개설이 무산되기도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현실이 아마도 한국의 교정복지 교육의 실태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교정복지분야에서 전문인력 수요는 점자 증가추세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강의계획서를 세우는 과정에서 전망과 비전에 대한 부분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전국 대학교를 전수 조사하였지만, 조사과정에서 직접 찾아 가서 한 조사가 아니었으며 전화통화를 통하여 학교관계자 및 담당교수진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따라서 강의계획서에 표현된 표면적 의미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담당교수와 교정복지학 교과목을 개설한 학교의 교육목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