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과전공의 수행평가 5년간의 분석과 전망

        강웅구,구민성,서호석,윤보현,이경욱,전덕인,정성훈,정한용,최종혁,정인원,정성훈,하태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9 신경정신의학 Vol.48 No.5

        Objectives: The in-training examination (Performance Examination, PE) for psychiatric residents in Korea was launched 5 years ago by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KNPA). This article analyzes 5-year accumulated data on the PE, and tries to make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PE. Methods: The 5-year data, previously utilized for the generation of formal annual reports were reanalyzed, with an emphasis on longitudinal trends. ResultsZZThe analyses indicated the following;1) Higher-year residents earned definitely higher scores than their lower-year colleagues on the PE. This trend was especially prominent in the area of psychopharmacology-biological psychiatry, geriatric psychiatry,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nd the emergency-organic psychiatry. There was no year-related performance difference in the area of psychoses. 2) In the area of anxiety-somatization disorder, psychophysiological disorder, and geriatric psychiatry, the residents in the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s outperformed those in the specialized psychiatric hospitals. 3) Through analyzing multiple-times examinees, it was found that their first-and second-time performances were moderately correlated, and that their ranks tended to improve, demonstrating a continuously improv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raining year. Conclusion: These result suggested that the KNPA PE is a feasible measure for the estimation of an individual resident’s performance as well as the adequacy of the environment provided by the training institutes. 정신과전공의 수행평가는 비교적 최근 시작되어 2009년에 제5회 시험을 시행하였으며, 향후 새로운 발전 및 변화가 필요하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수련위원회는 지난 5년간의 수행평가를 정리-분석하여 향후 논의를 위한 토대로 삼기 위해 이 논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논문 작성을 위해 지난 5년간의 수행평가 관련 공식자료를 취합하고, 종적 변화에 대한 자료를 새로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 소견을 얻었다. 1) 연차별로 수행능력의 차이가 있어서, 고년차로 갈수록 성적이 향상되는 것이 뚜렷이 관찰되었다. 그런 경향은 특히 정신약물학-생물학적 기초, 노인 정신의학, 소아 정신의학 및 응급정신의학-기질성 장애 분야에서 잘 나타났다. 정신증 분야에서는 저년차와 고년차간 수행능력에 차이가 없었다. 2) 수련기관의 형태별로 수행능력의 일부 차이가 있어서, 불안장애-신체형 장애, 정신생리장애 및 노인정신의학 분야에서 대학병원이 정신과전문병원보다 높은 성적을 보여주었다. 3) 중복수험자의 성적 분석 결과, 2회의 성적 간에 연관성은 있지만, 연차가 올라갈수록 수행능력이 증가하는 경향도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정신과전공의 수행평가가 전공의 개인의 현재 수행능력 및 수련에 따른 능력 향상, 수련기관별 강점 및 취약성 등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가능 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서 전공의 개인은 및 수련기관 모두 자신의 취약점과 강점을 이해하고 보완함으로써 더 개선된 정신과 전공의 수련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하타요가 지도자의 이미지가 수련자의 수행능력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은숙,민현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n the trainees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the hatha yoga instructors images. Methods In this study, 300 practitioners participating in yoga center classes in 6 yoga centers in Yeongdong, Gangwon-do (Gangneung, Donghae, Samcheok, Sokcho)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Out of total 300 questionnaires collected, 23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Windows PC/SPSS ver. 26.0 program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survey materials. Results First, hatha yoga instructor im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competence. Second, hatha yoga instructor im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sychological happiness. Third, there is an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atha yoga instructor image, performance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n that the trainees competence demand of desirable hatha yoga instructors image, it helps to minimize the departure of the trainees competence and induces continuous trainees competence motivation. 목적 본 연구는 하타요가 지도자의 이미지가 수련자의 수행능력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수련자가 요구하는 지도자의 이미지 개선과 함께 보다 좋은 수련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지도자의 바람직한 지도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강원도 영동 지방(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속초시) 6곳의 요가센터 수업에 참여하는 수련자 300명을 연구대상으로선정하여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으로 판단되거나 응답이 일부 누락된 66부를 제외한 총 234 부의 설문지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를 위한 분석은 Windows 용 PC/SPSS ver.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하타요가 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이미지, 수행능력,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영향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타요가 지도자의 이미지가 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타요가 지도자의 이미지가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하타요가 지도자의 이미지와 수행능력 및 심리적 행복감간의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하타요가 지도자들이 수련자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이미지를 함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면 수련자의 이탈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인 참여동기를 유도하는데 도움을 준다.

      • KCI등재

        송대 신유학의 수양법, 불교의 수행법, 도교의 수련법 간 상호 교섭과 회통에 관한 연구

        김수청 ( Kim Su-che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6

        이 논문은 유교의 수양법과 불교의 수행법, 그리고 도교의 수련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그들의 북송초기(北宋初期) 상호 교섭 관계와 회통관계를 이론적인 부분과 실천적인 부분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자 했다. 나아가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오늘날 피폐해져가는 기성세대와 청년 세대들의 육체적인 면과 정신세계의 건강 증진에도 자양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그것은 심신 수양 및 수행 그리고 수련을 통해 인성교육의 새로운 이론 모델과 실천 방법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성과는 오늘날 화두인 웰빙(행복한 삶)과 힐링(여유와 치유), 그리고 올바른 인성 함양에 근본적인 단초가 되리라 믿는다. 또한 본 연구의 성과는 명상 수련 단체들의 일탈(惑世誣民 : 종교화, 영리화, 정치화) 행위를 초기에 예방하는 역할도 충분히 감당해내리라 믿는다. 특히 오늘날 도교의 수련방법이 여러 형태로 왜곡 변형되어 사회 곳곳에 신흥 종교처럼 급속도로 스며들어 현대인들의 공허한 정신세계를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이런 점은 본 연구자도 실제 경험했던 바이다. 본 연구의 성과는 첫째로 불교적 수행법에 대해 기존의 수행법과 달리 새롭게 알아보려고 했다. 둘째로 도교적 명상수련이 정신적 공허함과 육체적 피폐함을 치유해 준다는 핑계로 막연한 신비주의적 경향으로 흘러 종교적 집단을 형성, 혹세무민(惑世誣民)하는 것을 경계하고 예방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자 한다.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s training methods, I would like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their mutual negotiation and communication relations in the early stages of North Song. Furthermore,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ourishment to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today's impoverished older and younger generations. It is because I thought that I could present a new theoretical model and practice method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mental and physical training, performance, and training. I believe that the achievements of such research will be the fundamental foundation for today's topics of well-being, healing, and cultivating the right personality. In addition, I believ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lay a sufficient role in preventing deviations of meditation training groups in the early stages. In particular, today's Taoist training methods are distorted and transformed in various forms, permeating society like emerging religions rapidly, confusing the empty spiritual world of modern people. This point is what this researcher actually experienc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I tried to find out about Buddhist practice, unlike the existing practice. Second, under the pretext that Taoist meditation training heals mental emptiness and physical exhaustion, it flows into a mysterious trend and contributes greatly to the prevention and prevention of the formation of religious groups.

      • KCI등재후보

        군(軍) 태권도 수련이 사관생도의 직무수행능력과 전투사기에 미치는 영향

        박철진,이재봉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4

        이 연구는 군(軍) 장병들이 태권도 수련을 통해 배양된 정신전력을 바탕으로 직무수행능력 향상과 전투사기를 증진시켜 개인 전투력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콜롬비아 육군사관학교에서 태권도를 수련하고 있는 9개의 생도중대에서 사관생도 238명 대상으로 비확률 표본추출법인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238부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PASW/ WIN 21.0 ver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 순으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신전력, 직무수행능력, 전투사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과 수련기간에 따른 정신전력, 직무수행능력, 전투사기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투태권도를 수련하고 있는 사관생도들의 정신전력이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하위요인별로 분석한 결과 논리적 사고능력에서는 일관성, 신념, 명예심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기능력에는 투지력, 일관성, 통찰력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념, 일관성, 투지력, 결단력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기능력, 논리적 사고능력, 군사전문지식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combat power by improving performance capacity and fighting morale based on the spiritual combat power cultivated through military battle taekwondo training. First,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spiritual combat power, performance capacity, and fighting moral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iritual combat power, performance capacity, and fighting morale according to gender. Second, the effects of spiritual combat power of cadets training battle taekwondo on their performance capacity were analyzed by sub-factor, revealing this: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consistence, belief, and sense of honor in this order of magnitude, while the practice ability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a sense of fighting, consistence, and insight in this order of magnitude. Third, the effects of spiritual combat power of cadets training battle taekwondo on their fighting morale were analyzed, revealing that it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belief, consistence, a sense of fighting, and ability of decision-making in this order of magnitude. Fourth, the effects of performance capacity of cadets training battle taekwondo on their fighting morale, revealing that it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practical ability,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professional military knowledge in this order of magnitude.

      • 북송초기 삼교회통론의 양상

        김경수 ( Kyeong Soo Kim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11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8 No.-

        유교 불교 도교의 삼교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사상의 대표적인 체계이면서 민중의 생활을 지배해온 이념이었다. 통치의 이데올로기로 작용한 유교는 일상윤리의 규범이었고, 인도에서 전파된 불교는 내세를 위한 기복신앙으로 변해 간 것에 반해, 도교는 일상적 삶에서 재앙을 쫓고 복을 부르기 위한 방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민중들의 삶에서는 대체로 삼교가 서로 분리되어 받아들여지지 않고 하나로 융합되어 수용된 것이 역사적 사실이다. 필자는 당나라 말기부터 북송 초기까지의 삼교회통론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 시기 삼교는 각각 修道論의 이론적 체계를 정립하여, 성리학의 修養論과 선불교의 修行論 그리고 도교의 修練論이 독특한 형식을 드러내고 있었다. 앎과 실천을 분리하지 않는 동양철학의 특징에서 본다면 목적으로서의 成道나 내용으로서의 達道보다는 修道, 즉 실천의 방법론은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시기에 삼교회통론을 주장한 인물들은 다른 종교의 장점을 취하여 자신의 입장에 맞추어 새로운 수도론의 이론체계를 구성하였다. 본고에서는 그 당시 삼교회통론과 연관된 유불도 삼교의 대표적 인물 몇몇을 검토하고자 한다. 불교의 연수와 계숭, 도교의 진단과 장백단. 그리고 유교의 주돈이 장재 정호 정이가 그들이다. 불교의 경우 연수로부터 계숭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유불융회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수도론의 방법이 얼마나 정치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었다. 도교의 경우 마음과 몸의 이중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그들의 수련론에 불교의 수행론을 도입하고 있는 과정이 진단으로부터 장백단에 이르면서 대단히 치밀해지고 있음도 살펴보았다. 유교의 경우는 일상성과 초월성 및 몸과 마음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야만 하는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성리학자 네 명의 학문적 탐구 과정에서 그들이 수양론을 점차로 정비해 가면서 유학의 본래적 내용과 일치시키려고 하는 노력도 볼 수 있었다. 그들의 수도론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치열한 논의를 통하여 ‘자아상실’의 시대로 불리는 현대의 우리들이 보다 행복한 삶을 찾을 수 있는 새로운 수도론 - 그것이 수양이든 수행이든 수련이든 아니면 셋을 회통한 것이건 간에 - 을 모색해 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ere typical system of the East Asia with China as the center and the idea dominating the public. While Confucianism served as the ruling ideology was a common moral standard and Buddhism spread from India was changed into religious belief for afterlife. Taoism played a role as a means of defeating disaster and bring fortune. It is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three religions were accepted not as divided but as united among the public lives. I have a lot of interest in the intermixture of three religion, ranged from end of Tang Dynasty to North Sung Dynasty. In this period, the three religions established theoretical system and Moral Training theory of Neo-Confucianism. achievement theory of Zen Buddhism and training theory of Taoism were presented like these unique forms. From the characteristic of Eastern philosophy that doesn`t separate knowledge from practice, methodology of practice has a greater meaning than attainment of perfection as purpose or than achieving morality as content. This time those who maintained an introduction to the three religions composed a theoretical system of practicing asceticism theory taking merits of the other religions and focusing on their own positions. In this paper. I want to examine the representative men associated with the intermixture of three religion at that time. They are Ien Shou and Chi Sung from Buddhism, Ghen Tuan and Zhang Bo-Duan from Taoism, Gou Dun-I, Zhang Tzai, Cheng Hao and Cheng I from Confucianism. In case of Buddhism. I could see that how the method of Ascetic Practices theory centered with the intermixtur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elaborate during the process from Ien Shou to Chi Sung. In case of Taoism,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human who has dual structure of mind and body, the process that its training theory introduced achievement theory of Buddhism was highly detailed from Chen Tuan reaching Zhang Bo-Duan. In case of Confucianism, it has complicated problems of dailiness, transcendence and resolving the issue about the mind and body. I can figure out that four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their researching process, tried to reconcile Moral Training theory and original contents of Confucianism organizing Moral Training theory. Their theory of Ascetic Practice has pros and cons each. But through their heated arguments, we can be offered a clue of finding a new theory of Ascetic Practice to find happiness for us who are living in modern called “the era of self loss" whether it is Ascetic Practices or Moral Training, Discipline and whatever is the intermixture of all of them.

      • KCI등재

        동학과 불교 염불선의 수증체계(修證體系) 비교

        손병욱 동학학회 2011 동학학보 Vol.23 No.-

        Donghak and Chan Buddha-smrti are completely different religions, but the system of enlightenment and a brushup is very similar, which means both are composed of realizing, brushup, and achieving. Another similarity between two religions is that both emphasize ‘now and here’. Donghak and Chan Buddha-smrti set ‘infinite Universe’ on ‘genuine ego’. More specifically, this will be ‘the pure life-energy of the universe’. In Donghak, this means ‘the ultimate energy[至氣]’, while meaning ‘universe’ in Chan Buddha-smrti. This ‘universe’ in Chan Buddha-smrti is considered as a ‘true nature of the absolutely one and only thing’. Then, the universe are ‘now and here’ and ‘equivalence’. whereas Chan Buddha-smrti stresses “Turn the universe and equivalence into yourself, Donghak stresses that “Focus on ‘the ultimate energy’ in now and here”. At this point, ‘now and here’ is considered as one of countless numbers of cells of cosmos. That is, the fact is that the universe is an organism made up of ‘now and here’ cells which are countless. An organism generally has overall information in a minimal unit. Therefore, the ‘now and here’ cell has the whole, overall information of an sacred energy and universe. Thus, if one could focus ‘now and here’ and turn it into oneself, virility in universe comes into the one’s internal becomes concentration, and can simultaneously see, hear, feel and notice the overall information of the universe. When it comes to a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religions, that’s a way to focus ‘now and here’ and turn it into oneself. Donghak suggests ‘training through spell’ which is the only way to do. On the other hand, Chan Buddha-smrti has various ways - from ‘Amitabha’ training to ‘the Chan of time-space not-two body[時空一體禪]’ training. Where does a similarity between studying and verification system of Donghak and Chan Buddha-smrti come from? Though ‘Choi, Je-U[崔濟愚]’ and Buddha had to walk through a rough way of ‘Training-Understanding Method[先修後悟]’, they let the latter masters walk much easier way. Different religions as Donghak and Chan Buddha-smrti are, thoese two religions have a lot in common.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effort is requested which compares ‘the same-different aspects’ so that they can be a lesson lightening to the united era through an active cultural exchange. 동학과 불교 염불선(이하 염불선)은 다른 종교이지만, 그 깨달음과 닦음의 구조인 수증체계가 매우 흡사하다. 둘 다 ‘알고, 닦아서, 이룬다’는 3단계로 이루어진다. 동학의 경우는 [명명기덕(明明其德)], [염염불망(念念不忘)], [지화지기, 지어지성(至化至氣, 至於至聖)]으로 표현하고, 염불선의 경우는 일상삼매(一相三昧)와 일행삼매(一行三昧)로 나타내되, 다시 일상삼매를 여묘포서(如猫捕鼠)에 비유하고 일행삼매를 수행을 뜻하는 여계포란(如鷄抱卵)과 성불을 뜻하는 줄탁동기(啐啄同機)로 나타내어 3단계를 제시한다. 두 종교의 유사성은 또 있다. 바로 ‘지금여기’를 매우 중시한다는 것이다. 동학과 염불선은 다 같이 참 나를 무한공간, 무한시간으로서의 우주(宇宙)로 설정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것은 ‘우주의 순수한 생명에너지’가 될 것이다. 이것을 동학은 지기(至氣)라고 하고 염불선은 그냥 우주라고 한다. 이 우주는 동학과 염불선에서 다 같이 절대유일(絶對唯一)의 실체(實體)로 간주된다. 그런데 우주는 지금여기와 등가(等價)이다. 동학은 ‘항상 지금여기에 이르러 있는 지기’를 포착하라고 하고, 염불선은 우주와 등가인 지금여기를 자기화하라고 한다. 이때 지금여기는 우주를 구성하는 무수히 많은 우주세포의 하나로 간주된다. 즉, 우주란 무수히 많은 지금여기라는 세포로 이루어진 유기체, 생명체라는 사실이다. 생명체는 그 최소단위 속에 전체의 정보를 지니고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지금여기라는 세포 속에는 우주의 신령스러운 기운[靈氣]과 함께 우주의 온갖 정보가 온전히, 고스란히 들어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지금여기를 제대로 포착하여 자기화 하면 우주의 영기(靈氣)가 내면에 들어와서 집중력[定力]이 되고, 동시(同時)에 우주의 온갖 정보를 보고, 듣고, 느끼고, 자각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을 동학에서는 ‘시천주(侍天主)하면 조화정(造化定)하고, 영세불망(永世不忘)하여 만사지(萬事知) 한다’로 표현한다. 이때 조화정이란 지금여기의 지기와 내가 하나의 생명체가 되어서 현재진행(∼ing)함이다. 이 영세불망만사지의 경지를 염불선에서는 삼명육통(三明六通)의 신통력으로 표현한다. 동학과 염불선의 차이가 있다면 그것은 우주 내지 지금여기를 포착하여 자기화 시키는 방법의 차이이다. 동학은 오직 하나의 방법을 제시한다. 그것은 주문(呪文)수련이다. 그러나 염불선은 그 방법이 다양하다. 여기에는 삼신일불(三身一佛)인 아미타불을 공성상일여(空性相一如)의 일합상(一合相)으로 통관(通觀)하는 ‘아미타불 수행법’을 비롯하여, 지금여기 호흡 알아차리기 수행법인 ‘시공일체선(時空一體禪) 수행법’이 있다. 동학과 염불선의 수증체계의 유사성은 어디서 유래하는가? 수운 최제우와 부처는 다 같이 선수후오(先修後悟)의 험난한 길을 갈 수 밖에 없었지만, 그 이후의 수행자들은 선오후수(先悟後修)의 훨씬 수월한 길을 가도록 해 주었다. 비록 동학과 염불선은 다른 종교이지만, 서로 상통하는 부분이 많은 만큼 앞으로 상호 활발한 교류를 통해 소통함으로써, 미구에 다가올 통일의 시대에 한 줄기 광명을 비추는 가르침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도록 앞으로 상호 동이점(同異点)을 비교하는 노력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유교와 도교에 있어서 수행과 그 전통

        양은용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04 대순사상논총 Vol.17 No.-

        The third teaching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ave been coexisted and had effect on the oriental spirits for long times. The doctrines of the Confucianism, the Buddhism, and the Taoism are represented as 'moral culture', 'practice', and “training” respectively. The practices of three teachings had individual ways. But in the late Han-dynasty, they had coexisted and effects on one another, then finally had been united since the Song-dynasty. The Confucianism, which advocated “xiū-jǐ-zhì-rén(修己治人: Practising oneself and controlling others)” and “nèi-shèng-wài-wáng(內聖外王: Establishing natural law in oneself and presenting it to others)”, put an emphasis on the practice for personality by “Kŏgzĭ(孔子)” and “Mèngzĭ(孟子)”. For example, the practices of “Yăng qi(養氣)”, “Jìn Xīn(盡心)”, and “Cún Xīn(存心)” reflect this doctrines. In the Song-dynasty, “Zhū-xī(朱熹)” established the 'New Confucianism', the study of “Jū-Jìng-qióng-lĭ'”, which put an equality with “human nature” and natural law. It is so-called as “Seong-li-hark” in Korea. Therefore, it came to life again by emphasizing 'jīng-shì: Ruling the world' and “moral culture”. The Taoism, which pursued “yán-mìng-cháng-shòu(延命長壽: Maintenance of a Scanty existence long life)” and “dào-tōng-shén-xian”(道通神仙: Spiritual awakening Shén-Xian), originally put an emphasis on the practice of body and mind. For example, “Lăozi(老子)” and “Zhuāngzĭ(莊子)” suggested “bāoyī(包一)”, “Shŏuyī(守一)”, and “Zuòwàng(坐忘)”. After the religious body of the Taoism had been established, “Gè-hóng(葛洪)” accomplished the “Nèidān(內丹)” and “Wàidān(外丹)” as practice methods. As times went over, the “Nèidān(內丹)” of “Yăng-Shēng-Wŭ-Dà-Yāo(養生五大要)” including “bì-gŭ(辟穀)”, “fú-qì(服氣)”, “dăo-yĭn(導引)”, “fáng-zhōng(房中)”, and “fú-ěr(服餌)”, has been the mainstreams for practice. Since the Song dynasty, “sān-jiào-hé-yī-sī-xiǎng(三敎合一思想: Three Teachings are the each other same thoughts)” had been put on emphasis and the three teachings were effected one another, and all of them attached importance to practical training. Therefore, the practice ways in civil societies have been mixed, the origins of them are difficult to divide definitely. The Korean society also has the vague origins of them and reflects the theses historic traditions.

      • KCI우수등재

        스쿠버 다이빙의 체육교육적 가치 탐색: 2015 개정 교육과정 체육과 역량을 중심으로

        천항욱(HangukCheo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4

        본 연구는 스쿠버 다이빙의 체육교육적 가치를 검토하여 체육수업의 소재로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자는 남자고등학생들 7명의 오픈워터 다이버 교육과정에 보조교사로 참여하여 참여관찰, 개별면담, 소감문, 집단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해 학생들의 스쿠버 다이빙 경험을 분류분석, 귀납적 범주분석으로 분석하고, 이후 경험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체육과 역량과 스쿠버 다이빙 교육경험을 비교하여 논의하면서 스쿠버 다이빙이 어떤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논의의 결과, 스쿠버 다이빙 경험은건강 관리 능력의 정신적 건강의 측면을, 심신일원의 통합적 관점에서 신체 수련 능력의 함양을, 넓은 의미의 경기 수행능력에서 신체움직임 능력, 문제해결력, 상황 판단력, 협동의 함양을, 신체 표현 능력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이 가능한것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스쿠버 다이빙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교육적 가치를 담보하고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physical education value of scuba diving and to determine whether it is suitabl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In order to verify this, the researcher participated as an assistant teacher in the Open-Water Diver training course with 7 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students' scuba diving experience as farming inductive category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dividual interview, questionnaire survey, and group interview. In addition, the educational value of scuba diving was examined by comparing students’ diving experience and the physical educational ability which is presented in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conclusion, it has been examined that the scuba diving experience enhances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physical ability and performance as well as communication skill. Thus, it has been concluded that scuba diving guarantees the educational value pursued by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전염병 치료로서 도교 부적 - 청미파의 『道法會元』을 중심으로

        강충구 한국도교문화학회 2021 道敎文化硏究 Vol.54 No.-

        This thesis examines Taoism's talismans which were done to defeat or cure infectious diseases in the current Covid-19 situation, In particular, the use of talismans to fight or cure infectious diseases can be found in the 『Daofahuiyuan(道法會元)』 of Cheongmeipa(淸微派). I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epidemic eradication using the talisman of the ‘Cheong mei(淸微) faction’ at a time when the epidemic of Covid-19 is threatening the world, and explained the meaning. After the early Taoism became religious, shamanistic treatment using talismans was an important religious practice to gather believers. As Taoism developed, talismans were an important religious element not only in the rites but also in the individual performance of Taoism. In this development of Taoism, the shamanistic treatment using talismans gradually disappeared, and the meaning of talismans was highlighted in rituals and individual practicing asceticism. However the Cheong mei(淸微) faction, which belongs to Fulu(符箓) faction in the Song(宋) Dynasty, embraces the god of thunder(雷神) and sorcery amulets, which are folk beliefs, reinterpret them Taoist and actively use them to treat diseases. By the time of the Song(宋) Dynasty, it was common to draw and use talismans based on internal training in the factions of Taoism whether 符箓(Fulu) clan or 內丹(Nae Dan) clan. Through internal training, the Taoist matches the energy in his body with the energy of the universe, and when he is in this state, he draws talismans with the united energy(一氣). The united energy of innateness indwells to the talisman painted like this, and the Taoist combines his own gods and energy with the patient’s god and energy so that the patient can respond to them and fight off the disease. In this process, the Taoist brings in the ‘commander god’(神將) that can handle the case, and relies on the strength of these commander god to fight off the epidemic. Talismans used for certain diseases have a common design. We call that desing, ‘Baozhang(寶章)’. This design is shown by the child of ‘Spritual Taoist World’(神仙界) when the Taoist is full of energy through internal training, and the design is common to the talismans used for certain disease. The belief that the Taoist can cure diseases or defeat infectious diseases through talisma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human body is regarded as a small world, and that the world and the human body are based on a homogeneous energy. It is the talisman that the Taoist extrinsicized the energy while his energy and the energy of the world united through internal training, and the talisman has the energy of such a universe, so they are considered to have the power to treat diseases. Also, the gods who were called along with the talisman have the power to treat diseases. Taoist talismans have different meanings from those of folk belief. Talisman of folk belief is painted by a psychic medium who is connected with supernatural thing. But the talisman of Taoism means that it is exogenized with the spirit of the universe and the spirit of Taoism combined when a Taoist calls cammander gods through the ritual and internal training. 이 글은 현 코로나-19 상황에서, 전염병을 물리치거나 치료하기 위해 행한 도교의 부적에 대하여 살펴 본 것이다. 특히 전염병을 물리치거나 치료하기 위해 부적을 사용한 내용은 도교 청미파의 『道法會元』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코로나-19라는 전염병이 전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청미파의 부적을 이용한 전염병 퇴치의 내용을 검토해, 그 의미를 해명하였다. 초기 도교가 교단화할 때부터 부적을 이용한 주술적 치료는 신도를 모으는 중요한 종교적 실천이었다. 부적은 도교가 발전함에 따라, 제초의례뿐만 아니라 도사의 개인적인 수행에서도 중요한 종교적 요소였다. 이러한 도교의 발전에서 부적을 이용한 주술적 치료는 점차 사라지고, 의례와 개인의 수행에서 부적의 의미가 부각되었다. 그러나 송나라 시기 부록파인 청미파는 민간의 신앙인 뇌신과 주술적 부적들 수용해, 도교적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질병을 치료하는데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송대에 이르면 내단파이든 부록파이든 도교의 교파에서는 내단수련을 기초로 하면서 부적을 그리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된다. 내단수련을 통해 도사는 자신의 몸 속 원기를 우주의 원기와 일치해내고, 이 상태가 되면 一氣를 운용해 부적을 그린다. 이렇게 그려진 부적에는 선천의 일기가 깃들고, 도사는 자신의 신과 기를 상대방의 신과 기와 합하게 하여 상대방을 감응하게 하여 질병을 물리친다. 이 과정에서 도사는 해당 질병에 맞는 신장들을 불러오고, 이 신장들의 힘에 의지해 전염병을 물리친다. 특정한 질병에 사용되는 부적들에는 공통의 도안이 있다. 그 도안을 寶章이라고 부른다. 이는 도사가 내단수련을 통해 원기가 충만해지면, 신선계의 동자가 보여주는 도안을 의미하고, 이 도안은 특정한 질병에 사용되는 부적에 공통적으로 쓰인다. 도사가 부적을 통해 질병을 치료하거나 전염병을 물리칠 수 있다는 믿음은 인체를 소천지로 보고, 천지와 인체가 동질적인 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전제한 것이다. 도사가 내단수련의 상태에서 자신의 원기와 천지의 원기가 합일한 상태에서 그 기를 외재화한 것이 부적이고, 부적은 그러한 우주의 원기가 깃든 것이기에 질병에 대한 치료의 힘을 가진 것으로 본다. 또한 부적과 함께 불려나온 신들 역시 질병에 대한 치료의 힘을 갖는다고 본다. 도교의 부적은 민간신앙의 부적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 민간신앙의 부적은 영매가 접신에 의해 그리는 것이라면, 도교의 부적은 도사의 의례와 내단수련을 통해 도교의 신장들을 불러오고 우주의 원기와 도사의 원기가 합일된 상태에서 그 원기가 외재화한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서유기>에 나타난 유불도의 특징과 삼교회통론

        김경수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mixture of Three Religions in Journey to the West. This novel, which has the structure of satire, hope, and surrogate satisfaction while being the center of satire and humor, is a refuge for the people. Even today, it can be said, however, that for the peopl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as not a distinctly separate system of religions. Journey to the West story is about the liberation of Buddhism that is obtained through Taoism training. In the celestial world, not all gods are perfect, and often make mistakes. In such a story, the mistakes of beings living as human beings are simply insignificant. What is not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of life in this world is still a world of nature. The world is rife with absurdities, both on earth and in heave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mixture of Three Religions can be summarized in several ways. First, the Trip of Samjang is not just to gain the enlightenment of illegal but rather to seek a greater sense of meaning. Second, the means to gain enlightenment is that it does not claim that one is right or good. Third, mercy, goodwill, and respect for life for oppressed and exploited peoples are common to all religions. Fourth, this story suggests that everything from the beginning is already a matter of mind. Fifth, all of the logic of Three Religions in this novel can be said to be "preliminary." Human life implies that it is going on a planned path, perhaps as a fate. But the important thing is, as in all religions, even if the road is a planned one, Journey to the West is strongly and persuasively speaking that it is the way of life as well as the attitude of living silently in carrying out its du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