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판교鄭板橋 난·죽·석 제화題畫 작품의 판화적版畫的 특징 연구

        김영 한국중국문화학회 2024 中國學論叢 Vol.0 No.81

        정판교(鄭板橋)는 청대(淸代) 양주(揚州) 지역에서 난(蘭)·죽(竹)·석(石)을 소재로 한 그림과 제화시(題畫詩)를 많이 남겼는데, 그의 그림과 제화시는 동이불사(同而不似)의 현상이 많이 보인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그의 그림과 제화시를 가지고 그 이유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현상은 난·죽·석의 전형과 변형(蘭竹石의 典形과 變形), 난·죽·석의 합화(蘭竹石의 合畵), 낙관과 시문의 변치(落款과 詩文의 變置), 일제다시(一題多詩)와 일시다화(一詩多畵) 등 네 가지 수법에 의하여 나타난 것으로 그 원인을 규명하였다. 이는 한마디로 난·죽·석의 판화적(版畫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정판교의 동이불사의 판화적 특징은 난·죽·석 제화시의 대중성(大衆性)과 상업성(商業性)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안된 수법이다. 그는 자신의 인본주의사상(人本主義思想)과 아속(雅俗)의 문예관(文藝觀)에 기초하여 대중성과 상업성을 갖춘 난·죽·석의 그림과 ‘동이불사의 제화시’를 다량으로 창작하여 저렴하게 판매함으로써 일반대중을 위한 인본주의와 인문예술정신을 실천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정판교는 선진적인 인본주의 예술사상에 의거하여 중국의 근대시민사회를 앞당기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 Zheng Banqiao, a painter in Qing Dynasty, left many traditional Chinese paintings and poems on the theme of orchid, bamboo and stone in Yangzhou area. These traditional Chinese paintings and painting poems show the characteristics of "same but not similar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Zheng Banqiao's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and related painting poems, we find that there are four main reasons why Zheng Banqiao's paintings with orchid, bamboo and stone as the theme show this characteristic: First, it is the typical and deformed treatment of orchid, bamboo and stone. Second, it is the Combined painting of orchid, bamboo and stone. Third, it is the Sign Off and the Transposition of the poems. Finally, it is the One Subject with many poems and One poem with many paintings . In a word, we can think that this is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Zheng Banqiao orchid, bamboo and stone printmaking. Zheng Banqiao, which is "same but not similarity ", is characterized by a very creative artistic technique of calligraphy and painting, the purpose of which is to ensure that the poems and paintings with the theme of orchid, bamboo and stone can meet the aesthetic needs of popula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The creativity of this new artistic technique comes from Zheng Banqiao's own humanistic thought and the popular view of literature and art, the purpose of which is to make a large number of paintings and sell them at low prices. The popular and commercial orchid, bamboo and stone paintings and the corresponding "same but not similar" painting poems practice Zheng Banqiao's humanistic thought and artistic spirit facing the masses.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Zheng Banqiao, by virtue of his humanistic spirit and artistic creation thought beyond the times, greatly promoted the arrival of modern Chinese civil society.

      • KCI등재

        순한국말 지명과 한자 표기의 관계를 통해 본 石島·獨島 고찰

        이기봉 韓國文化歷史地理學會 2012 문화 역사 지리 Vol.24 No.3

        본 논문은 순한국말 지명과 한자 표기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1900년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속에 기록된 ‘石島’, 1904년과 1906년에 기록된 ‘獨島’가 어떤 섬을 가리키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자로 기록된 한국의 지명은 순한국말 이름을 한자의 뜻과 소리 중 어느 것을 따서 표기하는 전통에 대한 검토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 둘째, 울릉도 동북쪽의 부속 섬인 현재의 깍세섬은 19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순한국말 이름인 ‘섬목’ 또는 ‘섬목섬’에 대해 한자의 뜻+뜻 형식으로 표기한 島項이나 한자의 소리+뜻+뜻 형식으로 표기한 鼠項島, 관음굴 때문에 표기된 觀音島로만 나타날 뿐 ‘돌섬’이란 뜻의 石島와 관련된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셋째, ‘돌’의 사투리(方言)인 ‘독’이 사용된 ‘독섬’에 대해 石島는 한자의 뜻+뜻 형태로, 獨島는 한자의 소리+뜻 형태로 표기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순한국말 이름으로 불리던 울릉도 부속 섬의 한자(한글) 표기는 ‘石島(독섬)·獨島(독섬)·竹島(댓섬)·竹嶼(댓섬)·島項(섬목)·鼠項島(섬목)’으로 해야 역사적 시실을 왜곡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This report aims to study which islands ‘石島’ recorded in the Korean Imperial Decree No.41 in 1900 and ‘獨島’ documented in 1904 and 1906 refer to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names written with pure Korean words and those with Chinese character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place nam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need t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radition that marked pure Korean place names after either meaning or sound. Second, what is now known as ’Kagseseom’, an islet northeast of Ulleung Island was called in pure Korean words such as ‘Seom-mok’ or ‘Seom-mokseom’ around 1900, and was marked as 島項 in Chinese characters’ meaning-meaning form or as 鼠項島 in sound-meaning-meaning, or 觀音島 based on ‘Gwaneumgul’. However, there has been no records of 石島 which means ‘Dolseom(rocky island)’. Third, regarding ‘Dokseom(rocky island) that uses Chinese character ‘Dok’ a dialect of ‘Dol(rock)’, 石島 is written in meaning-meaning, while 獨島 is marked in sound-meaning.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Chinese Character(Korean) notation for an islet of Ulleng Island that was called in pure Korean words need to be 石島(Dokseom), 獨島(Dokseom), 竹島(Datseom), 竹嶼(Datseom), 島項(Seom-mok) and 鼠項島(Seom-mok) in order not to distort the historical facts.

      • KCI등재

        한국산 Alsineae (석죽과) 종자의 형태비교 및 분류학적 유용성

        송준호,김주미,옥민경,홍석표 한국식물분류학회 2015 식물 분류학회지 Vol.45 No.4

        The seed morphology of 25 taxa (8 genera) of Alsineae (Alsinoideae, Caryophyllaceae) in Korea was examined using stereo (S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n order to evaluate their diagnostic values and taxonomic implications. Circular, comma-shaped, ellipsoid, ovate, pyriform, reniform, and sub-cir- cular seed shapes were identified. The seeds of the examined taxa range from 0.28 to 4.10 mm in length and from 0.33 to 3.10 mm in width; the smallest one was found in Sagina japonica, while the largest was in Honkenya peploides var. major. A hilar appendage was found in Cerastium, Honkenya, Moehringia, and stro- phioles were only observed in the genus Moehringia. Based on the examination of epidermal cells of the seed surface, four micromorphological types can be distinguished, viz., the colliculate-papillate (Col-Pap), collicu- late-columellate (Col-Cll), colliculate-simple (Col-Sim), and smooth (Sm) types. Descriptions of the testa shape, margin, and the degree of elevation of the anticlinal cell walls, and the outer periclinal cell walls are summa- rized for the tribe. Taxonomic implications of the seed micro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also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an earlier taxonomic system. 한국산 Alsineae (Alsinoideae, 석죽과) 8속 25분류군 종자의 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식별형질로서의 가치와 분류학적 의미를 평가하기 위해 해부현미경(SM)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해 관찰하고 자세히 기재하였다. 종자의 외형은 원형, 쉼표형, 타원형, 난형, 양배형, 신장형, 아원형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크 기는 길이 0.28−4.10mm, 너비 0.33−3.10mm로 개미자리(Sagina japonica)가 가장 작게 나타났고, 갯별꽃 (Honkenya peploides var. major)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점나도나물속(Cerastium), 갯별꽃속(Honkenya), 개벼 룩속(Moehringia)에서 제 부위에 부속지가 관찰되었고, 개벼룩속(Moehringia)에서만 strophiole이 관찰되어 구 별되었다. 종자표면무늬에 따라 4가지 유형, 구릉상-유두형, 구릉상-기둥형, 구릉상-단순형, 평활상으로 구별 하였으며, 종피세포의 형태, 주변부, 수층벽 높이의 정도, 병층세포벽의 형태 등의 형질을 기재하였다. 또한, 이전에 제시된 분류체계와의 비교를 통해 종자 미세형태학적 형질의 분류학적 유용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개화기 독도의 연구 성과와 쟁점

        엄찬호(Eom Chan-ho) 고려사학회 2007 한국사학보 Vol.- No.28

        개항기에 이르러 조선정부는 울릉도와 그 부속 도서에 대한 공도정책을 폐지하고 개척을 시작하여 근대적인 영토권을 확정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고에서는 개항기 조선의 울릉도를 비롯한 독도의 영토확증을 둘러싼 문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한일간의 쟁점사항을 정리하고자 한다. 첫째는 1882년 檢察使 李奎遠의 파견문제를 둘러싼 문제로 한국 측에서는 이규원의 파견 당시 조선정부에서 이미 독도에 대한 인지가 있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일본 측은 이규원의 보고서를 들어 19세기말까지 조선은 독도에 대해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점이다. 둘째는 1883년 金玉均의 東南諸島開招使兼管捕鯨事 임명에 대한 건으로 이 사실은 조선정부에서 독도에 대한 개척의지가 있었다는 증거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 측은 심증은 가지만 실패로 끝난 일이어서 예증이 없다는 점을 들었다. 셋째는 1900년의 칙령 41호로 울릉도 및 독도의 대한제국 영토로의 확증에 관한 문제인데, 한국 측에서는 칙령에 언급되어 있는 ‘석도’를 ‘독도’라고 인정하고 있다. 반면 일본 측은 19세기말까지 조선에서 독도를 인식하고 있지 못했으므로 ‘석도’가 ‘독도’일 수가 없으며, ‘석도’는 울릉도 근해의 돌섬들의 총칭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넷째는 1906년 울릉군수 심흥택의 보고서인데, 한국 측에서는 이보고서에서 독도가 대한제국의 영토라는 인식이 분명히 드러나고 있으며, 명칭 또한 독도를 사용해 독도의 영토확증을 의미한다고 보고 있다. 반면, 일본 측은 심흥택의 보고서에 대하여 정확한 지리적인 인식도 없었고, 역사인식의 오류에서 비롯된 잘못된 보고서였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사안에 대한 한일 간의 명확한 입장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일본의 주장에 대한 세밀한 해석이 있어야 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입장을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 아울러 우리의 주장을 뒷받침해줄 객관적인 자료에 대한 발굴도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Chosun government has confirmed its modern territorial rights at the opening flags with abolishing the empty-island policy for Uleung-do and its subsidiary islands. This thesis is purposed to examine what are the issues for territory confirmation of Dok-do and Uleung-do at the time of opening flags of Chosun and to arrange points of dispute between Korea and Japan. First issue is that, the issue of dispatching the prosecutor Gyuwon Lee in 1882, Korea side is focused on the assertion of that Chosun government had already recognized about Dok-do at that time. On the contrary, Japan side is arguing that Chosun had failed to recognize Dok-do until the end of 19th century with the report of Cyuwon Lee as an evidence. Second issue is that, the appointment of Okgyun Kim as a pioneering officer of south east ireland and inspector of whaling. This fact is indicated as an evidence that Chosun had an intent to exploit Dok-do. However Japan side has argued that this is mere a conviction due to its failure, it can not support Korea's assertion. Third issue is that. the territory confirmation of Korean Empire regarding Uleung-do and Dok-do with its Royal decree article 41 in 1900, Korea side is asserting that "Seok-do" named in the above decree is recognized as "Dok-do". But Japan side alleges that Suk-do cannot be Dok-do because Chosun could not recognize Dok-do until the end of 19th century, and Suk-do was only named for whole pebble ireland located nearby Uleung-do. Fourth issue is about the report of chief of Uleung County, Heungtaik Sim in 1906, Korea side is asserting that this report is showing obviously the recognition of that Dok-do is the territory of Korean Empire with using its name as Dok-do, therefore it means the territory confirmation. However Japan side is asserting that the report of Heungtaik Sim had no correct geographical recognition, and it was wrongfully established report which was based on error of historical understanding. As looked into above issues, we can see the differences in the views between two countries regarding the same issue. We should prepare detailed explanations on Japan's each of assertions, and we have to declare clearly about our attitude on that basis. And also we should keep unearthing the objective materials which can support our assertions.

      • KCI등재

        池内敏『竹島-もうひとつの日韓関係史』

        박병섭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6 독도연구 Vol.- No.20

        The above tile book is a development of the thesis collection book 『What is Takeshima Problem』(hereunder name as op. cit) by Ikeuchi Satoshi(池内敏) four years ago to explain the issue easily for public peoples. As a new articles in the paper added "A Critics on Pamphlets by Japan and Korea", "Modern Marine Chart and Waterway of Japan", "Dispute on Territory Rights between Japan and Korea in 1950s", and "Inherent Territory Theory". Also he insist in this book as op.cit. that both Japan and Korea never established territory rights on Dokdo until early modern age. In case of Japan, he abandoned territory rights on Dokdo by Kenroku(元禄) Ikken(竹島), Tenpo(天保) Takeshima Ikken, Meiji Dazokan(太政官) Order. This kind of theoretical proof based on wide evidence from central and regional historical materials, which shows stable ground. On the other hand, analysis on Korean part materials shows big differences and problems compare to Japanese materials as indicated by Kimura Kan(木村幹). Especially, government publication analysis on 『Chungwanji』 shows problem of doubt on contents comprehension as well as in the aspect of bibliographic history. Also, Ikeuchi treated contemporary history on issues with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spite of violation of Japan Constitution. Kimura indicated lack of enough examination on existing studies in the op. cit. book, which the critics was not reflected fully in this book. Especially, he might have misunderstood the Common Draft Treaty by U.S.A and England, which naturally shows a doubt on the conclusion based on those introduction. 表題に記した本は、池内敏が4年前に発刊した論文集『竹島問題とは何か』(前書と称す)を発展させ、かつ一般向けにわかりやすく書いたものである。新しい論考として日韓両国がそれぞれ発行したパンフレットへの批判、「近代日本の海図と水路誌」、1950年代の日韓両国間の領有権論争、「固有の領土」論などが追加された。 今回の本は前書同様、近代前期までは日韓両国ともに独島の領有権を確立したことがないと主張する。日本の場合、元禄竹島一件、天保竹島一件、明治太政官指令によって日本は独島の領有を放棄したという。この論証は中央・地方を問わず幅広い史料にもとづいて展開された。 一方、朝鮮史料の分析は木村幹が指摘したように日本史料のそれに比べると大きな落差があり、問題が多い。中でも官撰書『春官志』の分析は内容の理解のみならず、池内が重視する文献史学のうえからも疑問である。 また、池内は今回もリスクをおかしてサンフランシスコ講和条約など現代史も扱った。前書に対して木村幹が先行研究の検討が不充分であると指摘したが、その批判は今回の著書に充分生かされなかったようである。特に米英共同草案に対しては誤解しているようであり、それにもとづいて導き出された結論は疑問である。

      • KCI등재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가는끈끈이장구채(석죽과)

        박규진,박재홍,고재기 한국식물분류학회 2011 식물 분류학회지 Vol.41 No.2

        A naturalized species, Silene antirrhina L is newly reported in Korea. S. antirrhina L. was found along the Geumho riverside in Daegu. S. antirrhina L. is similar to S. koreana Kom. and S. armeria L. in that it has dark glutinous areas. S. antirrhina L. can be distinguished from congeneric species by the stamens and styles of its sepal and seed surface which are finely papillate. The Korean name of S. antirrhina L. “Ganeun-Kkunkkunijangguchea”was newly formulated based on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is thin and small plant and on the Korean name of S. koreana Kom. photos of the habitat and a description and key of characteristics are provided.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금호강 강변에서 발견된 석죽과의 Silene antirrhina L.를 한반도 미기록종으로 확인하여 보고한다. 본 종은 속 내의 근연종인 끈끈이장구채(S. koreana Kom.) 및 끈끈이대나물(S. armeria L.)과 같이 선점이 있으나 개화시 수술이 꽃받침 밖으로 외출하지 않고, 종자의 표면이 유두상 돌기인 점에서 근연종과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식물체가 소형이고 전체적으로 가는 점을 고려하여 ‘가는끈끈이장구채’로 명명 하였으며, 생태사진과 주요 형질에 대한 기재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미국갯마디풀(마디풀과)과 끈적털갯개미자리(석죽과)

        최지은,김중현,홍정기,김진석 한국식물분류학회 2016 식물 분류학회지 Vol.46 No.3

        미기록 귀화식물인 Polygonum ramosissinum Michx. (마디풀과)와 Spergularia bocconi (Scheele) Graebn. (석죽과)를 한반도 서남해안에서 발견되었다. 미국갯마디풀로 신칭한 P. ramosissinum은 잎이 도피침형 이거나 피침형이며, 수과는 돌기가 없는 형태적 특징으로 속내 근연종들과 구분된다. 끈적털갯개미자리로 신 칭한 S. bocconi는 꽃이 달리는 윗부분의 가지, 줄기, 잎에 샘털이 있으며, 특히 꽃자루와 꽃받침잎 바깥 면에 많은 샘털을 가지고 있는 형태적 특징으로 속내 근연종들과 구분된다. 본 연구는 미기록 귀화식물 2종에 대한 기재와 화상자료를 제공하고,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 KCI등재

        미기록 외래식물: 세열미국쥐손이(쥐손이풀과), 유럽패랭이(석죽과)

        정수영,홍정기,박수현,양종철,윤석민,강영식 한국식물분류학회 2015 식물 분류학회지 Vol.45 No.3

        Two newly recorded alien plants Geranium dissectum L. (Geraniaceae) and Dianthus armeria L. (Caryophyllaceae) have been found in Seogwipo-si, Jeju-do and in Hapcheon-gun, Gyeongsangnam-do, of South Korea, respectively. Geranium dissectum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related Korean taxa by fruit with glandular hairs and distinctly reticulated seeds. Dianthus armeria can als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related Korean taxa by its cyme and pubescent calyx. We provide description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illustrations, photographs and a key to allied taxa. 미기록 외래식물인 세열미국쥐손이(쥐손이풀과)와 유럽패랭이(석죽과) 2종을 각각 제주도 서귀포시와 경남 합천에서 발견했다. 세열미국쥐손이는 열매에 선모가 있으며, 종자에 뚜렷한 망상무늬가 있는 특징으로 근연종들과 뚜렷하게 구분된다. 유럽패랭이는 꽃이 취산화서로 달리며, 꽃받침에 털이 있는 특징으로 근연종들과 구별된다. 이에 대한 기재, 도해, 사진 및 근연분류군과의 검색표를 제시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