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찬과 한국 현대문화ㆍ역사지리학의 정립

        홍금수(Kewmsoo H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4 문화 역사 지리 Vol.26 No.1

        현대 문화ㆍ역사지리학의 개척자인 이찬은 1923년에 황해도 연백에서 출생하여 평양사범학교와 서울대학교를 거치며 근대지리학의 내적 토대를 다진다. 이후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로 유학의 장도에 올라 버클리 학파의 일원인 니펜에게서 문화ㆍ역사지리학의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전수받는 한편, 도작문화에 관한 연구로 1960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귀국하여 현대지리학 1.5세대에 기대되는 교육, 연구, 국제 활동을 활발히 펼친다. 이찬의 문화지리학은 문화요소의 기원, 전파, 분포에 맞추어져 있으며 시간적인 변화를 중시하기 때문에 동시에 역사지리흑에기도 했다. 지도교수를 통해 시우어 지리학과 크뢰버 인류학을 섭렵한 까닭에 문헌보다는 야외 조사에 비중을 둔 경험적인 연구를 지향하였다. 중부지방의 민가를 조사하는 단계에서 니펜의 물질문화분석법을 원용하고, 한국지리학시를 개관하는 중에 국학으로서의 지리학에 관심을 환기하고 고지도의 중요성을 역설했으며, 도작에 관한 연구를 통해 역사지리 연구방법을 체계적으로 구현하였다 한국문화역사지라학회, 『문화역사지리』, 다방면에서 활동 중인 후학은 이찬의 유산이자 한국문화ㆍ역사지리학 발전을 위한 소중한 자산이 되고 있다. Born in a pastoral countryside in 1923 Chan Lee had learned and practiced geograph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efore flying over to Louisiana State University for his post-graduate work. He was awarded Ph.D. for the thesis A Culture history of rκe with special reference to Louisiana in 1960 under the guidance of the Berkeley school's cultural geographer Fred B. Kniffen. Lee's cultural geography which laid emphasis on the origin, diffusion and distribution of cultural traits took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geography with the addition of time dimension.Exposed to Sauerian culture history of landscape morphology and Kroeberian ethnography Chan Lee emphasized fieldwork in practicing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s is exemplified by the researches on folk housing, rice cultivation, and various other topics. Chan Lee left behind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nd disciples as his enduring legacy.

      • KCI등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창립 후 20년(1988-2007) 발전과정

        이은숙(Eunsook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1

        Since its foundation,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has mainly dealt with the issues such as Koreans' traditional perspectives on geography, perceptions about environment, Korea's history and culture embedded in the cultural landscape, and the restoration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ical phenomena. During the initial ten years, the active research of th korea's traditional geography of the Association became the well-established area of Korean studies. The following ten years of the Association were devoted to studies of old map, Feng Shui landscape and the building of general system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t the same time, one observes an increase of the studies adopting the cultural and ecological approach as a way to address environmental problems. To connect modern human geography and traditional geography, there have been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toponyms or contemporary diaspora. Young geographers in particular have been trying to use cultural-political or social-economical approaches regarding historical changes in society and culture, and to apply systematic approaches to the formation of culture. 1988년 창립이후 한국문화역사지리확회는 한국인의 전통적 지리관, 전통적 환경지각 방식, 문화경관에 각인되어 있는 우리역사와 문화, 과거 문화역사지리적 현상의 복원 등을 주요과제로 삼았다. 처음 10년 동안은 한국의 전통지리학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국학연구의 한 분야로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 다음 10년 동안은 고지도나 또는 풍수경관 등 전통지리학연구의 증가와 함께 종합적 체계구축을 위한 노력을 하여 왔다. 한편 환경문제의 대안으로 문화생태학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가 증가되었으며, 현대 인문지리학과 전통지리학의 연결방안의 하나로 다학문적 접근을 시도한 지명 연구, 현대 디아스포라 연구 등 많은 성과를 올려TEk. 특히 젊은 지리학자들을 중심으로 방법론적 대안으로 신문화지리학적 접근, 사회와 문화의 역사적 변동에 대한 문화정치적 접근, 사회경제적 접근, 문화 형성에 대한 구조적 접근도 시도되고 있다.

      • KCI등재

        영어권에서 문화지리학의 발전과 연구동향

        윤홍기(Hong-key Yoon) 韓國文化歷史地理學會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1

        카알 사우어의 지리학 연구는 어떤 문화집단이 자연경관을 어떻게 문화경관으로 변경시켜왔는지를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그와 그의 제자들 (버클리 학파라고 알려짐)은 주로 비서구지역이나 미국의 시골 지역 문화와 환경을 역사지리적인 관점에서 다루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영국의 신문화지리학을 표방반 일부 하자들이 이러한 버클리 문화지리 전통을 그들이 문화를 초유기체로 받아 드렸고, 경관에 나타나 있는 물질문화 유물들이나 공부하는 반면, 경관형태 막후에서 작용해온 메카니즘을 이론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고 하며 극력하게 비판했다. 신문화지리는 이제 경관을 텍스트로 보거나 보는 방법 정도로 다루고 있다. 신문화지리연구 토픽들 중에서 이 논문에서 다룬 것들은 텍스트로서의 경관, 상징물 해석으로서의 경관, 희미하게 지워진 경관, 음악경관, 자기와 다른 사람의 정체성 문제, 사회적 요소에 의하여 축조된 인종과 자연의 카테고리들, 텃밭 경관, 문학지리 및 필림 등의 영상경관 등이다. 그리고 이 논문은 전통적으로는 문화지리가 역사지리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 Carl O. Sauer's geographic research emphasised how a certain cultural group could transform a physical landscape into a cultural landscape. He and his students (The Berkeley School)had a tendency to explore mainly historical topics of non-western culture or rural areas in the USA. However, since the 1980s a group of British geographers known as the promoters of "new cultural geography" severely criticised the Berkeley tradition for accepting culture as a superorganic entity, preoccupied with cultural artifacts, while not exploring the theoretically informed explanation of the mechanisms behind the morphology of cultural landscapes. Now 'new cultural' geographers view landscape as text and 'a way of seeing'. Among the various contemporary cultural geographic research trends, the topics briefly discussed in this paper are landscape as text, landscape as iconography, palimpsest in landscape, soundscape, self and other, social construction of race and nature, vernacular gardens, literary geography and filmscape.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traditional Berkeley style cultural geography is closely associated with historical geography, while the new cultural geography is most closely related to social geography.

      • KCI등재
      • KCI등재

        공주(公州) ‘인물 지명’의 지역성

        최명진(Myoung Jin Choi)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2 문화 역사 지리 Vol.34 No.1

        이 연구는 인물 지명을 통해 지역성을 탐색해 보려는 시론적인 목적이 있다. 인물 지명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 지역의 잘 알려지지 않았던 역사적 사건부터 새로운 인물 발굴까지 다양한 단서를 찾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역 인물의 활동이 지명에 투영되고 있음을 지역사의 측면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사적 특수성이 짙은 공주(公州)를 대상으로 인물로 인하여 유래된 지명만을 선별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공주에는 모두 167건의 인물 지명이 확인되었고, 몇 가지 유의미한 정황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지명들의 지리적 위치는 주로 금강에 인접한 곳에 집중도가 높았으며, 대다수의 지명 유형은 마을 이름이었다. 지명 속 등장인물들은 이름을 알 수 있는 인물과 성씨에 관련된 정보만으로 파악되는 인물로 나누어졌다. 인물들을 분석해 보니, 공주에 가장 많은 지명을 가진 인물은 고려말 조선초 탄압을 피해 공주에 피신했던 개성 왕씨였다. 지명 속 등장인물의 활동 분야는 문무 관리, 성씨, 학자·선비 등 총 12개의 유형이 확인되었다. 이중 문무 관리와 성씨가 지명 유래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인물로 유래된 지명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인물의 활동과 지명유래가 일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밝혀낼 수 있었고, 지명을 통해 공주의 역사와 문화가 거쳐온 지역적 특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a introductory purpose to explore locality through place names of person. The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palce names of person is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unexpected results such as the local historical events that were not well known, and the discovery of new people and forces of local.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history that the activities of the locals are reflected on the place names. Therefore, this research conducted a study on Gongju with strong historical specificity by selecting only the place names derived from people. As a result, 167 place names were identified in Gongju, and several significant circumstances could be identified. The geographical locations of the place names were concentrated in places adjacent to the Geumgang River, and the majority of the types were village names. According to the people-related place names analysis, the people who had the most place names in Gongju were the Wangs of Gaeseong, who fled to Gongju to avoid oppression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A total of 12 types of characters in the place names were identified, including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of historical period, family name, and scholars. Among them, it can be seen that family name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origin of the place names.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review of the place names derived from people in Gongju,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ies of the characters and the place names had a certain connection, and traces of Gongju’s history and culture were also identified through the place names.

      • KCI등재

        1925·1932년 일본 지리 및 역사교원들의 한국 여행과 한국에 대한 인식

        정치영(Chi-Young Jung),米家泰作(Taisaku KOMEI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7 문화 역사 지리 Vol.29 No.1

        이 연구는 1925년과 1932년에 이루어진 일본 중등학교 지리 및 역사교원의 한국여행과정을 살펴보고, 교원들이 여행 후에 한국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행과정에 대한 분석은 여행의 준비과정, 여정과 방문지, 여행 방법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 교원들의 여행은 여정과 방문지, 여행 방법 등에서 당시 일반적인 한국 관광여행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여행에 참가한 교원들은 자신들의 눈으로 직접 한국의 상황을 정확하게 보려고 하였으나, 그 시점은 현장과는 일정한 거리를 둔 것이었고, 자문화중심주의, 그리고 제국주의적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process of trips to Korea for Japanese secondary school teachers lecturing history and geography in 1925 and 1932, then analyzing their understandings of Korea subsequent to their trips. The analysis on the process of trips was focused on preparations, itineraries, and methods of travels. As a result, it could be verified that their trips to Korea were similar to those of typical tourist trips in respects of itineraries and travel methods. On the other hand, despite efforts made by the participants of the trips to accurately witness situations in Korea by their own eyes, their perspectives were ones detached from the real world, and did not deviate from ethnocentric and imperialist views.

      • KCI등재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전후 한국과 일본의 지리교과서에 반영된 독도 인식

        심정보(Jeongbo Sh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9 문화 역사 지리 Vol.31 No.1

        일본의 독도영유권에 대한 억지 주장은 민감한 정치적 이슈로서 항상 한국과 일본의 지리교과서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전후 한국과 일본에서 간행된 초중등학교 지리교과서 및 지리부도에 표현된 독도 내용을 고찰하여 그 성격을 명확히 한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과 함께 독도는 한국의 영토가 되었다. 이 시기에 독도는 한국의 초중등학교 지리교과서에서 한국의 영토로 기술되었지만, 일본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1951년 9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는 독도의 귀속에 관한 문구가 제외되어 1952년 1월 이승만 대통령은 평화선을 선언하여 한국의 어업과 독도를 지키고자 했다. 이 시기에 한국의 지리교과서에서 독도는 지켜야할 영토로서 매우 적극적으로 기술되었다. 반면 일본에서는 중등학교 지리부도에서 독도를 일본령으로 표기한 지도가 소수 등장했을 뿐이다. 이러한 차이점은 독도를 반드시 수호하겠다는 한국의 강력한 대응이 지리교과서 및 지리부도에 반영된 결과이다. Japan’s insistence on the sovereignty of Dokdo has always influenced geography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as a sensitive political issue.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Dokdo depict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geography textbooks and school atlases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before and after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ith Korea’s independence after World War II, Dokdo became the territory of Korea. At that time, Dokdo was described as a Korean territory in Korea’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geography textbooks, but not in Japan. As the phrase “Reversion of Dokdo” o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September 1951 was excluded, President Syngman Rhee, in January 1952, declared the Peace Line to protect Korea’s fishing industry and Dokdo. In that period, Dokdo was described evidently as a territory to be protected in Korean geography textbooks. In Japan, on the other hand, only a small number of maps were included in the secondary school atlases, which mark Dokdo as a Japanese territory. That indicates Korea’s strong willingness to adhere to Dokdo, reflected in geography textbooks and school atlases.

      • KCI등재

        하나의 산, 두 개의 이름 : 북악산/백악산과 남산/목멱산을 중심으로

        김순배(Sun-Bae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2 문화 역사 지리 Vol.34 No.1

        본 연구는 한국의 지명 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산 이름의 변천 유형과 경합 현상을 북악산/백악산과 남산/목멱산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산 이름의 변천 유형을 분석한 결과 언어적 변천, 지리-문화적 변천, 그리고 정치-사회적 변천 유형과 각각의 하위 유형들로 구분되었다. 둘째, 일제강점기에 표기 변화된 산 이름에서는 5가지의 변화 경향, 즉 방위 지명의 증가, 3자식 지명의 증가, 후부 지명소의 통일, 쉽고 좋은 의미의 한자 표기, 그리고 지명소의 음운 도치 경향이 발견되었다. 셋째, 경합 지명인 북악산/백악산과 남산/목멱산을 대상으로 사례 조사한 결과, 조선시대에 공식 지명이었던 백악산과 목멱산이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북악산과 남산으로 공식 지명이 뒤바뀌는 과정을 문헌 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현재까지도 하나의 산에 두 개의 이름이 각각 혼용되면서 일정한 경합 지명으로 공존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상징 지명이 표상하는 소리와 의미가 정체성의 혼돈을 유발하면서 다양한 모습의 지명 경관으로 경험되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oponymic changes and contestations which construct a toponymic landscape through analyzing mountain toponyms, Bugaksan / Baegaksan and Namsan / Mongmyeoksan. Firstly, there are three types in the changes of Korean Mountain names, that is, linguistic changes, geographical-cultural changes, and political-social changes. Secondly, it is found that there are five change patterns in terms of mountain names which include increases in Cardinal points toponyms, trisyllabic toponyms, standardization of the rear morpheme, inscribing Chinese characters with easy and good meanings, and inversion of toponymic morphem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onclusion, in relation to contested toponyms, the social status as an official and nonofficial name between the official names, Baegaksan and Mongmyeoksa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Bugaksan and Namsan as the formal name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been reversed. Consequently, until the present day, these two contested toponyms have coexisted with each other within a same place, and have been concurrently experienced as various namescapes and identities by social subjects who prefer their own symbolic toponym to the other dual na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