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osaka, Yuji 한국일어일문학회 1999 日語日文學硏究 Vol.35 No.1
일제시대 한국에서의 동화정책은 특히 1930년대에 들어와서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을 철저화시키는 가운데 진행되었다. 1937년에 조선총독에 취임한 미나미지로오(南次郎)는「내선일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한국에서의 총동원 체제를 만들어 나갔다. 그리하여 조선총독부는「內鮮史實의 再認識」을 실천정책 목표들 중 하나로 삼았다.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에서의 국사 교과서가 수차례 개정되어,「일선동조론」 애 대한 기술이 점차 강화되어 갔다. 즉 일본의 국조신인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天照大神)의 동생 수사노오(소전명존)가 신라에 강림하여 한국의 시조가 되었다는 내용이 국사교과서에 등장하게 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수사노오와 檀君이 異名 同一神이라는 연구도 활발히 나와,「일선동조론」에 일조하고 있었다. 일제는「일선동조론」 에 반대하는 입장에서서 학설을 주장했던 츠다(津田左右吉)에게 유죄를 선고하는 등 언론탄압을 강화해 갔다. 「일선동조론」 은 조선총독이 공개적으로 말할 정도로 한국통치이념으로 작용되고 있었다. 그 당시 친일파들은 이러한 역사적 동화이념을 받아들이는 논리를 펴고 있었다. 그 논리는 다음과 같다. 한일은 고대에서 같은 신을 모신 같은 민족이었는데 한국이 중국의 영향을 받아 중국화되어 본연의 모습을 잃어 버렸다. 그래서 한일병합은 본연의 모습으로 회귀하는 것이고 일본과 하나가 되는 길만이 한국의 회생의 길이다. 3.1독립운동선언문을 쓴 최남선도 친일행각을 했으나, 「일선동조론」 의 핵심인 수사노오(소전명존) 한국시조설에는 반대하고 있었다. 그는 한국어 말살정책이 진행되던 일제말인 1943년에 한국어로 쓴 역사책을 펴내, 수사노오가 한국의 시조가 되었다는 「일선동조론」을 조용히 부정했다. 신화를 동원한 일제의 동화정책은 최남선과 같은 학자의 반대에 부딪치기도 하면서 여러가지 모순이 내재된 상태였다고 하겠다.
者敬語を表す文体における日韓比較 - 韓国ドラマの韓日対訳から見る文体使用の違い -
김지은 한국일어일문학회 2022 일어일문학연구 Vol.123 No.-
한국어와 일본어의 청자 대우를 나타내는 문체에는 존댓말과 반말의 대응이 있다. 이런 공통점으로 인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일본어의 정녕체(丁寧体)와 보통체(普通体)의 문체도 한국어의 존댓말과 반말하고 똑같은 운용을 한다고 생각한다(田所2015). 그러나, 한국 드라마의 한일 번역 자료에서 두 언어의 문체 사용을 비교한 결과, 다른 점도 있었다. 발화 5개 중 1개 이상이 두 언어의 문체가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곧 두 언어의 청자 대우 문체의 운용이 반드시 같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언어의 각 문체의 사용 빈도를 보면, 원본의 한국어에 비해서 번역본의 일본어에서는 정녕체가 적은 반면에 문체생략체(文体省略体)와 보통체가 많았다. 두 언어의 문체가 불일치 하는 타입은 6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많은 것은 한국어의 존댓말에 일본어 보통체가 대응하는 타입이었다. 먼저, 한국어의 반말에 일본어 정녕체가 대응하는 경우는, 한국어의 추량형과 명령형의 반말을 여성 화자가 사용할 때, 일본어로는 정녕체인「でしょう」「なさい」로 바뀌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한국어의 반말을 일본어에서는 문 말을 생략하는 문체생략체를 사용함으로써 공손함을 조절하는 양상이 보였다. 한편, 한국어의 존댓말이 일본어에서 보통체가 되는 것은 합쇼체보다 해요체에 많았다. 그리고, 한국어의 존댓말이 일본어에서 보통체가 되는 요인으로는 화자의 속성과 심리 상태, 그리고 번역 상의 문제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그 중 변동적인 화자의 심적 요인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홍민표 한국일어일문학회 2002 日語日文學硏究 Vol.41 No.1
この論文は2000年10月から12月にかけて韓日兩國の首都圈に居住している會社員の中で有意サンプリングした436人(韓國男子123人、女子90人、日本男子128人、女子95人)を對象に敬語意識を調ぺて韓日兩國人の相違點と共通點を明らかにし、またその結果を社會言語學的な立場て考奈したものである。調査對象者の平均年齡は韓國男子31.3歲、女子25.8歲であり、日本男子は33.8歲、日本女子29.5歲となっている。 主な內容をまとめると次のようである。 (1) 目上の人に對する上下敬語意識は韓護人が日本人より高いことが確認された。 ただし、いつでも年齡が基準になるわけではなく、これは老人や子供のように話者と年齡差が大きい人にだけ適用されるものである。もし、相手が中學生や高校生くらいの年齡になると、敬語の自已防御機能が동いて年齡よりは日本人のような左右敬語意識で相手を待遇することがわかった。 (2) 顔見知らぬ人に對する左右敬語意識は日本人が韓國人より高いことが確認された。 (3) 韓日兩國人は知り合いよりは初對面の人にもっと丁寧に行動する共通的な敬語意識を持っ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4) 道を敎えてもらった時、韓國人ほ男女差が全く見られなかったが、日本人は相手の年齡こ關係なく男子より女子かもっと丁寧に感謝のお禮を言うことがわかった。 (5) 目下の人に對する敬語使用率は日本人が韓國人より高いことがわかった。 (6) 韓日兩國人共に小學生までは子供扱いをするが、中學生に對しては敬語使用率が急增(日本人88.5%,韓國人74.97%)していて、中學生からは成人扱いをし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日本語學,日本語敎育學 : JSL韓國語母語話者の謝罪行爲をとりまく異文化適應 -適應要因を中心に-
심정미 ( Jung Mi Sim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0 일어일문학연구 Vol.75 No.1
これまでの謝罪行爲に關する硏究は、日本特有の謝罪表現に注目した硏究や日本と他國における謝罪行爲の對照硏究が主になされてきた。が、本論文は、異なる謝罪行爲を行う二つの文化が接した際の姿、つまり、異文化適應の視点からの謝罪行爲に焦点を當てて硏究したものである。2005年8月から10月にかけて、東京や東京近邊地域に住んでいるJSL韓國語母語話者224名を對象に質問紙調査を行い、謝罪行爲における適應要因としてはどのようなものがあるのか、その適應要因はどのような傾向を見せているのかについて調べた。さらに、통口(1997)の日本生活における滿足度測定の項目を用いて、謝罪行爲における適應要因との關連についても考察した。その結果、JSL韓國語母語話者の謝罪行爲をとりまく異文化適應に影響を及ぼす要因として、違和感、謝り方の變化、謝ることばに關する知識、日本人の謝り方習得への必要性などが明らかになった。JSL韓國語母語話者は自分と異なる謝り方を行う日本人の謝り方に對して、違和感を强く感じてはいなかったが、違和感を感じていないとも言えない微妙な傾向がうかがえた。また、JSL韓國語母語話者は、日本で生活する以上、日本人の謝り方を習得する必要があると强く感じており、それは、日本での自分自身の謝り方の變化にも影響を及ぼし、日本人には日本人の謝り方を行い、誤解をもたらす可能性を最小限にしようとしている姿がうかがえる。韓國では、日本人の謝罪定型表現の使い方は日本語の特徵の一つとして認識されよく知られており、それを課題にした本も數多く發行されている。そのため、JSL韓國語母語話者は日本語の謝ることばに關する知識をある程度熟知していた。さらに、JSL韓國語母語話者の「日本生活における滿足度」と「謝罪行爲に關する適應要因」との間で、相關係數を求めた結果、「日本生活における滿足度」と「謝り方の變化」「日本の謝り方習得の必要性」の間で、正の相關があった。このことから、日本生活における滿足度の高い人が、日本人の謝り方習得への必要性をより强く感じ、實際の謝り方においても變化があることがうかがえる。つまり、謝罪行爲における適應感の高い人は、全般的なその異文化での滿足度も高いのではなかろうか。このように、JSL韓國語母語話者の日本生活における滿足度と、謝罪行爲との關連が深いことが示された。
일본문학(日本文學),일본학(日本學) 편(篇) : 『겐지 모노가타리(源氏物語)』의 한국어역 -김난주(金蘭周)역 『겐지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정미 ( Chong Mi Ha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1 일어일문학연구 Vol.76 No.2
本稿は、「源氏物語」の韓國語譯を、底本と文體、卷名·人物名·地名などの固有名詞の表記、和歌と引歌の飜譯、草子地の飜譯、敬語の飜譯などを分析することによって、金蘭周譯「ゲンジイヤギ」の特徵と問題点について考察してみたものである。洗練された文體と卷名の由來に近い飜譯、卷名の意味と由來についての說明、語句解說と引歌を卷末に收錄し、韓國讀者の理解に役立てた点などは金蘭周驛「ゲンジイヤギ」の特徵と言えよう。しかし、金蘭周譯「ゲンジイヤギ」は、瀨戶內寂聽の現代語譯をそのまま韓國語に譯した点で、寂聽譯の抱えている問題もそのまま金蘭周譯「ゲンジイヤギ」の問題に繫がるしかないであろう。そのため、金蘭周も「譯者のエピロ―グ」で、日本語の言語遊戱を充分生かせなかった点、底本が瀨戶內寂聽譯「源氏物語」とはいえ、現代の日常で使われる日本語ではない点、數數の古語、服飾に關する用語など、現代の韓國語に譯せない難しい用語、引歌における古語、主語が明確ではない文章などを、飜譯の難關として提示してはいるが、何よりも誤譯と欠落を無くし、和歌の音數律、歌枕の?譯、敬語の飜譯など、テキストの意味·內容に卽したより充實な飜譯は解決すべき問題点と言わざるを得ないだろう。
コミュニケーション摩擦の要因となる二人称代名詞の使用 ─日本語母語話者と韓国語母語話者の評価から─
김지은 한국일어일문학회 2023 일어일문학연구 Vol.126 No.-
이인칭대명사 사용이 적은 일본어 운용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가 이인칭대명사를 빈번히 사용한다면 일본어 모어 화자와의 접촉 장면에서 오해나 마찰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일본어 모어 화자(이하, JNS)와 일본어 학습자인 한국어 모어 화자(이하, KLJ)를 대상으로 이인칭대명사 사용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이인칭대명사 사용으로 대인 관계에 악영향이 있다는 평가는, 상대의 상하관계가 높은 경우, 동등한 경우, 낮은 경우를 불문하고 모두 JNS가 KLJ보다 높았으며, 특히 상대의 상하관계가 낮은 경우에 JNS와 KLJ의 차이가 현저했다. 이러한 경향은 일본어 능력이 높은 N1도 동일했다. 또한, 일본 거주 경험이 있는 KLJ는 일본 거주 경험이 없는 KLJ보다 악영향이 있다는 평가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KLJ는 대인 관계에 악영향이 있다고 평가하더라도, 이인칭대명사 사용에 나쁜 인상을 가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며, JNS는 상대방의 상하관계가 동등하거나 낮은 경우에는 악영향이 늦게 나타난다는 평가가 많았다. 한편, 이인칭대명사 사용에 위화감이 있다는 평가 역시, 악영향과 마찬가지로 상하관계를 불문하고 JNS가 KLJ보다 많았는데, 위화감의 내용은 거의 마이너스 평가의 것이었다. KLJ는 윗사람을 이인칭대명사로 부르는 것이 실례나 무례라는 내용이 많았으나, JNS는 상하관계와 상관없이 이인칭대명사 사용에 거리감을 느낀다는 내용이 많았으며, 아랫사람에게 사용하는 경우 위압감이나 권위적 태도를 느낀다는 내용이 많았다.
日本語母語話者と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 初対面会話における評価と印象 ―韓国人日本語学習者を中心に―
시부야 마사에 한국일어일문학회 2018 일어일문학연구 Vol.10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valuation and the impression when the Japanese native speakers and the Japanese learners' first meeting. and reveal that factors of the evaluation and the impression. Targets of analysis for this study are the Japanese native speakers and the Japanese learners of advanced level who lives in Korea. The evaluation and the impression have two categories. One is communication ability and other one is the evaluation of an interpersonal impression. And the communication ability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grammar ability, discourse ability, social language ability and strategy ability.) The result of research, the non-native speakers usually pay attention to discourse ability and social language ability. Particularly they have the tendency to evaluate the society ability. Secondly, in terms of the evaluation of an interpersonal impression, It was revealed that the society ability and discourse ability to influence on impression deeply. Even if there was negative evaluation by communication ability, if a non-native speakers recognized the process which became negative evaluation, and if the negative evaluation was the part in the whole conversation, those don't have an influence on impression evaluation much. 본고의 목적은 모어화자와 일본어 비모어화자의 첫 대면 장면에 있어 서로가받는 평가와 인상은 어떻게 다르며 이 평가와 인상은 어떠한 요인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일본어 모어화자와 한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상급 일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평가와 인상을 커뮤니케이션 능력 항목 및 대인인상평가 항목 2개로 나눠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먼저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하위항목인 문법능력, 담화능력, 사회언어능력,전략(strategy) 4항목 중 비모어화자는 담화능력 및 사회언어능력에 주목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모어화자인 경우 사회언어능력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인인상평가를 말하자면, 비모어화자 전원이 ‘말하기 편안함’ 및 ‘배려’ 의 어느 쪽 하나 항목에 긍정적인 소감을 언급하였다. 소감에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항목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으므로 대인인상평가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항목의 영향을 크게 받았음을 추측되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항목에서 부정적인 평가가 있더라도 비모어화자가 부정적인 평가가 된 상황을 인식하고 있었을 경우 또는 대화 전체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한 점이 대화의 일부이었을 경우 대인인상평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