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의 동화정책에 이용된 신화

        Hosaka, Yuji 한국일어일문학회 1999 日語日文學硏究 Vol.35 No.1

        일제시대 한국에서의 동화정책은 특히 1930년대에 들어와서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을 철저화시키는 가운데 진행되었다. 1937년에 조선총독에 취임한 미나미지로오(南次郎)는「내선일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한국에서의 총동원 체제를 만들어 나갔다. 그리하여 조선총독부는「內鮮史實의 再認識」을 실천정책 목표들 중 하나로 삼았다.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에서의 국사 교과서가 수차례 개정되어,「일선동조론」 애 대한 기술이 점차 강화되어 갔다. 즉 일본의 국조신인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天照大神)의 동생 수사노오(소전명존)가 신라에 강림하여 한국의 시조가 되었다는 내용이 국사교과서에 등장하게 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수사노오와 檀君이 異名 同一神이라는 연구도 활발히 나와,「일선동조론」에 일조하고 있었다. 일제는「일선동조론」 에 반대하는 입장에서서 학설을 주장했던 츠다(津田左右吉)에게 유죄를 선고하는 등 언론탄압을 강화해 갔다. 「일선동조론」 은 조선총독이 공개적으로 말할 정도로 한국통치이념으로 작용되고 있었다. 그 당시 친일파들은 이러한 역사적 동화이념을 받아들이는 논리를 펴고 있었다. 그 논리는 다음과 같다. 한일은 고대에서 같은 신을 모신 같은 민족이었는데 한국이 중국의 영향을 받아 중국화되어 본연의 모습을 잃어 버렸다. 그래서 한일병합은 본연의 모습으로 회귀하는 것이고 일본과 하나가 되는 길만이 한국의 회생의 길이다. 3.1독립운동선언문을 쓴 최남선도 친일행각을 했으나, 「일선동조론」 의 핵심인 수사노오(소전명존) 한국시조설에는 반대하고 있었다. 그는 한국어 말살정책이 진행되던 일제말인 1943년에 한국어로 쓴 역사책을 펴내, 수사노오가 한국의 시조가 되었다는 「일선동조론」을 조용히 부정했다. 신화를 동원한 일제의 동화정책은 최남선과 같은 학자의 반대에 부딪치기도 하면서 여러가지 모순이 내재된 상태였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구말 음조 패턴에 관한 고찰-일 한 동일 문장을 사용한 비교 대조-

        키타노타카시 ( Kitano Takash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9 日語日文學硏究 Vol.108 No.-

        이 연구는 한국어 서울 방언을 모어로 하는 일본어 학습자의 어미에 나타나는 음조 패턴에 대해서 같은 내용의 문장을 사용해서 일본어와 한국어 양언어로 어떤 차이와 공통점들이 있는지 실험과 고찰을 실시한 것이다. 그 결과 모든 피험자의 일본어와 한국어의 음조 패턴이 높은 빈도로 같은 음조 패턴이 관찰되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어미 상승은 발화 의도를 거의 가지지 않는 모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한국인의 어미 상승 현상은 그들의 모국어인 한국어 서울 방언의 특징인 무악센트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지만 일본어 모어화자 중에서 어미 상승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점을 근거로 한국인 학습자가 일본어 모국어 화자를 모방하고 있다는 견해도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서 나타나는 어미 상승현상의 원인을 보다 확실히 할 목적으로 키타노(2017) 의 연구에서 같은 문장을 낭독해서 조사의 사용경향을 분석한 결과 특정 조사와의 공기관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인 학습자의 어미 상승 현상은 의도적인 발화 의도를 가지지 않는 단순한 모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키타노 (2017) 의 연구결과를 보강해서 한국인 학습자의 어미 상승 현상의 원인을 발화 의도를 가지고 있는 의식적인 언어 활동이라는 면보다 모국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언어 현상이라는 가설이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describe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of the UPTALK phenomenon among Korean learners, which is categorized by the pitch patterns made by Korean learners with Japanese and Korean sentences that have the same meaning. Clear similarities were demonstrated in the position and patterns of UPTALK in Japanese and Korean sentences among many of the participants. Previous researchers have also demonstrated that UPTALK among Korean learners is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and it is simply influenced by the Seoul Korean, which is known as a intonational dialect . It has also been observed that Korean learners imitate the UPTALK behavior of native Japanese speakers, especially among young females, such as when UPTALK has been observed in conversations. My previous research (Kitano 2015) provided clear evidence that Korean learners’ UPTALK is a language behavior influenced by their mother language but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providing evidence that Koreans learning Japanese use UPTALK for case-marking particles, while Japanese native speakers mostly use UPTALK for conjunctive particles. This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Korean learners’ UPTALK is a language behavior mainly influenced by their mother language and it is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additional analysis, which is described in this paper, indicat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UPTALK patterns of Korean learner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Korean learners use UPTALK with both Japanese and Korean sentences with clear similarities in the position and pattern of the UPTALK phenomenon, while Japanese native speakers use less UPTALK with Japanese sentences. This again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Korean learners’ UPTALK is a language behavior mainly influenced by their mother language but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with intended meaning of intonation

      • KCI등재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문화 관심도에 관한 일고찰 -일본어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시점을 중심으로-

        윤호숙 ( Youn Ho-sook ),윤정훈 ( Yoon Jeong-hun ),최진희 ( Choi Jin-hu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9 No.1

        국제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일본어 학습의 문화 이해와 문화 학습의 중요성에 의해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구체적으로 어느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연구에서는 일본어교육의 관심도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고 특히 문화에 관한 관심도 연구는 대부분이 제2언어에 있어서의 동기부여의 요인 가운데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본문화에 대한 관심도에 관해 상세하게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 일본문화는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특히 식문화)` `일본 여행`이고 낮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는 일본문화는 `일본의 개요` `일본의 대중문화`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교육 시 필요한 학습항목에 관해 알 수 있었으며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높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는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 `일본 여행`이 앞으로 일본어 수업과 교재개발 시 가장 우선시되어야 할 학습내용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관심도가 낮은 항목이라고 해도 교육적인 관점에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내용은 존재한다. 즉, 학습자가 관심이 높다고 해서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 `일본 여행`에만 너무 국한되면 교육의 기본 가치가 문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본어와 일본 문화를 학습할 때 전제가 되는 `일본의 개요` 등은 교재개발과 수업에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유학` 등 장기체류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는 `일본의 생활 정보`에 관한 학습내용도 필요하다. 본고의 의의는 선행연구에 비해 구체적인 조사항목을 추출하여 세부적으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관심도를 조사할 수 있었으며 일본어교육과 교재개발에 고려할 점을 시사하였고 학습내용의 방향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문화에 관한 관심도를 더욱 검토하여 금후 일본어 교육과 교재개발에 적극 활용하려고 한다. Due to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understanding on learning Japanese and learning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 investigation on the interest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s required. However, there were not much research conducted on this area which concerned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previous studies. Especially, cultural impact has been merely dealt with as a motivational factor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review as detailed the degree of the interest in Japanese culture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s possible. In the result of that,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re highly interested in Japanese culture such as “Japanese Media”, “Japanese daily life style (Specially about food)” and “Travel to Japan” whereas “Overview of Japan” and “Japanese public Culture” are less popular. Thus, this issue of learning items is needed for the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n future and the items like “Japanese Media”, “Japanese daily life style” and “Travel to Japan” are considered to put in priority when people make lesson plans and its textbooks. However, the parts which the learners felt less interested in is also needed to be considered carefully since there are some learnable contents in it. In other words, it would cause some problems when instructors only focus on this area which learners prefer to learn. Therefore, the part like “Overview of Japan”, a prerequisite to learn Japanese language and its culture,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lesson planning and textbook development.Also“General information about living in Japan”is recommended to learners who want to stay in Japan for a longer perio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direction and we can examine the specific survey items which detailed in Korean Japanese learner`s interest. To further examine the interest of the Japanese culture, Korean Japanese learners will identify through this study. They can take advantage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s.Media`, `Japan`s daily life`, `Travel to Japan`. Therefore, the part like `Overview of Japan`, a prerequisite to learning the Japanese language and its culture,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lesson plan and textbook development. Also, `General information about living in Japan` is recommended to the learners who want stay in Japan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direction and we were able to examine the extract specific survey items detailed in interest in Korean Japanese learner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study was uninteresting points to consider in the Japanese education and textbook development considering the high learning content future needs was is that. To further examine the interest of the Japanese culture, Korean Japanese learner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will try to take advantage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s.

      • KCI등재

        者敬語を表す文体における日韓比較 - 韓国ドラマの韓日対訳から見る文体使用の違い -

        김지은 한국일어일문학회 2022 日語日文學硏究 Vol.123 No.-

        한국어와 일본어의 청자 대우를 나타내는 문체에는 존댓말과 반말의 대응이 있다. 이런 공통점으로 인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일본어의 정녕체(丁寧体)와 보통체(普通体)의 문체도 한국어의 존댓말과 반말하고 똑같은 운용을 한다고 생각한다(田所2015). 그러나, 한국 드라마의 한일 번역 자료에서 두 언어의 문체 사용을 비교한 결과, 다른 점도 있었다. 발화 5개 중 1개 이상이 두 언어의 문체가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곧 두 언어의 청자 대우 문체의 운용이 반드시 같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언어의 각 문체의 사용 빈도를 보면, 원본의 한국어에 비해서 번역본의 일본어에서는 정녕체가 적은 반면에 문체생략체(文体省略体)와 보통체가 많았다. 두 언어의 문체가 불일치 하는 타입은 6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많은 것은 한국어의 존댓말에 일본어 보통체가 대응하는 타입이었다. 먼저, 한국어의 반말에 일본어 정녕체가 대응하는 경우는, 한국어의 추량형과 명령형의 반말을 여성 화자가 사용할 때, 일본어로는 정녕체인「でしょう」「なさい」로 바뀌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한국어의 반말을 일본어에서는 문 말을 생략하는 문체생략체를 사용함으로써 공손함을 조절하는 양상이 보였다. 한편, 한국어의 존댓말이 일본어에서 보통체가 되는 것은 합쇼체보다 해요체에 많았다. 그리고, 한국어의 존댓말이 일본어에서 보통체가 되는 요인으로는 화자의 속성과 심리 상태, 그리고 번역 상의 문제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그 중 변동적인 화자의 심적 요인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 KCI등재

        韓ㆍ日外來語比較硏究 : Newsweek誌(1998~2000)의 용례를 중심으로 A Contrastive Study on Loan Words in Korean and Japanese

        朴才煥,氷室祐子 한국일어일문학회 2003 日語日文學硏究 Vol.44 No.1

        본 연구는 현재 한국과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외래어에 대한 사용실태를 Newsweek誌 3년분을 통해 대조 연구한 것이다.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 일본어화 된 외래어의 수용이 있었으나 근래에 들어와 각자 독자적인 외래어 사용이 예상되며 어떠한 차이점과 유사점이 있는지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양국의 외래어 수용 자세는 양국의 외래어에 대한 이미지와도 직,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본어의 경우 외래어에 대한 사용이 한국에 비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축약형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어의 경우 상대적으로 사용례는 적었으나 독자적으로 만들어진 예도 있었다. 또한 시대를 반영하고 있어 컴퓨터, 인터넷 관련 어휘가 많이 눈에 띄었다.

      • KCI등재

        韓國人日本語學習者の日本語アクセントの生成及び知覺

        이경숙 ( Kyong Suk Yi ),酒井眞弓 ( Sakai Mayum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2 日語日文學硏究 Vol.83 No.1

        This study examined features relating to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Japanese accents by Korean learn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Japanese words with two to five morae were used as the study material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n their 20s; moreover, they all had Seoul dialects.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experiment indicated that Korean learners tend to pronounce Japanese words in type-2 accent patterns; such learners have a narrow pitch range. Moreover, Korean learners tend to pronounce a single word with two falling pitches, which would cause a native Japanese speaker to hear two accented morae in a single word. Further, a type-0 (Heiban; flat) pattern appeared in Korean learners` pronunciation. Incidentally, type-0 does not appear in Korean pitch patterns. The averag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perception experiment was 72%.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type-2 and type-0 were more than 85% in words with less than or equal to three morae. The results indicate that difficulty in perception can be attributed to individual accent types. Furthermore, words with type-1 (Atamadaka) and type-2 accent patterns had a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but type-0, type-3, and type-4 patterns were difficult for the learners to produce. The results suggest that production and perception are interdependent. In the future, longitudinal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Japanese accents are required.

      • KCI등재

        민국시기 연변지역에 있어서의 통역양성학교 - 설립경위를 중심으로 -

        김정실 ( Jin Ting Sh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0 日語日文學硏究 Vol.114 No.-

        연변의 지리적 위치와 정치적 상황의 특성으로 이 지역을 둘러싸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역학적인 움직임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변조선족자치주 당안관에 소장된 역사자료를 활용하여 외국어 야반(夜班) 연구소와 한국역재소(譯才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실태를 조사하여 객관적 역사사실에 접근하였다. 민 국(民國)측은 1914년 11 월에 통역사를 양성하는 외국어야반(夜班)연구소를 설립하고 일본어, 러시아어, 한국어를 가르쳤으며 1916 년에는 한국어역재소(譯才所)를 설립하여 조선어, 국문, 일본어를 가르쳤고 졸업생들은 연길현기관(機關) 에 등록되었다. 이와같이 민국(民國)측은 당시 복잡한 정치지리적상황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통역사 양성학교를 설립하여 국내 정치안정을 도모하려고 했다는 점을 본 연구를 통하여 규명하였다.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political situation made a great significance to Yanbian region. In this study, I tried to explore the actual condition by analyzing the history of the Evening School of Foreign Language and the Korean Translation Center, consulting the files of the Archives of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In november 1914, the Republic of China established the Evening School of Foreign Language, which trained interpreters, and taught Japanese, Russian and Korean. In 1916, the Republic of China established the Korean Translation Center, which taught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nd graduates worked in the institutions of the prefectures of Yanjidao. Thu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public of China actively established the school of interpretation at that time to achieve the political stability.

      • KCI등재

        日本語と韓國語の發想と表現の相違について : 自·他動詞表現を中心として 自·他動詞 표현을 중심으로 focused on Intransitive/Transitive Verb Expressions

        韓守雅 한국일어일문학회 2002 日語日文學硏究 Vol.42 No.1

        본고는 동일한 事象을 나타내는 일본어와 한국어 표현의 自ㆍ他動詞가 서로 대체되는 현상에 주목하여, 그것을 표현구조의 관점에서 예문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자ㆍ타동사는 그대로 대응 가능하며, 또한 그런 식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그것은 문법적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러나, 한국어의 자ㆍ타동사 표현을 그대로 일본어로 옮기면, 화자가 의도하지 않는 표현의도(合意)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화자와 事象, 그리고 화자와 수신자(聞き手)와의 관계나 사상에 대한 화자의 視点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은 궁극적으로는 양 언어가 내포하고 있는 발상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예문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일본어는 <動作主>를 내세우지 않고 자발성 또는 작용(動きかけ)의 결과인 상태에 초점을 둔 자동사 표현을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한국어는 <動作主>의 작용을 분명히 함으로써, 행위나 事象을 객관적으로 서술하는 타동사 표현을 취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다만, 예외적으로 일본어의 타동사 표현이 한국어에서는 자동사표현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일본어는 타동사표현이라고는 하지만 「非意?的他動詞文」으로서 이미 전형적인 타동사의 개념에서 벗어나고 있다. 주로 화자의 행위에 대한 책임의식이나 후회를 나타내는 상황과 의도에 한해서 쓰이는 표현이다. 특히, 내적인 요인의 경우에는 한국어에서도 「非意?的他動詞文」이 성립되지만, 외적 요인의 경우에는 일본어에서만 성립되는 표현이다. 그간의 선행연구에서도 일본어는 「自ずからなる」와 같이 표현한다는 지적이 있었는데, 이는 다름 아닌 일본어에서는 표현하려는 事象을 둘러싼 객체를 전체로서 파악하려는 지향이 강하다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었고, 그와 같은 선행 연구의 지적은 본고의 고찰을 통해서 보다 체계적이고 구조적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본고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자ㆍ타동사에 비로소 주목함으로써, 일본어 표현에서 타동사보다는 자동사 표현이 주로 쓰이는 까닭과 한국어 표현에서 동작주 지향적인 타동사 표현이 주로 쓰이고 있는 까닭을, 양 언어의 발상의 차이가 만들어 내는 표현구조에서 그 해답을 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일본어 작문교육을 위한 기초어휘 : 동사의 의도표현 연구

        민성홍 한국일어일문학회 1998 日語日文學硏究 Vol.33 No.1

        『한국에 있어서의 일본어 교육』이라는 시점에 맞추어 일본어 교육을 생각할 때, 항상 제기되는 문제는「일본어는 우리말과 어순이 같고 한자를 쓰니까 배우기 쉽다」라는 생각들이 일반적으로 뿌리 깊이 밝혀 있고 퍼져 있다는 것이다. 즉 일본어를 학습하려는 동기가 「일본어가 필요해서」, 「일본어 학습의 의의를 절감해서」가 아니라, 「왠지, 아주 배우기 쉽고, 거져 먹을 수 있을 것 같아서」라는 동기유발이 큰 문제이다. 그래서, 일본어도 소위 "Word by word translation"으로 되는 외국어가 아니고, 일본인의 오랜 민족의 역사 전통적인 문화의 배경을 가린 말이기 때문에, 우리말의 사고방식이나, 문화배경의 지식으로 이해되는 말이 아니라는 인식을 겸허하게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런 태도를 일본어 학습자들에게 깊이 주입시키는 것은 학습자들의 긴 안목에서의 학습태도, 끈질긴 도전을 유발하는 데에도 큰 보탬이 될 것이다. 이러한 생각을, 일본어 학습자에게 철저하게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아주 기본적인 한·일어의 「표현어구」에서, 혹은 「단순한 단어」 하나 하나에서, 소위 「직역」에서 오는 잘못이 얼마나 많은가를 깨닫게 해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일어의 가장 기본적인 어휘들을 구사하여, 「우리말다운 우리말」과 「일본어다운 일본어」의 표현법을 가르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기초를 다지는 좋은 방법이 된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의식을 실현하기 위해서 일본어의 「する」와「とる」를 이용하여, 「일본어다운 일본어」의 요체가 어디에 있는가를 알기쉽게 펴나갔다. 외국어 교육의 올바른 길은「기초를 중시해야 한다」는 의식과 실천에 있다고 보는 본인의 소론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