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창업기업의 생존율 변화 분석

        박춘주(Choon Ju Park),홍재범(Jae-Bum Ho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4

        본 연구는 청년창업기업의 창업 이후 생존율과 누적생존율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청년창업기업의 창업 이후 생존율과 그 변화를 기술보증기금의 자료를 바탕으로 교차분석과 생존분석 방법인 카플란-메이어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년창업기업의 창업자 특성으로 연령, 성별, 학력, 동종업종경험을 고려하고, 사업특성으로 기업 형태, 창업 업종, 창업지역을 고려하였다. 창업자의 특성으로 성별과 연령은 생존율에서 차이가 없었다. 학력은 고졸 이하, 전문대졸, 대졸, 대학원졸 순으로 생존율이 낮다. 누적생존율은 고졸 이하의 경우 24개월 이후 급격히 하락하며 그이후에도 높은 학력 수준에 비해 크게 하락한다. 동종업종경험에 따른 생존율은 1년 미만에서가장 낮고, 10년 이상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누적생존율 분석에서는 초기 12개월을 제외하고는 생존율이 일관되게 1년 미만, 10년 미만, 10년 이상 순으로 낮았다. 기업 형태는 생존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 창업 업종에서는 제조업과 정보통신보다 서비스업의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누적생존율 분석에서는 36개월까지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그이후부터 서비스업이 제조업과 정보통신보다 일관되게 높았다. 창업지역별 생존율 차이는 유의하다. 누적생존율 분석에서는 36개월 이후부터 충청이 가장 높고, 영남이 가장 낮은 추세가 일관되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창업자의 역량 중 학력과 동업종 경험이 높을수록 생존율이 높고, 사업특성에서는 창업 업종과 창업 지역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survival rate and cumulative survival rate of young start-ups after their start-up.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Technology Finance Corporation, the survival rate and changes of young start-ups since their start-up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and the Kaplan-Meier techniqu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 gender and age do not differ in the survival rate, so they are not significant variables. In terms of education, the survival rate is low in the order of high school or less, college, university and graduate graduates. The survival rate according to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was the lowest in less than 1 year and the highest in 10 years or more.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rporations and individuals. In the start-up industry, the survival rate of the service industry was higher than that of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Survival rates by start-up region were the lowest in Yeongnam and the highest in Chungcheong,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rates between regions. Taken together, the most important thing in young entrepreneurship is the founder's competenc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and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the higher the survival rate.

      • SCOPUSKCI등재

        새로운 병기 제안에 따른 전이성 폐암의 분석

        강정한,백효채,이진구,정경영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8

        1998년 Ginsberg등은 전이성 폐암의 새로운 병기를 제시하였다. 이 병기 제안은 폐 전이 병소의 완전절제 여부, 무병생존기간, 폐 전이 병소의 개수를 예후 인자로 제시하여 이들을 기초로 병기를 나누었다. 우리는 세브란스 병원의 전이성 폐암 환자들을 분석하여 새로운 병기와 장기 생존율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200년까지 전이성 폐암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둘 중 103명(92.8%)에서 완전절제가 가능하였다. 원발성 종양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암종이 60명, 육종이 46명, 그 외의 질환이 5명이었다. 무병생존기간은 0에서 35개월까지가 79명, 36개월 이상이 32명이었다. 하나의 폐 전이 병소를 가진 환자가 53명, 여러 개의 폐 전이 병소를 가진 환자가 58명이었다. 평균 추적기간은 49개월이었다. 결과: 전이성 폐암이 완전절제 후 3년 생존율은 48.2%, 5년 생존율은 32.6%인 반면, 불완전절제한 경우에서 3년 생존율은 21.9%였다. 완전절제한 한자들 중에서 무병생존기간이 0에서 35개월까지의 환자군에서 3년 생존율은 40.5%, 5년 생존율은 30.4%였고 36개월 이상인 환자군에서 3년 생존율은 75.9%, 5년 생존율은 39.0%였다. 하나의 폐 전이 병소를 가진 환자군의 3년 생존율 45.8%, 5년 생존율 30.5%이었고 여러 개의 병소를 가진 환자군의 3년 생존율 50.0%, 5년 생존율 34.4%였다. 병기 1기인 환자군의 3년 생존율 58.5%, 5년 생존율 43.8%, 2기 54.0%, 37.4%, 3기 38.4%, 3기 38.2%, 27.9%, 그리고 4기의 3년 생존율은 21.9%였다. 결론: 새로운 전이성 폐암의 병기 모델에 따른 세브란스 병원 환자들의 분석 결과, 병기가 진행됨에 비례하여 생존율도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전이성 폐암의 예후 인자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경험과 오랜 기간 동안의 추적 조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e new stage of metastatic lung cancer based upon resectability, disease-free interval, and the number of pulmonary metastases was proposed in 1998 by Ginsberg, et al. We evaluated the validity of the new staging proposal for pulmonary metastases through the analysis of experiences at Severance Hospital. Material and Method: The cases of 111 patients who underwent resection of metastatic lung cancer during the eleven-year period (1990-2000) were reviewed. Of these patients, 103(92.8%) underwent compete surgical resection. The primary tumor was carcinoma in 60 cases, sarcoma in 46, and others in 5. The disease-free interval(DFI) was 0 to 35 months in 79 cases adn more than 36 months in 32 cases. Single metastasis accounted for 53 cases and multiple lesions for 58 cases. Mean follow-up was 49 months. Result: The actuarial survival after complete metastasectomy was 48.2% at 3 years and 32.6% at 5 years; the corresponding values for incomplete resection were 21.9% at 3 years. The 3-year survival rate(3-YSR) for complete resction was 40.5% and 5-year survival rate(5-YSR) was 30.4% for patients with a DFI less than 36 months, the 3-YSR, 75.8% and 5-YSR, 39.0% for those with a DFI equal or more than 36 moths; 45.8% and 30.5% for single lesions, 50.0% and 34.4% for multiple lesions. The 3-YSR and 5-YSR were 58.5% and 43.8% for stage I patients, 54.0% and 37.4% for stage II, 38.2% and 27.9% for stage III and 21.9% for stage IV. Conclus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new stage of pulmonary metastases showed that the survival rate was different according to stage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e need more experiences and long-term follow up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 of metastatic lung cancer surgery.

      • 자궁경부암 1925예의 생존율 분석

        김원규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006 高神大學校 醫學部 論文集 Vol.21 No.1

        목적 : 이 논문의 목적은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과 치료방식에 따른 생존율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1993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고신대학교 부속 복음병원에서 치료받았던 총 1925명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우리는 후향적 차트분석법으로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 (나이, FIGO 병기, 종양 크기, 침윤 깊이, 자궁방 침범, 림프절 전이, 조직학적 유형) 과 각 병기에 있어서 치료방식에 따른 전체 5년 생존율을 연구하였다. 전체 5년 생존율은 통계청 사망 통계를 통해 구하였으며, 개별적인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과 치료방식에 대한 전체 5년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결과 : 자궁경부암 환자의 가장 흔한 그룹은 FIGO 병기 Ⅰa 및 Ⅰb (56.1%), 그리고 연령 30-50대 (74%) 이었다. FIGO의 임상병기에 따른 전체 5년 생존율은 Ⅰa (97%), Ⅰb(81%), Ⅱa (74%), Ⅱb (53%), Ⅲ(33%), Ⅳ(16%) 이었다. 종양 크기에 따른 전체 5년 생존율은 4cm 미만이 92.8%, 4cm 이상이 65.5% 이었다. 자궁경부의 침윤 깊이에 따른 전체 5년 생존율은 97.7% (<1/2), 84.4% (??1/2), 71.0% (전층) 이었다. 자궁방 조직 침범 여부에 따른 전체 5년 생존율은 침범하지 않은 경우에서 90.1%, 침범한 경우에서 70.0% 이었다. 림프절 전이에 따른 전체 5년 생존율은 전이하지 않은 경우에서 91.1% 전이한 경우에서 72.5% 이엇다. 조직학적 유형에 따른 전체 5년 생존율에서는 유의한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치료 유형에 따른 병기 Ⅰb에서 전체 5년 생존율은 수술 단독 97.7%, 선행적 항암화학치료 이후 수술 91.6%, 수술 이후 항암화학치료 88.4%, 수술 이후 방사선 치료 75.3%, 방사선 치료 단독 74.3%, 선행적 항암화학치료 이후 방사선치료 59%, 그리고 항암화학치료 및 수술 및 방사선 치료 모두 시행한 경우에서는 58.1% 이었다. 병기 Ⅱa 에서는 선행적 항암화학치료 이후 수술 92.6%, 수술 이후 항암화학치료 89.1%, 수술 단독 76.4%, 방사선치료 단독 76.4%, 선행적 항암화학치료 이후 방사선치료 70.2%, 항암화학치료 및 수술 및 방사선치료 모두 시행한 경우 60.8%, 수술 이후 방사선치료 59.2%, 항암화학치료 단독 24.9% 이었다. 병기 Ⅱb에서는 수술 이후 항암화학치료 87.5%, 선행적 항암화학치료 이후 수술 82.6%, 방사선치료 단독 57.4%, 항암화학치료 및 수술 및 방사선치료 모두 시행한 경우 48.3%, 선행적 항암화학치료 이후 방사선치료 45.5%, 항암화학치료 단독 44.6%, 수술 이후 방사선치료 37.5%, 수술 단독 0% 이었다. 결론 : 자궁경부암 1925예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과 치료방식에 따른 5년 생존율을 분석하였으며 FIGO 병기와 임상병리학적 인자들에 따른 적합한 치료방식을 연구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연구들이 생존율 향상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verall survival rate according to clinicopathologic prognostic factors and the treatment modalities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Method : From January 1993 to December 1998, the 1925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treated at Gospel Hospital were analyz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investigated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FIGO stage, tumor size, stromal invasion depth, parametrium involvement,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 type and the treatment modalities through the medical records. Results : The most common subsets of patients were found in the group of FIGO stage Ⅰa, Ⅰb (56.1%) and age between 30 and 59 (74%).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clinical stage were as follows; stageⅠa (97.3%), Ⅰb (81.8%), Ⅱa (68.4%), Ⅱb (50.0%), Ⅲ (34.7%), Ⅳ (14.6%).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tumor size were as follows 92.8% (<4cm) vs 65.5% (??4cm).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cervical stromal invasion depth were as follows 97.7% (<1/2), 84.4% (??1/2), 71.0% (whole layer).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se according to the parametrium involvement were 90.1% in negative and 70.0% in positive. The overall 5-year a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lymph node metastasis were 91.1% in negative and 70.0% in positive. Bu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urvival rate for histologic typ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s in stage Ⅰb according to the type of treatment were 97.7% in surgery alone, 74.3% in radiotherapy alone, 88.4% in surgery plus chemotherapy, 75.3% in surgery plus radiotherapy, 91.6% in neoadjuvant chemotherapy plus surgery, 59% in neoadjuvant chemotherapy plus radiotherapy, 58.1% in chemotherapy plus surgery plus radiotherapy. In stage Ⅱa,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s were 77.8% in surgery alone, 76.4% in radiotherapy alone, 89.1% in surgery plus chemotherapy, 59.2% in surgery plus radiotherapy, 92.6% in neoadjuvant cheomotherapy plus surgery, 70.2% in neoadjuvant cheomotherapy plus radiotherapy, 60.8% in chemotherapy plus surgery plus radiotherapy, 24.9% in chemotheray alone. In stage Ⅱb,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s were 0% in surgery alone, 57.4% in radiotherapy alone, 82.6% in neoadjuvant chemotherapy plus surgery, 45.5% in neoadjuvant chemotherapy plus radiotherapy, 87.5% in surgery plus chemotherapy, 37.5% in surgery plus radiotherapy, 48.3% in chemotherapy plus surgery plus radiotherapy, 44.6% in chemotherapy alone, Conclusion : We analyzed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clinicopathologic factors and treatment modalities. And we investigated the most suitable treatment modality for each FIGO stage and clinicopathologic factors. We think this is nessessary to achieve the better survival rate in cervical cancer patients.

      • SCOPUSKCI등재

        Warm Ischemic Time 에 따른 냉동보존돼지판막의 세포생존율

        박영환,윤치순,이종은,장병철,박종철,서활,조범구,Park, Young-Hwan,Yoon, Chee-Soon,Lee, Chong-Eun,Chang, Byung-Chul,Park, Chong-Chul,Hwal, Su,Cho, Bum-Koo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4

        배경: 판막대치술에 냉동보존판막의 이용은 감염에 대한 저항성과 탁월한 혈류역학으로 증가하고 있다. 판막육아세포의 생존율은 이식된 냉동보존 판막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고, 세포의 생존율은 warm ischemic time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냉동 보존하여 이식할수 있는 공여 판막의 warm ischemic time 의 적정치를 구하기 위하여, warm ischemic time에 다른 세포의 생존율을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조직의 획득: 실제 판막을 냉동 보존하는 상황과 유사하게 하기 위하여 도살된 돼지의 심장과 폐를 밀봉한 상태로 4~8$^{\circ}C$로 냉장 보관하여 (warm ischemic time)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심장과 폐에서 심장을 적출하여 4$^{\circ}C$하트만 용액에 24시간 보관하였다.(cold ischemic time). Warm ischemic time에 따라 2시간, 12시간, 24시간 36시간으로 4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마다8개의 돼지 심자을 이용하였다. 2. 조직의 멸균: RRMI 1640에 항생제를 섞은 용액에 멸균하고, 3 냉동과 냉동보존; American tissue bank에서 제시한 냉동곡선에 따라 냉동하여, 액체질소 탱그에서 7일간 보존 후 해동하였다. 4. 생존율의 측정; 판막의 생존율 검사는 Triphan blue test로 하였고, 각각 warm ischemic period후 , cold ischemic period 후, 해동 후에 시행하였다. 5. 분석방법; 분석은 SAS program의 pearson correlation으로 하였다. 결과: 1. 멸균, 냉동과 냉동 보존하는 과정의 적합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이 과정의 전과 후인 Cold ischemic period 후와 해동 후의 대동맥판막의 생존율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었다.(p =0.619). 2, warm ischemic time 과 warm ischemic period 후 , Cole ischemic period 후와 해동후의 대동맥판막의 생존율과의 correlation 은 각각 R= -0.857, -.0.673과 -0.549로 강하거나 , 혹은 뚜렷한 음성적 관계가 있었다. 삼천판막의 생존율과 대동맥판막의 생존율과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1. Warm ischemic time 이 길어지면 판막유아세포의 생존율이 감소하고, 12시간 이상되면 해동후의 판막육 아페포의 생존율이 50% 이하로 떨어졌다. 2. 본 연구에서 시행한 판막의 냉동보존방법은 세포의 생존율을 유지하는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삼천판막으로 대동맥판막의 생존율을 예측해 볼 수 있다. 3. 그러나, 이식후 장기간 적절한 내구성을 갖기 위한 이식될 판막의 생존율은, 육아세포에 관한 여구가 좀 더 되어야 규명될 것이다.

      • KCI등재

        창업이후 1인 창조기업의 생존율 변화 분석

        최승두(Seung Doo Choi),김영춘(Young-choon Kim),홍재범(Jae-Bum Ho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2

        본 연구는 1인 창조기업의 창업 이후 생존율과 누적생존율을 분석한 것이다. 기술보증기금의 자료를 바탕으로 1인 창조기업의 창업 이후 생존율과 그 변화를 빈도분석과 생존분석(카플란-메이어)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1인 창조기업의 특성으로 창업자의 성별, 나이, 학력, 동종업종경험 그리고 사업특성으로 창업형태, 영위업종을 고려하였다. 창업주체를 기준으로 볼 때,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만, 성별에 따른 생존율 차이는 거의 없다. 20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작고, 20대의 생존율은 낮다. 20대의 생존율은 완만하게 하락하다 12개월을 기점으로 급격히 하락하였다. 학력은 대졸과 고졸이하가 대부분이며, 고졸이하의 생존율은 낮다. 고졸의 생존율은 완만히 하락하다 12개월을 기점으로 급락하여 20대의 생존율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동종업종경험에 따른 생존율은 5년이하, 10년이하, 10년초과 사이에 큰 차이가 없다. 이들의 생존율은 일정하게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창업형태는 개인사업자가 다수이지만 법인과 개인사업자 간 생존율 차이는 없다. 영위업종에서는 제조업이 서비스업이 비해 낮고 생존율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하게 하락하였다. 1인 창조기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창업자의 역량이며 학력이 높을수록 해당업종의 경험이 많을수록 생존율이 높았다. 20대 창업이나 고졸창업, 5년미만 창업의 경우 생존율이 낮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survival rate and cumulative survival rate of a one-man creative company after its founding. Based on the data from the Korea Technology Guarantee Fund, the survival rate and its changes after the founding of a one-man creative company a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survival analysis (Kaplan-Meyer). As the characteristics of a single-person creative company, the founder s gender, age, education,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and business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Analysis on the types of business are also analyzed. Although the proportion of male is high, there is no difference in survival rates by gender. The proportion of those in their 20s is small, the survival rate in their 20s is low. The survival rate in the twenties declined gradually, and then declined sharply from 12th months. Most of them have a university degree or less than a high school graduate, and the survival rate for those with a high school graduate or less is low. The survival rate of high school graduates declined gradually, and then declined sharply from 12 month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5 years or less, 10 years or less, and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Although there are many individual entrepreneurs, there is no difference in survival rate between corporations and individual entrepreneurs. In the business sect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lower than that of the service industry, and the survival rate has declined consistently over tim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 one-man creative enterprise is the competence of the founder, and the higher the education, and the more experienced in the industry, higher the survival rate. The survival rate is low in those in their twenties, high school graduates, and startups less than 5 years old.

      • KCI등재

        자궁육종 40예의 예후인자 분석

        최종열 ( Jong Yeol Choi ),김형중 ( Hyoung Jung Kim ),어완규 ( Wan Kyu Eo ),김흥열 ( Heung Yeol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6

        목적: 자궁육종은 중배엽기원의 비교적 드문 악성종양으로서 자궁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들 중에 약 2-6%를 차지하는 가장 악성도가 높은 종양이며 그 진단과 치료에 있어 어려움이 따른다. 이 논문의 목적은 자궁육종의 임상병리학적 소견 및 환자의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조직학적으로 자궁육종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통해 임상적 결과 및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결과: 자궁육종 환자의 연령분포는 28세에서 71세 사이였고 평균연령은 48세이었다. 흔한 임상증상으로는 비정상적 자궁출혈, 복부 동통 및 하복부 종괴 등이었다. 자궁육종 환자의 전체 5년 생존율은 48.9% 이었고 평균 생존기간은 73.6개월이었다. 연령에 따른 전체 5년 생존율을 비교할 때, 50세 미만 24명의 생존율(69.1%)은 50세 이상 16명의 생존율 (24.6%)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좋은 예후를 나타내었다. (p=0.0139). 조직학적 유형에 따른 분류에서 각각의 환자 분포는 자궁근육종 21명 (52.5%), 자궁내막기질육종 8명 (20.0%), 악성혼합뮬러씨종양 10명 (25.0%) 그리고 지방육종1명 (2.5%)이었으며, 악성혼합뮬러씨종양의 전체 5년 생존율이 자궁근육종과 자궁내막기질육종의 전체 5년 생존율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더 나쁜 예후를 나타내었다. (p=0.0423). FIGO의 수술적 병기에 따른 분류에서 각각의 환자 분포는 1기 26명 (66.7%), 2기 4명 (10.3%), 3기 5명 (12.8%) 그리고 4기 4명 (10.3%) 이었으며, 병기 1기와 2기의 전체 5년 생존율 (61.8%)이 병기 3기와 4기의 전체 5년 생존율 (11.1%)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더 좋은 예후를 나타내었다. (p=0.0011).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세포유사분열수 10개/10 HPF 미만의 환자 14명의 전체 5년 생존율 (83.9%) 10개/10 HPF 이상의 환자 13명의 전체 5년 생존율 (38.5%)보다 좋은 예후를 보이는 경향 있었으며 (p=0.0568), CA-125 35 U/mL 미만의 환자 6명의 전체 5년 생존율 (83.3%)은 35U/ml 이상의 환자 12명의 전체 5년 생존율 (20.8%)보다 좋은 예후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p=0.0580). 그러나 폐경 여부와 치료 방식에 따른 전체 5년 생존율 비교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궁육종은 안 좋은 예후를 나타내는 악성종양으로서, 우리의 연구에 의하면 나이, 조직학적 유형, 병기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로 나타났다. Objective: Uterine sarcomas are rare tumors of mesodermal origin and constitute 2-6% of uterine malignancies. They are the most malignant group of uterine tumors and present difficult problems with regard to diagnosis and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opathologic finding and outcome of patients with uterine sarcoma. Methods: From Jan. 1996 to Dec. 2004, 40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uterine sarcomas at Gospel Hospital were evaluated for their clinical profile and survival retrospectively. Results: The age of patients with uterine sarcoma ranged 28 to 71 years, and the mean age was 48.0 years. The common presenting symptoms were abnormal uterine bleeding, abdominal pain and lower abdominal palpable mass.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of uterine sarcoma was 48.9% and the mean survival time was 73.6 months.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of 24 patients less than 50 years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16 patients more than 50 years, 69.1% vs 24.6% (P=0.0139).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histologic type, there were 21 cases (52.5%) of leiomyosarcoma (LMS), 8 cases (20.0%) of endometrial stromal sarcoma (ESS), 10 cases (25.0%) of 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s (MMMT) and 1 case (2.5%) of liposarcoma.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of MMMT was significantly worse than that of LMS and ESS, 26.7% vs 49.0% and 100.0%, respectively (P=0.0423). Classifying according to the FIGO surgical staging criteria, we found the following distribution; stage I of 26 cases (66.7%), stage II of 4 cases (10.3%), stage III of 5 cases (12.8%) and stage IV of 4 cases (10.3%).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of stage I and II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stage III and IV, 61.8% vs 11.1% (P=0.0011).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of 14 patients less than 10 mitotic figures per 10 high-power microscopic fields had a tendency to good prognosis than that of 13 patients more than 10 mitotic figures per 10 high-power microscopic fields, 83.9% vs 38.5% (P=0.0568).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of 6 patients less than 35 U/mL of CA-125 had a tendency to good prognosis than that of 12 patients more than 35 U/mL of CA-125, 83.3% vs 20.8% (P=0.0580). However, menstrual status and treatment modality were not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Conclusions: Uterine sarcoma are aggressive tumors with a poor prognosis. Age, histologic type, and st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in uterine sarcomas.

      • KCI등재
      • KCI등재

        Wheel Balance Cancer Therapy in the Treatment of Metastatic Gastric Carcinoma : A Retrospective Analysis of 62 Patients

        박정석,유화승,이연월,조정효,손창규,조종관,Park, Jeong-Seok,Yoo, Hwa-Seung,Lee, Yeon-Weol,Cho, Jung-Hyo,Son, Chang-Gue,Cho, Chong-Kwan The Society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07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8 No.3

        배 경 : 위암은 세계적으로 암으로 인한 사망의 가장 많은 원인 중 하나이다. 위암 환자들은 진단시 자주 원격전이를 나타내고, 아직까지 수술이나 전이와 재발을 막기 위한 화학요법 후의 표준화된 요법은 없다. 목 적 : 연구 목적은 ‘수레바퀴 암치료법(WBT)’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에 있어서의 전체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을 WBT 단독 혹은 기존 통상요법과 병용치료한 환자들을 비교하고 두 그룹의 생존율에 있어 유의성이 있는지를 관찰하는 것이다. 세팅과 디자인 :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후향적 연구. 자료와 방법 : WBT를 시행하기 2개월 이전까지 수술이나 화학요법을 받은(혹은 어떠한 통상치료도 받지 않은) III기(40명)와 IV기(22명)의 62명의 위암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했다. 환자들은 전이와 재발을 방지하는 PSM 캡슐, OnePlus 시럽, 항암단과 같이 한약을 포함한 WBT 계획을 따랐다. 전체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을 분석했으며 환자들은 III기와 IV기 각각 89.55주와 49.27주(평균치) 동안 치료를 받았다. 통계분석 : 전체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Kaplan-Meier법으로 측정하고 WBT 단독 및 병행 치료는 log rank test로 비교했다. 결 과 : III기에서 3년 전체생존율은 78.5%이고, 무병생존율은 78.3%였다. 40명 중 13명의 환자(32.5%)에게 전이와 재발이 있었다. IV기에서 2년 전체생존율은 18.2%이고, 무병생존율은 또한 18.2%였다. 22명 중 19명(86.4%)에게서 전이와 재발이 있었다. WBT 단독 및 병행치료법 중 병행치료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전체생존율 p=0.5093, 무병사망율 p=0.5175 ). 결 론 : WBT는 위암 환자들에게 생존기간을 늘이고 전이를 방지하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산출했다. WBT의 주된 치료법은 한약(항암단, PSM 캡슐, OnePlus 시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후에는 무작위의 전향적인 연구가 이 치료법만을 이용해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s : Gastric cancer is one of the most frequent causes of cancer-related deaths worldwide. Gastric cancer patients frequently exhibit distant metastasis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at present, there is no standard regimen after operation or chemotherapy to prevent metastasis and recurrences. Aims :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with wheel balance therapy (WBT) with patients treated with WBT alone or the combination of WBT and conventional therapy and see if there were an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urvival between the two groups. Setting & Design : East-West Cancer Center at Daejeon University: retrospective study. Materials &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62 patients with stage III (40 patients) and stage IV (22 patients) gastric cancer who have received operation or chemotherapy 2 months prior to beginning WBT. The patients followed the WBT protocol which includes herbal medicine such as PSM capsules, OnePlus syrup, or HAD capsules which prevent metastasis and recurrences.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were analyzed and the patients were treated for 89.55 weeks and 49.27 weeks (median value) for stages III and IV, respectively. Statistical analysis used :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were estim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and the WBT and combination treatment arms were compared using the log rank test. Results : For stage III, the 3 year overall survival was 78.5% and disease free survival was 78.3%. Metastasis and recurrence occurred in 13 of 40 patients (32.5%). For stage IV, the 2 year overall survival was 18.2% and disease free survival was also 18.2%. Metastasis and recurrence occurred in 19 of 22 patients (86.4%).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statistically between the WBT alone and combination treatment arms though the combination regimen showed superiority (overall survival p=0.5093, disease free survival p=0.5175). Conclusions : WBT yielded satisfactory results in prolonging survival and preventing metastasis and recurrence in gastric cancer patients. The major treatment unit of WBT is composed of herbal medications (HAD, PSM capsules, OnePlus syrup) and a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should be carried out using only this treatment unit in the future.

      • KCI등재

        수지 첨부 재접합술에서 생존율의 예측 인자

        이태경,최진희,양태영,우상현 대한수부외과학회 2019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4 No.1

        Purpose: To evaluate the variable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rate in fingertip replantation.Methods: We have performed 640 replantation cases of amputation distal to the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between January 2010 to June 2018. Retrospectively, patients were analyzed about variable factors (age, sex, injury mechanism, amputation level according to Ishikawa subzone, ischemic time, surgical experience, vein anastomosis, vein graft) affect-ing the survival rate of fingertip replantation.Results: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76.9% (492 of 640). Male patients were more than female (511 of 640, 79.8%), but survival rate of female was higher than male (80.6%).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45.3 years old (15 months to 76 years). In the level of injury, amputation of distal phalanx was most frequently occurred at Ishikawa subzone I (167 of 640). Survival rate of subzone I (80.8%) and II (85.8%) was higher than subzone III (72.4%) and IV (66.8%). In the type of injury, local crushing injury (345 of 640) was most common cause of amputation. And severe crushing injury (66.5%) was the lowest survival rate than others; guillotine (87.0%) and local crushing (80.3%). Total ischemic time was 631 min-utes. Ischemic tim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 higher survival rate for vein anastomosis group (77.9%) than salvage group (66.4%) in Ishikawa subzone III and IV. The success rate of fingertip replantation is getting higher with experience of hand surgeons.Conclusion: The factors of age, sex, and ischemic times do not affect the survival rate of fingertip replantation. The level of injury, injury mechanism, vein anastomosis, vein graft, surgical experience of the surgeon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the survival rate of fingertip replantation. 목적: Ishikawa subzone을 기준으로 수지 첨부에서 접합술을 시행한 640예를 분석하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방법: 본원에서는 2010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총 640예의 Ishikawa subzone I 구역에서 IV 구역까지 수지 첨부 재접합술을 시행하였고 이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 환자에서 재접합술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이, 성별, 절단 수지, 절단 위치, 손상 기전, 허혈 시간, 외과의사의 수술 경력, 정맥 문합 및 구제술 여부, 정맥 이식 여부에 대해 분석하였다.결과: 본원에서 원위지 접합의 생존율은 76.9%로 보고되었다.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았지만(79.8%) 생존율은 여성이 더 높았고(80.6%), 환자의 평균 나이는 45.3세(15개월-76세)였다. 절단 위치는 I 구역에서 가장 많았고(167예), I 구역(80.8%)과 II 구역(85.8%)의 생존율은 III 구역(72.4%)과 IV 구역(66.8%)의 생존율보다 높았다. 손상 기전은 국소 압궤 손상이 가장 많았으며, 심한 압궤 손상(66.5%)이 단두대 손상(87.0%)과 국소 압궤 손상(80.3%)보다 성공률이 가장 낮았다. 총 허혈 시간은 631분이었으며 이는 생존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III 구역과 IV 구역에서 정맥을 연결한 군(77.9%)이 구제술을 시행한 군(66.4%)보다 생존율이 더 높았다. 수부외과 세부전문의 수술 경력에 따른 생존율은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였다.결론: 수지 첨부 접합술 시 생존율에 영향은 미치는 요인은 절단 구역, 손상 기전, 외과의사의 수술 경력, 정맥 문합 여부, 정맥 이식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수술 전 환자와 집도의에게 접합술의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