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겔의 미학에서 예술의 생명성

        서정혁 한국헤겔학회 2011 헤겔연구 Vol.0 No.29

        Hegel asserts in Aesthetics that art is superior to nature, but that the principle of animal organism can be applied to art as an assistant premise. The classic art belongs to this part. Here could be raised a few questions. First, how can be nature a meaningful comparative object of art? Second, is liveliness(Lebendigkeit) of art possible only in classic art form? Third, what meaning does it have, if liveliness of art is possible after dissolution of classic art?Toward these questions, this essay will give these answers; First, liveliness of classic art is comparable to liveliness of animal organism, because the relation between concept and reality is comparable to the relation between soul and body. And then, for example the harmonious beauty is realized in sculpture of classic art form. Second, Hegel refers to the pastness of art in Aesthetics when he says that idea of beauty is realized in classic art. According to his opinions, the pastness and end of art results from romantic art form, because the ideal is dissolved in romantic art form. But Hegel thinks that liveliness of art is possible in this art form, because there is anthropomorphism in romantic art form that can make a real harmony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Third, after romantic art form it is possible that many ordinary things are accepted as art's materials. Because of this possibility, art has the purpose to grasp and express a moment and variability of ordinary life. And then human beings and their endless developments can be used as art's materials. This appearance means that art dissolves itself and negates its limit. Hegel asserts that we has arrived on a period when we can't say what truly art is. This insight into art is still important and meaningful until now. 헤겔은 ‘미학 강의’에서 자연에 대한 예술의 우위를 주장하면서도, 동물적 유기체에게 적용되는 원리가 미학의 ‘보조적인 전제’로 수용될 수 있으며, 예술형식들 중 내용과 형식이 온전히 합치하는 고전적 예술이 영혼과 육체의 통일에서 비롯되는 유기적 ‘생명성’에 비견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다음과 같은 질문이 제기 가능하다. 첫째, 어떻게 생명성과 관련하여 자연과 예술이 서로 유의미한 비교대상이 될 수 있는가? 둘째, 예술의 생명성은 고전적 예술에서만 가능한 것인가? 셋째, 고전적 예술의 해체 이후에도 예술에서 생명성이 가능하다면, 그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이 같은 물음들과 관련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검토한다. 첫째, 동물적 유기체의 생명성과 고전적 예술형식의 생명성이 어떤 점에서 서로 유의미하게 비교대상이 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동물적 유기체에서 나타나는 생명성이 원칙적으로 자연미보다 예술미를 우선시하는 헤겔의 ‘미학 강의’에서 ‘보조적 전제’로 수용가능한지에 대해 논한다. 특히 동물적 유기체에서 ‘영혼과 육체의 일치’라는 점과 예술에서 ‘개념과 실재의 일치’라는 점을 상호 비교검토해 보고, 개념과 실재가 온전히 딱 들어맞는 고전적 예술형식에서 조각과 같은 예술작품을 통해 어떻게 조화로운 아름다움이 실현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둘째, 헤겔의 ‘미학 강의’ 내에서 고전적 예술형식의 해체 이후에도 과연 예술에게 ‘생명성’이 가능한지, 만일 가능하다면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낭만적 예술형식과 ‘예술의 과거성과 종언’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헤겔은 ‘미학 강의’에서 고전적 예술에서 아름다움의 이념이 온전하게 실현된다고 언급하면서 곧이어 ‘예술의 과거성’을 논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예술의 과거성’은 더 이상 개념과 실재가 온전하게 일치하지 않고, 이념상(das Ideale)이 분열되고 해체되어 버리는 낭만적 예술형식의 성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 헤겔에 의하면 낭만적 예술형식에서는 기독교의 영향으로 유한한 인간이 자신 속에서 ‘죽음’이라는 부정적 계기를 내면화하면서 ‘신과 인간의 진정한 화해’가 이루어지고 의인(신)관(Anthropomorphismus, 신인동형설)이 완성된다. 이 점에서 ‘예술의 과거성’은 한편으로 이상적인 고전적 예술형식의 과거성, 종언을 함축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고전적 예술형식의 해체 후에도 여전히 예술에서 ‘생명성’을 논하는 것이 유의미하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셋째, 낭만적 예술형식 및 그 해체 이후 다양한 외면적 삶이 예술과 관련하여 지니는 특징과 의미에 관해 살펴보고, 헤겔의 관점에서 예술의 본질을 현재에 비추어 조명해 본다. 헤겔에 의하면 절대적 주관성과 내면성을 우선시하는 낭만적 예술형식을 거치면서 예술에서는 모든 평범한 객관을 소재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가능성으로 인해 예술은 더 이상 아름다움의 이념을 감각적으로 표현하는데 목적을 두지 않고, 오히려 평범하고 일상적인 삶을 그 가변성과 유한한 일시성 속에서 포착하는데 의미를 둔다. 그리고 ‘인류 전체와 그들의 전체 발전’이 예술의 무한한 소재가 된다고 한다. 결국 이러한 상황은 예술이 예술 스스로를 해체하고 자신의 경계를 부정하는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고, 헤겔의 표현대 ...

      • KCI등재후보

        식물의 유기체적 생명성 표현에 관한 연구

        최혜인 동서미술문화학회 2017 미술문화연구 Vol.11 No.11

        As for living things, in particular plants are a source of a circulating life and a basis of the ecosystem. The reason is that plants supply the earth with oxygen and play a pivotal role in the ecosystem of the earth as an essential energy source for herbivores. Plants live a life for themselves while taking in the sunlight and water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nature. Plants also have a struggling lie for the survival though seemingly less obvious compared with animals. It is being expressed silently by forms that seem static. This paper examines the expression of an organic life of plants, especially of edible plants. The reason is that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a life of normal edible plants or vegetables on the table rather than beautiful flowers and trees, Four Gracious Plants including plu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and ornamental flowering plants. Art does not necessarily deal with unique and mysterious ones as its subject matter. Rather, it plays a role of giving a wide range of thinking and recognition to one’s perspective on things by paying attention to the normal hidden in the special so finding out precious beauty of such a normal thing. In that regard, edible plants in the works enable us to look at newly intimate and familiar things inherent in a daily life through a lens of ‘defamiliarization. A body of my works mainly on edible plants shows that a series of growth processes from germination to extinction expresses a characteristic of an organic life which is variable, circulating, and at the same time constant. Besides, my work view that edible plants including mushrooms and bean sprouts growing, reproducing and dying in a colony represent a characteristic of a life competing and living together like that of a human society. In fact, community plants in my works form a group bound by a common destiny where they grow up, thrive and die together while entwining with each other in a network rather than an individual life. Hence, their lives shown from my works are developed in an unfamiliar and silent but intense way. A coloring technique adopted in this study is deep coloring to express characteristics of edible plants properly. The reason is that deep coloring expresses circulation of edible plants most adequately since it is a technique requiring physical time for repeating coloring and drying. Life cycles of edible plants are short but repetitive, and their familiar lives are expressed by composing various layers with deep coloring through‘defamiliarization. In this regard, a life in this thesis means not momentary life where energy of a life is released suddenly but ‘circulating’ life where germination, growth and extinction are repeated endlessly. Furthermore, edible plants have to endure fierce competition in a colony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positioned at the table most intimately with human beings than any other plant so they express both flexible and tough vitality completely. Therefore, deep coloring was used because they correspond to its characteristics layering one on the other. Finally, my works aim at expressing circulative lives and colonies of numerous edible plants, their organic lives and characteristics from a multilayered perspective using natural pigments, dyes and others on a variety of grounds including mural painting such as fresco and secco, silk, Korean paper and linen. 식물은 순환적인 삶의 원천이자 생태계의 기반이다. 이는 식물이 대지에 산소를 공급하는 동시에 초식 동물들의 필수적인 에너지원으로서 지구 생태계의 중추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식물,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식용 식물의 유기체적 생명성 표현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는 본 연구자가 아름다운 꽃이나 수목, 사군자나 관상용 화초들이 아니라 밥상에 올라오는 평범한 식용 식물, 채소의 생명성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예술은 독특하고 신비로운 대상만을 작품 소재로 삼지 않는다. 오히려 특별함 속에 묻혀 있는 평범함에 주목해 그 평범함의 소중함을 발굴함으로써 사물을 바라보는 시각에 보다 폭넓은 사유와 깨달음을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그런 의미에서 작품 속 식용 식물 소재들은 일상 속에 깊이 녹아 있는 친밀함을 익숙하면서도 때로는 낯설게 바라보게 해준다. 식용 식물을 주로 다루고 있는 본 연구자의 작품 세계는 씨앗의 생성에서부터 소멸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생장 과정이 순환적인 동시에 항상(恒常)적인 유기체적 생명성의 특성을 표현하고 있다고 파악하였다. 이와 함께, 군집을 이루며 성장하고 번식하며 소멸하는 버섯과 콩나물 등의 식용 채소들은 인간 사회와 마찬가지로 경쟁하는 동시에 공생하는 삶의 특성을 대변하고 있다고 보았다. 실제로 본 연구자의 작품에 등장하는 군락 식물들은 삶 자체가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얽히고 설켜서 함께 자라고 함께 번성하며 함께 소멸되는, 관계망 속에서의 공동 운명체이기에 작품을 통해 드러나는 이들의 생명성은 익숙하지만 생경하게, 또 조용하지만 치열하게 전개된다. 식용 식물이 지니는 이러한 특성들을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택한 채색 기법은 진채(眞彩)이다. 이는 진채가 칠하고 마르는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물리적인 시간이 필요한 기법이기에 식용 채소의 순환성을 가장 잘 표현한다고 인식했기 때문이다. 생의 주기가 짧기에 오히려 반복적인 생의 주기가 더욱 익숙하게 다가오는 식용 채소의 생명성은 진채 기법으로 다양한 층위(layers)를 이루며 표현된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본 논문에서 다루는 생명성은 생의 에너지가 갑작스레 발산되는 순간적이고 일회적인 생명성이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 발아와 성장, 그리고 소멸이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순환적’ 인 생명성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가 제작한 작품들은 습식벽화, 흙벽화, 견(絹), 한지와 마(麻) 등 다양한 바탕재 위에서 광물・식물성 안료와 자연 염료, 기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수많은 식용 식물들의 순환적인 삶과 군집 방식, 유기체적 생명성과 그 특성들을 다층적으로 표현하고자 의도했음을 밝힌다.

      • KCI등재

        음악의 생명성: 발제주의에 의한 해명

        정혜윤 한국서양음악학회 2019 서양음악학 Vol.22 No.1

        이 글에서 필자는 무생물인 음악이 마치 살아있는 존재자처럼 경험되는 현상에 주목하여음악의 생명성의 존재론적 근거와 본성을 신체화된 인지주의, 특히 발제주의의 입장에서 분석한다. 필자는 음악의 생명성에 대한 20세기 후반 이래 분석철학자들의 논의들이 음악의생명성을 설득력 있게 해명하는 데 궁극적으로 실패했다고 보고 그 이유를 이들의 공통적 토대인 고전적 인지주의에서 찾는다. 필자는 음악의 생명성을 청자의 생명성과 무관하게 음악안에 확정되어 있는 객관적인 속성으로 간주하는 분석철학자들의 견해에 반대하고 음악의생명성을 자율적 존재자로서의 청자와 소리환경 사이의 구조적 결속을 통해 이루어지는 의미생성의 절차 가운데 발제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필자는 음악의 생명성이 청자의 생명성과 음악의 소리 자원들이 제공하는 어포던스들 간의 순환적이고 구성적인상호작용으로부터 창발한다고 주장한다. 필자의 이러한 주장은 콜린 트레바르텐의 ‘정동조율,’ 대니얼 스턴의 ‘생명력의 형식,’ 그리고 음악적 동시화 현상에 대한 논의를 통해 개진된다. It is prevalent that listeners experience music as if it were alive even though music is non-sentient. In this essay, I attempt to make sense of this apparently non-sensical phenomenon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ontological foundation of the sentience of music. In this essay, the recent arguments of analytic philosophers who discuss this phenomenon seriously are critically reviewed. I find the ultimate failure of those arguments from the fact that they are founded on the classical cognitivism which endorses Cartesian dichotomy and the duality of mind and body. As an alternative, I adopt the embodied cognitivism and analyze the sentience of music from an enactive perspective. I argue that the sentience of music is enacted in the process of sense-making through the structural coupling of a listener as an autonomous being and the sonic environment. More specifically, I argue that the sentience of music emerges from the circular and constitutive interaction of the sentience of listeners and the affordances which the sonic materials of music provide. My argument is posited through discussion on Colwyn Trevarthen’s ‘affective attunement,’ Daniel Stern’s ‘vitality form,’ and the phenomena of musical synchronization.

      • KCI등재

        산호의 성장과정을 통한 생명성 및 상생(相生)·화의(化儀)사상의 표현

        김주령(Kim, Ju-Ryoung) 동서미술문화학회 2018 미술문화연구 Vol.12 No.12

        본 연구는 산호의 성장과정이라는 자연현상을 통하여 인간 및 모든 생명체의 탄생과 소멸과정을 살펴보고, 노란 원으로 표현한 산호의 산란 때 발생되는 세포와 그 변화과정을 통하여 생명의 진화과정 및 동양의 상생(相生)과 화의(化儀)사상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조형표현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모티브는 연구자가 생명을 잉태하며 경험한 생명에 대한 신비로움과 소중함을 바탕으로 취미생활로 키우던 산호의 성장과정에서 얻게 되었다. 먼저 생물학적 관점에서의 관찰을 통하여 산호의 탄생과 소멸은 영속적 시간의 변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의 탄생과 소멸 역시 비슷한 과정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비교적 단순한 생물학적 관점에서부터 동・서양의 생명성 사상과 철학의 고찰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은 상생적 관계에 있으며, 모든 생명체는 존중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으며, 작품으로 표현한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의 탄생을 통한 생명존중에서는 산호의 산란과정을 모티브로 노란원을 도입하고, 생명력 창조 및 생명존중을 표현하고자 한다. 둘째. 생명의 성장을 통한 상생에서는 노란 원이 구체적으로 나타나며,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의 상생을 표현한다. 셋째. 생명의 공생을 통한 화의사상에서는 노란원이 머무는 모습을 나타내며,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기 위함을 표현한다. 움푹 패인 상처는 인간의 개인적 욕망 또는 자연에게 준 상처로, 이 상처는 인간의 욕망을 교화하는 방법인 화의사상과 의미를 공유한다. 넷째. 생명의 조화・소멸을 통한 생명성에서는 노란 원과 노란 땅의 분포가 증가하며,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표현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호를 통하여 탄생과 소멸의 영속적 시간동안 인간과 자연의 생명성에 대해 알아보고, 산호의 산란에서 시작된 작은 점의 성장과정을 통하여 동양의 상생(相生)・화의(化儀)사상을 표현한 작가의 표현배경과 의도를 밝히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irth and extinction processes of humans and all living things through nature represented by coral and examined the evolution process of living things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in cells generated during the spawning of coral, which are expressed as yellow circles, and co-existence(相生) and reconciliation(化儀) ideas of the Orient. The motive of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the growth process of coral that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grows as a hobby based on the mysteriousness and preciousness of life experienced while conceiving a child. From a comparatively simple biological point of view, the review of life-related ideas and philosophy of the Orient and the Wes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humans and nature are in a win-win relationship, and all living creatures should be respected. The birth and extinction of coral is done through a changing process in perpetual time, and a similar process is also applied to the birth and extinction of all living creatures, including humans. The specific contents expressed by work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xpression of respect for life through the birth of living things, a yellow circle is introduced with a motif for spawning process of coral to express the creation of life force and respect for life. Secondly, in the expression of co-existence through the growth of living things, the yellow circle appears in a specific way to express the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the co-existence between humans. Thirdly, in the expression of reconciliation through the co-existence of living things, the yellow circles remains to express the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Incised wounds are the personal desires of humans or the wounds given to nature, and these wounds share the meaning with the idea of reconciliation, which is the way of edifying human desires. Fourthly, in the expression of vitality through the harmony and extinction of life, the distribution of yellow circle and yellow land is increased to express the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This study examined the vitality of humans and nature during the perpetual time of birth and extinction through coral and reveals the expression background and intention of an artist that expresses co-existence and reconciliation(化儀) ideas of the Orient through the growth process of a small point which starts from the spawning of coral.

      • 高句麗壁畵 五盔墳 四號墓 벽화 日月神 얼굴의 형태선에 드러나는 생명성의 의미

        신현경(HyunKyoung Shin) 민족미학회 2014 민족미학 Vol.13 No.2

        본고는 高句麗壁畵 五?墳 4號墓 벽화인 해신 달신의 얼굴에서 전달되는 살아있는 느낌을 형태 선을 중심으로 찾아 ‘생명성’으로 개념화하고 그 의미를 찾았다. 그림의 생명성은 고구려 화공/작가가 작업하는 과정에 그의 기가 우주를 아우르며 자연/우주와 인간의 몸과 마음이 물질인 재료와 합일되면서 살아있는 창조물로 잉태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생명의 회화화 과정은 직관과 감성을 담당하는 우뇌의 작용으로서, 화공이 우뇌를 활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순간에 통관적 기능이 작용하였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화공의 이러한 지각 방식은 개념적 지각이 아닌 관계적 지각으로 대상을 바라보는 시각이다. 그리고 가시세계를 나타내는 형태선의 생명성 뿐만이 아니라 형태선이 내포하고 있는 상징적 의미를 전달하며 가시 세계와 비가시 세계를 연결한다. 이러한 그림의 생명성과 상징성은 화공의 일원론적 세계관을 반영한다. 해신 달신 얼굴을 보고 살아있는 사람처럼 만나게 되는 관객의 체험 또한 일원론적 세계관 안에서 고대인들의 문화적 인식을 공유하면서 우뇌의 통관적 기능이 작동하는 순간이 된다. 그림/물질을 통하여 시공간을 초월하면서 인간/화공 대 인간/관객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작용인 것이다. 이는 마술과 같이 무기체인 그림은 살아있는 유기체로 변화하여 총체적으로 관객에게도 전달되는 작용으로서 현대의 지각 방식이라 할 수 있는 이성적 논리와 문자적 사고를 담당하는 좌뇌의 개념적 인식으로는 제대로 이해할 수가 없다. 그래서 우뇌의 관계적 지각 방식을 심층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몸과 마음으로 보고 느끼는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 이미지를 보고 활용하는 능력)라는 개념으로 초석을 세우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작가의 제작 과정에 주목하면서 작가이자 연구자이며 교육자(Artist/Researcher/Teacher, A/R/Tography)로서의 본인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근접 인문학의 연구와 개념들과 병행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하였다.

      • KCI등재

        백남준과 성찬경 작품에 나타난 언어의 유희성

        김해선 ( Hae Sun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0

        물질과 비물질은 생명성과 거리가 멀다. 돌멩이나 TV, 부러진 바이올린, 헬멧, 구름, 빗방울 등 물질과 비물질에 생명성을 불어넣는 사람은 예술가들이다. 안 보이는 것을 보이게, 보이는 것도 안 보이게 숨기며, 부스러기와 세계의 부스러기들을 만지며 생명을 만들어낸다. 한국 현대시에서 물질과 비물질에 생명성을 부여한 시인은 성찬경이다. 비디오아트의 세계적인 선구자인 백남준 또한 물질과 비물질에 생명성(예술의혼)을 불어넣는 아티스트이다.백남준은"모든 것은 장난감"이라고 말한다. 설치작업, 행위예술, 비디오아트에서도 놀이 개념을 중요시했다. 그가 쉴러를 인용하는 까닭도 쉴러가 문화의 가장 중요한 기능을 유희에서 찾았기 때문이다. 쉴러는"유쾌한 놀이를 통해서 최고의 자유와 나란히 존재할 수 있다고 했다. 시인 성찬경과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의 활동분야는 전혀 다르다. 그러나 두예술가는 모두 우주를 장난감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물질과 비물질에 생명성을 불어넣어 작품 속에서 예술의 혼을 느낄 수 있게 하며 미지와 우주와 무한의 동행을 하게 한다. 또한 예술과 문학의 무대 위에서 변화와 혁신을 꿈꾼다. Material and non-material is far different from characteristics of the life. But it is the artists who breathe life to the non-material. They make blind things appear in sight, and hide the things that appear. Moreover, they form the life by touching fragments and fragments from world. It is Chan-Kyong Sung, who gave life meaning to material and non-material in Korea`s contemporary poem. Chan-Kyoung Sung`s linguistic experiment is based on the life characteristics. His poetic language started from removing rust for a rusty nail or abandoned bicycle. His home is material orphanage. Nam June Paik, world class pioneer in video arts, is the artists who breathe life to the material and non-material. He is similar with Chan-Kyoung Sung that he gave life to the material and the non-material. Paik said "everything is toy". He saw the arts with joy changed society more than ever. The language they used is very playful. These kinds of language play expanded out infinitely open world. They played joyfully by using numbers, symbol, and words, but this can not bring persuasive power universally. But the language they use is expanding new territory, because they, with free mind, explore new ways with the spirit of ``change and revolution``.

      • KCI등재

        구비설화 <불공으로 얻은 꽃>의 ‘밥’과 ‘꽃’ 화소를 통해 본 생명 구원과 신성 확보의 의미 : 밥으로 구현되는 민담 속 생명 발현의 특수성

        김혜미(Kim, Hye Mi) 한국구비문학회 2021 口碑文學硏究 Vol.- No.60

        본 연구에서는 구비설화 <불공으로 얻은 꽃>에서 생명을 구하는 꽃을 구하는 존재가 신이 아니며, 꽃을 구하는 공간도 서천꽃밭과 같은 이계가 아닌 것에 착안하였다. 신화에서처럼 이계의 공간으로 떠나지 않더라도 생명성을 가진 꽃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을 것인지 설화를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설화를 통해 신과 같은 능력을 갖지 않은 일반적 인물이 자신의 공간인 ‘집’에서 사람을 살리는 꽃을 피울 수 있게 되는 원리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설화를 살펴보았을 때 각편에 따라 꽃은 질그릇, 부엌, 부뚜막, 혹은 솥을 떼보니, 또 어떤 각편은 쌀 삼천 석 위에, 짚으로 만든 봉새기에 핀다. 꽃이 피는 장소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방아타령을 하거나 밥과 관련된 내용의 노래나 문장을 말하면 꽃이 핀다. 설화에서 꽃이 피는 장소의 공통점은 ‘밥’과 관련이 있고, 이에 따라 생명을 가진 꽃이 피는 장소가 밥과 연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이 살아가는 데에 밥이 필수적인 점이라는 것을 살펴보면 밥과 관련된 화소에서 꽃이 핀다는 설정은 꽃의 생명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부각해 주는 민담만의 독특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불공으로 얻은 꽃>에서 여자는 배고픈 사람들이 자신의 집에 오자 밥을 그릇에 ‘담아’ 준다. 꽃이 피어나는 장소인 그릇이나 봉새기는 무언가를 담을 수 있는 기능을 하고 결국 밥이 담기는 것과 같이 꽃이 담기는 것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꽃과 밥은 둘 다 생명성을 의미한다. 어딘가에 담긴 생명성은 누군가에게 전달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꽃이 그릇에 안에서 피어나 담겨 있다는 것은 생명성을 옮길 수 있는 능력을 표상하는 것이다. 밥과 꽃 모두는 그릇에 담겨 상대방에게 전달되고 그것은 곧 상대방을 구원하는 행위로 귀결된다. 설화 <불공으로 얻은 꽃>에서는 꽃을 그릇에 담아낼 수 있는 것으로 표현함으로써 밥과 같은 의미망을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밥=꽃이 라는 등호가 형성되고 그에 따라 밥을 통해 생명을 구원하는 원리가 설화에서 나타나 있는 것이다. 꽃은 부뚜막에서도 피어나는데, 이는 ‘밥’과 가장 긴밀한 연결 지점이 발생하는 곳이다. 어머니가 쌀을 밥으로 만들어 가족 구성원에게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는 역할을 하는 장소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밥을 짓는 일은 생명을 이어나갈 수 있는 활동을 하는 것이다. 꽃=밥으로 볼 때, 이때의 생명력은 쌀이라는 자연물에서 나오는 것이기도 하지만, 자연물에 사람의 정성, 즉 어머니의 정성에서 나온 생명력이라고도 할 수 있다. 밥은 인간 활동의 기초가 되는 에너지를 생성한다. 어머니의 공간에서 밥이 되는 어머니의 활동은 사람에게 에너지를 전달하는 기반을 만드는 일이라고도 할 수 있다. 구비설화 <불공으로 얻은 꽃>에서는 밥을 매개로 하여 꽃이 피는 내용이 나타난다. 앞서 언급하였듯 밥은 우리의 주변, 가장 가까이 있는 곳에 있다. 그런 밥은 직접적으로 상대를 구원할 수 있다. 밥을 지어 대접하는 행위를 통해 지치고 힘든 자를 구원하는 것이다. 또한 밥은 꽃으로 모습을 바꾸어 상대를 구원할 수 있다. 꽃은 밥에 비해 고귀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설화에서는 밥 또한 꽃만큼이나 고귀하다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밥으로 인하여 만들어진 꽃을 통해 생명을 구원하는 역할을 보여 주는 것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fact that it is not God that saves lives in the folktale <Buddha Flower>, and that the space to save flowers is not Seocheon Flower Garden. Mythology finds flowers in the space of an alien world. However, in <Buddha Flower>, flowers are found in the everyday space where people l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inciple of making flowers that save people in her home. In the folktale <Buddha Flower>, flowers bloom in earthenware, kitchens, and pots. When flowers are analyzed as symbols of life, flowers bloom in places related to rice. Rice is essential to human life. The setting that flowers bloom in pixels related to rice is a device that highlights the vitality of flowers. At this time, the kitchen is the place that shows the closest connection to rice. The kitchen is a place that brings life to the family through making and feeding rice. Cooking rice is an activity that leads to life. When the folktale is analyzed as flower = rice, the vitality comes from rice, but it is also the vitality that comes from the mother s devotion. In the folktale <Buddha Flower>, this is the content of flowers blooming through rice. Rice is around us, closest to us. It directly saves the other person. The act of cooking and serving rice saves a tired and difficult person. And rice turns into a flower to save the other person. This story emphasizes that rice is also as noble as flowers. It can be confirmed in the contents of saving lives through flowers made of rice.

      • KCI등재

        물질과 비물질에 깃든 생명성

        김해선(Kim Hae-S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4

        본 연구는 성찬경 시에 나타난 물질과 비물질에 깃든 생명성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그는 버려진 쇠조각이나 폐품 등 물질에 ‘존재’를 부여함으로써 생명을 창조한다. 이러한 성찬경의 물질시는 기존의 생태시 하고는 다르다. 기존의 생태시가 과학기술의 만능주의의 비판과 문명비판을 갖고 있는 반면, 물질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생명성과 권리에 대한 관심이 생태시를 더욱 깊게 만든다는 점이다. 쇠붙이는 현대 물질문명에 폭령성을 대변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자연친화적인 정서와 정 반대의 지점에 서 있는 반 인간적 이미지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성찬경이 바라보는 쇠붙이는 그런 부정적인 면이 아니라 ‘물권’에 주목하면서 새로운 시적 변모를 보여주고 있다. 그는 물질 자체를 아름다움이라고 말한다. 깨진 유리 파편이나 쇳조각은 누구도 소유하지 않고 버림으로써 자유를 얻어 제 모습으로 돌아온다고 보고 있다. 버려진 철조각, 나사, 못 등 성찬경 손에 들어오면 생명을 지닌 존재로 변한다. 성찬경과 함께 숨을 쉬며 말을 하며 한 가족의 공동체가 된다. 이렇듯 물질의 존재를 부여하고 있다. 기능을 상실한 녹슨 쇠붙이에 애정을 쏟는 그의 열정은 물질에 ‘존재’를 부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Sung Chan Kyung's poetry, which is mainly about life characteristics in the material and non-material. He creates a life by giving ‘existence’ characteristic to iron piece or the junk material. Like this, Sung Chan Kyung's material poetry is different to existing ecological poetry. If existing ecological poetry has the criticism of civilizational and of urban scientific technique, the interest and right regarding the life in materials are making ecological poetry deeper. The ironware would speak not only for modernized materialistic society, but also for human's harmony with nature and direct contrast to the human, which is recognized with an ti-human image. But Sung Chan Kyung's perspective of the ironware is not that negatively viewed, but paying attention to ‘material's right’,which shows a new poetic transfiguration. He talks the material itself as beauty. The shattered glass fragment or metal piece does not belong to anyone but thrown away, so they get freedom and it goes and comes around. When thrown metal piece, screw, or nail comes to Sung Chan Kyung's hand, it changes to living material. Breathing and talking With Sung Chan Kyung, they become community of one family. Like this it grants the existence to the materials. Pouring in love to the ironware that lost a function, his passion is granting a “existence” to the material.

      • KCI등재

        유가의 정통성에 관한 연구 - ‘中’을 중심으로 -

        박종하 ( Park¸ Jong Ha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3 No.-

        유가의 正統性에 관한 논의의 본질적 목적은 ‘中’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그 계승을 통하여 세계와 인간에 대한 도덕적 완성과 대중이 성인이 되는 유가적 목표를 구현하려는데 있다. 모든 존재의 정통성(Legitimacy)은 이념적 가치로서뿐 아니라 실존적으로도 그 생명성의 본질이 된다. 인간사회의 道德 秩序規範에 대한 보편성의 근거는 동서양 공히 理性 또는 正義 등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이에 바탕 한 내면의 주관적 승복은 궁극적으로는 良心에 귀결된다. 따라서 인간의 양심에 근거한 보편가치는 존재에 대한 正統과 異端을 가르는 지표가 된다. 서구의 정치·사회학적 정통성은 개인의 도덕성보다 집단의 사회·정치적 필요성에 더 주목하여 집단의 유지와 결속을 위한 내부 구성원의 자발적 승복이라는 필요성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비해 유가의 정통성에 대한 논의는 왕조적 국가와 사회의 체제 유지를 위한 필요성과 더불어 개인의 도덕적 완성을 위한 인간 본질에 보다 중심을 둔다. 따라서 유가의 정통성에 대한 논의는 이념적 가치에만 머무는 것도 아니고, 정치, 사회적 집단의 유지와 결속을 위한 실효성에 치우치는 것도 아니다. 결국 유가의 정통성에 대한 논의는 현실의 주체적 인간이 실현하여야 할 이상적 목표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선결요건이다. 이러한 정통성의 의미 정립에 대한 논의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그 본질적 내용은 결국 인간과 만물의 존재적 始原性에 대한 연원과 그것을 유지하고 계승하는 실천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귀결된다. 유가의 정통성으로서 ‘中’이 지닌 보편규범성은, 유가적 正統性이 理念的 價値로서의 뿐만 아니라 實存的으로도 그 生命性의 본질이 됨을 나타낸다. 결국, 유가의 正統性은 堯·舜으로부터 이어지는 ‘中’에 대한 始原的 가치나 사상의 脈을 유지하고 계승하는 ‘道統’의 개념이며, 유가의 道統은 ‘中’의 계승을 통한 학문적 正統性의 유지이자 存在論的 질서에 대한 生命性의 보존이다. 이에 유가 도통론에서 老佛에 대한 비판의 초점은 노불의 주장이 유가적 규범의 실체적 표준이 되는 ‘中’의 근거가 박약하다는 점과 노불의 주장만으로는 궁극적으로 유가적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을 향해 있다. 그러므로 유가 道統論에서 유가의 정통성으로서 ‘中’이란 학문적 존립근거이자 선결조건이 되고 동시에 脈으로서의 生命性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는 間斷없이 이어지고 치열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The legitimacy of all beings becomes the essence of its vitality not only as an idealistic value but it existentially becomes the essence of its vitality as well. The discussion on orthodoxy and heresy in the theory of Confucian orthodoxy is about legitimacy that comes from nature as a basis of existence for the ought (das Sollen) and the is (das Sein). Western political and sociological legitimacy is more concerned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needs of the group than the individual morality and therefore is linked to the need for voluntary subordination of internal members for the maintenance and solidarity of the group. Discussions on the legitimacy of Confucianism place more emphasis on the essence of human beings for individual moral completion than on the need to maintain the dynastic state and social system. Therefore, the discussion on the Confucian legitimacy does not remain only at the idealistic value, nor does it not merely focus on the effectiveness of maintaining and bounding political and social groups. In the end, the discussion on the legitimacy of Confucianism is a prerequisite required for achieving the ideal goal that human beings, who are realistic subjects, should realize, and a discussion on the indispensable elements of moral practice. The discussion on establishing the meaning of legitimacy may vary depending on time and place, but the essential contents are ultimately concluded with the origin of the existential inception of human beings and all things and the practical method of maintaining and inheriting it. The basis of universality for the moral norms of human society is expressed as the reason or the justice and the like in both East and West, and the subjective subservience of the inner side based on this ultimately comes to conscience. Therefore, universal values based on human conscience are indicators of orthodoxy and heresy. The universal norm of “Zhong(moderation)” as Confucian legitimacy is to indicate that the legitimacy of the Confucianism becomes the essence of its vitality not only as an idealistic value but it existentially becomes the essence of its vitality as well. In the end, the legitimacy of Confucianism is the concept of “orthodoxy” that maintains and inherits the inceptional value or thinking of “moderation” that derives from Emperors Yao and Shun, and the orthodoxy of Confucianism is the maintenance of academic legitimacy through the succession of “moder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the vitality of the ontological order. Therefore, the focus of criticism on Taoism and Buddhism in the theory of Confucian orthodoxy is that the statements of Taoism and Buddhism are weak as the basis of “moderation” which is the substantive standard of Confucian norms, and that the statements cannot achieve the goal of Confucianism ultimately. Therefore, as the “moderation” as the legitimacy in Confucian orthodoxy theory is the academic basis and prerequisite and at the same time is the vitality as the kernel, the discussion on “moderation” continue without interruption and is bound to be fierce. In the end,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Confucian orthodoxy theory is to realize the moral completion of the world and human beings and the Confucian goal of making people become saints through the proper understanding and succession of “Moderation.”

      • KCI등재

        정호승 시의 공간성 연구 - ‘생명성’과 ‘동화적 상상력’의 구현 양상을 중심으로

        안애정 이화어문학회 2016 이화어문논집 Vol.40 No.-

        본고는 정호승 시집 전체에 나타난 공간을 분석하여, 공간이 정호승 시 세계의 변모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시인의 내면의식 과 세계관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정호승 시에 나타난 공간을 논 의하는 것은 공간이 시의 본질 가운데 하나로 시인의 창작 의식과 시세계 를 이해하는데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정호승의 시에 나오는 자연물은 시의 생성 주체로 작용하며 시인은 인 간과 자연을 대등한 공동체로 노래하였다. 즉 정호승은 인간과 자연의 감 정 이입을 통해 정서적으로 화합을 추구하는 시들을 다수 발표하였는데, 시인이 인간과 자연이 교감하여 조화롭게 살아가는 동심의 세계를 지향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자연과 동심의 공간이 나타난 작품을 대상으로 생명성의 공간, 동화적 상상력의 공간으로 세분하였다. 정호승의 작품에서 자연과 자연물을 노래 한 시들이 다수 발견되는데 시인은 자연과 인간이 대등하게 상호 공존하는 세계를 지향한다. 생명성의 공간에서 대상이 된 생명체들은 미미한 존 재지만 큰 울림을 준다. 지구라는 거대한 공간 안에서 인간이 혼자 살아 갈 수 없듯이 인간은 생명체들과 공생하며 살아가야 한다는 게 시인의 생 각이다. 생명체들이 존재하는 공간은 숲, 강과 바다, 길 위 등이다. 동화적 상상력의 공간의 핵심 인자는 동심인데 인간은 동심의 공간으 로 회귀하고자 하는 원형질을 가지고 있다. 동화적 상상력은 정호승 시인 이 독자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하나의 장치로 시인의 시에서 동 화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시가 많다. 동화적 상상력이 실현되는 공간은 골목길, 앞마당, 어머니의 젖가슴, 바다 등이다. 동화적 상상력이 바탕이 된 동심의 세계는 그의 시세계를 더욱 풍요롭게 해준다. 지금까지 정호승 시의 시세계나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논의 되어 왔으나, 문학 공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호승 시의 공간 연구에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analyze the space in whole poems of Jeong, Ho-Seung,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space and changes in his world of poetry and consider his inward consciousness and view of the world. I think that the discussion of the space in his poems is necessary to understand his creative consciousness and poetry world, because the space is the essence of his poems. The nature objects of the poetry of Jeong, Ho-Seong is acted as a constituent of poetry and poets sang as a homogeneous community with both humans and nature. In other words, Jeong, Ho-Seong released poems that sought emotional harmony through empathy of humans and nature. This means that the poet is heading toward a childlike world of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The space of nature and childhood in poems of Jeong, Ho-Seung is subdivided in to the space of life characteristics and the space of fairy-tale imagination. In his works, there are many poems about the nature and natural objects, and he aimed the world which the nature and human can coexisted on equal terms. In the space of life characteristics, objectified creatures are very impressive though they are very insignificant. In the huge space of the earth, he thought that human should coexist with creatures as human cannot live alone. The space of creature is forest, river, sea, on the road and etc. And the core of the space of fairy-tale imagination is the innocence of childhood, and human has a protoplasm to return the space of childhood. Fairy-tale imagination is one of devices which he can approach to readers and he wrote many poems based on fairy-tale imagination. The space to realize fairy-tale imagination is alley, front yard, mother’s breast, sea and etc. His childhood world based on fairy-tale imagination enriches his poetry world. Until now, many researches has discussed about poetry world and methodology of Jeong Ho-Seung’s poetry relatively,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his literary space. Therefore,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to make an attempt to approach the spatial research in his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