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세계화시대 한국 전통회화의 계승・발전에 관한 연구

        김대열(Kim, Dae-yeoul) 동서미술문화학회 2013 미술문화연구 Vol.2 No.2

        ‘문화’가 전 지구적 의제의 하나가 되면서 세계 선진국들은 예술의 연구와 계승발전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자국의 문화예술 발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화단에서도 미술 관련기관의 확대와 국제미술제의 개최 등 미술계의 인프라(infra)와 패러다임(paradigm)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그리고 국제화 및 다원문화주의의 기치(기치)아래 기존 가치의 해체가 본격화하면서 해당 지역의 문화적 특수성이나 담론 역시 그 만큼 확대 되는 양상도 아울러 출현시키고 있다. 미술은 모든 문화에 출연하여 그 성질을 조장하고 이를 받쳐주며 우리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시각언어로 표출해 내는 수단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다시 말하자면 미술은 아주 자연스럽게 인류 문화 활동 중에서 조화와 통합을 이루며,전체문화의 맥락 속에서 문화를 가장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각종 문화를 받쳐주는 가장 유력한 버팀대이다.따라서 우리의 모든 문화 활동을 받쳐 주고 변화 발전을 이끄는 미술의 역할이 없는 ‘전통문화의 계승발전과 민족 문화의 창달’은 다만 공허한 구호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 미술의 특수성 담론에서 수묵화는 20세기 초부터 줄곧 논의의 중심에 있어 왔다.즉 20세기 100년 동안 서구 미술의 유입 속에서 자국 미술의 민족성과 근현대성을 모색하는데 수묵화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자국미술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보급하기 위해 세계 선진국들은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중국과 일본 역시 이를 전담하는 국가 연구기관을 설치하여 21세기 문화다원주의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화단의 경우 1910년 일제침략과 더불어 조선왕조의 화원제도인 도화서가 폐지된 이후 지금까지 이렇다 할 국가 연구기관을 마련하지 못한 채 21세기를 맞고 있다.특히 우리 화단은 일제 강점기에는 36년간 일본 전통회화와 일본에 의해 수용된 서구미술을 재수용해야만 하는 왜곡된 상황에 직면해 있었고,20세기 후반에는 동족간의 전쟁과 분단으로 인한 냉전 이데올로기(ideology)의 제약을 어느 지역보다 첨예하게 강요받으면서 근?현대성을 모색해야 하는 특수한 전개과정을 갖고 있었으며,80년대와 90년대는 국제양식의 모방에 급급한 나머지 오늘의 다원문화주의 공간에서 방향을 잡지 못하는 상황이어서 그 필요성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많은 이들이 그동안 팽배한 서구의 물질문명의 위기를 동양의 정신문명에서 찾으려하고 있다.21세기 한국 수묵화의 나아갈 방향도 이러한 맥락에서 찾는 다면 그 전망은 아주 밝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미국의 미술품 기증사례 연구

        김윤섭 동서미술문화학회 2017 미술문화연구 Vol.11 No.11

        최근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GNI)이 ‘내년에는 3만달러 시대를 맞을 것’이란 보도가 있었다. 국민소득이 3만달러가 넘는 선진국의 경우를 살펴보면 ‘문화소비’가 늘어난 예가 대부분이다. 또한 삶의 질적 수준과 미래지향적인 가치를 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사회적 분위기가 늘어난다. 이 논문은 ‘문화 복지와 문화향유 기회의 질적 향상’이란 측면에서 미술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했다. 미술관의 수준은 소장품이 가늠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준 높은 미술품의 소장을 늘리려면 미술관의 예산이 관건이다. 그렇다고 미술관의 모든 예산을 국민 세금으로만 충당할 수는 없다. 그 바람직한 해결책의 하나로 ‘미술품 기증 방안’이 꼽힌다. 미술품의 기증을 통해 ‘미술관의 성공적인 사회적 역할’의 본보기를 보인 예로 미국이 대표적이다. 이 논문은 미술품 기증이 가장 활발한 ‘미국의 개인미술품 컬렉터의 미술품 기증활동 사례’를 소개한다. 특히 제2장의 ‘미국의 기증・기부 장려정책’에선 미술품 기증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미술품 기증・기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도 언급했다. 미국 정부의 미술품 기증・기부의 활성화 정책이 지속된 것만은 아니다. 1980년대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주축의 보수정부에선 ‘부유층에 대한 특혜’라는 이유로 문화예술 장려에 관한 법률이 폐기됐었다. 이후 기부・기증의 감소가 미술관 컬렉션의 질적 저하와 운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 결과 1993년 빌 클린턴 정부에 들어 다시 ‘문화예술 기부・기증에 대한 조세지원’이 재개되었다. 그런 과정을 거치면서 현재 미국 정부의 ‘문화와 예술 분야의 육성정책’은 재벌 견제용으로도 적극 활용될 만큼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 더불어 미술품 기증 시 소득세・자본이득세・재산세 등을 면제해주는 보다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정책들이 자리 잡게 된다. 이는 상속세만 감면하는 영국보다도 훨씬 확장된 것으로 평가된다. 더불어 제3장의 ‘시기별 기증사례 분석’ 부분에선 미국의 시대별 변천에 따라 대표적인 개인자산가 겸 컬렉터를 중심으로 미술품 기증사례를 살펴보았다. 그 예로는 1918년~제2차 세계대전 이전엔 록펠러 2세 부부・하브마이어 부부, 1945~1980년 전후(戰後)엔 로버트 리먼・넬슨 A. 록펠러 가족, 1980년~현재 동시대엔 보겔 부부・엘리 브로드 부부・로더 패밀리, 로널드 로더 등이다. 미국은 1917년부터 민간기부와 민간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으로 ‘기부가 비영리단체를 통해 공공복지를 위해 쓰일 경우 세금을 대신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실제로 ―‘미술관 기증 미술품의 평가액만큼 세금을 공제해 주는 법률’인 언더우드 관세법(underwood tariff)의 시행으로 미술관에 대한 기부 및 기증사례가 급증했다. 이런 결과가 미국 정부의 문화예술지원을 위한 ‘기부금 세제지원 제도’의 성공 요인으로 평가받는다. 지금의 미국사회에선 보편적으로 부호들의 미술관 설립과 기증활동은 절세의 목적 보다는 사회공헌 차원에서 행해지고 있다고 인식된다. 미술관들의 독립성과 경쟁력을 갖추게 된 이면엔 미국식으로 정착된 미술・문화사업 관련의 다양한 조세지원 정책이 뒤따랐기 때문이다. 미술관처럼 세금 감면을 받기 위해선 ‘세법에 의해 비영리적이고 공공의 성격을 갖는 단체’여야 한다. 나아가 ... Recently, there was a report that South Korea's GNI (Gross National Income) will reach $30,000 in the year of 2018. Examining the cases of advanced nations, there is distinctive increase of "cultural consumption" by individuals once the GNI hits over $30,000, and the social atmosphere of putting more focus on the quality of life and future-oriented values becomes prevalent. This thesis stems from the premise that the role of Art Museum is absolutely crucial in the aspect of "qualitative improvement of cultural welfare and the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It would be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lass of an art museum is defined by its collection of artworks. Increasing the number of high-quality artworks is connected with increasing the budget of the art museum. However, since the budget can't be covered solely on tax, one optimal suggestion for solution would be "artwork donation". The model nation that executed "art museum's successful social role" through donation of artworks is, the United States. This thesis introduces "the cases of America's private collectors donating collection", in the country where artwork donation is the most active compared to other nations. Especially, in Chapter 2 of "America's donation encouragement policy", the necessity of artwork donation is acknowledged, and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to invigorate artwork donation is mentioned. It wasn't that the artwork donation invigoration policy by the American government was always consistent. The conservative party on the side of President Ronald Reagan in the 1980s had discarded the law involved with encouraging art and culture, reasoning that it is "favoring the wealthy class". Since then, the decrease of artwork donation resulted in quality declination of art museums and negative effect on the museums' financial management. Therefore, in 1993 under President Bill Clinton's administration, "the tax support on cultural donation" was recommenced. Through such process, current American government's "Policy to promote culture and art" is achieving such substantive effects that it's actively utilized for keeping the conglomerates in check. Furthermore, established were more concrete and active policies such as exempting the income tax, the capital earnings tax, and the property tax once an artwork is donated. This is considered to be more extended than the policies practiced in the United Kingdom, which is exempting only the inheritance tax. Moreover, in the 3rd chapter of the thesis where the "analysis of periodic donation cases" is discussed, America's artwork donation cases through periods of time focusing on individual wealthy collectors are scrutinized. For example, before 1918 through the World War II they were John D. Rockefeller Jr. & Abby Aldrich Rockefeller, and Henry Osborne Havemeyer & Louisine Havemeyer. Around 1945-1980 they were Robert Lehman (1891~1969), and the family of Nelson A. Rockefeller. Since 1980 to present, they are Herbert (1922~2012) & Dorothy Vogel (1935~), Eli and Edythe Broad, Ronald Lauder (1944~) and Leonard Lauder (1933~). Since 1917, to promote civilian donation and participation, America has established a new rule that "if the contribution is used for public welfare through nonprofit organizations, it substitutes for tax". Indeed, through execution of "Underwood Tariff", which is deducting the tax according to the appraised price of artwork donated to museum, the number of donations made to art museums has drastically improved. Such results help the United States to be acknowledged as a nation successfully carried out the donation taxation support system in the government's effort to provide for art and culture of the country. Nowadays, the establishments of art museums and donations by the wealthy citizens is considered as social contribution rather than for the purpose of tax exemption. This is due to how art museums gained independence and competitiveness, which is the various tax support poli...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미국의 미술품 기증역사로 본 미술품 기증문화의 필요성 연구

        김윤섭(Kim, Yoon-Sub) 동서미술문화학회 2016 미술문화연구 Vol.8 No.8

        이 논문은 최근 문화소비가 크게 늘어나고, 삶의 질적인 측면에 대한 욕구 충족도 더불어 상승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미술의 역할을 살펴보는 것’으로 출발하였다. 미술의 사회적 역할은 주로 미술관이나 박물관의 운영현황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국내의 미술관의 질적 수준은 국제 사회에서의 우리나라 현재 지위에 비해 매우 빈약하다는 지적이 많다. 그 이유로 부족한 예산만을 탓할 수는 없다. 이미 자율적인 민간 참여를 이끌어 낸 미국의 성공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미술관을 성공한 자산가나 기업의 기증 및 기부 창구로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국가적 경쟁력까지 이끌어낸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 논문의 연구목적도 ‘미국의 개인 컬렉터의 미술품 기증활동 사례’를 통해 미술품 기증의 필요성을 인식하는데 있다. 미국은 개인 미술품 기증이 가장 활발한 대표적인 국가이며, 제반 문화지원정책을 통해 미술품 기증활동이 지속적으로 장려되고 있다. 미국은 건국 초기부터 ‘국가를 위한 서로의 지원, 함께 사는 나눔의 삶’이라는 보다 고차원의 사회적 인식-‘쓸모 있는 시민(useful citizen)’ 의식-을 가치이념을 삼아왔다. 이 연구를 통해 미국의 ‘나눔 문화’와 모범적인 부의 분배라는 ‘자선’의 개념이 20~21세기를 거치면서 ‘개인 컬렉터들의 미술품 기증활동’ 자연스럽게 연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두 번의 세계전쟁은 미국에겐 오히려 정치 경제적으로 세계 최강대국으로 급성장할 수 있는 교두보가 되었으며, 그로 인해 실질적이고 전폭적인 문화정책을 집행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특히 미국이 미술품 기증문화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이면엔 정부의 간접지원 및 불간섭주의 정책, 사회적 공감대와 긍정적 인식, 개인 기부자의 적극적인 동참의지 등이 조화를 이뤘기 때문이다. 또한 개인 부호들의 공적인 소명의식과 ‘제501(c)(3)’을 통한 정부의 적극적이고 일관된 기부단체 지원 육성 면세정책은 성공적인 사례로 꼽을 만하다. 이로 인해 미국이 ‘개인의 기부와 기증비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나라’에 오르게 된 것이다. 이처럼 미국의 개인 기증 기부활성 정책은 ‘성공적인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을 견인하는 결정적인 기반을 제공하기에 이른다. 덧붙이자면, 이번 미국의 사례 연구를 통해 현재 국내의 미흡한 ‘미술품 기증에 관한 제도적 장치 사회적 인식 컬렉터 소양 미술관 운영 등에 대한 개선’에 일정 부분 기초자료가 되리라 기대할 수 있었다. 또한 논문의 연구취지 중에 기증문화 못지않게 사회구성원이 ‘미술을 공공재로서 인식하는 기반’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이는 결국 기부문화 활성화와 개인컬렉터 양성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로 확장될 것이며, 문화를 중심으로 한 건강한 삶의 질적환경조성에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미국의 미술품 기증문화 역사와 사례에 연구는 곧 차기 문화중심 국가로 성장해가는 우리나라에게도 중요한 본보기가 되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began with an examination of the role of art from the perspective that cultural consumption has greatly increased recently an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needs for a quality life has risen as well. The social role of art is consider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current conditions of museums. Howev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qualitative level of domestic museums in Korea is lower than it should be considering the country’s current international status. Lack of government funds is considered a primary reason but this, which may be an oversimplifica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a successful example in the United States where there is a significant level of voluntary private participation. The United States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example where successful people and companies use museums as recipients of their philanthropy, thereby raising the nation’s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art donations through examination of private donations by American collectors. The United States is a representative country where active art donation occurs and a country that consistently promotes art donation through cultural support policies. From its beginning,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has regarded higher social perceptions -the idea of useful citizens-such as mutual support for the nation and shared lives, as valuable national ideologie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American sharing culture and an exemplary distribution of wealth, which is a concept of charity, have been naturally connected to art donation by individual collectors, during the 20th and into the 21st century. In particular, the two world wars became bridgeheads for rapid growth of the United States which developed into the strongest political and economical country. This factor became a driving force for carrying out practical and wholehearted cultural policies. This successful art donation culture in the United States was possible through the harmonious effects of indirect support and non-intervention policies of the government, mutual social consensus and positive perceptions of donations,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individual donors. The public responsibility of wealthy people and enthusiastic, consistent tax exemption policies for support and promotion of charities, such as the tax code status 501(c)(3), are successful examples. For this reason, the United States became the country with the highest level of donations in the world. In this way, the government policies for promotion of charities and individual donations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crucial foundations that drove the social roles of successful museums. This case study of the United States is expected to supply a portion of the basic data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institutional art donation systems, social perceptions, the refinement of collectors, and management of museums, which Korea lacks. One of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gi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foundational concept that the members of society should perceive art as public property, and is as important as donation culture. This will invigorate a culture of donation and expand into a social consensus of promotion of individual collectors as well as make a crucial motive for fostering a qualitative environment of a healthy culture-based life. Therefore this study about the history of art donation culture and the case study of the United States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example to Korea which has been growing as a culture-centered n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