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작용 중요도 행렬을 이용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장우혁(Woo-Hyuk Jang),정석훈(Suk-Hoon Jung),정휘성(Hwie-Sung Jung),현보라(Bora Hyun),한동수(Dong-Soo Han)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6 No.10

        최근 계산을 통한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기법 중, 단백질 쌍이 포함하고 있는 도메인들 사이의 관계에 중점을 둔 도메인 정보 기반 예측 기법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도메인 쌍들이 상호작용에 기여하는 정도를 정밀하게 반영하는 계산 기법은 드문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단백질 상호작용에 있어 도메인 조합 쌍의 상호작용 영향력을 수치화하여 반영한 상호작용 중요도 행렬을 고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시스템을 구현한다. 일반적인 도메인 조합 기법과 달리, 상호작용 중요도 행렬에서는 상호작용을 위한 도메인간의 협업 확률이 고려된 Weighted 도메인 조합과, 다수의 Weighted 도메인 조합 중 실제 상호작용 주체가 될 확률을 도메인 조합 쌍의 힘(Domain Combination Pair Power, DCPPW)으로 수치화한다. DIP과 IntAct에서 얻어온 S. cerevisiae의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와 Pfam-A 도메인 정보를 사용한 정확도 검증 결과, 평균 63%의 민감도와 94%의 특이도를 확인하였으며, 학습집단의 증가에 따른 안정적인 예측 정확도 향상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예측 시스템과 학습 데이터는 웹(http://code.google.com/p/prespi)을 통하여 내려 받을 수 있다. Recently, among the computational methods of protein-protein interaction prediction, vast amounts of domain based methods originated from domain-domain relation consideration have been developed. However, it is true that multi domains collaboration is avowedly ignored because of computational complexity.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protein interaction prediction system based the Interaction Significance matrix, which quantified an influence of domain combination pair on a protein interaction. Unlike conventional domain combination methods, IS matrix contains weighted domain combinations and domain combination pair power, which mean possibilities of domain collaboration and being the main body on a protein interaction. About 63% of sensitivity and 94% of specificity were measured when we use interaction data from DIP, IntAct and Pfam-A as a domain database. In addition, prediction accuracy gradually increased by growth of learning set size, The prediction software and learning data are currently available on the web site.

      • KCI등재

        상호작용 공간의 상호작용성 영향요인Ⅰ

        이정민(Jeongm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5

        현대에 주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상호작용 공간을 효과적으로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상호작용성 영향요인들을 이해하고 이를 수용하는 사용자 중심적인 공간디자인 방법론이 필요하다. 본고는 이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 연구주제로 수행될 3편의 연계논문 중 첫번째 연구이다. 디자인의 기본 관련 영역을 기반으로 설정한 분석지표(시스템영역, 사용자영역, 관계영역)에 의거하여 상호작용성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성의 첫번째 영향요인은 상호작용성을 위한 접속의 장인 인터페이스로 분석되었다. 이의 세부유형 분석은 연계연구 II 편의 연구과제이다. 두번째 영향요인은 상호작용성의 발생 주체인 인터서브젝트이다. 이의 세부유형은 사용자의 상호작용 욕구의 측면에서 파악되어 기능적 & 조형적 욕구, 외현 & 잠재 욕구, 정보커뮤니케이션 & 공감 욕구의 6개 세부유형이 분석되었다. 세번째 영향요인은 상호작용성의 실제 수행과정인 인터랙션이다. 이의 세부유형은 상호작용 행태 프로세스의 측면에서 파악되었고 접속, 몰입, 심성모형 형성, 상호작용 행위, 변형, 경험적 발생의 여섯 단계로 분석되었다. Interactive space became one of the major design paradigms. For elevating the interactive effect, we need user-centered design methodology which uses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teractivity. This research is the first one of three linked- studies and categorizes the three main factors on the interactivity-Interface /Intersubject/Interaction. 'Interface' is the field for the interactivity. It will be the main subject for the second study. 'Intersubject' is the performer for the interactivity. Its specific attributes are analyzed in terms of user's needs for interactivity and six subdivisions are analyzed-functional & artistic need /external & subconscious need/info-communication & sympathy need. 'Interaction' is the performance for the interactivity. Its specific attributes are discussed in terms of behavioral interactive process and again six sub-steps are analyzed-junction/immersion/ mental model/action/transformation/neo-experience.

      • KCI등재

        남북 간 상호작용 현상과 대응전략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적 해석-

        김재철,김지동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2 평화학연구 Vol.13 No.4

        This study investigated military confronting phenomen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rom three restrict interactions aspect which Clausewitz mentioned, and suggested response strategy to relieve restrict interaction going too far. The phenomenon of restrict interaction which have developed under confronting phenomen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until now are as follows. First, Response of South Korea have been passive against armed provocation of North, which means that the first restrict interaction had nor been performed. But, there would be high possibility to punish strongly in case armed provocation of North happens after the bombardment of Yeonpyeong. Second, the second restrict interaction which is competitive efforts of South and North for emasculation of the other party has been continuing. Third, the third restrict interaction to secure larger military power than the other party also has been continuing. Instead, non-symmetrical element was added to conventional arms race of cold war era by nuclear development of North after Post cold war. To mitigate confronting restrict interac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lexible reciprocity strategy is needed as follows. First, To intercept the first restrict interaction, it is necessary to let North Korea recognize restraint by Korea and the USA against North. For this, joint response system of Korea and the USA is needed from the peacetime operation stage. Second, To mitigate the second restrict interac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build confidence between South and North through exchanges and cooperation, at the same time, to prepare against indirect strategy of North Korea. Third, To mitigate the third restrict interaction,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active arms control in connection with non-military exchanges and cooperation. 본 논문은 남북 간 군사적 대립현상을 클라우제비츠가 ⌜전쟁론⌟에서 제시한 3가지 상호작용 측면에서 고찰하고, 극한으로 치닫는 상호작용을 완화시키기 위한 대응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동안 남북 대립관계 하에서 전개되어 온 상호작용 현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무력도발에 대한 남한의 대응은 소극적이었는바, 제1상호작용은 이행되지 않았다. 단지, 교전규칙에 의한 등가성(equivalence)의 군사적 대응으로 일관하였다. 그러나 연평도 포격사건은 남북 간 제1상호작용이 작동되는 전환점이 될 것이며, 향후 북한의 무력도발이 있을 경우 강력한 응징이 이행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려는 남북한의 경쟁적 노력인 제2상호작용은 지속되고 있다. 이는 남북갈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남남갈등이 국가안보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등장하였다. 셋째, 상대방보다 더 큰 군사력을 보유하고자 하는 제3상호작용 역시 지속되고 있다. 단지, 냉전시대의 재래식 군비경쟁이 탈냉전 이후에는 북한의 핵 개발로 비대칭적 요소가 추가되었다. 남북 간 대립적 상호작용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신축적 상호주의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제1상호작용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북한으로 하여금 한미의 대북 억제력을 인식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평시작전단계부터 한미가 공동 대응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제2상호작용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교류협력사업을 통해 남북 간 신뢰구축를 구축함과 동시에 북한의 간접전략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셋째, 제3상호작용으로 인한 군비경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군비통제(arms control)를 추진하되, 비군사분야의 교류협력과 연계하여 군사적 신뢰구축(military confidence building)과 운용적 군비통제(operational arms control)를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생물 학습을 위한 고등학생 소집단과 교사의 면담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분석

        김정민 ( Jung Min Kim ),송신철 ( Shin Cheol Song ),심규철 ( Kew Cheol Sh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과학교육연구지 Vol.37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생물 학습 상황의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상호작용의 유형 분석은 소집단 활동을 위해 교사가 피드백을 제공하고자 하는 면담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상호작용의 유형은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간 상호작용 수준에 따라 4가지로 분류되었는데 이는 소집단 내에서 교사와 소집단의 대표 학생 사이에서만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유형(LR, Leader Representation), 일부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유형(PSI, Partial Students Interaction), 학생과 학생 사이에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나 교사와는 대표 학생과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유형(SAI, Students Active Interaction), 구성원 모두가 활발히 상호작용을 하고 모든 학생들이 교사와도 상호작용을 하는 유형(TSAI, Teacher-students Active Interaction) 등이다. 고등학생들은 면담 과정이 거듭될수록 학생과 학생 사이에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났으며, 학습에 대한 개념 이해가 부족한 초기 단계에서는 학생들 간에 복잡한 상호작용 양상이 나타나지만 개념의 이해가 완성되어 갈수록 점차 상호작용 유형이 간결하게 변화되어가는 특성을 보였다. 이로부터 생물 학습을 위한 소집단에서의 상호작용은 개념 이해가 부족한 학습자에게는 개념을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학습 개념을 상호 형성할 수 있는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tterns and features of interaction in teacher interviewing with high school students` small group for biology learning. The interactions in variety between the students and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teacher were made as the interviews with each small group were repeated to feedback for biology learning. The patterns of interaction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by interactive level of interaction among group members and a teacher: leader representation without interaction among students and the teacher(LR, leader representation), interaction among a part of students and the teacher(PSI, partial students interaction), active interaction among students inside the group, but only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der student(SAI, students active interaction), and interaction between all of the students and the teacher(teacher-students active interaction). Even though complex patterns of interactions were made among the students at the initial stage of insu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study concept, the simple interaction processes were shown as students had gradually completed the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It was displayed that the interaction in the small group for biology study provides the opportunity to confirm and understand the concept to the students who were poor at the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and it can influence positively on the mutual creation of study concept.

      • KCI등재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선우현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3 놀이치료연구 Vol.17 No.1

        This study aimed to helpi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through the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Family members experienced comfort, a naturally physical contact, and pleasure & sympathy of being together and experienced the wait for demand and the positive self-expression. In the meantime, the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ame to be more active.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were participate 11 families of child with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of peer group in 6 cours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rough MIM test and family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carrying out the family play therapy, the parent-child interaction was changed into the positive interaction. In conclusion, the family play therapy can be considered to be effective for positive influence upon parent-child interaction. These results have their significances in terms that can activate the parent-child family play therapy far more for many parent and their children. 가족 간의 상호작용은 아동의 정서적 및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부모와 자녀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은 아동이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보다 긍정적이고 사회적으로 수용되는 특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이지 못할 경우 아동은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문제행동을 보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 간 상호작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정서 및 사회적 문제행동을 갖고 있고 또래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족놀이치료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조화된 신체놀이와 협동놀이 그리고 자녀의 욕구에 따른 자유놀이를 통합하여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는 예비실험을 위한 1가족을 제외하고 총 11가족 간 상호작용의 촉진이 정서 및 또래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아동과 그 가족에게 나타난 상호작용 특성을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를 통해 실험에 참여한 가족들은 첫째, 자녀의 욕구에 따른 정서적 상호작용에서 변화가 나타났으며, 둘째, 부모-자녀 간 긍정적 상호작용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따라서 가족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은 가족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개방적 의사소통과 긍정적 시각으로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더 나아가 자녀들의 문제행동의 감소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사이버상호작용의 사회문화적 구성과 대안적 기획

        윤명희(Yoon, Myung-He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9 No.3

        이 연구는 사이버상호작용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탐색으로, 사이버상호작용을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의 효과로 설명하는 기술결정론에서 벗어나 사이버상호작용의 사회문화적 기반 및 재구성하기에 초점을 둔다.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 연구는 사이버 상호작용을 사회문화적 구성의 차원에서 접근한다. 이에 따라 현대의 사이버 일상풍경을 기술적 역능으로부터 창조된 완전한 새로움이라기보다는 사회적 문화적 기반위에 형성된 것으로 파악하며, 사이버상호작용을 과거의 것과 새로운 것, 온라인과 오프라인, 그리고 기존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간의 재연결 및 상호연결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본다. 둘째,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사이버상호작용에 대한 기술편향적 확신이 사이버상호작용을 신화화하고 사이버훈육권력을 강화하는 경향으로 나타나는 과정을 논의한다. 사이버상호작용에 대한 신화화는 웹 사용자를 자율적 개인으로 일방적으로 맹신하는 데서 생겨난 환상이다. 웹의 자율적 개인이나 사이버상호작용의 능동성에 대한 일면적인 믿음은 성가심을 관리하는 사이버훈육권력의 생산에 대한 요구로 귀결되는 역설로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비판적 논의에서 나아가, 이 연구는 사이버 상호작용의 사회문화적 가능성을 동질성에 기초한 보편 목표보다는 공동의 사용에 기초한 다양하고 집합적인 기획에서 모색하고 있다. 사이버 매개된 공동 기획은 완전성의 추구가 아니라 보충적이고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파악한다. Digressing from a technological determinism that illustrate interactivity with the abilities and the effects of media technology itself, this paper is a sociological culture study on the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ion and alternative projects of cyber-interactivity. Detaile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considers cyber-interactivity from the viewpoint of the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ion and emphasize cyber-interactivity to be formed through remediation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present, off-line and on-line, and old media and new media. Second, this study asserts that the belief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on cyber-interactivity can actually strengthen cyber myths and disciplinary power in web. The mythologization of cyber-interactivity is blamed on an illusion of freedom, such as overcredulity that web users become autonomous individuals and an active part in web is always possible. And this blind belief leads to provide the disciplinary power for managing harassment in web. Third, this study discuss a creative reconstructuring of cyber-interactivity could be materialized throuth plural and collective projects based on common usage, not common goal. Such ollaborative projects in web are consistently performed through supplementary and complex interactions rather than the pursuit of wholeness.

      • KCI등재

        만 5세 남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간 관계

        문혜련,엄정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이 어떠하며, 특히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유아의 성별에 따라 두 변인의 관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모 160쌍과 그들의 자녀 160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교사가 평정하는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척도와 설문지를 통한 부모의 자기보고 형식으로 이루어진 언어통제유형 측정도구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양상에서 놀이 상호작용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놀이 상호작용과 놀이 방해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지위적 통제를 가장 많이사용하고 명령적 통제를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부모간 평균 비교결과 어머니가 아버지에 비해 인성적 통제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 어머니가 명령적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하는 것과 남아의 놀이 상호작용, 어머니가 지위적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하는 것과 여아의 놀이 상호작용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아버지가 사용하는 언어통제유형과 자녀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전체적인 놀이상황에서의 유아들의 행동과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간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고, 특히 유아와 함께 시간을 많이 보내는 성인의 영향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active peer play of male and female children, and parents’ verbal control style. 160 children and their par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in this study. The verbal control style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parents' questionnaires developed by Do (1997). The interactive peer play was measured by using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The obtaine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lay interaction was most frequently shown among the interactive peer play, and the play interaction and the play disrup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gender dependent; 2) Mothers and fathers have mostly used position-oriented verbal control and have used imperative verbal control least. Comparison of verbal control style of mothers and fat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and 3)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others’ imperative verbal control and male children's play interaction. Similar results were found between mothers’ position-oriented verbal control and female children's play interaction.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athers’ verbal control and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지적능력의 매개효과

        최정윤(Choi, Jung-Yoon),김혜순(Kim, Hye-Soon)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지적능력이 나타내는 매개효과가 어떠한지를 규명하여 유아들의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이들 영향요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G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2곳의 만 4,5세 유아 101명이었다. 유아 자기조절력은 유치원 교사가 유아의 평소 유치원 생활을 관찰한 것을 토대로 평정되었으며, 유아 또래상호작용은 본 연구자와 보조연구자에 의해 현장기관에서 관찰되었으며, 유아 지적능력은 본 연구자에 의해 K-WPPSI 검사로 개인적으로 평가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이 실행되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지적능력에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자기조절력과 긍정적 상호작용과 의존적 상호작용은 각각 정적상관이, 자기조절력과 부정적 상호작용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지적능력과 긍정적 상호작용과 의존적 상호작용은 각각 정적상관이, 지적능력과 부정적 상호작용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긍정적 상호작용의 관계에서는 지적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의존적 상호작용 및 부정적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는 각각 지적능력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에서는 유아 자신의 자기조절력 발달이 더욱 중요하나, 의존적이거나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에서는 유아 자신의 지적능력이 더욱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또래상호작용 유형별로 이들 영향요인들을 좀 더 발달시킬 다각도의 교육적 지원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이 시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 s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1 young children at the 2 kindergartens in Gyeongsang province. The teacher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on their children s abilities of self regulation based on teachers observation about their children s behaviors at the kindergarten. The young children s peer interactions were assessed in the classrooms by the research team members who were trained for this study and their intelligences were assessed using K-WPPSI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individually in private places in the kindergarten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Windows 17.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young children s peer interaction, self regulations and intelligences.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 s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directly or indirectly. In conclusion, as far as this study understands, when it comes to the young child’s positive peer interaction, development of the young child’s own self regulation is indeed emphasized but in regard to dependent or negative peer interaction, significance of the young child’s intelligence is considered even more importantly.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al support from various angles to make improvements in those influential factors of each type of the peer interaction should be more efficiently offered.

      • KCI등재

        Incidental FonF in Adult EFL Classrooms : Participation Structure and Learner Uptake

        김지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incidental focus on form (FonF) occurring in intact EFL classroom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participation structure (i.e., whole class/small group/one-on-one interactions) and learner uptake (successful uptake vs. unsuccessful uptake) across the types of FonF (reactive vs. preemptive FonF) and participation structure. The data from eleven hours of communicative lessons from five clas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s of incidental FonF, participation structures, and learner uptake. The study found that reactive FonF took place more frequently than preemptive FonF in small group and one-on-one interactions while they occurred at a similar rate in whole class interactions. In addition, during whole class interactions, teachers and students initiated FonF at a similar rate, but, during small group and individual interactions, a majority of FonF was generated by students. When learner uptake was considered, students responded more successfully to preemptive FonF, especially FonF generated by themselves in all participation structures. However, in the case of reactive FonF, unsuccessful uptake took place more frequently than successful uptake in whole class interactions, whereas more successful uptake was observed than unsuccessful uptake in small group and one-on-one interactions. These results provided insights into the role of participation structure as an important mediator influencing the provision of FonF an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uptake, which may eventually affect the opportunities for L2 development. 본 연구는 의사소통 중심의 성인 영어교실에서 일어나는 즉흥적 형태중심 교수법(incidental focus on form)과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형태, 학습자의 반응이 갖고 있는 관계를 조사하였다. 즉흥적 형태중심 교수법은 반응형태(reactive FonF)와 준비형태(preemptive FonF), 상호 작용은 전체대상 상호작용, 그 룹대상 상호작용, 개인대상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분석되었고, 학습자의 반응도 성공적 반응과 비성공적 반응으로 나눠 조사되었다. 다섯 개의 교실에서 수집된 11시간의 자료를 바탕으로 위에 제시된 요소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대상 상호작용 시에는 준비형태 방법과 반응형태 방법이 비슷한 빈도로 사용되었으나, 그룹, 개인대상 상호작용에서는, 반응형태 방법 사용의 빈도수가 준비 형태 방법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체 상호작용에서는, 교사에 의한 준비형태 방법이 학생에 의한 준비형태 방법보다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나, 그룹, 개인 상호작용시의 경우에는 학생에 의한 준비형태 방법이 교사에 의한 준비형태 방법보다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학습자 반응의 경우, 상호작용의 형태와 는 관계없이 학습자는 자신이 제시한 준비형태 방법에는 성공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반응형태 방법 후의 학습자의 반응의 성공여부는 상호작용 형태에 따라 다른 결과를 도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호작용 형태와 형태중심 교수법, 그리고 학습자의 반응간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상호작용적 미디어를 통한 정치인의 이미지 형성-정치인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송인덕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

        For the purpose of systematic explanation of the effects of interactivity, the present study conceptually defines interactivity as being resi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s interactive technologies and users' perceptions of them. And, this study intends to overcome some of the limitations in the previous research by measuring the effects of objective interactivity against the effects of users' perceived interactivit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not only the effects caused by interactive technologies of media system in the context of political communication but also the effects of users' perceptions of interactivity, which may be influenced by the content delivered through the media system, on the formation of politician's image or attitudes toward the politicia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between-group experiment was conducted by utilizing three versions of stimulus websites designed to have different levels of technological interactiv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ractive technologies included in the politician’s Website have not directly affected formation of positive images of the politician. However, interactive technologies on the Website have led users’ perceptions of interactivity to the positive direction, then users’ subjective experiences have resulted in positive evaluations and finally favorable images of the politicia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objective interactivity of Websites on image building or attitude formation may be mediated through users’ perceptions of interactivit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mediation proces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상호작용성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상호작용성의 개념을 미디어의 기술적 측면과 이용자 인식의 주관적 측면 간의 관계 속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객관적 상호작용성과 이용자가 주관적으로 인식한 상호작용성의 효과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선행 연구들의 제한점을 일부 극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정치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미디어 시스템의 상호작용적 기술이 초래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그 시스템을 통해 전달되는 콘텐츠에 의해 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호작용성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이 정치인에 대한 이미지 또는 태도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적 기술의 수준을 달리하는 3개의 정치인 웹사이트를 자극물로 제시하는 집단 간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정치인 웹사이트에 포함된 상호작용적 기술들, 즉 웹사이트의 객관적 상호작용성 수준은 이용자들이 정치인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있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웹사이트의 상호작용적 기술들은 이용자의 상호작용 인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고, 이러한 주관적 경험은 다시 정치인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그 정치인에 대한 호의적 이미지를 형성한다는 사실이 통계분석 결과를 통해 제시되었다. 이는 웹사이트의 객관적 상호작용성은 이미지나 태도 형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이용자의 상호작용성 인식을 통해 그 효과가 매개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해 주는 결과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