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호작용적 미디어를 통한 정치인의 이미지 형성-정치인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송인덕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

        For the purpose of systematic explanation of the effects of interactivity, the present study conceptually defines interactivity as being resi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s interactive technologies and users' perceptions of them. And, this study intends to overcome some of the limitations in the previous research by measuring the effects of objective interactivity against the effects of users' perceived interactivit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not only the effects caused by interactive technologies of media system in the context of political communication but also the effects of users' perceptions of interactivity, which may be influenced by the content delivered through the media system, on the formation of politician's image or attitudes toward the politicia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between-group experiment was conducted by utilizing three versions of stimulus websites designed to have different levels of technological interactiv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ractive technologies included in the politician’s Website have not directly affected formation of positive images of the politician. However, interactive technologies on the Website have led users’ perceptions of interactivity to the positive direction, then users’ subjective experiences have resulted in positive evaluations and finally favorable images of the politicia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objective interactivity of Websites on image building or attitude formation may be mediated through users’ perceptions of interactivit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mediation proces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상호작용성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상호작용성의 개념을 미디어의 기술적 측면과 이용자 인식의 주관적 측면 간의 관계 속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객관적 상호작용성과 이용자가 주관적으로 인식한 상호작용성의 효과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선행 연구들의 제한점을 일부 극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정치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미디어 시스템의 상호작용적 기술이 초래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그 시스템을 통해 전달되는 콘텐츠에 의해 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호작용성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이 정치인에 대한 이미지 또는 태도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적 기술의 수준을 달리하는 3개의 정치인 웹사이트를 자극물로 제시하는 집단 간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정치인 웹사이트에 포함된 상호작용적 기술들, 즉 웹사이트의 객관적 상호작용성 수준은 이용자들이 정치인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있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웹사이트의 상호작용적 기술들은 이용자의 상호작용 인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고, 이러한 주관적 경험은 다시 정치인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그 정치인에 대한 호의적 이미지를 형성한다는 사실이 통계분석 결과를 통해 제시되었다. 이는 웹사이트의 객관적 상호작용성은 이미지나 태도 형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이용자의 상호작용성 인식을 통해 그 효과가 매개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해 주는 결과이다.

      • KCI등재

        남북 간 상호작용 현상과 대응전략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적 해석-

        김재철,김지동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2 평화학연구 Vol.13 No.4

        This study investigated military confronting phenomen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rom three restrict interactions aspect which Clausewitz mentioned, and suggested response strategy to relieve restrict interaction going too far. The phenomenon of restrict interaction which have developed under confronting phenomen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until now are as follows. First, Response of South Korea have been passive against armed provocation of North, which means that the first restrict interaction had nor been performed. But, there would be high possibility to punish strongly in case armed provocation of North happens after the bombardment of Yeonpyeong. Second, the second restrict interaction which is competitive efforts of South and North for emasculation of the other party has been continuing. Third, the third restrict interaction to secure larger military power than the other party also has been continuing. Instead, non-symmetrical element was added to conventional arms race of cold war era by nuclear development of North after Post cold war. To mitigate confronting restrict interac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lexible reciprocity strategy is needed as follows. First, To intercept the first restrict interaction, it is necessary to let North Korea recognize restraint by Korea and the USA against North. For this, joint response system of Korea and the USA is needed from the peacetime operation stage. Second, To mitigate the second restrict interac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build confidence between South and North through exchanges and cooperation, at the same time, to prepare against indirect strategy of North Korea. Third, To mitigate the third restrict interaction,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active arms control in connection with non-military exchanges and cooperation. 본 논문은 남북 간 군사적 대립현상을 클라우제비츠가 ⌜전쟁론⌟에서 제시한 3가지 상호작용 측면에서 고찰하고, 극한으로 치닫는 상호작용을 완화시키기 위한 대응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동안 남북 대립관계 하에서 전개되어 온 상호작용 현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무력도발에 대한 남한의 대응은 소극적이었는바, 제1상호작용은 이행되지 않았다. 단지, 교전규칙에 의한 등가성(equivalence)의 군사적 대응으로 일관하였다. 그러나 연평도 포격사건은 남북 간 제1상호작용이 작동되는 전환점이 될 것이며, 향후 북한의 무력도발이 있을 경우 강력한 응징이 이행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상대방을 무력화시키려는 남북한의 경쟁적 노력인 제2상호작용은 지속되고 있다. 이는 남북갈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남남갈등이 국가안보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등장하였다. 셋째, 상대방보다 더 큰 군사력을 보유하고자 하는 제3상호작용 역시 지속되고 있다. 단지, 냉전시대의 재래식 군비경쟁이 탈냉전 이후에는 북한의 핵 개발로 비대칭적 요소가 추가되었다. 남북 간 대립적 상호작용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신축적 상호주의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제1상호작용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북한으로 하여금 한미의 대북 억제력을 인식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평시작전단계부터 한미가 공동 대응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제2상호작용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교류협력사업을 통해 남북 간 신뢰구축를 구축함과 동시에 북한의 간접전략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셋째, 제3상호작용으로 인한 군비경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군비통제(arms control)를 추진하되, 비군사분야의 교류협력과 연계하여 군사적 신뢰구축(military confidence building)과 운용적 군비통제(operational arms control)를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상호작용 공간의 상호작용성 영향요인Ⅰ

        이정민(Jeongm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5

        현대에 주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상호작용 공간을 효과적으로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상호작용성 영향요인들을 이해하고 이를 수용하는 사용자 중심적인 공간디자인 방법론이 필요하다. 본고는 이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 연구주제로 수행될 3편의 연계논문 중 첫번째 연구이다. 디자인의 기본 관련 영역을 기반으로 설정한 분석지표(시스템영역, 사용자영역, 관계영역)에 의거하여 상호작용성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성의 첫번째 영향요인은 상호작용성을 위한 접속의 장인 인터페이스로 분석되었다. 이의 세부유형 분석은 연계연구 II 편의 연구과제이다. 두번째 영향요인은 상호작용성의 발생 주체인 인터서브젝트이다. 이의 세부유형은 사용자의 상호작용 욕구의 측면에서 파악되어 기능적 & 조형적 욕구, 외현 & 잠재 욕구, 정보커뮤니케이션 & 공감 욕구의 6개 세부유형이 분석되었다. 세번째 영향요인은 상호작용성의 실제 수행과정인 인터랙션이다. 이의 세부유형은 상호작용 행태 프로세스의 측면에서 파악되었고 접속, 몰입, 심성모형 형성, 상호작용 행위, 변형, 경험적 발생의 여섯 단계로 분석되었다. Interactive space became one of the major design paradigms. For elevating the interactive effect, we need user-centered design methodology which uses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teractivity. This research is the first one of three linked- studies and categorizes the three main factors on the interactivity-Interface /Intersubject/Interaction. 'Interface' is the field for the interactivity. It will be the main subject for the second study. 'Intersubject' is the performer for the interactivity. Its specific attributes are analyzed in terms of user's needs for interactivity and six subdivisions are analyzed-functional & artistic need /external & subconscious need/info-communication & sympathy need. 'Interaction' is the performance for the interactivity. Its specific attributes are discussed in terms of behavioral interactive process and again six sub-steps are analyzed-junction/immersion/ mental model/action/transformation/neo-experience.

      • KCI등재

        수업상호작용의 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김민성(Kim, Minse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학습이 타인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현상이라는 사회구성주의 관점에 기반하여 수업상호작용의 의미와 역할을 이해하고 수업상호작용 연구의 성과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수업상호작용은 수업이라는 활동시스템 속에서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활동시스템의 여러 요소(주체, 도구, 대상, 규칙, 공동체, 역할분담)의 통합적 영향을 받아 구조화되면서 의미구성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언어라는 기호가 수업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의 역할을 하면서 지식의 공동구성과정과 개인의 내면화 과정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과정-산출 연구의 전통에서 수행된 수업상호작용연구는 학생의 학업성취와 상관이 있는 교사의 행동이 무엇인지를 드러냈지만, 구체적인 수업맥락에서 해당 행동이 의미구성의 과정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살펴보지는 못하였다. 수업상호작용의 구조화된 유형을 기술하는 데 주력한 수업참여구조연구는 수업에서 실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유형을 이해하는 데는 도움을 주었지만 참여구조와 의미구성의 연관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지는 못하였다.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수업상호작용연구는 수업참여 구조연구가 밝혀낸 상호작용 유형이 어떻게 학습자의 지식이나 경험을 공동의 장으로 이끌어내는 역할을 하는지, 공동의 활동이 어떻게 개별 학습자의 수행에 반영되는지, 보다 성공적인 의미구성을 위한 교사의 역할은 어떠한 것인지를 드러내는 데 기여를 하였다. 향후 수업상호작용 연구는 학기별, 학년별, 학교급에 따른 수업상호작용의 변화과정, 테크놀로지와 같은 도구가 개입되었을 때 질적으로 변형되는 상호작용의 양상, 교과 등 다양한 맥락에 따라 달리 이루어지는 수업상호작용의 유형, 인지적 측면뿐 아니라 상호작용의 관계적, 정서적 측면, 의미구성의 다각적인 측정방법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사회구성주의에 기반한 상호작용연구는 다른 학습이론이 충분히 드러내지 못한 학습의 사회적 측면, 공동의 의미구성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교육 및 학습현상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role of classroom interaction and to discuss the trend and directions of classroom interaction research from a perspective of socio-constructivism. Classroom interaction occurs as a dialogic interaction in an ‘activity system’ with such components as subject, tool, object, rules, community, and division of role, one that becomes structured in the interaction processes and influences the way students learn and think. With the mediating role of language, classroom interaction plays a facilitating role in the process of shared meaning-making and individual students’ internalization. In the trend of classroom interaction research, a process-product research tradition found a list of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associated with student achievement. However, it did not examine the role of teaching behaviors in students’ meaning-making process in classroom interaction. By describing the types of classroom participation structure, studies on classroom participation structure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f classroom interactions that actually occurs in the classroom practice, however, with the limitation of not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of participation structure and the meaning-making process. Finally the classroom interaction research conducted from a socio-constructivism perspective revealed how classroom interaction shapes a shared or individual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what role teachers play in the process. It was suggested that the future classroom research should examine 1) the trajectory of classroom interaction by semester, grade, or school level; 2) a transformation of classroom interactions when technology is introduced in class, 3) the diversity of classroom interactions in the different contexts such as different subject matters and school climate; 4) the relational, emotional aspects as well as cognitive aspects of classroom interactions; 5) the diverse ways to measure the level of meaningconstruction. Classroom interaction research from a perspective of socio-constructivism will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by investigating the social and shared aspect of learning, one that have not fully examined by other learning theories.

      • KCI등재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선우현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3 놀이치료연구 Vol.17 No.1

        This study aimed to helpi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through the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Family members experienced comfort, a naturally physical contact, and pleasure & sympathy of being together and experienced the wait for demand and the positive self-expression. In the meantime, the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ame to be more active.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were participate 11 families of child with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of peer group in 6 cours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rough MIM test and family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carrying out the family play therapy, the parent-child interaction was changed into the positive interaction. In conclusion, the family play therapy can be considered to be effective for positive influence upon parent-child interaction. These results have their significances in terms that can activate the parent-child family play therapy far more for many parent and their children. 가족 간의 상호작용은 아동의 정서적 및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부모와 자녀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은 아동이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보다 긍정적이고 사회적으로 수용되는 특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이지 못할 경우 아동은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문제행동을 보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 간 상호작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정서 및 사회적 문제행동을 갖고 있고 또래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족놀이치료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조화된 신체놀이와 협동놀이 그리고 자녀의 욕구에 따른 자유놀이를 통합하여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는 예비실험을 위한 1가족을 제외하고 총 11가족 간 상호작용의 촉진이 정서 및 또래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아동과 그 가족에게 나타난 상호작용 특성을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를 통해 실험에 참여한 가족들은 첫째, 자녀의 욕구에 따른 정서적 상호작용에서 변화가 나타났으며, 둘째, 부모-자녀 간 긍정적 상호작용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따라서 가족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은 가족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개방적 의사소통과 긍정적 시각으로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더 나아가 자녀들의 문제행동의 감소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복합상호작용 시각화기법을 통한 정보 표출

        강상구,남두희 한국ITS학회 201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1 No.5

        교통정보를 운영자와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시각화 방법이 사용된다. 데이터 및 정보시각화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와 상호작용 시각화 기법을 적용한 교통정보 서비스의 디자인 기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데이터 시각화, 정보 시 각화에 대해 기존 연구 사례를 정리하고, 상호작용 시각화 기법의 정의와 현재 제공되고 있는 교통정보 서비스를 분석하 였다. 상호작용 시각화 기법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시각화 기법 중 선택, 질의, 연결, 필터링, 재정리에 대해서 각각이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복합적 사용 방안에 대해서 연구하였 다. 이러한 상호작용 시각화 기법은 정보와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보는 것이 아닌 능동적으로 정보 획득이 가능해진다. 교통정보의 경우 사용자가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의사 결정에 반영하는 과정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상호작용 시각화 기법을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에 적 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상호작용 시각화 기법이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에 적용 될 수 있는 기초연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Several Visualization techniques have been applied in traffic information area. This work is the basic research for applying of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when the traffic information is provided to users. Design of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o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Previous studies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with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were investigated, and the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currently provided were analyzed. There are many types of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but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selecting, querying, linking, filtering and rearranging techniques. The users can obtain the proper and more suitable information for theie needs, because each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support interaction between information and users. The traffic information which has one of interactive techniques can be more effective for decision making and utilization. More attention is given to interactive visualization of data and information techniques in transportation field. By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is more effective and can be a foundation work for various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in traffice inforamtion.

      •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지적능력의 매개효과

        최정윤(Choi, Jung-Yoon),김혜순(Kim, Hye-Soon)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지적능력이 나타내는 매개효과가 어떠한지를 규명하여 유아들의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이들 영향요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G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2곳의 만 4,5세 유아 101명이었다. 유아 자기조절력은 유치원 교사가 유아의 평소 유치원 생활을 관찰한 것을 토대로 평정되었으며, 유아 또래상호작용은 본 연구자와 보조연구자에 의해 현장기관에서 관찰되었으며, 유아 지적능력은 본 연구자에 의해 K-WPPSI 검사로 개인적으로 평가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이 실행되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지적능력에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자기조절력과 긍정적 상호작용과 의존적 상호작용은 각각 정적상관이, 자기조절력과 부정적 상호작용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지적능력과 긍정적 상호작용과 의존적 상호작용은 각각 정적상관이, 지적능력과 부정적 상호작용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긍정적 상호작용의 관계에서는 지적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의존적 상호작용 및 부정적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는 각각 지적능력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에서는 유아 자신의 자기조절력 발달이 더욱 중요하나, 의존적이거나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에서는 유아 자신의 지적능력이 더욱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또래상호작용 유형별로 이들 영향요인들을 좀 더 발달시킬 다각도의 교육적 지원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이 시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 s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1 young children at the 2 kindergartens in Gyeongsang province. The teacher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on their children s abilities of self regulation based on teachers observation about their children s behaviors at the kindergarten. The young children s peer interactions were assessed in the classrooms by the research team members who were trained for this study and their intelligences were assessed using K-WPPSI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individually in private places in the kindergarten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Windows 17.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young children s peer interaction, self regulations and intelligences.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 s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directly or indirectly. In conclusion, as far as this study understands, when it comes to the young child’s positive peer interaction, development of the young child’s own self regulation is indeed emphasized but in regard to dependent or negative peer interaction, significance of the young child’s intelligence is considered even more importantly.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al support from various angles to make improvements in those influential factors of each type of the peer interaction should be more efficiently offered.

      • KCI등재

        상호작용 중요도 행렬을 이용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장우혁(Woo-Hyuk Jang),정석훈(Suk-Hoon Jung),정휘성(Hwie-Sung Jung),현보라(Bora Hyun),한동수(Dong-Soo Han)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6 No.10

        최근 계산을 통한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기법 중, 단백질 쌍이 포함하고 있는 도메인들 사이의 관계에 중점을 둔 도메인 정보 기반 예측 기법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도메인 쌍들이 상호작용에 기여하는 정도를 정밀하게 반영하는 계산 기법은 드문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단백질 상호작용에 있어 도메인 조합 쌍의 상호작용 영향력을 수치화하여 반영한 상호작용 중요도 행렬을 고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시스템을 구현한다. 일반적인 도메인 조합 기법과 달리, 상호작용 중요도 행렬에서는 상호작용을 위한 도메인간의 협업 확률이 고려된 Weighted 도메인 조합과, 다수의 Weighted 도메인 조합 중 실제 상호작용 주체가 될 확률을 도메인 조합 쌍의 힘(Domain Combination Pair Power, DCPPW)으로 수치화한다. DIP과 IntAct에서 얻어온 S. cerevisiae의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와 Pfam-A 도메인 정보를 사용한 정확도 검증 결과, 평균 63%의 민감도와 94%의 특이도를 확인하였으며, 학습집단의 증가에 따른 안정적인 예측 정확도 향상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예측 시스템과 학습 데이터는 웹(http://code.google.com/p/prespi)을 통하여 내려 받을 수 있다. Recently, among the computational methods of protein-protein interaction prediction, vast amounts of domain based methods originated from domain-domain relation consideration have been developed. However, it is true that multi domains collaboration is avowedly ignored because of computational complexity.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protein interaction prediction system based the Interaction Significance matrix, which quantified an influence of domain combination pair on a protein interaction. Unlike conventional domain combination methods, IS matrix contains weighted domain combinations and domain combination pair power, which mean possibilities of domain collaboration and being the main body on a protein interaction. About 63% of sensitivity and 94% of specificity were measured when we use interaction data from DIP, IntAct and Pfam-A as a domain database. In addition, prediction accuracy gradually increased by growth of learning set size, The prediction software and learning data are currently available on the web site.

      • KCI등재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가 모-자녀 간 상호작용 및 모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모자공동생활가정을 중심으로 -

        김명애 ( Kim Myung-ae ),선우현 ( Sunwoo Hyu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6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가 모-자녀 간 상호작용 및 모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 소재 모자공동생활시설에 거주하는 모자가족으로 프로그램 전, 사정평가로 실시한 부모-자녀 상호작용 평가(MIM)에서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보인 5가족으로 구성되었다. Sunwoo(2013)에 의해 개발된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변화 과정을 질적분석하였다. 또한 사전 및 사후에 상호작용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부모양육태도검사(PAT)와 가족놀이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상호작용, 부모 주도 상호작용, 아동주도 상호작용의 변화가 나타났다. 부모 주도 놀이와 아동 주도 놀이에서 즐거운 놀이경험은 모와 자녀의 주도성을 높이고 긍정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촉진하였다. 둘째, 모의 양육태도에 변화가 나타났다. 모의 양육태도에서 지지표현과 합리적 설명은 향상되고, 간섭과 비일관성은 감소되는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가족놀이평가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가 모-자녀 간 정서적 친밀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모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tested the effects that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exerts on changes in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ve families with a mother and children who live in mother-child group hom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who had difficulty in using interacting using the Marschak Interaction Method (MIM), which was used as a pre-program assessment. Based on the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program, as developed by Hyun Sunwoo (2013), the program was organized into total of 8 sessions. To verify the effect, the examiner performed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change process. Additionally, to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interaction, this examiner conducted an evaluation using the Parenting Attitude Test (PAT) and family pla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it drove the changes in emotional interaction, parent-directed interaction and child-directed interaction. Secondly, There were changes in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It improved supportive expression and rational expression in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while diminishing high involvement and inconsequence by ther child. This shows that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is effective in promoting mother-child bonding and positive interaction is effective in changing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 KCI등재

        현대 앱아트의 상호작용 유형과 의의 연구

        하임성 ( Ha Im S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지금까지 현대미술 장르들을 ‘상호작용’ 관점으로 분석한 연구들은 많았지만, 앱아트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타 장르와 변별되는 현대 앱아트의 상호작용 유형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먼저 지금까지 기존 미술작품들의 상호작용 형식들을 정리하여 앱아트 상호작용 분석틀을 크게 ‘심리적’, ‘신체적’, ‘접촉적’ 상호작용으로, 접촉적 상호작용은 세부적으로 ‘단선적’, ‘복합적’ 상호작용으로 나누었다. 여기에 2008년부터 2019년에 생산된 앱아트 작품들을 대입시키고, 보편화된 현대 앱아트의 유형을 다음과 같이 추출하였다. 전체 앱아트 작품들은 ‘접촉적 상호작용’에 포함되었고 이중 앱에 접촉한 후 작가가 미리 담지한 콘텐츠를 일방향적으로 수용하는 ‘단선적인 상호작용’에 해당하는 작품들이 약 76% 내외였다. 또한 스캔 대상 없이 앱만을 통해 불특정 다수 또는 콘텐츠와 복수로 상호작용을 하는 ‘복합적인 상호작용’ 사례들은 약 24% 정도였다. 이를 통해 현재 앱아트 대부분이 기존의 대다수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의 단선적인 반응적 상호작용 유형과 형식적으로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의의는 첫 번째, 기존 미술 장르들은 관객의 물리적 상호작용 대상이 작품/대상/작가 등 비교적 단일했다면 앱아트는 그 대상이 스마트폰, 혹은 스마트폰, 작품/환경 등 일원화와 이원화로 구분되었다. 또한 현대미술의 상호작용 중심 주체가 작가 중심에서 관객 중심으로 서서히 변해 왔다면, 앱아트는 상호작용 대상의 일원화와 이원화에 따라 비교적 관객 중심, 작가 중심으로 폭넓게 분포되어 있었다. 두 번째, 앱아트는 상호작용 과정 중 스마트폰이라는 필수적인 기계의 활용은 ‘개인 소지품을 작품의 일부로 사용하고 감상 이후 일상품으로 다시 사용’하는 미술 역사상 첫 사례였다. 세 번째, 상호작용을 위해 기기와 관객 신체의 어우러짐을 요구하며 관객 신체미술의 폭을 넓히고 있었고, 기계를 통해 인감의 감각과 능력이 확장되는 현실의 모습을 일부 투영하고 있었다.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with analyse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action’ in genres of contemporary art, but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on app art. Thus, this study examined interaction types and significances of the contemporary app art,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ther genres. First of all, by organizing the interaction forms of the existing artwork, the analysis frameworks of app art interactions were divided into ‘psychological’, ‘physical’ and ‘contactual’ interactions. Contactual interactions were in more detail divided into ‘unilinear’ and ‘complex’ interactions. App artwork examples produced from 2008 to 2019 were placed in this framework and the following have been extracted as the types of generalized contemporary app art. All app artwork examples were included in the ‘contactual interaction’ and about 76% of them corresponded to the ‘unilinear interaction’ that accepts the artist’s pre-loaded contents unilaterally after contacting the app. About 24% of the examples corresponded to the ‘complex interaction’, which is the multi-interaction with unspecified public or contents via the app alone without scan targets. This shows that most of the current app art have the similar form to the unilinear reactive interaction type of most of the existing interactive media art. The first significance of this finding is that while the existing art genres have relatively singular interactive targets for viewers, such as art/target/artist, app arts have single or double targets with either smartphones or smartphones and the art/environment. In addition, while the main interaction subject of the contemporary art has slowly changed from artist-centered to viewer-centered, the app art has a relatively wide range of distribution from viewer-centered to artist-centered as its interaction targets are single and double. Second significance is that in the app art, the use of smartphone as a required machine during the interaction process is the first case in the history of art that ‘a personal item is used as part of art and after the appreciation, it is reused as a daily item’. Third is that interactions require harmony between devices and viewers’ bodies and expand the bodily art of viewers and through the machine, reflecting some of the reality that humans’ senses and capabilities expand through the mach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