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관계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문소영 ( Moon Soyoung ),최진혁 ( Choi Jinhyeok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3

        최근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교육학 분야에서 사회연결망 분석은 비장애 학생의 우정 관계, 또래관계, 학업성취, 상호작용 형태 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 분석 연구방법을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중재에 있어 활용을 모색하고자 기초연구로써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사회성관계를 연구한 선행 논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관계 연구에 활용되는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특성 및 내용을 살펴보았다. 체계적 문헌 선정과정을 통하여 18편의 관련 논문을 선정하였고,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관계와 관련된 사회연결망 분석 연구의 연구방법(연도, 지역, 학교급, 연구 참여자, 측정방법, 분석종류 등)과 연구 결과의 내용적 특성(주제, 결과)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2007년도 이후 18편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최근 11년 동안 지속적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미국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이 가장 높은 빈도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모든 학교급에 걸친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적 관계를 분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관계 연구를 위한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의 잠재적 적절성과 활용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odology. In the education field, the social network analysis have been used to identify friendship, peer-interactions, peer relationships, academic achievement, etc. Thu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cent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characteristics related to ASD students’ social relations, so that more researchers would be able to employ the social network analysis for autistic students’ improvement in their peer relations. We searched 18 related research literatures through the systematic process. The selected literatur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s (i.e., publication years, countries, grade levels, types of participants, measurement methods, etc.) and the research results (i.e., purposes, etc.).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d that 18 papers were published since 2007 and the number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consistently increased in the last 11 years. The most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Most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used surveys on students.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implemented to analyze social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with ASD across all grade levels. We discussed that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for the research the ASD students’ social relations.

      • KCI등재

        후기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 유형과 우울에 관한 연구

        강은나 ( Eun Na Kang ),김혜진 ( Hye Jin Kim ),정병오 ( Byung Oh Ch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5 사회복지연구 Vol.46 No.2

        본 연구는 건강상태 저하, 배우자 및 지인의 상실 등으로 인해 사회적 관계의 양과 질적수준이 급격히 약화되는 75세 이상 후기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이 어떠한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탐색적 수준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만 75세 이상 노인으로 2012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활용하였다. 우리나라 후기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후기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이 노인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후기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은 친구형(9.0%), 가족.친교형(32.9%), 자녀형(23.2%), 자녀·친구형(34.9%)으로 도출되었다. 친구형은 유배우자 비율, 자녀와의 연락과 만남, 친구와의 만남, 친목모임 등 단체활동 참여도 가능성이 매우 낮은 반면 친구와의 만남 가능성이 유일하게 높은 특성을 가진다. 가족.친교형은 유배우자일 확률이 가장 높고, 자녀와 친구, 그리고 친목모임과의 관계정도가 높으며, 자녀형은 사회적 관계의 범위가 자녀로 한정되어 있으며, 자녀·친구형은 각종 단체활동 참여 가능성은 낮은 반면 자녀 및 친구와의 교류 가능성이 높은 특성을 보이고 있다. 사회적 관계의 범위가 가장 광범위한 가족.친교형을 기준으로 후기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이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친구형과 자녀형의 우울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관계망 유형이 노년기 정신건강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기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축소를 예방하고 긍정적인 가족, 친구,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형성 및 유지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Generally, older adults aged 75 or over are experienced the reduction of the size and quality of social relation due to health proble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ocial network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75 or above. Date on 1,869 older adults aged 75 or above, from the 2012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were analyzed. We used the latent class analysis to investigate social network types of elderl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types and depressive symptoms. The results showed that old-old elderly had four distinct social network types: friend type(9.0%), family-social type(32.9%), children type(23.2%), children-friend type(34.9%). The friend type had no contact with children and had small social contacts compared to other types and the older adults with family-social type were more likely contact with children and friends and participate in social meetings. Those with children-friend type had lower social meetings compared to the family-social type, and the social relation of the elderly with children type was limited to only their childre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depressive symptoms among children type and friend type were higher than family-social type. It showed that social network types influenced on mental health of old-old ad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 for improving the size of social network and maintaining the positive relations with family, friends, and commun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 연결망 분석과 문학 연구 : 영미문학과 한국문학을 중심으로

        김용수(Yongsoo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21 비평과이론 Vol.26 No.2

        사회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은 20세기 내내 사회과학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해온 사회구조 분석 이론이자 방법으로서 개체, 조직, 인간, 사물 사이의 복잡다기한 연결을 거시적, 미시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관계형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연결망으로 시각화하여 유동적이면서도 구조화된 전체 장을 파악하고자 하는 분야이다. 이러한 사회 연결망 분석은 최근 인문학 연구 분야에서, 특히 2000년대 이후 디지털인문학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면서 그 방법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영미문학 연구 분야에서도 사회 연결망 분석의 이론과 기법을 영문학 자료에 적용하여 그 동안 전통적인 연구 방법으로 파악하기 어려웠던 특정 국면의 문학 관계망을 복원한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국문학 연구 분야 역시 사회 연결망 분석 기법을 적용한 사례가 드물지만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사회 연결망 분석 이론 및 방법이 문학 연구에 지닌 함의와 가능성에 주목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소개하여 한국 학계의 디지털인문학적 문학 연구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 연결망 이론을 소개하며 그 의미와 역사를 되짚어 본다. 그리고 이것이 인문학, 그 중에서도 문학 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은 무엇인지 등을 점검하기 위해 영미문학 분야 연구 성과들을 비판적으로 점검한다. 나아가서 사회 연결망 분석이 국문학계에서는 어떤 성과들을 축적하고 있는지 검토하여 한국에서의 사회 연결망 분석 기법을 활용한 문학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Social network analysis has been evolving as a social structure analysis theory and methodology in the social science discipline throughout the 20th century. It strives to understand the complex networked relationships among entities such as objects, individuals, social groups, organizations, etc. by preparing and visualizing their relational data so as to grasp the fluid dynamics of any given field. Many humanities scholars have also paid close attention to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new research method as digital humanities emerges as a formidable discourse in the new millennium. There are quite a few remarkable cases that apply social network analysis concepts and techniques to English literary data and thus manage to delineate literary networks at the particular junctures in literary history, which might have remained opaque otherwise. A similar trend can be observed in Korean literary studies though only a small number of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the method. This paper introduces social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its possibilities as a new literary research method and hence facilitating digital humanities approaches to literature in Korean academia. First, it briefly presents social network analysis theory, its history and concepts, and its methodological significance. And then, it goes on to critically review the actual research cases in the fields of English and Korean literature to examine how social network analysis can be employed in literary scholarship and what potentials it contains as a research method.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at social network analysis helps deepen our knowledge and appreciation of literature by engaging literary history with a fresh look.

      •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의 이론적 기초에 관한 탐색적 접근

        김경모(Kyungmo Kim) 한국언론학회 200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 No.2

        이 글은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연결망 분석이 기초하고 있는 이론적 사유와 방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연구의 기본 내용을 방법론적 관점에서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 연결망 분석의 기저에 담긴 관계적 관점과 구조적 분석의 특성을 살펴보고 연결망 관점이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어떻게 개념화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이를 위해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모형이 지닌 한계를 연결망 관점에서 비판한다.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의 방법적 특성을 고찰한 뒤 연결망 분석의 방법적 특성을 토대로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 연구를 개관할 수 있는 메타 이론적 분석틀을 제시해 본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communication network analysis with a special focus on theoretical thinking and methodological principles guiding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network perspective, the communication process has been re-conceptualized in terms of combining the relational perspective and structural analysis. A body of existing models of communication(e.g., linear mood, interactional model) also has been criticized in comparison with the network mcx:lel of communication as a social expansion of transactional model. Finally, a meta-theoretical framework is suggested for the overview of research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alysis.

      • KCI등재

        저자 동시 인용 분석을 통한 "관계 마케팅" 연구 동향 및 지적 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김재욱(Jae Wook Kim),이소영(So Young Lee),김향미(Hyang Mi Kim),이진화(Jin Hwa Rhee) 한국마케팅학회 2008 마케팅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지금까지 꾸준히 연구가 되어 오고 있는 관계 마케팅의 연구 동향 및 그 지적 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약 20년간 관계 마케팅 연구가 이루어지는 동안 메타 분석을 이용하여 관계 마케팅 연구 영역에서의 주요 변수들의 관계를 계량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분석 방법은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으로 연구의 진화 및 그 지적 구조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이를 위해 계량서지학(Bibliometric) 분야에서 학문의 지적 구조를 파악하는데 주로 이용하는 저자 동시 인용 분석 방법(author co-citat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저자 동시 인용 분석 방법은 어느 특정 연구 주제 내에서 저자들 간의 동시 인용 빈도를 분석단위로 하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를 반영한다. 저자 동시 인용 분석의 장점은 단순히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계량적으로 정리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의 흐름 및 지적 구조를 지도로 표현할 수 있다. 저자들은 1990년~2006년까지 17년간 이루어진 누적된 관계 마케팅 연구들을 대상으로 저자 동시 인용 분석 을 실시하였다. 우선 SSCI 웹 사이트에서 마케팅 분야의 Top 10 저널과 관계마케팅 분야에서 가장 많은 인용이 된 저자 28명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저자들 간의 동시인용빈도를 이용한 상관관계 행렬을 구한 다음, 다차원 척도 분석을 실시, 관계 마케팅 분야의 지적 구조를 지도로 보여주었다. 그 결과, 관계 마케팅연구는 크게 B2C와 B2B 라는 연구 대상을 기준으로 하여 그 분야가 나누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를 통해 과거 17년간의 관계 마케팅의 연구 분야의 진화 과정 및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에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여 추가 연구를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처음 분석 결과에 대한 이유를 저자들은 17년간의 연구 결과를 한꺼번에 보았기 때문이라 판단했다. 따라서 저자들은 1990년~2006년을 약 5~6년 단위로 3 기간(1990-1995년, 1996-2000년, 2001-2006년)으로 나누어 군집 분석 및 다차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처음 분석결과와 달리 관계 마케팅 분야의 연구 주제를 바탕으로 저자들이 각 시기별로 다양한 군집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추이도 살펴볼 수 있었다. 1990년대 초에는 관계에서 나타나는 문제(힘, 의존성, 만족, 신뢰, 몰입, 영향전략, 통제 등) 및 시장지향성과 같은 기본적인 문제를 다루었기 때문에 군집의 수도 적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다 군집 수가 늘어나는데, 이는 환경, 법, 기술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들과의 연결되어 더 많은 연구 주제(장기지향성, 브랜드 커뮤니티, CRM 등)로 확장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2000년대 가 이후에는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관계를 다루는 시야가 넓어져 관계 마케팅에서도 이전의 연구에서 하나의 관계 자체에만 초점을 맞추었다면, 이후에는 네트워크 관점에서 관계 마케팅 이슈를 다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는데 그치지 않고, 관계 마케팅 영역이 발전해 오는 동안의 핵심 연구가 무엇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3 기간 마다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은 특정 네트워크 자체가 얼마나 집약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네트워크 밀도(density)뿐만 아니라 그 안의 개별 구성원들 사이에서 누가 네트워크의 핵심인지를 보여주는 네트워크적인 특성인 중심성(centrality)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를 이용하면 각각의 기간 내의 핵심 저자와 주제 및 저자들 간의 네트워크적인 구조 및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3기간의 네트워크 밀도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1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선정한 관계 마케팅 핵심 연구 저자들 간에 가능한 연결이 거의 존재하는 것으로 연구가 산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관계 마케팅 연구가 그 분야 내의 연구들을 많이 인용함으로써 시간이 갈수록 이 분야 연구의 깊이가 깊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핵심저자들을 살펴본 결과, 가장 기본적인 문제를 다룬 저자들(Morgan, Hunt, Naver, Slater, Ganesan)등이 초기 단계부터 핵심저자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처음에 중심성이 낮았던 저자들(Oliver, Cannon, Steenkamp 등)의 중심성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2000년이 들어서면서는 누가 핵심저자라는 의미가 중요하지 않을 정도로 모든 저자들이 핵심이 되었다. 본 연구는 학문적인 측면에서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는데, 우선 마케팅 대표 저널을 대상으로 17년 동안 누적된 관계 마케팅 연구들을 바탕으로 그 연구 흐름 및 지적 구조를 파악했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해 관계 마케팅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주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relationship marketing field that has been extensively dealt since 1990`s. Several researches investigated the relations among important relationship variables using meta analysis method, but did not show how the relationship marketing research field has evolved.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we adopted author co-citation analysis(ACA). ACA is frequently used in Bibliometirc field to identify the knowledge structure of a research field. ACA uses the co-citation frequency among researchers as the unit of analysis and produces a map of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in a research field for a certain period. We applied ACA for the relationship marketing researches that were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06. First, we identified 28 researchers that their researches have been cited most frequently in the relationship marketing related papers selected from the top 10 marketing journals listed in SSCI web site. We produced a correlation matrix of author co-citation frequency and a map of the knowledge structure in the relationship marketing field using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The results were unexpectedly simple, showing that the field is categorized into two research streams, B2C relationship marketing and B2B relationship marketing research. As the results did not show us the detailed structure and trends of relationship marketing studies, we performed additional analyses. We suspected that applying ACA to the entire period of interest may have caused the initial results. We divided the period of interest into three shorter periods - 1990-1995, 1996-2000, 2001-2006 - and performed cluster analysis and MDS analysis with relationship marketing related researches in each period. The results of the second analyses showed that the researhers can be grouped into several clusters formed around specific relationship marketing research topic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structure of the clusters have been changing through three periods. In the first period, we found a few number of clusters as the research interests were focusing on market orientation and relationship issues such as power, dependence, satisfaction, trust, commitment, influence strategy, control, etc. In the next periods, as the researchers started to expand their interests into the influence of external factors such as environment, law, technology on relationships. In this period, we started to have researches on the topic such as long-term orientation, brand community,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etc. in the 21st centu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ocus of the relationship marketing expanded to include network perspective. We performed social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the main researchers representing each period. Social network analysis is useful in finding out the density of a network as well as the centrality of a network, identifying the core researchers in the network. As we move from period 1 to 3, we found that the network density index moving toward 1. This result means that the selected researchers in the relationship marketing fiel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lmost all possible ways and they are citing each other`s work in their own researches. This suggests that the researches are gaining more depth and influencing other researches. The researchers that have dealt with fundamental issues such as Morgan, Hunt, Naver, Slater, Ganesan are identified as the core researchers from the first period. As the relationship marketing researches expand, the researchers such as Oliver, Cannon, and Steenkamp are added into core group in the second period. in the final period, most of the selected researchers became the member of the core group. We have identified the research trends 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 the relationship marketing field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the Researc

      • KCI등재

        사회관계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의 발전과 고고학에서의 네트워크분석(Network Analysis) 동향

        홍은경 한국고대학회 2023 先史와 古代 Vol.- No.72

        This review was written to lay the groundwork for a progressive discussions on which network analysis in Korean archeology, which has recently gained attention but is still at a preliminary level. To this end, this paper briefl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network analysis, especially social network analysis(SNA), and the trends of SNA in archaeology in abroad and research cases in Korea. SNA is a representative research method in sociology, which is suitable for describing, exploring, and understanding complex social phenomena in structural and relational perspective. The characteristic of paying attention to relationships rather than individual attributes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widespread use of SNA as a tool for analyzing network data of various types in various other fields beyond sociology. It has been more than 50 years since network analysis was introduced to archaeology, but most of the research has been published in the past 10 years. These studies have shown that network analysis is not only a very useful tool for exploring the relationships that can be detected in archaeological data of various forms and levels in multi-dimensional way, but also a means of accessing the flow of resources and information in the past,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social structure in a variety of ways. Currently, network research in archaeology is expanding in terms of application techniques, research subjects, and the scope of topics. In Korean archeology, network analysis was first attempted in 2019, and it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being used as an analysis tool for data, so discussions on the concepts and applicability of analysis methods occupy a significant portion. As a result, most studies are in the position of providing concrete evidence for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the data and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range of plausible inferences and interpretations, rather than denying the existing achievements or deriving completely new result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topics, spatial and temporal scope, target data, and analysis techniques will be expanded, and the number of actual analysis cases will increase. However, network analysis is only a tool for research. It can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specific units, but it is essential to have an archaeological understanding to give meaning to the nature or form of the relationship. Ultimately, it is up to the researcher to interpret the actual results. 이 글은 최근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초보적 수준인 한국 고고학에서의 네트워크분석이 발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논의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작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분석 특히 사회관계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의 발전 과정과 함께 국내에 사회관계망분석이 소개된 이후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용하게 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고학의 네트워크분석 경향(외국)과 국내 연구에서의 적용 사례를 검토하였다. 사회관계망분석은 사회학의 대표적인 연구 방법으로, 구조적이고 관계적인 측면에서 복합적인 사회 현상을 기술하고 탐색하며 이해하는 데 적합하다. 개별적 속성이 아니라 관계에 주목한다는 특징은 사회관계망분석이 사회학을 넘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의 네트워크 데이터를 분석하는 도구로써 폭넓게 이용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고고학에 네트워크분석이 도입된 지는 50년이 넘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 발표되었다. 그간의 연구는 네트워크분석이 다양한 형태와 수준의 고고학 자료에서 감지되는 관계를 입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도구로써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과거에 이루어진 자원과 정보의 흐름은 물론 사회적 구조의 특징과 변화 양상에 다각도로 접근할 수 있는 수단임을 보여주었다. 현재 고고학에서의 네트워크 연구는 적용 기법이나 연구 대상, 주제의 범위가 점차 확장되는 추세이다. 한국 고고학에서 네트워크분석은 2019년에 처음으로 시도된 바, 지금은 자료에 대한 분석 도구로 이용되기 시작한 단계에 불과하여 실제 적용 사례가 많지 않고, 분석법의 개념과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연구는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기 보다는 고고 자료에 대한 기존의 이해에 구체적 근거를 마련하고 개연성 있는 추론과 해석 범위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지만 점차 연구의 주제와 시공간적 범위는 물론 대상 자료와 분석기법이 확대되고 실제 분석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네트워크분석은 연구를 위한 도구일 뿐이다. 특정 단위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지만, 관계의 성격이나 형태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고고학적 이해가 기본이 되어야 한다. 결국 실제 그 결과에 대한 해석은 연구자의 몫이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지각된 인기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종효(朴宗孝),김진구(金珍句),윤영(尹煐)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아시아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학생의 지각된 인기와 교사-학생관계, 학급의 또래관계 연결성과 위계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지각된 인기와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를 학급 내 또래관계의 연결성과 위계성이 조절하는지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총 34학급 943명 초등학생(여학생 47.8%)을 대상으로 또래지명과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관련 변인을 측정하였다. 학생과 학급의 수준을 포함하는 다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지각된 인기가 높을수록, 또래-교사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행동 수준은 높았다. 또한 학급 내 또래관계 연결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위계성이 낮을수록,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행동수준은 높았다. 특히 지각된 인기와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학급의 또래관계 연결성과 위계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의 연결성이 높은 학급에서는 연결성이 낮은 학급에 비해 지각된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이 더 증가하였다. 유사하게 또래관계 위계성이 낮은 학급에서는 위계성이 높은 학급보다 지각된 인기가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는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급 구성원이 친사회적 행동을 발현하는 데 있어서 학급 내 또래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 학급의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교사의 개입과 처방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 the current research, we explored the effect of perceived popularity,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er network connectivity and hierarchy on prosocial behavior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network connectivity and hierarchy. Using a sample of 943 elementary school students (female: 47.8%) in 34 classrooms, we measured relevant variables using peer nomination and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a multi-level analysis reflecting student and class levels showed that being female and having higher scores for perceived popularity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osocial behavior. Prosocial behavior was also higher in classrooms with high peer network connectivity and low hierarchy. Peer network connectivity and hierarch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opularity and prosocial behavior. Prosocial behaivor increased more rapidly according to perceived popularity in classrooms with high connectivity compared to those with low connectivity. Similarly, in classrooms with low hierarchy, prosocial behavior increased at a much higher rate than those with high hierarch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hips can influences students’ prosocial behavior in the classroom. The researchers conclude with policy implications for teacher intervention and prescrip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peer relationship in classrooms.

      • KCI등재

        주도적/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생의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을 중심으로

        박수진 ( Park Soo Jin ),박창열 ( Park Chang Yeol ),이동훈 ( Lee Dong Hu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의 특성을 살펴보고 주도적/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이 비선호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P광역시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 4~6학년 8개 학급을 대상으로 주도적/반응적 관계적 공격성과 비선호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사회연결망분석 프로그램인 Netminer 4.0을 활용하여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 분석을 하였고, 주도적/반응적 관계적 공격성과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 중앙성 지표 간의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의 밀도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대체로 1개 하위집단의 남녀혼성 집단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핵심 중심자에 집중화된 경향이 보이며 주로 핵심 중심자와 매개자로 이루어진 통일결합형 학급으로 나타났다. 주도적 관계적 공격성은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의 외향연결중앙성, 사이중앙성, 위세중앙성 지표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사이중앙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은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의 사이중앙성, 위세중앙성 지표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사이중앙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n-preferred peer network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active/reactive relational aggression on the non-preferred peer relationship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surveyed to measure proactive/reactive relational aggression and non-preferred peer relationships among 8 classes, 4th to 6th grade in 2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P Metropolitan City and w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Above all, a class non-preferred peer networks analysis was conducted employing Netminer 4.0, a social network analysis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etween proactive/reactive relational aggression and class non-preferred peer networks centrality indicato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non-preferred peer networks, the density of the class non-preferred peer networks was relatively low, and it was found to be a gender group of one subgroup. In addition, there is a tendency to concentrate on the core center, and it appears as a unified networks consisting mainly of the core center and mediator. Proactive relational aggress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the out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and eigenvector centrality index of peer non-preferred networks, an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betweenness centrality. Reactive relational aggression was found that it had a significant static effects on the index of 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of the networks and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betweenness.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follow-up of this study were proposed.

      • KCI등재

        피겨스케이팅 지도자의 사회적 관계 분석:

        이한주(Han Joo Lee),손나래(Na Rae Son),정재은(Jae Eun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피겨스케이팅 지도자의 사회적 관계 를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2014년 대한피겨스케이팅 연맹에 소속된 지도자 를 목적표집(purposive sampling)하여 선정한 65명이다. 연구도구는 동료 지명법 (peer nomination)을 사용하여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자본 질문을 직접 작성하여 수 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회연결망 분석 프로그램인 UCINET6, NetDraw, PNet을 이용하여 친한 지도자 및 조언 지도자의 중앙성 및 응집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피겨스케이팅 지도자 관계는 강한 유유상종 현상이 나타났다. 구체적으 로 같은 링크장 사용, 같은 지역 출신, 같은 스승 관계가 강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둘째, 중앙성이 높은 지도자는 사회적 자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한 지도자 와 조언 지도자 관계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겨스케이팅 지도 자들의 사회적 관계가 매우 단절되거나 폐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피 겨스케이팅 지도자 내부의 사회적 관계는 강한 유유상종 현상이 나타났으며, 외부의 사회적 관계는 단절되거나 폐쇄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ocial relationships of figure skating instructor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 sample of 65 participants was selected via purposive sampling among instructors of Korean Figure Skating in 2014. Data were collected with a survey involving questions designed by the researchers about social relationships and social capital. Collected data were used to analyze the centrality and cohesiveness of close instructors and mentor instructors by using programs for social network analysis such as UCINET6, NetDraw, and PNet. Results revealed homophily via the instructors’ using the same ice rinks, originating from the same hometown, and being students under the same teacher, all of which strengthened social relationships among them. Instructors with high centrality possessed high social capital, often associat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lose instructors and mentor instructors. However, social relationships among instructors were also highly disconnected and closed. In sum, figure skating instructors have stronger social relationships due to homophily, yet show disconnected, closed relationships with instructors from other social relationships.

      • KCI등재

        생활문화사업이 공동체 관계 형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김세훈,양종민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3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6 No.2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cultural activities, particularly those emphasizing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community activation, on community building. The influence of cultural activities on community building was examined through the method of Social Network Analysis, specifically analyzing how the density and strength of community relationships changed as a result of these activities. The goal was to empirically and quantitatively analyze the impact.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in the majority of surveyed groups, the network of connections among participants became denser, and the strength of the network also increased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ticipants formed more active relationships and stronger connections, leading to enhanced cohesion among participants. This indicates that the "social relationship" orientation inherent in cultural activities is effectively realized and aligns with previous research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cultural activities from a community perspective. A sense of belonging to a community is not only an important factor in promoting voluntary participation in local communities but also contributes to increasing satisfaction with the living environment, activating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and improving self-perception of agency in addressing local issues. From these perspectiv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ing the enhancement of participants' social networks and strengthened cohesion through cultural activities, hold practical and theoret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policy implications. 이 연구는 다양한 문화예술사업 가운데 특히 지역 주민의 주체적 참여나 지역사회 활성화와 같은 측면을 강조하는 생활문화사업이, 그 중심 관심대로 얼마나 공동체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생활문화사업이 공동체 관계 형성에 미친 영향은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Social Network Analysis)을 통하여 분석하였는데, 특히 이 사업을 통해 공동체 관계의 밀도와 강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그 영향을 경험적, 계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부분의 단체에서 생활문화사업 참여 전보다 참여 후에 참여자들 간의 연결망이 보다 촘촘해졌으며, 연결망 강도 역시 강해졌음이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생활문화사업 참여 이후에 참여자들 간의 관계 맺음이 더욱 활발해지고 관계의 강도가 강해졌으며, 참여자들 간의 결속력이 강화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생활문화사업이 가지는 ‘사회적 관계’ 지향성이 실제로 효과적으로 구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공동체적 관점에서 생활문화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한 선행연구와도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은 지역사회에서의 자발적 참여를 촉진시키는 중요한 요인일 뿐만 아니라, 거주 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이웃과의 관계를 활성화하며, 삶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이슈들에 대한 주체적인 역량에 대한 인식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생활문화사업이 실제로 참여자의 사회적 연결망을 강화하고 결속력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이 연구의 결과는 정책적으로나 이론적으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