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私敎育에 대한 文解力 提高를 통한 私敎育 槪念化

        박명희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3 사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사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다면적 사회 맥락에 대해 살펴보고, 사교육과 공교육의 특성을 비교해봄으로써 사 교육에 대한 개념화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부가 지속해서 ‘사교육 경감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도 불구 하고 사교육시장 규모 및 사교육 문제가 경감되지 않고 있는 맥락은 무엇이며, 사교육의 어떤 특성이 이러한 맥락을 유 지하도록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사교육의 본질적인 특성과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였고, ‘그림자 교 육(shadow education)’으로 개념화되어 있는 사교육을 ‘사적인 교육(private tutoring)’으로 재개념화하였다. 사교육에 대한 개념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은 공교육 및 공교육 보충 교육(방과후학교, EBS 교육 방송) 이외의 교육 서비스이고,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학원, 학습지, 온라인 사교육, 개인과외 등이 있다. 둘째, 사교육은 경제적, 사회적, 문 화적, 교육적, 역사적, 정치적 요인 등 다양한 다면적 사회 맥락이 밀접하게 연계된 수요와 공급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서 비스이다. 셋째, 사교육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만족 극대화를 추구하는 가운데 사적으로 거래되는 교육 서비스이다. 넷째, 사교육은 수월성의 가치를 우선시하고,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학생 중심적인 교육 서비스 이다. 다섯째, 사교육은 시장경제의 원리에 기반하여 영리를 추구하는 시장친화적인 교육 서비스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private tutoring by examining the multifaceted social context surrounding private tutoring in many ways and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tutoring and public education. To this end, despite the government’s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the ‘private tutoring reduction policy’, the size of the private tutoring market and the reason why private tutoring problems have not been alleviated were identified. And what characteristics of private tutoring maintain this context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se issue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private tutoring were discussed, and private tutoring recognized as ‘shadow education’ was reconceptualized as ‘private tutor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rivate tutoring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ivate tutoring is an educational service other than public education and supplementary education (after-school, EBS education broadcasting), and representative types include Hakwons, study materials, online private tutoring, and personal tutoring. Second, private tutoring is an educational service consisting of supply and demand that is closely linked to various multifaceted social contexts such as economic, social, cultural, historical, educational, and political factors. Third, private tutoring is an educational service that is traded privately while consumers and suppliers voluntarily participate and seek to maximize satisfaction. Fourth, private tutoring is a student-centered educational service that prioritizes the value of excellence and meets the needs of learners. Fifth, private tutoring is a market-friendly educational service that pursues profit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market economy.

      • KCI등재

        서울과 상하이 사교육 비교분석

        장교교(Zhang, Jiaojiao),박명희(Park, Myung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20 比較敎育硏究 Vol.30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서울과 상하이의 사교육 수요실태, 사교육 공급실태, 사교육 정책실태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두 도시의 사교육 현상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키고, 향후 사교육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제비교자료(PISA), 정부의 국가·도시 대규모 통계 자료(서울 통계청, 상하이 CFPS, 녹색지표), 개인연구자, 기관보고서 등 자료를 활용하여 문헌분석방법과 비교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사교육 수요실태는 두 도시의 사교육 참여율과 비용이 높고, 참여시간이 길다는 점에서 사교육이 학생생활 및 가계경제에 영향을 미친다. 양극화(고액화·음성화) 현상이 발생하는 공통점이 있지만, 학교급별, 계열별, 유형별, 지출금액별 격차 등에서 다소 상의하다. 둘째, 사교육 공급실태는 그 유형이 두 도시 모두 개인과외로 시작하여 학원형태로 발전하였고, 최근에는 온라인 사교육으로 전개되었다. 사교육공급은 더욱 다양화, 대형화, 전문화, 세분화 되고, 사교육 상장기업들의 상장, 합병, 인수 등 자본화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학습지 사교육, 공교육 교사의 유상과외, 사교육 상장기업의 창립년도와 상장시기, 해외상장, 업무영역, 해외진출 등에서는 차이점이 있다. 셋째, 사교육 정책실태는 두 도시에서 사교육과 관련된 직접정책과 간접 정책이 수립되었지만, 대체적으로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공통점이 있다. [결론] 이에 사교육 현상에서 유사성을 유지하던 서울과 상하이는 사교육에 대한 인식과 정책 목적의 차이로 인해 향후 서로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private tutoring phenomenon in Seoul and Shanghai, and to provide future directional policy advic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Seoul and Shanghai’s private tutoring in demand conditions(participation rate, participation time, participation cost, participation motivation), supply conditions(supplier type, the status of private tutoring listed companies), and policy conditions(policy type). [Methods] This research simultaneously employed documentary analysis and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materials and data included international comparative data, state-led(official) largescale statistical data, and individual researchers’ data.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emand conditions, both Seoul and Shanghai have extremely high participation rates and participation cost of private tutoring, also both cities have characteristics of high expenditure and polarization in common. Second, in the supply conditions, concern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rivate tutoring providers, both cities recently through online forms have been diversifying and departmentalizing in common. Both of two cities’ private tutoring listed companies actively being listed, mergers, acquisitions, and other capital activities. Third, in the policy conditions, private tutoring related policies in Seoul and Shanghai are similar in type, institution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but are different in purpose.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private tutoring between Seoul and Shanghai could be different. Based on analysis results, discussion have been proposed.

      • 사교육의 잠재력과 가능성의 실현에 관한 연구

        최항석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2 사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사교육을 긍정적인 관점에서 탐구하여 사교육의 올바른 정체성과 주체성을 정립하고, 이를 근거로 미래 사 교육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한국 사회에서 사교육은 의도적으로 이미지 화 되었다. 그 이미지화는 부정적인 인식과 문제로 형성되었다. 한국 사회에서 사교육은 필요악이며, 그림자 교육으로 취 급되었다. 그러나 사교육의 부정적 이미지는 교육권력과 학교학자들의 정치적 이념에 의해 만들어진 이미지였다. 공교육 과 사교육은 공간의 경계로 인한 차이이지 차별을 위한 경계 짓기가 아니었다. 사교육은 오히려 교육산업의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에지케이션 실현을 위한 공교육보다 더 중요한 교육자본이다. 또한 공교육과 사교육은 에지케이션 실현을 위한 동반자이며, 사교육은 공교육만큼 사회 속에서 존재 가치가 높은 교육의 현상이다. 그러므로 사교육 기관은 사회적 책임 의 수행을 통해 사교육의 정체성과 주체성 정립에 노력해야 한다. 사교육 기관의 사회적 책임은 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 이외에 교육적 책임을 각인하고 성실하게 수행해야 한다. 사교육 기관의 교육적 책임은 교육 원리에 기초한 교육의 질 향상이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교육적 선도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교육 기관과 종사자들은 넓고 깊은 연구에 매진해야 한다. 반성과 성찰을 통한 사교육의 연구는 미래 한국의 교육산업 발전을 위한 중요한 초성이 됨을 명 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ivate education from a positive point of view to establish the right identity and subjectivity of private education, and to realize the possibility and potential of future private education based on this. In Korean society, private education was intentionally imaged. The imaging was formed with negative perceptions and problems. Private education is a necessary evil in Korean society and has been treated as shadow education. However, the negative image of private education was created by educational power and political ideology of schoolism scholars.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were differences due to the boundary of space, not the boundary for discrimination. Private education is rather more important than public education to realize edge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industry. In addition,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are partners for realizing edgecation, and private education is a phenomenon of education with high value in society as much as public education. Therefore,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strive to establish the identity and subjectivity of private education through the perform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In addition to economic, legal, ethical, and charitable responsibilitie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must be imprinted and faithfully performed. The educational responsibility of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have educational leadership based on the philosophy of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based on educational principles. To this end,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and workers should focus on wide and deep research.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study of private education through reflection will be an important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industry in Korea in the future.

      • 유아 사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수요동기 및 인식, 주거환경 및 사회경제적지위에 대한 인식이 사교육 참여 개수 및 비용에 미치는 영향

        김성욱,박명희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2 사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서울시의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에 소재하고 있는 반일제 이상 교육기관(일명 영어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의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 사교육 수요동기 및 인식, 주거환경 및 사회경제적지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 들이 사교육 참여 개수 및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학부모가 자녀 사교육과 관 련된 요인을 다면적으로 검토하고, 인식을 전환함으로써 과열된 유아 사교육이 완화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부모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사교육 수요동기는 자녀의 인적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자녀를 잘 키우고 자, 자녀가 좀 더 나은 졸업장을 획득하게 하고자, 남들이 사교육을 받기 때문에, 자녀가 경쟁우위를 점하게 하고자 하는 순서로 분석되었다. 학부모의 사교육에 대한 인식은 기대감이 높은 반면, 부담감과 의존도는 상대적으로 낮고, 주거환경 보다 사회경제적지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 참여 개수는 자녀를 적게 낳는 만큼 잘 키우고 싶은 마음이 클수록, 부모의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의 연령이 올라갈수록 많았다. 사교육비용은 자녀의 인적자본 을 축적하고 싶은 마음이 높을수록, 주거환경이 사교육에 노출되어 있고, 부모의 소득수준과 사교육경험이 있을수록, 자 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부모가 해외거주 경험이 없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교육 수요동기 및 사교육 인식 과 사교육비용 간의 관계에서 주거환경 및 사회경제적지위 인식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tives and perceptions of the demand for private tutoring for infant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of the parents of children attending half-day or higher tutoring institutions (English kindergartens) located in Gangnam-gu, Seocho-gu, and Songpa-gu, Seoul and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number and cost of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Through this, parents review the factors related to their children's private tutoring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ways are sought to alleviate the overheated private tutoring for children by changing their perception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399 pare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motivation for private tutoring is to accumulate their children's human capital, to raise their children well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to have their children obtain a better diploma, to have their children educated in the same way with others, and to get their children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While parents' perception of private tutoring has high expectations, the economic burden and dependence on private tutoring are relatively low, and parents' perception of socioeconomic status is higher than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Second,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participating in private tutoring are human capital accumulation, consumer choic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level, and the child's age. Factors affecting private tutoring expenses were human capital accumulation, living environment, parents'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income level, private tutoring experience, and children's ag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motivation for private tutoring, perception of private tutoring, and private tutoring cost.

      • KCI등재

        학부모인 교사는 어떻게 사교육을 받아들이는가?: G시의 중등교원 사례를 중심으로

        이세희,전하람 한국교육사회학회 2023 교육사회학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eply understand how teachers who are parents and support their children’s schooling perceive and participate in private tutoring. Four female teachers, who worked at a middle school or a high school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had children attending school,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reveal the particularities of their perceptions of private tutoring and participating behaviors in it by comparing them with other par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private tutoring as inevitable for their children to compete and thus get admissions from selective universities, just like other parents in the situation wher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are considered extremely competitive in credential society. However, the teachers' attitudes and utilization strategies towards private tutoring became different based on whether they support their children’s education related to their major subjects or other subjects in schools. With an expert level of content and pedagogical knowledge, they supported their children's education related to their majors by using private tutoring in a very sophisticated way, whereas they tended to just follow other parents in non-major private tutoring. However, regardless of subjects, they tried to objectively evaluate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invest rationally in private tutoring, as they had a lot of experiences regarding testing other students in their schools. They also believed that they could contribute to reducing the demand for private tutoring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mong students, including their children, through reforming their classes in which all students can participate in class activities and thus feel rewarded. Finally, the scholarly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to clarify the impact of private tutoring as an inevitable way of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particularly among teachers who are parents, and to help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schooling and private tutoring, using the concept of habitus. 본 연구는 학부모인 중고등학교 교사가 어떻게 사교육을 받아들이고 참여하는지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G광역시 소재의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고 학교를 다니고 있는 자녀를 둔 4명의 여교사를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사례로 선정하여 이들과의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에서는 이들이 사교육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교사가 아닌 다른 학부모들과의 비교를 통해 그들의 참여행태의 특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연구 결과 교사는 상위 학교급으로의 진학에 있어서 입시경쟁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상황에서 다른 학부모들과 마찬가지로 자녀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전략으로 사교육 활용을 불가피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교사 본인이 가르치고 있는 전공교과 사교육과 그 외의 교과 사교육에 대한 태도와 활용전략은 다르게 나타났다. 전공교과 사교육 참여에 있어서는 교과교육 전문가로서 전략적인 선택을 통해 자녀의 교육을 지원하지만, 전공교과 외 사교육에 있어서는 정답이 없는 입시경쟁에서 다른 부모들을 따라가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전공교과 외 사교육에 있어서도 학부모인 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수많은 평가를 경험하면서 자신의 자녀 또한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그에 합당한 사교육 투자를 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편, 이들은 학생들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 수업을 조성함으로써 사교육의 대안을 학교교육으로부터 찾아낼 수 있다는 믿음을 드러내었다. 이는 부모로서 사교육에 참여할 수 밖에 없는 현실 속에서도, 교사로서 사교육에 견줄 수 있는 공교육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는 소명의식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이를 통해 부모로서의 자녀 교육 지원과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고 아비투스의 개념을 적용하여 부모와 교사의 사교육 인식과 참여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 KCI등재

        사교육에 대한 시간 및 비용 투자에 따른 효과 분석: 서울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분위별 효과를 중심으로

        김민선(Kim, Min-Sun),백일우(Paik, Il-W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별 사교육의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석 방법은 선택편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종속변수의 분위별 추정치를 구하는데 유용한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 QR)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자료는 전국에서 사교 육이 가장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서울 지역의 사교육 효과를 집중적으로 밝히기 위해 서울교육 종단연구(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0: SELS 2010)를 활용하였고, 분석 대상은 초・중・고등학생 가운데 사교육비 지출 규모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중학생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주요 변수에 대한 측정지표로서 먼저 학업성취도 측정지표는 주요 교과목 중 사교육에 대한 투자가 두드러지게 많이 이루어지는 영어와 수학 과목의 성취도 점수를 각각 사용하였다. 또한 사교육 측정지표는 서로 다른 유형의 투입 자원으로 구분될 수 있는 사교육 시간과 사교육 비용을 활용했는데, 이때 상호간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각 변수의 순수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이들 두 변수를 동일한 모형 내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영어성취도에 대한 사교육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교육 비용은 사교육 시간을 통제한 상태에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사교육 시간은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음 으로 수학성취도에 대한 사교육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교육 시간 및 사교육 비용 각각은 서로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모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사교육의 효과를 학업성취도 분위별로 보다 세밀하게 분석해본 결과 영어 및 수학성취도에 대한 분석 결과 모두 에서, 성적이 가장 낮은 분위에서는 사교육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특정 분위 이상부터는 대체로 성적이 높은 분위일수록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국 단위의 분석 자료를 활용한 선행연구의 분석 결과와 대조적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사교육의 효과가 대체로 크게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전국적으로 사교육 시장 규모가 가장 크고, 그 시장 메커니즘이 가장 활발하게 작동하는 서울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사교육의 효과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교육의 효과가 학생이 지닌 개인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사교육 시장 규모 및 특성을 달리하는 지역에 따라서도 상이 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사교육 효과에 관한 논의는 사교육의 효과성 유무를 가려내는 것에서 벗어나 보다 세밀한 접근을 통해 더욱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사교육 정책 역시 보다 다각적인 차원에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by students’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conduct a proper analysis, we applied quantile regression approach. The data used is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0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where the demand of private tutoring is the highest in the country. The academic achievement is represented by test scores of the two subjects which the amount of investment in private tutoring is the largest: English and mathematics. Private tutoring is measured by the amount of time and costs spent on it.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se two variables in an empirical model, we identified the pure effects of these two variabl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conditional on each other. It was found that, in English, costs spent on private tutoring significantly affect the students achievement while time spent on private tutoring does not. In mathematics, both time and costs show significant effects on educational outcomes. Furthermore, estimates for academic achievements in both English and mathematics by quantile report the heterogeneous effects: there are no effect of private tutoring in the lowest quantile group, and the effects appear and are found to be larger for students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in this study, in contrast to the literature which used the national level data, indicates that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in Seoul, where private tutoring is widely and the most vigorously received, are different. This shows that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are heterogeneous among students with diverse features, and by region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of private tutoring. Thus,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should be analyzed more thoroughly in various approaches rather than examining the existence of it. Based on these analyses, policies for private tutoring also need to be established more diversely.

      • KCI등재

        세계 사교육시장과 정책 동향 분석

        백일우(Paik, Il-Woo),박명희(Park, Myung-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6

        본 연구는 세계 여러 나라의 사교육현황, 사교육수요, 사교육공급, 사교육정책에 관한 동향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국가별ㆍ대륙별 사교육실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사점을 찾아 국가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참여율이 증가함에 따라 시장규모가 커지고, 상위성적 학생들의 참여가 높아지며, 참여대상의 연령이 더 어려지는 특성을 보였다. 둘째, 사교육수요 동기는 대륙별로 사회적배경과 문화적 특성에 따라 상이 하지만,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교육적 차원과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교육공급은 개인과외에서 사교육센터로, 최근엔 온라인사교육으로 더욱 세분화 되는 추세였다. 아시아지역에서는 사교육센터에 의한 ‘시장주도형’ 공급이 두드러졌고, 아시아의 저개발국가, 동유럽 그리고 아프리카지역에서는 학교교사에 의한 ‘학교교사형’ 공급이 주를 이뤘다. 서ㆍ북유럽, 북아메리카, 그리고 오세아니아지역에서는 국가지원에 의한 ‘국가지원형’ 공급이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특성을 보였다. 넷째, 사교육정책은 사교육에 대한 정부의 시각과 국가의 경제력에 따라 상이하였다. 그러나 많은 나라에서 사교육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공급자와 관련된 행정절차나 관리규정이 요청되고 있었고, 취약계층을 위한 사교육지원의 필요성이 언급되고 있어 ‘혼합적접근’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dition on private tutoring of different countries․continent through the comparison․analysis of the trends on condition, demand, supply, and policy of private tutoring but also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national education upon its implications. First, the findings indicate that as the rate of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rises, both the market size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student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d, and the age of participants show the tendency to get younger. Second, although the motivation for private tutoring demand is varied by each continent in distinctive social background and cultural dimensio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showed similar high motivation for demand in educational system and sociocultural dimension. Third, the trend on private tutoring supply was specified through shifting from private tutoring to private learning center and more recently, on-line private tutoring. In Asia, the private learning center-based ‘market-driven’ supply was noticeable characteristic. School teacher led ‘school teacher type’ supply shown to be dominant type of supply in some less developed Asian countries, Eastern Europe and African region. The private tutoring supply in Western‧Northern Europe, North America and Oceania region can be distinguished as state supported based ‘state supported type’ supply. Forth, the policy on private tutoring differed by the perception of government on private tutoring and national financial power. However, in many countries, the request for administrative procedure and regulation can be found in order to guarantee the quality of private tutoring services. Also, as the recognition on the need for private tutoring support for disadvantaged social class grows, it is expected that ‘mixed- approach’ on private tutoring policy will be increased.

      • KCI등재

        사교육, 방과후학교, EBS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분석

        윤유진(Yoon, Eugene),김현철(Kim Hyun-chul)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교육, 방과후학교, EBS의 학업성취 효과를 비교를 통해 방과후학교, EBS의 사교육 대체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과도한 사교육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한국의 현실에서 저렴한 비용의 방과후학교와 EBS의 학업성취 효과를 사교육과 비교하는 것은 이런 면에서 매우 의미있다고 할 수 있다. 사교육, 방과후학교 및 EBS의 참여학생과 비참여학생의 배경변인이 가시 적으로 차이가 있거나 방과후학교에 있어서 도시지역보다 농어촌 지역의 학생들이 활발하게 참여 하는 등 기존의 연구에서 사교육·방과후학교·EBS 참여집단의 특성이 비참여집단과 동질적이지 않 아 그 효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 제한점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 한 제한점을 극복하고 사교육, 방과후학교, EBS 참여하는 학생들의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 는 선택편의(selection bias)를 제거하기 위하여 경향점수매칭 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사교육 자료는 2013년 통계청에서 조사한 사교육 자료를 이용하였다. 경 향점수매칭 분석을 위하여 방과후학교 19,035명, EBS 16,076명, 사교육 19,295명의 표본이 분 석에 사용되었다. 학업성취효과에 영향을 주는 사교육, 방과후학교, EBS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향점수매칭 분석방법에 의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해 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경향점수매칭에 의해 사교육, 방과후학교, EBS의 학업성취 효과를 비교한 연구결과, 방과후 학교 및 EBS 학업성취효과가 사교육 효과에 못지않음을 발견하였다. 학업성취 효과는 사교육 이 6.82%, EBS가 5.04%, 방과후학교가 4.8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013년 통계청 조사에서 초·중·고 학생1인당 사교육비 23.9천원, 방과후학교 비용은 3.2천원 그리고 EBS 비용은 0.2천 원으로 사교육의 비용이 방과후학교나 EBS에 비해 월등히 높다.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방과 후학교나 EBS가 사교육에 비해 크게 열등하지 않으며 방과후학교나 EBS가 비용대비의 효율 성이 사교육에 비해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특히, 사교육을 받지 않는 학생들에게 방 과후학교나 EBS는 실질적으로 큰 도움이 될 잠재력이 충분한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업성취효과의 경우 방과후학교(7.91%), EBS(6.09%), 사교육(4.18%) 순으로 나타 나 고등학교급에서는 사교육보다 방과후학교와 EBS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articipation in private tutoring, Afterschool and EBS programs affects school achievement by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analysis method,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Afterschool and EBS programs, which are alternatives to private tutoring. For this study, private tutoring data researched in 2013 by Statistics Korea were used. Samples were collected twice in a year through an Internet survey from a total of 78,000 subjects, including approximately 44,000 parents(private tutoring expenditure, attitude survey) and 34,000 students(attitude survey). The impact of variables deemed influential on school achievement was analyzed firs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rivate tutoring, Afterschool programs and EBS on school achievement, an effectivenes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logistic regression model of the regression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In addition, the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figure out variables that influence in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n this study, SAS (Ver. 9.3) was used for analysis. Estimation and matching of propensity scores were stratified and conducted for each school level. Specifically, propensity scores were estimated for each of elementary, middle, general high and specialized high school and used for matching. Data including missing values were excluded and propensity scores were obtained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matching of 16 cities and dos, the Firth’s penalized likelihoo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alculate propensity scores. Second, the matching algorithm introduced by Parsons, et al. (2004) was applied to match to the student level at the one-to-one ratio. Third,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utilized to diagnose the equality of covariants among groups before and after matching in this study. Fourth, the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treatment effects by using the matched data, and to verify causal effects with the selection bias remov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a comparison analysis on school achievement affected by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based on propensity score match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fterschool programs showed better school performance than those who did not, before and after the matching. Nevertheless, students who took afterschool programs had 4.64% higher school achievement than those who did not before the matching, whereas the difference in school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grew to 5.81% after the matching. And also,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mpacts of watching EBS programs on school achievement based on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students who watched EBS programs had better school achievement than those who did not before and after the matching. The difference in school performance between those who watched EBS and those who did not reached 5.13% before the matching, which decreased to 5.04% after the matching.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n school achievement effects from private tutoring, afterschool programs or EBS based on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private tutoring posted 6.82%, EBS 5.04% and afterschool programs 4.80%, indicating high participation. By school level, private tutoring scored 8.17%, afterschool programs 3.13% and EBS 0.74% in elementary school, whereas private tutoring reached 12.94%, EBS 3.62% and afterschool programs 2.62% in middle school, indicating that private tutoring had the largest effects in middle school. Nonetheless, afterschool programs marked 10.88%, EBS 6.09% and private tutoring 4.18% in general high school, which i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order of elementary or middle schools and indicates the larger influence of afterschool programs in general high schools compared to that of private tutoring.

      • KCI우수등재

        사교육 참여와 활용 전략의 국가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심지혜(Ji-Hye Sim),김안나(Anna Kim)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사교육은 대중적인 공교육의 확산에 대응하여 세계적으로 팽창하고 있지만, 사교육의 제도적 확산에도 불구하고 각 국가가 처한 교육, 경제, 사회문화적 상황에 따라 사교육 활용에는 국가 간 차이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국제비교연구를 통해 보편적 현상으로서 사교육 수요의 원인을 밝히는 것은 사교육 현상을 이해하고 국내의 과도한 사교육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사교육 활용의 세계적 동향과 국가적 차이, 그리고 국가적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TIMSS 자료 및 World Bank 자료를 활용하여, 38개국 8학년 학생 180,194명을 표본으로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국가의 공교육 투자, 경제 수준, 학력중심 문화, 소득 불평등 등이 사교육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전체 국가의 평균 사교육 참여율은 43.91%로 나타났고, 가난한 국가일수록, 고등교육 등록률이 낮을수록, 소득 불평등이 심할수록 사교육에 참여할 가능성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활용 전략의 경우 국가의 공교육 투자가 높을수록, 부유한 국가일수록 사교육을 보충전략으로 활용하는 경향성이 높아지며, 고등교육 등록률이 높은 국가일수록 사교육을 강화전략으로 활용하는 경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교육 연구 및 정책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modern society, along with the expansion of mass public schooling, shadow education is also increasing worldwide. Since shadow education is affected by a country's education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e of shadow education in different countries. With the need for a cross-national study, this paper aims to reveal global trends and national differences in shadow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used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data from the 2019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Through this analysis, the impact of national factors such as public expenditure on education, economic level, credentialism, and income inequality on the use of shadow education was determined. Specifically, the lower the GDP per capita, the lowe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enrollment rate, and the higher the income inequality,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In regard to shadow education utilization strategies, the higher the public expenditure on education and GDP per capita, the higher the tendency to use shadow education as a remedial strategy.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enrollment rates, the higher the tendency to use shadow education as a enrichment strategy.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국내ㆍ외 사교육공급자 특성 비교 및 해외진출 동향 분석

        박명희(Park Myung Hee),백일우(Paik Il Wo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6

        본 연구는 국내ㆍ외 사교육공급자의 특성을 비교하고 국내ㆍ외 사교육기업의 해외진출 동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교육공급자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사교육공급자 관리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사교육공급자는 유형에 따라서 경영ㆍ교육서비스ㆍ강사실태ㆍ시장규모에 차이를 보였다. 둘째, 외국의 사교육공급자는 개인과외에서 사교육센터로, 최근에는 온라인 교육으로 더욱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며, 국가의 경제력에 따라서 상이한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국내보다 외국의 비영리단체들이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사교육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었다. 셋째, 국내ㆍ외 사교육기관들은 자율규제 활동을 통하여 사교육의 올바른 성장과 명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넷째, 국내ㆍ외 사교육기업의 해외진출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국내 사교육기업의 해외진출은 경제적ㆍ교육적 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이에 궁극적으로 국내ㆍ외 사교육공급자의 특성과 동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급자 관리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한다면 사교육의 역기능은 감소시키고 순기능은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perspective that is need to manage the suppliers of private tutoring and improve the recognition on the suppliers of private tutoring by providing comparison on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foreign private tutoring suppliers and the trend of their overseas expan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mestic private tutoring suppliers showed difference in managementㆍeducation serviceㆍinstructer conditionㆍmarket size according to their types. Second, the trend of foreign private tutoring suppliers shifted from private tutoring to private learning center and, most recently, online education, and they showed great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country s national economic status. Also, non-profit organizations in foreign countries were actively providing private tutoring to mitigate the educational gap more than domestic organizations. Third, the private tutoring enterprises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showed efforts for upright development and to maintain positive reputations through self-regulated activities. Fourth, the trend is that the number of the private tutoring enterprise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that expands overseas are growing, and overseas expansion of the domestic private tutoring enterprises can be meaningful in the aspect of possible improvement in both economical and educational performance. Ultimately, if the private tutoring suppliers can be managed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basis of understa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rend of the private tutoring suppliers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then it is safe to expect to reduce the sid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and to enhance its proper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