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지역 조사 민요의 특징과 의의 - 부산구술문화총서 수록 현장조사 민요를 중심으로 -

        박경수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3 항도부산 Vol.46 No.-

        이 글은 부산구술문화총서 (전15권, 2012~2022)에 수록된 현장조사 민요를 중심으로, 부산지역 민요의 주요 특징을 밝히고, 민요사의 관점과 지역 문화유산이란 관점에서 어떤 가치와 의의를 가지는지를 집중 고찰했다. 그 결과, 부산지역 민요는 다음 여섯 가지 특징을 지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여성 가창 노동요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지역 명칭과 장소를 매개로 한 사설들을 가창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모심기 노래>, <아기 어르는 노래> 등에서 이런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민요가 지역공동체 속에서 오랜 기간 가창됨에 따라 민요의 지역성이 자연스럽게 드러나지만, 이를 통해 지역공동체이자 노래공동체는 지역적 소속감과 연대의식을 가지게 되며, 노래에 대한 공감의 폭을 넓히게 된다. 둘째, 여성 가창 민요에 비해 남성 가창 민요는 급격하게 소멸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전통사회에서 남성들이 주로 가창한 나무꾼 신세타령요인 <어사용>은 채록되지 못했고, <논매기 노래>, <망께 소리>, <상여소리> 등도 부분적인 사설만 채록되었다. <멸치 후리는 소리>도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 듣기 힘든 노래가 되었다. 셋째, 신앙의식요로 무속이나 민간속신과 결부된 민요, 불교의식과 관련된 민요 등이 다양하게 채록되었다. 이는 부산지역에서 여성들을 중심으로 민간신앙과 불교가 폭넓게 전승, 전파되면서 기층민의 의식으로 확장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이와 아울러 부산 구포에서 채록한 <성주풀이>는 기존 사설을 지역성이 더 강한 사설로 확장해서 부른 것으로 주목되었다. 넷째, 해학성이 돋보이는 타령요와 동요들이 부산지역에서 다수 조사되었다. 특히 <이(虱) 타령>과 <징거미타령>은 부산지역에서 강한 전승력을 보여주는 노래들로, 몸에 대한 상반된 인식을 해학적인 사설로 엮고 있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부산지역에서 은밀하게 전승되어 온 <음부타령>은 외설성을 넘어 두드러진 해학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밖에 <요일풀이>, <요로지기타령>, <돈타령> 등도 해학성이 돋보이는 노래로 채록되었다. 해학적인 사설을 경쾌한 가락으로 부른 <밀양아리랑> 2편도 기존 채록 <밀양아리랑>에서 찾을 수 없는 새로운 노래였다. 동요 중에서도 언어유희를 통해 해학성을 높인 노래들이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이야기 노래>, <말도 안 되는 소리>, <기차 소리 흉내 노래>, <벙거지타령> 등이 그것들이다. 이들 동요들은 기존 민요집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는 동요 자료들이다. 다섯째, 일제강점기 이후 세태를 반영한 노래가 여럿 채록되었다. 일제강점기 말기 일본으로 떠나는 여성 노동이민의 상황을 담고 있는 <신아리랑>, 해방 이후 미군을 상대로 한 양갈보의 행태를 풍자하고 있는 <양갈보 노래>, 해방 이후부터 6·25전쟁과 분단에 이르는 세태를 반영하고 있는 <해방가>와 <해방 각설이타령> 등이 주목되었다. 이들 민요는 일제강점기부터 해방기, 전쟁과 분단으로 이어진 시기의 부산 관련 역사를 기억하는 노래들이기도 하다. 여섯째, 지역의 장소성을 통해 지역 고유의 자연환경과 문화, 그리고 지역적 연대성을 잘 보여주는 민요들이 있다. 손진태 채록 <장타령>과 <각설이타령>은 당시 구포 장터를 둘러싼 보부상문화의 일면을 보여주며, 가덕도 채록 <가덕팔경가>는 제2국제공항 조성에 앞서 가덕도 고유의 지명과 생태환경이 갖는 의미를 되새...

      • KCI등재

        노동조합 지역조직의 실태와 활성화방안 : 민주노총부산지역본부를 중심으로

        윤영삼,최성용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4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1 No.5

        노조의 위기극복방안 즉 활성화방안에 대한 논의가 많이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신자유주의 세계화 속에서 노조의 지역조직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인식에 따라 본 논문은 노동조합 지역조직의 활성화노력에 관해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를 중심으로 실태를 살펴보고 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1차 자료를 이용한 문헌연구가 주된 것이며, 필자들의 경험을 외삽하였다. 노조활성화에 대한 제 논의를 노조효과성과 노조활성화차원을 중심으로 살펴보아 실태분석과 방안제시의 분석틀로서 활성화차원을 조직화, 연대·연합형성, 정치적 행위 및 재구조화로 정리하여 마련한 후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의 경과와 현황을 일반적인 것과 설정한 사업목표와 과제를 살펴보고, 부산지역본부의 활성화 노력을 조직화, 연대·연합형성, 정치적 행위 및 재구조화라는 활성화차원별로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결과로서 부산지역본부의 노조활성화 노력이 많았다고 할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부산지역본부의 노조효과성도 대표성, 교섭력, 영향력 모두에서 낮아서, 부산지역노동운동의 침체가 심화되고 있음을 감안 할 때, 부산지역본부의 노조활성화 노력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구조적 한계와 필요한 전제조건을 고려하면서, 조직화, 연대·연합형성, 정치적 행위 및 재구조화라는 활성화 분석틀의 차원별로 부산지역본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활성화전략들 중에서 부산지역본부는 조직화전략을 중심으로 추진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On the background that the larger neo-liberalistic globalization becomes, the more important regional labor movement becom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reality and suggest the improvement scheme of the vitality in regional organizations of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KCTU) in the focus on Busan regional organization/council. The method of study is literature review using first materials and to articulate authors' experiences. The theoretical resources are studies about revitalization strategy of trade unions in the West. Beforehand, this paper evaluated the reality of Busan regional council in line with per vitalization strategy dimension as organizing, solidarity·coalition, political activity and restructuring and found that the practice which can be conceptualized as revitalization strategy does not exist almost. Based on this result, and in the consideration with structural limits and prerequisite, this paper suggested the improvement scheme in line with per vitalization strategy dimension as organizing, solidarity·coalition, political activity and restructuring. Also in consideration with the effect of organizing strategy on political strategy, solidarity strategy and restructuring strategy, this paper suggested that Busan regional council must push ahead organizing strategy above all.

      • KCI등재

        구체제의 읍치 동래와 식민도시 부산진으로의 분화와 통합 : 부산의 근현대와 새로운 지역연구 성과

        손숙경 ( Son Suk-kyung ) 대구사학회 2021 대구사학 Vol.143 No.-

        이 연구는 부산의 근현대의 특성에 주목하여 부산의 근현대 형성의 배경과 그 의미를 밝히고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의 역사상에 대한 새로운 경험적 연구 대신 이와 관련된 중요 연구 성과와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부산의 근현대는 1876년 개항 이후 부산진 일원이 식민도시 부산으로 변모하여 구체제의 중심지인 동래와 나누어진 후 해방 이후 양자가 부산으로 통합하여 한국 제 2의 도시로 성장하는 역사였다. 더욱 중요한 것은 단순히 제 2의 도시라는 위상을 넘어서서 부산이 해양 문명과 만나는 중요한 역사적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이다. 부산지역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면에서 많은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었다. 그럼에도 부산의 근현대 형성의 의미와 관련해서는 여전히 새로운 논의와 대화가 필요하다. 먼저 동래지역에 하나의 사회 집단을 형성한 무임들에 대한 연구 성과는 한국사에서 주변부 지역의 인간집단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그렇지만 이 지역에 설치된 군사기지인 水營에 속했던 무임과 이서집단들에 대한 연구 성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동래지역의 무임 및 이서집단과 수영, 釜山鎭 소속의 이들 집단은 상호 연동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조사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못한 수준이다.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면 근대 이후 부산의 형성에 또 다른 배경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부산의 근현대 형성은 1876년 개항 이후 구읍치 동래로부터 주변부 지역인 부산진이 중심이었다. 부산진을 중심으로 초량 등지에 인구가 집중되고 상공업이 이루어지면서 식민도시가 형성되었다. 식민도시 부산의 형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부산지역에 최초로 근대병원이 세워진 사실과 이 지역 기독교와 상공업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와 관련하여 지역의 관점에서 근현대의 형성을 논의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식민도시의 성장과 배후지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변화의 수준이 늦은 지역에 대해서 시선을 확장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끝으로 개항 이후 새로운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배후지 향반의 중요한 경제적 동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가 발굴되고 있다. 이러한 작업들이 계속 이루어지면 부산의 근현대의 모습을 한층 더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부산의 근현대의 형성과 특성을 몇 개의 주제에 집중하여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한 지역이 만들어가는 근현대가 무엇인가를 살펴보는데 지역의 시점을 강조하였다. This research reveals background of formation of modern-contemporary Busan and its meaning by focusing on a characteristic of modern-contemporary of Busan. For this research, instead of new experimental research about history of Busan, research discussed major research outcomes about Busan’ history and its problem. Busan’s modern-contemporary was differentiation of Busanjin from Dongnae, a center of old regime, as colonial city, and development of Busan to second city of Korea, after integration of both city following the independence of Korea.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Busan was not only second city of Korea, But also played an important historical role of meeting with marine civilization. Plenty of researches about Busan has been accumulated in various aspects. Nevertheless, We still need new discussion and conversation about the meaning of formation of Busan’s modern-contemporary era. First, research outcome about military, which formed a social group in Dongnae, shows new historical images about Busan and suggests a new point of view about human groups of suburb area in Korean history. But the research outcomes about military belongs to Sooyoung, which was navy base founded at Dongnae, and clerk groups is few. Military and clerk groups were mutually related with these groups in Sooyoung and Busanjin, but research about this fact are not quiet enough. If research about this fact are advanced, it can suggest another background of formation of Busan after modern times. Next, the center of modern-contemporary formation of Busan was Busanjin, which was suburb of anceint county seat, Dongnae. Centering around Busanjin, population was concentrated on and commerce and industry was started in Choryang and like places. Despite various research outcomes about formation of colonial city Busan, the researches about the fact that the first modern hospital was established in Busan and relation between local christianity and commerce are insufficient. So this research suggested the need of discussion about formation of modern contemporary in the view of local. Also, widening up views to areas, which had low level of development in spite of development of colonial city and extension of hinterland, will be needed. Finally, Because cases that show economical trend of local elites of hinterland who responded actively to changes after opening a port are being discovered, If these works are continuous, we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shape of modern-contemporary Busan in deeper level. This research centrally discussed about research outcomes about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contemporary Busan focusing on several subjects. By this research, a writer emphasized a view of local area on looking into a subject about what is modern-contemporary era made by one local area.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skyungson@hanmail.net)

      • KCI등재

        (연구논문) 부산 광포전설과 로컬리티

        권도경 ( Do Kyung Kwon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1 항도부산 Vol.27 No.-

        본 연구는 부산 지역에 전승되는 광포전설의 존재양상을 살펴보고, 여기서 나타난 부산의 지역적 특수성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현재 부산 지역에는 아기장수 전설, 산이동 전설, 장자못 전설, 오누이 힘내기 전설의 전승이 확인된다. 이러한 부산 광포전설의 전승양상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부산 로컬리티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 번째는 해안도서지역적 여성성이다. 부산은 해양도서 지역의 간고한 생활여건 속에서 전통적으로 여성의 생활력이 강인하게 발현된 지역이다. 여성신 관념이 현재까지도 곳곳에서 당제제의를 통해 이어지고 있는 지역으로, 이러한 지역적 특수성이 여신의 결정적인 패배를 형상화 한 오누이 힘내기 전설의 형성에 저해 요인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두 번째는 민중적 힘에 대한 자신감과 자부심이다. 부산은 한국사의 위기 때마다 국란을 수호하고 정치사의 맥락을 바꾼 결정적인 역할을 민중운동을 통해 수행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다. 이러한 민중적 힘에 대한 자부심과 자신감이 민중영웅인 아기장수를 죽이지 않고 생존시킴으로써 미래의 희망을 열어두는 변이형의 분화를 초래한 요인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는 해양방어기지로서의 특수성이다. 부산은 한국사에서 전통적으로 한반도 남동해안의 해안방어를 위한 최전선으로 존재해왔다. 국란의 위기 속에서 부산의 이러한 위상은 더욱 부각되어 왔는바, 아기장수 전설에서 죽은 아기장수를 마을 당제의 당신으로 좌정시키는 지역민의 의식은 이러한 국가수호의식과도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네 번째는 해양·동고서저의 지리적 특수성이다. 부산 지역 광포전설의 다양한 변이형 속에는 해안·해양의 지리적 특수성, 동고서저의 지형적 특수성,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지형적 특수성 등이 다채롭게 반영되어 있다. 다섯 번째는 인근 경남 지역과의 광역문화성이다. 부산시는 삼한시대부터 인근에 위치한 경상남도 양산시, 김해시 등과 소단위 행정구역을 주고 받으면서 성장해 왔으며, 심지어 전자가 후자에 복속되거나 그 반대의 역사를 반복해 왔다. 현재는 부산이 경제적·정치적·문화적으로 이들 두 지역권으로 아우르는 코스모폴리스로 성장해 있으며, 교통인프라의 발전으로 부산을 중심으로 한 세 도시의 광역문화권은 행정적인 통합이 추진될 정도로 더욱 공고해 지고 있다. 부산의 섬이동 전설과 그 섬세 다툼 모티프는 이러한 부산의 광역문화성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This paper attempted to look into exsistence of Gwangpo(廣布) legend in Pusan and extract Pusan locality appearing in that. In the present Pusan region, is found transmission of baby general legend(아기장수 전설), mountain moving legend(산이동 전설), millionaire``s pond legend(장자못 전설), legend about a trial of strenth between brother and sister(오누이 힘내기 전설). These aspects of Pusan Gwangpo(廣布) legend seems to related to four Pusan locality. The first is the characteristic feminity of Coastal Villages in the Islands. The second is the pride and confidence in the power of the people. The third i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marin defensive base. The fourth is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and easternhigh~westernlow topography. The fifth is the Metropolitan Cultural Orientation with neighboring Gyeongsangnam(慶尙南道)

      • 부산·인천 공공도서관 지역관련 프로그램 비교분석

        김경희, 강은주, 박샘이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9 부산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지역관련 지식정보를 수집· 제공하고 있는 부산과 인천 공공도서관 중 대표적인 지역 관련 프로그램 비교분석을 통하여 유용성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 및 현 장 연구와 기초데이터를 수집한 후, 비교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부산과 인천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사서와 협업하여 분류 · 처리하였다. 우선 지역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가용자원은 인천광 역시교육청화도진도서관이 많았고, 프로그램 다양성은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이 풍부하였다. 비 교분석 결과, 프로그램은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은 개항 · 근대, 지역의 미래, 역사 · 문화에 대한 주 내용과 함께 경제 · 정치 외 철학을 내용으로 하는 특성이 나타났고, 인천광역시교육청화도진도 서관은 화교(중국), 자연, 역사 · 문화에 대한 주 내용과 함께 언론을 내용으로 하는 특성이 나타 났다. 또 2015-2019년 운영을 통하여 구축된 인력풀은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은 지역대학교수 인력풀이 구축되어 부산학의 학문적 체계성 지향으로 나타났고, 도서관에서 양성된 지역문화해설 사가 사서와 함께 주요인력으로 운영되었다. 반면 인천광역시교육청화도진도서관은 사서 및 지역 연구가의 활동이 높았다. 향후 지역 문화기반시설 중 가장 이용률이 높고 친숙한 장소이자 지역 지식정보의 보고(寶庫) · 이야기주머니인 공공도서관은 지역관련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역 정체성 및 공동체 회복, 지역의 미래에 대해 소통 · 공론의 광장으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지역관련 지 식정보와 장서 · 인력풀을 기반으로 다양하고 체계화된 프로그램을 기획 · 개발 · 운영해야 한다.

      • KCI등재

        (기획논문) 해방 후 한국전쟁기 부산지역 국어교육의 위상

        민병욱 ( Byung Wook Min ),박형준 ( Hyung Joon Park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09 항도부산 Vol.25 No.-

        이 논문은 해방 직후부터 한국전쟁기까지 부산지역 국어교육의 전개 양상을 살피고, 그 역할과 위상을 정립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국가의 기반을 일구는 것은 지역 사회이고, 지역 사회의 문화적 구심체는 학교, 즉 지역의 교육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을 이해하고 지역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지역의 학교와 지역 교육의 역사를 되돌아 보는 일에는 무관심했다. 이와 같은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해방 후 한국전쟁기 부산지역 국어교육의 전개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부산지역 국어교육의 위상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해방 후 부산지역의 국문보급운동 및 국어교육운동이 학교, 공장 할 것 없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일부 중등학교에서는 『신고국문선』등의 국어 교과서를 직접 개발하기도 하여, 해방 후 부산지역 국어교육의 위상이 매우 높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전쟁기에도 부산지역은 국어교육과 한글 보급, 한글 문화 운동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담당하고 있었다. 공식적 교육과정이 제대로 실시되기도 전에 전쟁의 참화에 휩싸이게 되어 각 지역의 교육이 무력화되던 시기에도 부산지역의 국어교육은 더욱 체계적으로 전개되며, 한국 국어교육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이것은 부산지역이 해방 직후부터 국어교육 및 국문보급운동을 착실하게 전개해왔기 때문이며, 또 부산지역이 임시수도의 위상을 굳건히 하며 한국전쟁기의 국어교육과 한글 보급, 한글 문화 운동을 주도하였기 때문이다. This thesis aims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usan region from the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and establish its role and phase. National foundation is made up of regional communities, and the cultural core of regional communities is schools, in other words, regional education. Nevertheless, in the field of understanding and studying regions, to consider regional schools and history of regional education seems to be unconcerned. On the basis of this problem recogni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usan region from the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and re-establish the pha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usan region. As a result of study, the fact was ascertained that Hangul diffusion campaign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actively conducted in Pusan after the liberation. Especially, in some junior-high schools they developed their own Korean language textbooks, such as "Sin Go Gook Moon Sun", and to some extent, the pha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usan after the liberation was estimated. Futhermore, during the Korean War, Korean language education, Hangul diffusion and Hangul-culture campaigns were considerably carried out in Pusan. Before an official curriculum was properly put in effect, even in the time that Korea was seized with the calamity of war and regional education was incapacit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usan was unfolded systematically and took up an important position in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was not only becaus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angul diffusion campaigns were conducted steadily in Pusan right after the liberation, but also because Pusan took the stance of the temporary capital firmly and spreaded 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ngul diffusion and Hangul-culture campaigns during the Korean War.

      • KCI등재

        부산지역의 소설과 매체에 관한 고찰

        정미숙(Jeong Miso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1

        이 논문은 부산지역 소설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지역문학 매체와 연관시켜 문학활동의 장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문학 활동의 장은 흔히 문단이라고 지칭되기도 하는 데 장을 구성하는 요소는 크게 문인, 문인단체, 매체라 할 수 있다. 부산 지역 소설 흐름과 매체 규명을 위해 1. 부산지역 소설의 발흥기와 이인 문단시대 2. 부산지역 소설가와 활동매체 3. 부산지역 소설의 중흥기와 매체 정체기 순서로 살펴보고자 한다. 1. 부산지역 소설의 발흥기는 요산 김정한과 향파 이주홍이 주축이 된 이인 문단 시대라 부를 수 있다. 요산과 향파의 초기 소설 발표는 중앙지 중심이었다. 「사하촌」 (1936, [조선일보])으로 등단한 요산은 [조선일보][조광][전선][한일신문][경남 공론]등 중앙지 중심에서 중기로 넘어서면서 지방지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게 발표한다. 향파는 「가난과 사랑」(1929, 조선일보)으로 등단한 이후에 잘 알듯이 여러장르에 걸쳐 작품을 발표한다. [조선일보][여성지우][조선문학][중외시대][동 양지광][야담]그리고 [부산일보][태양신문]등 다양하다. 두 사람의 초기 명성은 중앙지에서 먼저 구축되었다고 할 수 있다. 2. 해방과 더불어 해방의 열기를 반영하고 새로운 민족국가를 만들기 위한 발언들을 담아낼 매체들이 부산지역에도 등장하게 된다. [인민해방보][대중신문][민주중보][전선][중성(衆聲)][자유민보][부산신문][문예신문][부산일보]등의 신문과 잡지가 그것이다. 한국전쟁으로 부산 지역문학이 두터워진 것이 사실이다. 두 번의 임시수도라는 위치에서 많은 문화예술가들이 한꺼번에 몰려든 형국이지만 휴전과 더불어 이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면서 부산문단은 다시 전형기를 맞게 된다. 부산지역 소설의 발흥기가 완성되는 것은 윤정규의 등장으로 평가할 수 있다. 3. 1980년대에 부산소설가협회가 설립되고 다양한 매체로 등단한 회원의 대거 유입된다. 현재 전체 회원이 75명을 넘어섰으나 그들을 수용할 부산 소설 매체는 빈약하다. 부산문인협회의 기관지가 계간지 [문학도시]로 거듭난 것은 1995년이다. 1997 년 창간된 작가사회는 반연간지로 부산작가회의 기관지로 출발하여 현재까지 계간지 [작가와 사회]로 발간되고 있다. 2002년에 소설전문 계간지 [소설마을]이 창간된 바 있으나 곧 폐간되고 2007년에 창간해 오늘에 이르고 있는 계간지인 [좋은 소설 ]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한국해양문학가협회의 [해양과 문학]도 2003년 창간된 이래 해양소설을 싣고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novels in Busan from the point of view of literary activities by linking them with regional literary media. The chapter of literary activity is often referred to as a paragraph, but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chapter are largely literary, literary, and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low of novels in Busan area and the media. First of all, the origins and mediums of the novels in Busan can be called the Jaejoen and Gyungpa Lee Joo-Hong literary period. The early novels of uric acid and oriental herb were centered in the central region. Josan (1936, Chosun Ilbo ), which has been in the middle of the central region, including Chosun Ilbo, Chohwang, Frontline, Hanil Newspaper, and Kyungnam Public Comment, . The incense maker announces his works in various genres as he knows well after his debut as Poverty and Love (1929, Chosun Ilbo ). Chosun Ilbo , Women s Zoo , Chosun Literature , Chugoku era , Oriental Landmark , Yadam , Busan Ilbo and Sun newspaper . The early reputation of the two men was first established in the central area. 2. With the liberation, media to reflect the heat of liberation and to create a new nation-state will appear in Busan. Newspapers such as People s Liberation Guard , Popular Newspaper , Democratic Intermediate , Frontline , Neptune , Freedom Minbo , Busan Newspaper , Literary Newspaper And magazines. It is true that the iterature of Busan was thickened by the Korean War. In the two temporary capital cities, many cultural artists are flocking together, but with the truce, as they descend like ebb tide, the Busan paragraphs are again hit. The completion of the boom of the novel in Busan can be evaluated by the appearance of Yun Jung Kyu. 3. The Busan Novelist Association was founded and the number of members who came to the various media increased so that the total number of members exceeded 75, but the Busan novel media to accept them were found to be poor. It was in 1995 that the Bronze Association of Pusan Association became the literary city of the periodical. The Writers Society, which was launched in 1997, has been published as a quarterly journal since the Busan Writers In 2002, a novel magazine novel village was launched, but it is followed by good novel which is a quarterly magazine which was launched in 2007 and is now closed. The Oceanographic and Literary Society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Maritime Literature has also launched marine novels since its inception in 2003.

      • KCI등재

        1980년대 부산지역 ‘사보’의 존재 양상과산업 저널리즘- 주식회사 미화당의 사보 미화당 을 중심으로 -

        박형준 영주어문학회 2024 영주어문 Vol.56 No.-

        1980년대 부산지역의 기업 사보는 ‘도시 부산’의 대중지성을 형성하는 문화적 유통회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지역 사보를 문화적 텍스트로 다루고자 하는 시각과 방법이 마련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1980년대부산지역 기업들이 기획, 제작, 발간해 왔던 ‘사보(社報)’의 존재 양상을 실증하고, ㈜미화당의 사보 미화당 을 분석함으로써 지역 산업 저널리즘의 실체와 문화적 함의를고찰하였다. 부산지역 사보 발간 현황과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부산지역의 사보는 1968년 10월 ㈜부산은행의 부은뉴우스 가 발행된 이래 40여종에 이르게 된다. 둘째, 1980년대 부산지역 사보는 정부의 정기간행물 통제로 인해위축되어 있던 지역의 출판과 잡지문화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는 계기로 인식되었다. 셋째, 1980년대 부산지역 사보의 전문화와 고급화 요구에 입각하여 ‘부산사보편집자회’가 출범하게 되었으며, 이는 지역 산업 저널리즘의 창안과 혁신에 크게 기여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사보 미화당 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사보 미화당 은대내적 측면에서는 임직원 간의 소통과 교류를 강화함으로써 안정적인 기업문화를 가꾸는 데 기여했으며, 대외적 측면에서는 부산지역 산업 현장을 이해하고 기업과 시민이 교통할 수 있는 문화적 장을 만들었다. 둘째, 미화당 은 부산을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던 문화예술인들의 작품 발표 공간이자, 부산지역 시민들이 사보라는 새로운 읽을거리를 통해 대중지성을 정초하는 매개가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e 1980s, industrial publications in the Busan area was a culturalvenue that formed the popular intelligence of Busan. However, untilnow, such a perspective and method has not been established. Basedon this recognition of the problem, this paper demonstrated theexistence of industrial publications that were planned, produced, andpublished by companies in the Busan area in the 1980s. And byanalyzing the newsletter of ‘Mihwadang Co., Ltd.’, Mihwadang , thereality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local industrial journalism wereexamined. The public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publications in Busan area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1980s, there were about 40 types of industrial publications in theBusan area since Busan Bank Co., Ltd.’s industrial publications waspublished in October 1968. Second, in the 1980s, it created an opportunityto breathe a new wind into the publishing and magazine culture of theregion, which had been shrinking due to the government’s control ofperiodicals. Third, in the 1980s, the ‘Busan Industrial Publications Editors’Association’ was launched based on the demand for specialization andadvancement of local industrial publications.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the creation and innovation of local industrial journalism. Theresults of analyzing the specific contents focusing on Mihwadang areas follows. First, on the internal side, Mihwadang contributed tocultivating a stable corporate culture by strengthening communicationand exchange between executives and employees, and on the externalside, it created a cultural venue where companies and citizens cancommunicate by understanding the industrial field in the Busan area. Second, it can be seen that Mihwadang was a space for culturalartists based in Busan to present their works, and it also served as anopportunity for Busan citizens to cultivate popular intelligence throughnew reading material called Industrial Publications.

      • KCI등재

        정부정책이 부동산 투자에 미치는 영향-부산지역 조세정책을 중심으로-

        오철환,이찬호 한국세무회계학회 2020 세무회계연구 Vol.0 No.63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government policy on real estate investment in Busan based on tax policy at a time when real estate prices in Busan have continued to fall since the Aug. 2, 2017, announcement of the real estate measures. [Methodology] The government policies are looked at in terms of strengthening transfer taxes, strengthening holding taxes, regulating lending, and strengthening first-level subscription eligibility and resale restrictions, respectively. The research data is collected from 341 general investors and real estate industry workers in Busan, and the research method utilize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pectively. [Finding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represented that the strengthened transfer and retention taxes based on the selection of Busan adjustment target area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investment intention of real estate in Busan. Second, stricter loan restrictions based on the selection of Busan adjustment target area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investment intention of real estate in Busan. Third, it was found that strengthening of the first-priority subscription license and the restriction on resale of the selected area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vestment intention of real estate.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government’s policies have a clear impact on real estate investment in Busan at this point in 2019.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sider easing the government’s regulatory policy in order to revive the real estate market in Busan. Also, the effect of the real estate government policy, which was verified through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he authorities establish government policies on the Busan real estate market in the future.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부가 2017년 8월 2일 발표한 ‘8․2 부동산 대책’ 이후 부산지역 부동산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심각한 부동산 침체를 겪고 있는 시점에서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정부정책이 부동산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조세정책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정부정책은 양도세 강화, 보유세 강화, 대출규제, 그리고 1순위청약자격 및 전매제한 강화 측면에서 각각 살펴본다. 연구자료는 부산지역 일반투자자 및 부동산업 종사자 34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방법은 기술통계량 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각각 활용한다. [연구결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 조정대상지역 선정에 따른 양도세 및 보유세 강화는 부산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정대상지역 선정에 따른 대출제한 강화는 부산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정대상지역 선정에 따른 1순위청약자격 강화 및 전매제한 강화는 부산지역 부동산 투자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2019년 시점에서 부산지역 부동산 투자에는 정부정책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산지역 부동산 경기회복을 위해서는 정부 규제정책의 완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부산지역 부동산 정부정책의 효과는 향후 정부당국이 부산지역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정부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국립부산국악원 연구사업의 발전 방안 - 지역 전통예술의 조사・발굴을 중심으로 -

        임혜정 국립국악원 2023 국악원논문집 Vol.47 No.-

        The Busan National Gugak Center should utilize its strengths as an institution to establish and implement long-term plans for research projects. This paper discusses the Busan National Gugak Center's development plans for research projects of related to the research and discovery of local traditional arts, emphasizing three aspects of "examination in connection with existing research projects", "expansion of the target area and period", and "application of the perspectives of dissemination and assimil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link with existing research projects. As a research conducted by an institution, it will not only help maintain a certain direction, but will create comprehensive and large-scale research results by organically linking individual works of researching and discovering local traditional arts. As an example, this paper proposes a study that can be linked to the contents of the "Yeongnam Dance Terminology Manual," the data included in the results of the project based on the oral records of individual artists. Second, the expansion of the target area and period implies to break down the existing regional boundaries which relied on artist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recording materials based in Busan and Yeongnam. If the target area to examine is expanded to the whole country and overseas for new data that has not been collected before, it can overcome the limitation that research projects have mainly focused on the late 20th century. Third, this study propose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identity of Busan and Yeongnam region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perspectives of disseminationand assimilation. When viewed from a vertical and horizontal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art history, Korea's local traditional arts have a relationship with other art items in the same region or with similar art items in other regions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developing overlapping activities of each artist. In other words, "traditional art of Busan" or "traditional art of Yeongnam" can be said to have local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dissemination and assimilation, and in order to discover thi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perspective of dissemination and assimilation. 국립부산국악원은 기관으로서의 장점을 충분히 살려 연구사업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의 수립 및 실천을 진행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국립부산국악원의 지역 전통예술 조사・발굴과 관련된 연구사업의 발전 방안을 ‘기존 연구사업과의연계’, ‘조사・발굴 대상 지역 및 시기의 확대’ ‘전파와 접변의 관점 적용’이라는 측면으로 나누어 논의해 보았다. 첫째, 기존 연구사업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이는 기관이 수행하는 연구로서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것은 물론이고, 지역 전통예술을 조사・발굴하는 개별적인 작업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종합적인 연구 결과를 창출하게 할것이다. 본고에서는 예시로 개인 예술가를 대상으로 수행한 구술채록 사업의 결과물에 포함된 자료들, 『영남춤사위용어편람』 의 내용과 연계해 볼 수 있는 연구를 제안했다. 둘째, 조사・발굴 대상 지역 및 시기의 확대는 부산・영남 지역에 연고를 둔 예술가, 부산・영남 지역의 무형문화재, 부산・영남 지역의 기록물들에 의존했던 기존의 지역적 경계를 허물 것을 제안했다. 조사・발굴 대상 지역을 부산・영남 지역뿐만이아닌 전국, 해외로까지 확대해서 그간에 수집하지 못했던 새로운 자료의 수집을 진행한다면 현재까지의 연구사업이 주로 20 세기 후반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셋째, 전파와 접변의 관점의 적용을 통한 부산・영남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규명하는 것을 제안했다. 한국의 지역 전통예술은 예술사 전개라는 맥락 속에서 종적, 횡적 관점으로 본다면 각 예술가들의 활동이 겹치는 부분, 성립과 발전 과정에서동일 지역의 다른 예술 종목과의 관련성, 또는 다른 지역의 유사한 예술 종목과의 관련성을 갖는다. 즉, ‘부산의 전통예술’ 또는 ‘영남의 전통예술’은 전파와 접변의 과정 속에서 지역적 특징을 갖게 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발굴하기 위해서는전파와 접변의 관점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