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상설관 ‘행관(幸館)’의 신축과 운영으로 살펴 본 ‘부산 극장가(劇場街)’의 변전과 그 의미 연구

        김남석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29 No.-

        Haengjwa is the first theater in Busan. Since 1903, the existence of Haengjwa has been proved, and this Haengjwa has been transformed into a new theater hall in 1915. The change from Haengjwa to Haenggwan does not mean only a silent theater change. The establishment of Haenggwan means the new boom of Busan's theaters street, which began to be built around Haengjwa. This new boom can help to understand the fluctuations of Busan's coastal theaters street. At the time of the 1910s boom, the Kabuki-style theater which had been around since the 1900s was withdrawn(upgraded/ renovated), and the number of permanent theaters increased, and Busan's theaters street was temporarily restructured. Haenggwan, together with Boraegwan and Sangsaengkwan, became the leading theater of this trend. Then in 1930 Haenggwan was in a crisis again due to a big fire in Nambinjeong. At the same time, the natural transformation of Haenggwan has become a key driving force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Busan theater market, in line with the opening of the theater exterior since the mid-1920s. 桜庭藤夫(Fugio Sakuraba), who was the owner of the Haenggwan in the 1920s, planned a new theater that could replace the burnt Haenggwan. However, the theater was built under the new name Sohwagwan on the site near the competition theater Boraegwan, not the place where it was originally located. Since then, Boraegwan and Sohwagwan have operated as competition theaters facing the road. Since independence, both theaters have emerged as important cinematic assets of Busan. Especially after a lifetime as a movie theater, Sohwagwan still remains a past heritage of the BIFF square. 부산의 ‘행좌’는 부산 최초 극장으로 공인되는 극장이다. 1903년부터 행좌의 존재는 증명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행좌는 1915년 증축을 통해 새로운 극장 ‘행관’으로 변모한다. 행좌에서 행관으로의 변모는, 비단 한 극장의 변화만을 뜻하지는 않는다. 행관의 탄생은 행좌를 중심으로 조성되기 시작한 부산 극장가의 신축 붐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신축 붐을 통해 극장가의 변동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10년대 신축 붐이 일어나는 시점에는 1900년대 무렵 들어섰던 가부키 식 극장이 물러나고(증/개축), 그 대신 상설영화관 위주의 극장 풍토가 조성되면서 부산 극장가가 일시적으로 재편되기에 이르렀다. 행관은 보래관, 상생관과 함께 이러한 흐름을 주도하고 대표하는 극장이었다. 1930년 남빈정 대화재로 인해 행관은 다시 위기에 처한다. 때마침 1920년대 중반 이후부터 펼쳐진 극장 외관의 단장 사업과 맞물려, 행관의 자연스러운 변신은 부산 극장가 변전의 핵심 동인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1920년대 행관의 사주였던 사쿠라바 후지오(櫻庭藤夫)는 전소된 행관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극장을 기획하는데, 이 극장은 기존 부지가 아닌 보래관 인근 지역에 새로운 극장 이름인 소화관으로 건립되었다. 이후 보래관과 소화관은 행길을 마주보고 위치한 경쟁 극장을 운영되었다. 이후 해방 이후 두 극장은 부산의 중요한 영화적 자산으로 부상하였다. 특히 소화관은 영화관으로서의 수명이 다한 이후에도 여전히 비프 광장을 지키며 과거의 유산으로 남아 있다.

      • KCI등재

        부산부 편입 이후 서면 지역의 공업화에 관한 연구 – 부전리, 가야리를 중심으로 –

        선우성혜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2 항도부산 Vol.44 No.-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ndustrialization of Seomyeon after the incorporation of Busan-bu, focusing on Bujeon-ri and Gaya-ri. Seomyeon, originally an administrative district of Dongnae-gun, was incorporated into Busan-bu in 1936. This was done in accordance with the Busan-bu Metropolitan Government's plan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with the aim of solving problems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in Busan-bu and the lack of land, and strengthening the military and industrial role of Busan-bu. At that time, Seomyeon was a flat land adjacent to Busan-bu and attracted attention as a place where various dangerous facilities and factory areas could be formed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Busan-bu. Seomyeon was formed as an industrial zone and a marine industrial zone through land compartmentalization such as Bujeon-ri, Busanjin, and Jeokgi Bay, and maintenance of a traffic path network according to the Busan City Plan. Since it was incorporated into the Busan Ministry, the establishment of businesses in Seomyeon has increased, and companies that are likely to jump into the wartime control economy have emerged.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establishment of companies before and after the incorporation of Busan-bu in areas other than Bujeon-ri and Gaya-ri, the northern areas of Seomyeon (Danggam, Buam, Beomjeon, and Jeonpo) tend to have more workplaces since 1939. In particular, the number of workplaces was increasing around the Gyeongbu Line and the Donghae Nambu Line, and it was used as a military site around the railroa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Seomyeon (Moonhyeon, Gamman, Wooam, Jeokgi, and Yongho), there were many companies established at the time when the Busanjin, Jeokgi Reclamation, and Imhang Railroad were built. Companies established in Bujeon and Gaya have tended to increase since 1939, and many companies were dominated by wartime and handled goods that could be consumed in daily life or jumped on the battlefield. In the case of Bujeon, it is an area that has been intensively maintained in Busan-bu's urban planning. In the case of Gaya, it was not an intensive maintenance area from the stage of incorporation into Busan-bu like Bujeon, but it is an area where power increase companies were intensively established around the opening of Gaya Station in 1943.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business offices in Bujeon-ri and Gaya-ri is a traffic nodule area connecting "Busan-jin-Gupo/Dongrae-Port" and is convenient for not only passengers but also cargo movement. In addition, various industries or similar businesses are concentrated. In particular, Dongyang Fuel Co., Ltd., which produces chemical products to reduce coal fuel efficiency, installed a factory in Busan, and Chosun Electric Steel Co., Ltd. became the second designated military company, or the concentration of textile-related companies is an example of the wartime economy.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서면 지역의 부산부 편입 이후 공업화에 관하여 부전리, 가야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서면이 부산부가 공업도시이자 전시 군사적 역할 할 수 있었던 주요 무대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본래 동래군의 행정구역이었던 서면은 1936년 부산부로 편입되었다. 이는 조선총독부의 시가지계획 아래 부산부 내 인구의 밀집, 용지의 부족 등 문제의 해결과 부산부의 군사적, 산업적 역할 강화라는 목적을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당시 서면은 부산부와 인접한 평지로 부산부의 거주 환경 개선을 위한 각종 위험시설과 공장지대가 형성될 수 있는 곳으로 주목받았던 곳이었다. 서면은 부산도시계획에 따라 부전리, 부산진, 적기만 등의 토지구회 정리, 교통가로망 정비를 통해 산업지대, 임해공업지대로 형성되었다. 편입 후 서면 지역의 사업체 설립이 급증하였으며 업종의 경우에도 전시통제경제에 편승할 가능성이 높은 업체가 많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부전리, 가야리를 제외한 지역의 편입전후 사업체 현황을 보면 서면 북부 지역(당감, 부암, 범전, 전포)은 1939년 이후부터 사업체 설립이 많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경부선, 동해남부선 주변으로 사업체 설립이 많아지고 있었고, 철도 주변으로는 군용지로 이용되었다. 서면의 동남부 지역(문현, 감만, 우암, 적기, 용호)의 경우 부산진, 적기 매축이 진행되고 임항철도가 건설되는 시기 사업체 설립이 많았다. 부전, 가야에 설립된 사업체 역시 1939년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시 통제물자이지만 일상생활에 소비되거나 전시 편승 가능성이 높은 물자를 취급하는 업체가 많았다. 부전의 경우 부산시가지계획 단계부터 집중적으로 정비 대상이 된 지역이다. 가야의 경우 부전과 같이 부산부 편입 단계부터 집중 정비지역은 아니었지만 1943년 조차장 가야역의 개통 전후 군수동원 가능 업체가 집중 설립되었던 지역이다. 또 부전리, 가야리에 설립된 사업체 위치는 ‘부산진-구포/동래-항만’을 잇는 교통 결절지로 여객뿐만 아니라 화물의 이동도 빈번한 곳이다. 요컨대, 부전리, 가야리의 사업체는 물자 운‧수송에서 교통편의성이 높고, 여러 업종 또는 유사업종이 집적되어 있는 곳으로, 특히 동양연료(주) 부산공장 설치와 조선전기제강(주)의 군수회사 제2차 지정 대상 및 방직관련 업체의 집적 모습은 서면 설립사업체의 전시 협력 또는 편승의 일면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피란수도 부산의 전염병과 유엔민간원조사령부의 방역 지원활동

        조성훈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2 항도부산 Vol.43 No.-

        After the outbreak of the war, the number of epidemics increased seriously in Busan with the rushing number of refugees. The population of Busan was 883,339, including about 270,000 refugees in the early June 1951. Among them, smallpox vaccination accounted for 69.3%, typhoid vaccination 62.6%, and typhus 75.7%. From January 1, 1951 to July 1, 1954, smallpox vaccination in Gyeongsangnam-do including Busan, reached 160% of the population, 200% of typhoid, and 98% of typhus. With such an effective control, after October 1951, the infectious diseases in Busan had been stable. This means the success of the UNCACK's public health policy overcoming shortages of medical personnel, low medical facilities, and refrigerators. In addition to vaccinations that have secured more vaccines than the population and mobilized even policemen, DDT was sprayed not only on individuals but also on houses, public buildings, and toilets. In cooperation with the Korean government and Busan City, the improvement of sanitary conditions was also helped by the water disinfection and water supply expansion and cleaning campaigns, as well as manpower to collect excrement, filth, and garbage, and trucks, handcarts, and oxcarts. Also, it was a meaningful measure to adequately disperse the refugees in Busan from the initial 350,000 to 270,000. The epidemic prevention performance that had been successful until the end of 1952. But there were loopholes in the prevention measures such as omission of vaccination for children and avoidance of quarantine in early February 1953, the case of 69 smallpox outbreaks and 24 deaths in Busan. On the other hand, tuberculosis was pushed aside by the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and full-scale measures were not implemented until 1952. In late February 1952, the test started in Busan, and 100,000 people completed the test, and the vaccination was expanded to children. As the target was limited, full-scale preventive measures were necessary after the war. 전쟁이 발발한 이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부산시에는 늘어난 피난민과 함께 전염병이 크게 늘어났다. 1951년 6월 초 부산시 인구는 피난민 약 27만 명을 포함해 883,339명이었다. 이들 가운데 천연두 백신 접종은 시민 전체의 69.3%, 장티푸스 접종은 62.6%, 발진티푸스는 75.7%였다. 1951년 1월 1일부터 1954년 7월 1일까지 부산을 포함한 경상남도의 천연두 예방 접종은 인구 160%, 장티푸스는 200%, 발진티푸스는 98% 수준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효과적인 방역으로 1951년 10월 이후에 부산시에서는 전염병 통제가 안정적인 단계로 이어졌다. 이는 부족한 의료 인력, 낮은 의료시설, 냉장고 부족 등을 극복한 유엔민간원조사령부의 공공보건 지원정책의 성공을 의미한다. 인구 수 보다 많은 백신을 확보해 경찰 관서까지 동원한 접종 외에도 개인별 뿐만 아니라, 주택, 공공건물, 화장실 등에 DDT 살포를 실시했다. 한국 정부 및 부산시와 협조해 상수도 소독 및 확장, 청결운동을 비롯한 분뇨와 오물, 쓰레기 수거를 위한 인력과 트럭, 손수레, 우마차 등 확대로 위생여건의 개선도 도움이 되었다. 또한 부산시 피난민을 초기 35만 명에서 27만 명 수준으로 적절히 분산시켰던 점도 의미있는 대책이었다. 1952년 말까지 성공적으로 보였던 방역 성과는 1953년 2월초에 이르러 특히 천연두는 부산시에서 69명이 발생해 24명이 사망한 경우처럼, 아동에 대한 접종 누락, 격리 기피 등 방역대책의 허점이 있었다. 한편 결핵은 급성 전염병 방역에 밀려 1952년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인 조치가 이루어졌다. 1952년 2월 하순 부산시에서 검사를 시작해 10만 명이 검사를 마쳤고, 아동들에게도 접종을 확대했다. 이처럼 대상이 제한되어 전쟁 이후에 본격적인 예방조치가 필요했다.

      • 부산광역시(직할시) 50년 재정 변화와 정책적 함의

        류춘호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4 항도부산 Vol.30 No.-

        This article analyzed the course of 50Years Busan Metropolitan City(BMC) budget structure and its change. The papers examines the growth and development Busan Metropolitan City 50Years Budge after direct control by Central Government. BMC installed in 1963 by Law of Busan City under control Central Government. The analysis frameworks reflects BMC’s 50Years fiscal statistics in Busan Statistical Yearbook, Busan metropolitan City Budget Document(1963∼2013). etc. The budget provide Urban Development Process factor and description of BMC‘s growth and development in 50Years. The paper examines the general and special revenues items, expenditures items, Public Common Properties, Special Accounts for education in BMC. The article is structured as follows ; First, the review from Busan City to BMC raise to the status and identify change population structure. Second, 50Years fiscal change and growth reveiwed each fiscal Years(1963∼2013), Finally, Recommendation and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long with the implication for policy,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fiscal operation status and its outcomes 50Years in BMC fiscal operation satus after under control Central Government. The finding show that the BMC’S between process and outcomes. The article recommend four idea ; first, Installed Busan Metropolitan City statistics Data Base(D/B) use good public policy making process. This D/B provide basic policy analysis for Book of History Busan Metropolitan City Development 10Years. Second, the fiscal rule must established. because gross budget resource management value for money. third, the efficiency raised by transparent and accountability capacity in budget process. fourth, fiscal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made by to meet policy need and policy priority rules which are institutionalised. 본 연구는 부산시가 1963년 1월 1일자로 직할시로 승격된 이후부터 50년 간의 재정변화를 부산광역시 재정의 변화를 세입과 세출, 공유재산, 교육비특별회계 등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부산직할시의 생성과 변화는 『부산시정부직할에관한 법률』 제정에 따른 직할시승격 관련한 정책논증과 인구구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둘째, 부산직할시 이전(1951∼1962년)의 재정, 직할시승격이후 중심으로 50년 간 재정총량의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1960∼1980년까지 10년 단위별 주요 재정변화, 그리고 1990년대 민선 자치제 이후로 구분하여 살폈다. 셋째, 일반회계의 세입·세출 구조 분석을 통해서 세원별 현황과 의존재원 정도, 그리고 지출에서 지역개발비와 사회복지비의 비중이 지난 50년간 부산시 재정의 중요 영역이었다. 넷째, 지방자치법(§121)과 교육자치에 관한 법률(§2)에 따라 시도의 자치사무로 규정한다. 이에 따라서 1963년 부산직할시부터 ‘교육비특별회계’는 지방자치단체의 특별회계의 하나였다. 교육비특별회계의 운영은 낮은 집행률, 과다 불용액 증가, 이월예산과 집행잔액 연례적 발생 등으로 교육재정의 운영 효율성이 낮았다. 요약하면 부산직할시 50년의 지방재정 변화는 양적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그 의미를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은 점이 미흡하다. 즉, 세입구조는 중앙 의존적으로, 세출은 사회복지비 비중 급증, 공유재산은 비축토지의 감소, 교육비특별회계의 의존재원 비중 증가 및 집행상 비효율성 가중으로 요약된다. 지난 50년 재정은 각 연도와 시계열 자료는 『시정백서』와 『부산통계연보』를 통해서 제공되지만, 보다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은 미흡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먼저, 재정에 대한 정책통계구축, 10년 주기의 (가칭) 부산시정발전사 발간 등의 부산시의 재정관리 정책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재정총량 증가에 따른 재정운영상 비효율성이 나타남에 따라 세입과 세출에 대한 재정준칙의 마련이다. 셋째, 예산과정의 투명성과 책임성의 제고를 통한 재정효율성 재고다. 넷째, 부산시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지키기 위한 정책수요와 정책 우선순위에 대한 원칙수립과 복원력 증진을 위한 방안의 구상이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피란학교 연구 - 학교경영방침, 교육과정, 학교일상을 중심으로 -

        안경식 ( An¸ Gyeong-sik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1 항도부산 Vol.41 No.-

        한국전쟁기 부산은 피란수도이자 교육수도였다. 부산의 피란학교 교육은 당시의 한국교육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는 의미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피란학교의 교육을 두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하나는 학교의 경영방침과 그를 구현할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다른 하나는 과외활동으로서 학교의 일상을 고찰하였다. 피란학교 개설 초기인 1950년 9월의 학교경영방침은 전력(戰力) 증강과 같이 전쟁을 위한 교육이었고, 교육과정 편성은 임시적이었다. 부산을 비롯한 전국에 피란학교가 개설된 1951년 초부터의 피란학교의 경영방침도 전쟁 승리를 위한 교육 등으로 정해졌다. 이를 위해 당시 문교부에서는 전시교재를 제작, 배포하기도 하였다. 1951년 하반기부터는 점차 정규적이고, 교과중심의 피란학교 운영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교재, 교실이 부족하여 신문, 잡지 등을 교재로 활용하였고, 이를 광복 후 새교육운동에서 강조하던 생활중심교육이라고 명명하였다. 1952년부터는 미국 교육사절단이 부산 등지에서 생활중심교육과정과 수업법에 대해 연수를 하면서 생활중심교육과 민주주의 교육의 이념을 일선학교에 전파하려 노력했다. 초등피란학교가 개설되던 초기의 학교의 과외활동은 위문편지 쓰기, 나무하기, 빨래하기 등이었다. 점차 피란학교가 안정되면서 자치회, 문예부, 소풍, 운동회 등의 과외활동이 행해졌지만 전쟁의 분위기가 크게 반영되어 있었다. 중등피란학교도 초기에는 교사(校舍)가 없어 교과 활동보다는 교사 건설을 위한 노력봉사 등의 과외활동이 많았다. 중등학교에서는 1951년 하반기부터 정부의 정책에 따라 특별교육으로 ‘1인1기’ 교육을 실시하였고, 이는 정규 교육과정의 운영에 차질을 초래하였다. 중등학교의 과외 활동으로는 군인 위문 행사 참여가 많았고, 이는 당시 학생의 일상이었다. 1952년 이른바 ‘부산정치파동’ 등 정치에 많은 문제가 있어 고등학생들도 데모 활동에 참여했다. 이에 정부는 학생들의 정치참여는 금지시키면서도 여전히 관제 데모에는 동원했다. 데모 참여는 학생들의 일상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광복 이후 민주주의 교육 운동이 시작되었지만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정부는 전쟁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민주주의교육, 생활중심교육의 이념을 지속시켜 가려 했다. 그러나 정치가 독재로 나아가고 있었고, 교육 역시 집권자의 정치적 도구가 되어 가는 상황에서 민주주의 교육의 진전은 한계를 맞을 수밖에 없었다. In the 1950's, Busan was a representative refugee shelter and center of Korean education. The situation of refugee school in Busa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Korean education at the time. This thesis examines the education of refugee school in Busan from two aspects. First, I studied the refugee school management policy and the curriculum. Second, I studied the daily life of the refugee school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management policy of the refugee school in September 1950 was related to the reinforcement of combat power. At this time, the curriculum of the refugee school was organized irregularly. The management policy of the refugee school in early 1951 was related to education for victory in the war. At that time,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duced textbooks called 『War Time Life』 and 『War Time Reader』. From the second half of 1951, it was possible to operate a regular refugee school. However, due to the lack of textbooks and classrooms, newspapers and magazines were used as textbooks, and this was called life-oriented education. Originally, life-oriented education was emphasized in the 'new education movement' after Korean liberation. From 1952, U.S educational missions such as the U.S.C (Unitarians Service Committee) taught life-oriented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in Busan. This was an effort to disseminate democratic educ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ily activities include writing consolation letters, gathering firewood, and doing laundry. Secondary school students also tried to build a new classroom rather than studying. From the second half of 1951, the government emphasized technical education, and 'One Person One Talent' education movement was emphasized in secondary schools.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 at that time were mainly to participate in events to consolation of soldiers. Since 1951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politic situations,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become political critic force. The democratic education movement began after Korean liberation, but it was forced to be stopped due to the Korean War. The government tried to sustain the idea of life-oriented education despite the war situation. However, politics was moving toward dictatorship, education also became a political tool for the incumbent, and democratic education during the Korean War faced a limit.

      • KCI등재

        개화기 부산 근대학교 형성의 지역별 성격 연구

        최두진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2 항도부산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modern schools in Busan during the enlightening period were affected and formed by region. Busan was a city centered on Dongnae(東萊) and Waegwan(倭館) before opening in 1876. In particular, Dongnae was a Yangban(兩班)-oriented society, and Waegwan was a place where Japanese people who traded with interpreters formed small villages. However, since the opening of the port, Japanese residents have expanded their residence in the Busan area, and due to political pressure, Protestant missionaries have also entered the Busan Port to do missionary work. Busan's modern education was formed by Yangban, pioneer, missionaries, and Japanese people, divided into Dongnae, Busanjin, Choryang, and Japanese residence (in Choryang). In Dongnae area, Dongmyeong School was established with a focus on Yangban society-based society. In the Busanjin area, Ilshin School was established by the Presbyterian Church in Australia. In the Choryang area, Kaesong School was established by Park Ki-jong, a pioneer interpreter. The Shim Sang Elementary School was established for Japanese people in the Waegwan area. In this way, modern schools in Busan during the enlightening period were formed according to regional specificity, local resid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chool. 본 연구는 개화기 부산의 근대학교가 어떤 과정 속에서 형성되었는지 지역별 성격에 대해 고찰하였다. 부산은 1876년 개항 이전까지는 동래와 왜관을 중심으로 형성된 도시였다. 동래는 양반 중심의 사회였고, 왜관은 통역관과 무역을 하는 일본인들이 작은 마을을 이루었던 곳이었다. 개항 이후 일본인들의 부산 지역 거주가 확대되었고, 개신교 선교사들도 부산항을 통해 들어와서 선교활동을 하였다. 부산의 근대교육은 이렇게 양반과 일본인, 선교사들에 의해 동래, 부산진, 초량지역으로 구분되어 형성되었다. 동래지역은 양반 사회 기반의 기영회를 중심으로 한 동명학교 즉 지금의 동래고등학교가 설립되었고, 부산진지역은 호주장로교에 의해 일신여학교가 설립되었으며, 초량지역은 통역관이었던 선각자인 박기종에 의해 개성학교가 설립되었으며, 또한 왜관지역 중심으로 일본인 자제를 위한 심상소학교가 설립되었다. 개화기 부산 지역의 근대학교 형성은 중앙의 법제에 의해 실행되었다기보다 부산 내의 지역적 특성에 따라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부산 지역 내에서도 지형적 특수성이 당시 학교 형성에 작용하였고, 개항으로 인해 부산항과 경부선 건설로 인한 일본이라는 외국인 유입이 학교 설립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부산의 근대학교 형성에는 각 지역별 계층 구성과 학교별 설립 주체에 따른 차이가 크게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부산 초량왜관요 출토유물 연구 -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

        권주영 ( Gwon¸ Ju-yeong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1 항도부산 Vol.41 No.-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에는 부산 초량왜관요 출토유물 184점이 소장되어 있으며 크게 자기류와 요도구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기류는 대부분 소편이지만 관찰을 통해 기면의 무시유 장식, 굽 내측의 나선문장식 등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으며 기종에 있어서도 한계성을 보이고 있다. 요도구류는 초량왜관요가 운영되었던 17세기대 경남지역 가마터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백토 갑발,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통기공을 가진 갑발 등이 관찰되고 여러 가지 형태의 도지미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점들은 대체로 분청사기 가마터에서 보여지는 제작기술과 비교가 가능하며 백토 갑발의 경우 광주 충효동 가마터, 광주 분원리 가마터 등에서 확인되는 기술이다. 또한 초량왜관요가 운영되던 시기에 부산경남지역에서 운영되었던 가마는 대량생산이 이루어지는 단계로 초량왜관요에서 보여지는 제작기술의 다양성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당시 부산 초량왜관요로 입역한 사기장의 다방면에 걸친 노력에 의해 시도된 다양한 기술로 파악된다. 일본 대마도의 종가문서사료 중 「御誂物控」과 「御注文㨨」에는 당시 부산 왜관요로 보내는 도자기 주문서가 확인되는데 부산 초량왜관요 출토유물은 이들 문헌기록의 견본그림과도 비교가 가능하다. 대부분이 도편이지만 이러한 문헌자료에서 엿볼수 있는 기형의 유사성은 당시 주문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번조기술을 차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당시 일본에서는 독특한 자기문화를 꽃피우는 시기로 다양한 도자기술이 탄생하였고 수요층 또한 확대되었다. 부산 왜관요는 대마도에서 요구하는 주문품의 생산에 집중하였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개발이나 창출은 기대할 수 없는 내재적 한계성을 안고 있었다. 결국 부산 초량왜관요는 조선의 도토와 기술에만 집착한 나머지 급속도로 변화하는 도자산업의 흐름에 따라가지 못하고 폐요에 이른다. 폐요 이후 부산과 경남일대 가마터와 대마도에서 운영된 가마터에서 기면의 무시유장식이나 굽 내측의 나선문장식 등으로 미루어 보아 기술의 교류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지만 당시 급격하게 변해가는 도자산업의 흐름에 발맞추지 못하고 결국 사라지게 된다. The Seokdang Museum of Dong-A University has 184 relics excavated from Choryang Waegwanyo in Busan and can be divided into porcelain and pottery. Most of the porcelain flows are small pieces, but through observation, features such as mushiyu decoration on the base surface and spiral gate decoration on the inside of the heel can be found, and the model is also limited. As for the Yodogu style, porcelain Gapbal(A large bowl for baking pottery), Gapbal with ventilation hole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etc., which are difficult to find in the 17th century Gyeongnam area where the Choryang Waegwanyo was operated, were observed, and various types of dojimi were also used. These points can be compared with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found in the Buncheong-sagi kiln, and in the case of the white clay, this is a technique found in the kilns in Chunghyo-dong, Gwangju and the kilns in Bunwon-ri, Gwangju. In addition, the kilns that were operated in the Gyeongnam region of Busan during the period of operation of Choryang Waegwanyo were in the stage of mass production, and the diversity of manufacturing techniques shown in Choryang Waegwanyo is difficult to find. This is understood to be a variety of techniques attempted by the various efforts of the fraudulents who served as Choryang Waegwanyo in Busan at the time. Among the records of the closing family documents of Tsushima, Japan, < Eojomulgong(御誂物控) > and < Eojumunlyu(御注文㨨) > confirm orders for ceramics sent to Waegwanyo in Busan at that time, and the relics excavated from Choryang Waegwanyo in Busan can be compared with sample drawings from these documents. Although most of them are pottery, the similarity of the deformity that can be seen in these literature data is thought to have been borrowed from several production techniques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order. However, in Japan at that time, as a period when a unique porcelain culture blossomed, various pottery liquors were born, and the demand group also expanded. Because Waegwanyo in Busan focused on the perfect implementation of custom-made products required by Tsushima, the development or creation of new technologies had inherent limitations that could not be expected. Eventually, the Choryang Waegwanyo in Busan was obsessed with the ceramics and technology of Joseon, and could not keep up with the rapidly changing trend of the ceramic industry, leading to a waste of life. After the end of the year, it seems that technology exchanges were made in the kiln sites in Busan and Gyeongnam areas and in the kiln sites operated in Daema-do, such as the decoration on the inside of the heel or the decoration of the spiral gate on the inside of the heel, but it could not keep up with the rapidly changing trend of the ceramic industry at the time and eventually disappeared.

      • KCI등재

        해방기 부산지역 음악단체의 활동과 음악극 창작

        남영희,이순욱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항도부산 Vol.39 No.-

        This article aims to discover the value and meaning of liberation period in Busan music history centering on Western music. To this end, diverse empirical materials including newspapers, magazines, music textbooks, association journals, government publications and pamphlets etc. were examined in three areas;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music associations, publication of media, sing-a-song together movement & music dramaㆍopera production. As a result, the liberation period as “a foundation for building growth engines of music field based on the cultural assets accumulated since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in Busan was newly identified. Left-right conflict,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liberation period, is hard to find in Busan, but rather musicians in Busan organized various associations to pursue exclusivity of classical music, or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such as education and donation by concerts. “Gyeongnam Music Association”, which has 260 members and Tongyeong branch, carried out various projects such as publication of journal, organizing music competition for students and concerts. In particular, “Eumak Jubo, weekly music magazine”, published since February 1946, is a pioneering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publishing music journals in Korea. “The Busan Musicians' Association”, consists of professional musicians, pursued pure classical music only. “Noraehajahoe, sing together society” was a group that aimed to sing new and good songs together. Amateurs as well as professional musicians and artists from other fields were all involved, it contributed to expansion of the range of music creation and enjoyment. Other phenomena that characterize Busan music in the Liberation Period are the production of musical dramas and Korean operas. Musical dramas featuring nationalism and educational lessons were not just school events but popular cultural events encompassing parents and local residents. The development of musical drama led to the production of Korean operas such as Flute and Sword and Lakeside House. Musical dramas and operas are a comprehensive performing arts that combines music, art, dance, theater, and literature, and it has led to the convergence and development of artistic capabilities of various art genres in Busan. Therefore, the liberation period in Busan music history is not a “sprouting time” but a period to build up power that will develop music field in the future. 이 글은 서양음악을 중심으로 해방기 부산음악사의 실상과 의미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당시 부산지역에서 발간된 신문잡지 매체, 교우회지, 협회 기관지, 음악교재, 공연팸플릿 들의 일차문헌을 통해 음악단체의 조직과 활동, 음악매체의 발간, 노래운동과 음악극․한국오페라 창작활동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해방기 부산음악사를 근대계몽기부터 축적해 온 부산의 문화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음악사회의 성장 동력을 구축한 시기로 새롭게 규정할 수 있었다. 해방기의 특징적인 현상인 좌우대립 양상은 지역 음악사회에서 뚜렷이 찾아보기 어려웠으며, 부산 음악인들은 다양한 단체를 결성하여 순수한 음악 활동을 추구하거나 교육, 음악회를 통한 사회적 기부 들의 사회 참여활동에 더 적극적이었다. 260명의 회원과 통영지부를 두었던 경남음악협회는 『음악주보』 발행, 학생콩쿠르 및 음악회 개최와 같은 다양한 사업을 펼쳤다. 특히 1946년 2월부터 발간한 『음악주보』는 우리나라 음악 관련 매체 발간의 역사상 선구적인 성과라 할 수 있다. 이 시기 음악단체의 결성과 활동도 주목할 만했다. 부산음악가협회는 전문 연주자를 중심으로 순수 음악활동을 추구하였으며, 노래하자회는 새롭고 좋은 노래를 다함께 부르자는 취지의 모임으로 문화계 전반과 대중을 아우름으로써 음악 창작과 향유 기반을 폭넓게 형성하는 데 이바지하였다. 해방기 부산음악을 특징짓는 다른 현상은 음악극과 한국오페라 제작이다. 각 학교에서 활발히 개최된 음악극은 민족주의적․교훈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단순한 교내 행사가 아니라 학부형과 지역민을 아우르는 주요 문화 행사였다. 음악극 발달은 <피리와 칼>, <호반의 집> 들의 한국오페라 제작으로 이어졌다. 음악극과 오페라는 음악, 미술, 무용, 연극, 문학 들이 결합한 종합예술 형태이므로 부산지역의 다양한 장르의 예술적 역량을 결집하고 발전하게 만든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부산음악사에서 해방기는 ‘맹아기’가 아니라 이후 부산지역 음악사회를 풍부하게 전개해 나갈 발전 동력을 구축했던 시기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부산 지역 여성교육가 이동희(李東姬)의 교육실천 연구

        양지원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2 항도부산 Vol.44 No.-

        Lee Dong-hee is a pioneer of kindergarten education in Busan and a representative person who laid the foundation for children's education. She practiced her educational beliefs through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ducation in Busan and the growth of kindergarten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history based on Lee Dong-hee's life and educational practice is as follows. First, after liberation from liberation, she was appointed as the director of Busan Kindergarten, the first public kindergarten in Busan, and prepared a system for the operation of the kindergarten, and conducted national education such as Korean language and Korean history. And she practiced education in everyday life through the educational method of creating teaching tools and toys. Second, an effort was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kindergarten teachers by forming the Busan Kindergarten Education Group and conducting annual kindergarten teacher re-education workshops and qualification training. In addition, a local association Children's Day event was held to induce parental participation and provide a place for communication. Third, a local teacher training academy was established. And parental education was conducted to form correct educational beliefs. In addition, she worked for the globalization of local education through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s. Lee Dong-hee's educational practice activities are valuable in that they provided education appropriate to the local circumstance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ducation in Busan and the formation of a kindergarten education system. 근현대 부산 지역의 유치원 교육, 어린이 교육의 성장에 있어 우리가 기억해야 할 중요한 인물로 이동희가 있다. 이동희는 부산 지역의 유치원 교육의 선구자이자 어린이 교육의 기틀을 마련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1939년 교사를 시작으로 1978년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삶의 현장이자 교육의 현장인 지역에서 부산의 어린이 교육의 발전과 유치원 교육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교육활동으로 자신의 교육적 신념을 실천하였다. 이동희의 삶과 교육실천을 바탕으로 살펴본 교육사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복 이후 부산 최초의 공립유치원인 부산유치원 원장으로 임명되어, 유치원 운영의 체계를 마련하고, 우리 말과 우리 역사 등의 민족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구와 장난감을 창작하는 교육방법을 통해 생활 속 교육을 실천하였다. 둘째, 교육단체인 부산유치원교육회를 결성하고, 매년 유치원 교원 재교육 강습회 및 자격 연수를 실시하여, 유치원 교원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지역 유치원 연합 어린이날 행사를 개최하여 학부모의 참여를 유도하고 소통의 장을 마련하였다. 셋째, 지역 인재 양성 기관인 부산보육전문학원을 설립하였고, 과도한 조기교육 및 유치원 입원 과열 경쟁 현상을 완화하고, 올바른 교육 신념 형성을 위해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국제적 학술교류를 통해 지역 교육의 세계화를 위해 노력하였고, 교육실무자로서는 전국에서 처음 시교육위원으로 임명되어 유치원 현장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헌신하였다. 이동희의 교육실천 활동은 지방 중심의 교육, 지역의 실정에 맞는 교육을 실시하여, 부산 지역의 어린이 교육의 발전 및 유치원 교육의 체계를 형성하는 기반을 다졌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 가야‧신라시기 부산지역 대왜교류의 변화와 반전

        선석열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3 항도부산 Vol.29 No.-

        . 본 연구는 삼국시대 부산지역의 대왜교류에 대해 3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삼국시대의 부산지역의 독로국은 가야권에 속해 있다가 신라권으로 편입되었다. 신라는 왜와 처음에는 적대관계에 있었으나, 7세기에 이르러 친선관계로 반전되었다. 따라서 부산지역의 대왜교류도 세 차례의 변화를 겪었다. 가야시기 부산지역의 대왜교류에 대한 문헌 기록이 거의 없어 고고학적 연구성과를 통해 살펴보고, 『삼국사기』와 『위지동이전』 그리고 『진서동이전』의 기록과 부합한 사실을 밝혔다. 3세기말 4세기초에 부산의 독로국은 임나가라 연맹왕국의 주축세력으로 존재하였다. 이 시기 대왜교류는 낙동강하류역과 북부구주가 중심지였다. 4세기 후반부터 백제-가야-왜 동맹이 성립되자 교류의 중심은 畿內지역으로 옮겨졌으나, 북부구주는 여전히 교류의 거점 역할을 유지하였다. 400년 광개토왕의 남정으로 임나가라연맹이 약화되어 세력의 중심은 독로국으로 옮겨졌으나, 대왜교류는 다른 지역으로 옮겨갔다. 다음은 신라시기 부산지역의 대왜교류이다. 이 시기에는 『삼국사기』에 관련 기록이 상당수 있어서 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5세기 중엽 독로국은 신라에 편입되고 거칠산군으로 편제되었다. 신라는 왜와 적대관계에 있었으므로, 부산지역의 대왜교류도 경제적․문화적 성격의 교류보다 정치적․군사적 성격의 교류로 변화해 갔다. 463년 왜인의 삽량성 공격으로 인하여 신라는 남쪽 변경의 전략적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면서 부산지역에 두 성을 쌓았고, 493년에는 이들을 군진으로 개편하였다. 6세기 초부터 신라와 금관가야 사이에 전쟁이 발생하였으나, 『일본서기』의 기록과 달리 왜는 낙동강하구로 오지 않았다. 그러므로 6세기에 이르러 부산지역은 대왜교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7세기 부산지역의 대왜교류이다. 이 시기의 대왜교류에 대한 자료는 『삼국사기』와 『일본서기』에 많은 기록이 있다. 7세기에 이르러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동이 일어났다. 신라와 왜의 관계는 송사외교라는 친선관계로 반전되어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신라는 대왜외교나 대왜교역을 행할 때 부산지역이 중요하였다. 신라의 대왜교통로는 경주-울산-기장-형변-대마도-이키-하카타로 이어지는 해상교통로가 이용되었다. 부산의 기장 해안과 형변은 중요한 중간기착지의 역할을 수행하였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