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조시대(正祖時代) `복수살인(復讐殺人)`의 양상과 그 의미 : 『추관지』 부수살인(復讐殺人)판례를 중심으로

        최진경 ( Choi Jin Kyung ) 우리한문학회 2016 漢文學報 Vol.35 No.-

        본고는 `復讐`에 대한 의식 변화를 포착하기 위한 예비적 고찰로, 조선후기 법제서의 복수살인에 대한 법조항과 사건 기록을 통해 정조 시대 `복수살인`의 양상과 그에 대한 조정의 대응을 살펴보았다. 먼저, 조선후기 법제서에 수록된 복수살인에 대한 법조항은 이전 시기법제서인 『대명률』에 비해 관련 조항이 늘어날 뿐 아니라 복수살인에 대해보다 수용적인 태도를 보인다. 복수주체의 확대, 복수 상황의 구체적 제시, 관아에 고발된 사건에 대한 복수를 금지 조항 신설 등의 구체적 조항이 늘어나는 바, 이는 조선후기의 다종다양한 복수살인 사건을 반영함과 동시에 이 시기 복수살인 사건 처리의 새로운 판단 근거가 된다. 다음으로 『추관지』에 수록된 정조 연간의 복수 사건은 이전과 비교해 복수 명분이 모호하거나 여성이 관련된 복수 사건 등이 새로운 양상으로 등장한다. 이에 대한 조정의 반응은 국왕인 정조와 담당 관료들의 시선이 서로 상이하게 드러난다. 즉, 국왕인 정조는 복수살인에 대한 판결 속에서 유교적 가치를 실현하는 인물을 `제작`하고자 하는 서사를 작동시킨다. 그 작동 원리는 복수 주체의 언술(공초) 삽입을 통한 공분의 형성과 `복수 후 국가 권위로의 복속`(자수)이라는 결말의 지정으로, 이를 반복적으로 상찬 및 강조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관료들은 일관성이 없는 법률 적용으로 인한 사회질서의 혼란에 대한 우려를 보이며 복수 에 객관성과 공정성이 유지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scrutinizes the aspect of `murder` in the period of Jeongjo era and its response to the adjustment through the legal clause and the case record of the revenge murders of the late Joseon period as a preliminary consideration in order to capture the change of consciousness about revenge. First, in the law book of the late Joseon Dynasty, it not only increases related clauses but also more acceptances of Revenge murders than the former law book called 『Dae-Myung-Ryul』. Since specific provisions such as enlargement of revenge subjects, concrete presentation of revenge situations, and prohibition of revenge for events accused in the court are increased This reflects the numerous revenge murder cas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new basis for judging revenge murder cases in this period. Next, in the book of 『Chu-gwan-Ji』, revenge incidents appear in a new aspect, such as revenge cases involving ambiguity of purpose of revenge or involving women compared to the past. The response of this adjustment reveals that the eyes of the King Jeongjo and the bureaucrats in charg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King Jeongjo, in the verdict of the revenge murder, operates the narrative to `make a person who realizes Confucian values. Its working principle is to repeatedly emphasize and emphasize the formation of sympathy through the insertion of revenge subjects` idioms and the designation of the conclusion of `submission to state authority after revenge` (turn oneself in). On the other hand, bureaucrats have expressed concern about the confusion of social order due to the inconsistent application of law and emphasized that objectivity and fairness should be maintained in revenge.

      • KCI등재

        헝가리어의 복수성 표현과 수의 호응에 대한 연구

        박수영(Park, Soo 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4 No.1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는 헝가리어의 복수표현의 특징적 현상을 검토하고, 이를 유형적 관점에서 의미론적 자질 위계와 통사적 호응 위계에 의한 일반적 현상으로 설명을 시도하였다. 헝가리어에서 복수성 표현은 일차적으로 명사의 의미범주로서 유정성 위계의 전 범주에 걸쳐 복수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문장 성분 간의 수의 호응을 통해 실현된다. 헝가리 명사의 복수화는 복수표지-k(소유의 복수표지 -i)를 통해 형태적으로 실현되거나, 연상적 복수(associative plurals)기호 -ék를 통해 실현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유정성 위계의 가장 낮은 단계에 있는 복수화가 불가능한 명사들의 경우에는 품사나 의미의 변경을 통한 재범주화(recategorization)에 의해 복수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헝가리어 명사의 복수적 사용은 물질명사, 집합명사, 일부 추상명사를 제외하고 매우 광범위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헝가리어에서 복수표현은 통사성분들 간의 호응에 의해 문법적으로 실현된다. 일반적으로 수가 문법범주인 언어에서 수의 형태적 호응은 필수적이지만, 헝가리어에서는 수에 있어서 의미와 형식이 일치하지 않는 명사구가 의미적 호응을 하는 특징이 있다. 이들과의 호응은 복수형(유표형)을 선호하는 성분의 순서인 호응위계에 따라 실현된다. 복수표현의 의미적 호응은 다시 호응 성분들의 배열과 거리에 의해 제약을 받는데, 이 경우 필수적 호응을 위배하거나 호응위계를 위배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헝가리어의 복수표현과 수의 호응이 필수적 통사․ 의미적 범주에서 수의적 화용범주로 해석된다는 것을 뜻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expressions of plurality and the relation of number marking and agreement to the Animacy Hierarchy and the Agreement Hierarchy in Hungarian. The plurality is expressed as a semantic feature with number marking with respect to the Animacy Hierarchy. In Hungarian, it is possible to express plurality on the widest ranges of the Animacy Hierarchy, from pronouns to inanimate category of nouns. There are three arts of plurals in Hungarian, such as normal plurals with plural marker -k, associative plurals with -ék, and recategorization for the items on the bottom of the Animacy Hierarchy. The plurality is realized not only with morphological expression of number, but the syntactic expression by agreement also. In Hungarian the number is a grammatical category, which depends on the Agreement Hierarchy. The different types of agreement are typically consistent. If it will take a plural attributive modifier, quantifier, it will head a noun phrase in single form which takes a plural verb and plural pronouns in accord with the Agreement Hierarchy.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syntactic agreement and the semantic agreement, and the pragmatic agreement in Hungarian, It means that the implication of the interaction of number agreement with the Animacy Hierarchy is that number as an inflectional categoty in Hungarian is less straight forward than generally imagined.

      • KCI등재

        ‘복수(復讐)’의 관점으로 본 <유정승따님애기> 서사 고찰

        신연우(Shin YeonWoo) 한국무속학회 2024 한국무속학 Vol.- No.48

        제주도 일반신 본풀이를 읽어나가다 보면, 유정승따님애기 서사는 차원이 다른 이야기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본풀이는 악인의 악행에 고통을 겪는 선인의 사연과 함께 그 악인에게 행해지는 복수로 이야기의 결말이 맺어지는 경우가 많다. 복수를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정승따님애기 서사는 제주도 본풀이에서 대단히 예외적 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대조점을 발판으로 하여 유정승따님애기 서사의 의미를 천착해 보았다. 무속은 작게는 현세에서 잘 살자는 현실적 종교이고 크게는 인간이 하늘과 땅과 하나가 되어 생명과 문화를 창조하는 철학적 의의가 있는 활동이라고 하겠다. 여기에 복수는 어디에 자리하는 것일까? 유정승따님애기 무가는 제주도 무속에서 복수의 단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되어야 한다. 이 무가는 심방의 조상이 된 유정승 따님애기의 본풀이이다. 유정승따님애기가 그랬듯이 후대의 심방들도 같은 심사를 갖겠다고 한다. 심방이 되는 것을 ‘전생팔자를 그르친다’고 한다. 유정승따님애기가 죽어가는 아기를 되살아나게 한 것과 같이, 억울하게 펼쳐지는 자기 삶이지만 그에 대한 복수를 생각하지 않고 심방이 되어, 다른 사람의 복을 비는 굿을 하는 것으로 자기 삶을 살겠다는 것이다. 유정승댁따님애기 이야기는 이런 관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아무 잘못도 없이 신병을 앓고 죽어가게 되었던 사람이 아무 관계없는 다른 사람을 살려내고 자기는 자기 삶을 포기하고 무당이 된다. 무당이 되어 하는 일은 다른 사람을 구원하는 것이다. 자기를 내어주어 남을 살리자는 생각이 그 안에 들어 있다. 제주도 대다수의 본풀이에 보이는 복수담은 제주도민의 현실을 반영했을 것이다. 역사가 발전하고 문화가 진보하면서 사회는 개인적인 복수를 허용하지 않게 되었다. 개인의 복수를 사회가 처리해달라고 넘겼다. 제주도는 조선의 통치를 받았지만 법치보다는 개인적인 복수가 더 만연되었을 수 있다. 그런 속에서 유정승댁 따님애기 이야기나 바리데기 서사는 복수가 아닌 희생을 말하는 서사이다. 자기를 희생하여 다른 사람을 살린다는 생각은 문명을 향하여 나아가는 인류 집단에 공통적으로 출현했다. 유정승댁따님애기 이야기는 이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 이해된다. 우리가 동아시아 문명권에 속해서 유교나 불교 윤리가 이를 대신하게 되었지만, 제주도에서도 이 과정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As I read the general shaman epic of Jeju Island, I think that the narrative of <Yoo Jeong-seungs daughter> is a different story. In general, Bonpuri often concludes the story with the story of the good man suffering from the evil deed of the evil man and the revenge performed on the evil man. In that it does not take revenge, the narrative of <Yoo Jeong-seungs daughter> can be said to be a very exceptional setting in Bonpuri, Jeju Island. Using this contrast point as a stepping ston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of Yoo Jeong-seungs daughter was examined. Shamanism is a realistic religion to live well in the world, and it is a philosophical activity in which humans become one with heaven and earth to create life and culture. Where is revenge located here? Goot, the world of shamanism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esent world and further achieve cosmic ideals, but it has not reached the point of generating the ide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the idea of sacrifice and love. It should be noted that <Yoo Jeong-seungs daughter> shaman epic shows that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overcome multiple stages in Jeju shamanism. A person who suffered from a new disease and died without doing anything wrong saves another person who has nothing to do with it, and he gives up his life and becomes a shaman. Being a shaman is to save others. It contains the idea of giving oneself away to save others. Jeju Island is an island, so cultural development was relatively slow in the past. Most of the revenge stories in Bonpuri would have reflected the reality of Jeju residents. As history and culture progressed, society did not allow personal revenge. It was handed over to society to deal with individual revenge. Jeju Island was ruled by Joseon, but personal revenge may have become more prevalent than the rule of law. In the meantime, the story of the daughter of <Yoo Jeong-seung’s daughter> and the story of the baridegi are narratives that tell sacrifices, not revenge. The idea of saving others at the expense of oneself appeared in common in human groups moving toward civiliza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story of the daughter of <Yoo Jeong-seungs daughter> originated in this process. Although Confucianism and Buddhist ethics were replaced by the East Asian civilization, it is meaningful to show that this process took place in Jeju Island.

      • KCI등재

        현대중국어의 복수사건과 허사 의미

        郭銳(Guo Rui),鄭慧仁(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19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4

        사건에도 복수사건과 단수사건의 구분이 있다. 중국어는 복수사건을 표현할 수 있는 형태 표지 수단은 부족하나 복수사건을 표현할 수 있는 부사와 접속사가 다양하게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에서 복수사건을 표현하는 부사와 접속사의 의미를 분석하고 ‘淨/只’, ‘總是/一直’, ‘凡是/只要’와 같이 동의 관계에 있는 허사에 대해 ‘사건의 복수성’이라는 관점에서 각각의 의미를 변별해냈다. 복수사건을 나타내는 허사가 의미 변천 과정을 거쳤을 때, 새로 파생된 의미 역시 종종 복수사건을 나타냈다. 즉 사건의 복수성 관점에서 ‘都’는 ‘總是‘의 의미로, ‘淨’은 “總是”와 “都”의 의미로, ‘相互/互相’은 ‘一起, 共同, 接續’의 의미로 파생된 원인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었다. Events can be categorized also into plural events and singular events. There is a lack of morphologic means to express plural events in Chinese, but there are abundant adverbs and conjunctions that express plural events. This paper makes a semantic analysis on adverbs and conjunctions expressing plural events in Chinese, and differentiate some synonyms from the perspective of plurality of events, including the “JING” and “ZHI”, “ZONGSHI” and “YIZHI”, “FANSHI” and “ZHIYAO”. In the change of meaning of the function words expressing plural events, the new meanings express often plural events also. Thus we can explain why “DOU” extends new meaning of “always”, and “JING” extends new meaning of “always” and “all”, “HUXIANG/XIANGHU” extends new meaning of “together, at the same time, one by one”.

      • KCI등재

        복수사회, 법치와 정의의 무능과 복수라는 권능- 드라마 <모범택시>․<3인칭 복수>․<더 글로리>를 중심으로

        박노현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62 No.3

        2020년 이후 지상파와 OTT에서 방영된 복수극이 심상치 않다. SBS의 <모범택시>, 디즈니플러스의 <3인칭 복수>, 넷플릭스의 <더 글로리>가 그것이다. 이 세 편은 복수의 대행과 복수자의 사면이라는 유다른 복수의 세계관을 상정한다. 일반적으로 복수극은 복수를 수용함으로써 사회의 정화를 꾀하지만 복수자는 불용함으로써 사회의 정상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복수를 초래한 타자와 실행한 주체를 모두 축출함으로써 복수 전후의 격동적 비정상을 일상적 정상으로 되돌리는 것이다. 이로써 극적 세계의 정의는 구현되나 현실 세계로의 자극은 방지된다. 하지만 이 세 편에서 복수의 수용과 복수자의 불용이라는 복수극의 자기 정화는 작동을 멈춘다. 복수는 타인의 부조나 대리로 성사되며, 복수자도 사회적 격리나 축출을 당하지 않는다. 거래와 대행이 가능한 상품으로서의 뒤탈 없는 복수, 이를테면 복수의 자본주의화가 이루어진 셈이다. 이는 엄연한 법치국가 혹은 정의사회를 표방하는 지금/여기에 보내는 극적 경고로 읽힌다. 그럼에도 이와 같은 복수관의 만연은 적잖이 위험하다. 복수가 할만한 그리고 살만한 것으로 인식되어선 곤란한 탓이다. 복수사회의 도래가 결코 드라마처럼 통쾌하거나 후련하지 않을 것임은 명약관화하다. Revenge tragedies that have been aired on terrestrial TV and OTT channels since 2020 are noticeable. SBS's Taxidriver, Disney Plus's Revenge of Others, and Netflix's The Glory are representative ones. These three dramas assume a unique worldview of revenge: the agency of revenge and the pardon for revenger. In general revenge tragedies, purity of society is sought by accepting revenge and the social normality tends to be maintained by not accepting revenger. The turbulent abnormality before and after revenge is returned to normal by expelling both the other who caused the revenge and the subject who executed the revenge. It embodies the justice of the dramatic world while avoiding stimulation to the real world. However, in these three dramas, the self-purification of the revenge tragedies, acceptance of revenge and non-acceptance of revenger is not applied. Revenge is performed with the help or agency of others, and the revenger is not socially isolated or expelled. This is interpreted as a dramatic warning to the Now/Here that assume themselves as a nomocracy or just society. Nevertheless, the prevalence of such revenge views is dangerous considerably. This is because recognition that revenge is worth doing and buying is an acceptable. It is definitely clear that the advent of a revenge society will not be as exciting or refreshing as in those dramas.

      • KCI등재

        복수주체에 의한 특허발명의 실시와 특허권 침해

        김관식 사법발전재단 2015 사법 Vol.1 No.32

        방법에 관한 특허발명이 복수자에 의하여 실시되는 경우에는 특허발명의 실시자가 누구인지 불명확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특허권 침해 여부가 불명확하게 된다. 특허권 침해를 인정하는 경우에는 법적평가에 의하여 단일한 주체를 선정한 후 그 단일한 주체에게 특허권 침해를 인정한 사례가 다수 있고, 복수의 주체자에 대하여 공동으로 특허권 침해를 인정한 사례도 있다. 그런데 최근 미국에서는 복수의 주체자에 의한 특허발명의 실시인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특허권 침해를 인정할 수 없다는 취지의 판시가 있어 주목된다. 본고에서는 복수주체에 의하여 특허발명이 실시되는 경우, 특허권의 직접침해를 인정한 사례와 부정한 사례를 비교 검토하여 복수주체에 의하여 특허발명이 실시되는 경우, 특허권의 공동직접침해를 인정하여야 할지의 여부에 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대안으로서 민법상의 공동불법행위 책임의 인정 여부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더불어 특허권 간접침해와 특허권 침해죄의 인정 여부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우선 복수주체에 의하여 특허발명의 실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특정한 단일주체에 대하여 특허발명의 실시자로 평가할 수 있다면 단일주체에 대하여 특허권침해를 용이하게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단일주체를 선정할 수 없어 발명의 실시자가 복수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우선 복수의 주체자에 의한 발명의 경우에는 특허법상 명문의 규정으로 공동으로 특허출원을 하여야 한다는 점, 공동으로 심판을 청구하거나 피심판청구인으로 하여야 한다는 점 등이 특허법상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음에 반하여, 복수주체에 의하여 특허발명이 실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하여 복수주체에 대하여 공동의 특허침해를 인정할 수 있다는 취지의 근거 규정을 찾아 볼 수 없다는 점, 특허법상 확립된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에 근거하면 특허발명은 어느 누구에 의해서도 실시되고 있지 아니하다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방법발명이 복수주체자에 의하여 실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복수주체에 대하여 특허권 침해 즉, 특허권 공동직접침해의 책임을 인정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이와 같이 복수주체자에 대하여 특허권의 공동직접침해를 인정할 수 없다는 주장은 최근 미국의 Akamai 사건의 대법원판결에서 복수주체에 의하여 특허발명이 실시되는 경우에 유도침해의 전제로서의 특허권 공동직접침해를 인정한 전원합의체 항소심판결을 파기환송하면서 그 주된 이유로 방법발명의 침해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특허발명의 모든 구성요소가 단일한 주체에 의하여 빠짐없이 실시되어야 함을 강조한 점과도 일맥상통한다. 한편 복수주체자에 대한 간접침해는, 우리나라 특허법상 간접침해가 성립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이른바, 전용성 및 공용성 요건의 충족이 매우 곤란할 것이므로 복수주체자 각각에 대하여 특허권에 대한 간접침해 책임을 인정할 수도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민법상 불법행위는 특정한 권리침해가 발생한다고 볼 수 없다고 하더라도 법적으로 보호할 가치가 있는 이익이 침해되는 경우라면 인정될 여지가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권에 대하여 직접침해와 간접침해가 인정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일정한 경우에는 민법상의 불법행위로서 복수주체자에 대한 공동불법행위가 인정될 여지가 있다. 우리나라의 판례에서는 공동불법행위가 인정되기 위 ... Exploitation of Patented Invention by Multiple Entities and Patent Infringement Kim, Kwan-shik When multiple persons or entities perform several steps claimed in a process/method patent, it becomes unclear as to who the exploiter is, and whether there was an infringement at all.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court found infringement attributable to a single entity, once singling it out of multiple entities based on legal evaluation. There are also cases where the court found joint infringement liability attributable to multiple entities. But notably, a recent U.S. precedent held that in principle, patent infringement cannot be attributed to multiple persons/entities who carried out the patented invention. This article: (a) comparatively reviews the precedents recognizing and denying direct infringement on patented inventions by multiple entities; (b) critically analyzes whether to recognize a joint, direct infringement of a patented invention attributable to multiple entities; (c) considers as an alternative whether to recognize joint tort liability under the Civil Act; and (d) discusses whether to recognize indirect infringement and criminal infringement of a patent. When a patented invention is exploited by multiple entities, it would be easy to find patent infringement attributable to a single entity if a specific entity can be identified as the exploiter of the patent invention. But problem arises when multiple entities are found to be invention exploiter due to a failure to single out one entity. As for an invention by multiple entities, there are explicit statutory provisions in the Patent Act requiring a joint patent application, joint request for adjudication, and/or designation as joint respondents. By contrast, where the patented invention is “performed” by multiple entities, there is a lack of statutory basis allowing for finding a joint infringement, and under the well-established doctrine requiring performance of all steps of a method patent to be attributable to a single party, the patent invention is deemed as not exploited by anyone. As such, when a process/method invention is exploited by multiple entities, it should be deemed that a joint, direct infringement cannot be found to be attributable to those multiple entities. This assertion against recognizing a joint, direct infringement attributable to multiple entities aligns with the recent U.S. Supreme Court case of Limelight Networks, Inc. v. Akamai Technologies, Inc., et al., 134 S.Ct. 2111 (2014), in which the U.S. Supreme Court reversed and remanded the en banc decision of The Federal Circuit Court finding a joint, direct infringement attributable to multiple entities as a predicate for finding liability for inducement of infringement, on the emphatic grounds that the all-steps doctrine dictates that to find an infringement on method, all the steps of a method patent must be completely performed by a single entity. As to an indirect infringement attributable to multiple entities, it would be difficult to fulfill the so called “only-” and “use-” conditions as required under the Korean Patent Act to find an indirect infringement. As such, it is not possible to find an indirect infringement attributable to each individual entities. Alternatively, tort liability under the Civil Act leaves room for finding a joint tort liability against multiple entities under the Civil Act in certain cases. Under the Civil Act, even when a specific right is not considered to have been infringed upon, tort liability may be found so long as there is an infringement upon an interest deserving of legal protection. As the Korean precedent does not require subjective common intent for joint tort liability, the joint performance of a patented invention by itself may lead to finding an objective common intent. Still, each of the entities’ actions would have to constitute a tort. Depending on the precedential attitude, if each of the entities’ actio...

      • KCI등재

        논문 : 중국의 유학담론과 복수(複數)의 공공성 -문화대혁명 시기 유학담론과 비교하여-

        조경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4 시대와 철학 Vol.25 No.1

        이 글은 ``복수의 공공성``을 키워드로 하여 유학담론 주체들의 태도를 문제삼으려는 것이다. 이 논문의 문제의식은 문혁시기에 있었던 비림비공(批林批孔)의 학문 행태가 성찰적으로 비판되지 않음으로써 현재의 유학담론에서 또 다시 담론의 동일성이 재현될 우려가 있을 수 있다는 데서 출발한다. 문혁시기에 破私立公이라는 당시의 ``윤리``로 통용되었던 공동체에서는 사는 공이라는 국가의 동일성에 근거하여 폭력적으로 부정되었다. 의식상에서 문혁에 대한 즉자적 반발력으로 진행된 개혁개방 시기에는 거꾸로 공이 부재한 사가 긍정되었다. 破公立私가 포스트 사회주의의 ``윤리``가 된 것이다. 극단적인 공과 극단적인 사는 단순한 뒤바뀜이며 동전의 양면이다. 극단적인 공이 비극이라면 그것이 뒤집힌 극단적인 사는 희극이다. 전시대에 대한 반발심이 성찰을 동반하지 못할 경우 그 보복성에 머무르지 시대의 가치를 재생산할 수 없다. 현재의 유학담론에서 보여주는 획일적 경향은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갖는 복수의 유학이기보다 다시 동일화를 향해가는 체제유학으로 변질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복수의 공공성은 차이를 조건으로 하는 담론의 공간이지 동화와 배제의 기제가 작동되는 닫힌 공간이 아니다. 현재의 ``주류``적인 유교 담론 안에서는 타자성과 복수성(plurality)을 엿볼 수 있는 새로움과 윤리성이 들어갈 여지를 찾기 힘들다. 本文以"復數的公共性"爲關鍵詞, 討論儒學論述主體的態度。筆者註意到, 文革時期的批林批孔以學術從屬於政治的形態進行, 但到了今天也不去批判文革時期的學術形態, 論述的同壹性可能還會在今天的儒學論述中重演。本文認爲, 在權威主義的劃壹主義下, 在不容許有復數性的同壹性基礎上, 隨著資本主義劃壹主義被社會所收容, 過去的劃壹主義得到了進壹步加强。復數的公共性是以相互不同爲條件的論述空間, 而不是存在同化和排斥機制的封閉的空間。儒學論述是在經濟增長的背景下出現的, 而爲說明經濟增長, 出現了包含儒學的中國模式論, 這導致儒學有可能變質爲再次走向同壹化的體制儒學, 而不是具備各種解釋可能性的復數儒學。

      • KCI등재

        고대 중국의 "복수" 관념과 그 문학적 표현

        ( Peng Fei Li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5 No.-

        고대 중국에서 경사(經史) 서적의 주목을 받은 복수 행위는 주로 육친을 위한 복수에 집중된다. 복수하는 자의 행위는 가장 기본적인 정당성만 확보되면 사회 여론의 찬사를 얻을 수 있고 아주 관대하게 처리되곤 한다. 아버지나 남편의 복 수를 갚는 여성 역시 사관이나 소설가의 찬사를 받았으며, 특히 이 경우는 소설 가가 즐겨 쓰는 제재이기도 했다. 중국 고대소설(특히 백화소설白話小說)이 주목 하는 복수 고사에서도 우리는 종종 강한 세속성(世俗性)을 볼 수 있다. 꽤 자주 등장하는 여성의 원귀가 자신을 져버린 남자에게 복수하는 이야기, 일상생활에서 도 흔히 볼 수 있는 각종 원한과 원혼의 복수 이야기 등이 그 예이다. 중국의 문 화 전통에서 원한은 반드시 복수를 통해 해결해야 했다. 비록 불교가 반(反)복수 와 원한의 소멸을 주장하며 들어왔지만, 이러한 주장은 중국 문화에 원래 모습 그대로 흡수되지 않았으며, 대신 인과응보와 윤회의 요소만이 주로 흡수된 후 이것이 고유의 복수 관념과 서로 결합하여 대를 이은 복수라는 독특한 복수 방식을 만들어냈다. In ancient China, patterns of revenge are mainly seen in the Classics and in historical books and were mostly based on obtaining revenge for one’s blood relative. Once a person seeking revenge secured basic justification, their behavior would be supported or even receive praise from public sentiment and was taken care of in an lenient manner. Women who sought revenge for their father or husband were also commended by officers and writers, and women’s revenge, in particular, was one subject novelists enjoyed writing about. We are often able to see strong secularism in the old stories of Ancient Chinese novels, especially in vernacular novels. Examples are stories which frequently-featured the revenge of female lemures on men who had hurt them, and stories of the revenge ofvindictive ghosts in everyday life. Within Chinese cultural tradition, enmity can only be solved with revenge. Even though Buddhism had been introduced into China calling for an end to revenge and the dissolution of enmity, those arguments were not received as they were meant to be, and instead, the idea of retributive justice and Samsara were absorbed into Chinese culture. As these ideas became connected with the Chinese concept of revenge, the result meant the creation of a new type of revenge that carried on revenge for one’s blood relative.

      • KCI등재

        복수전공의 경제적 분석 : 4년제 대학 졸업자를 중심으로

        배호중(Bae Ho Joong),박태수(Park Tae Soo) 韓國敎育財政經濟學會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09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의 4년제 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복수전공 실태 및 복수전공이 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 있어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복수전공자와 단일전공자를 비교함에 있어 관찰되지 않은 개인의 이질성(unobserved individual heterogeneity)과 선택편의(selection bias) 문제를 최소화시키고자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복수전공 이수 여부에 따른 대학졸업 소요기간, 졸업 후 첫 직장 구직 걸린 기간, 임금수준, 괜찮은 일자리 취업가능성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4년제 대학졸업자의 13.2% 가량이 복수전공을 이수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자연과학계열에 비해 인문사회계열 분야 전공자들이 복수전공을 많이 이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경영 · 경제 분야를 복수전공으로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단일전공에 비해 까다로운 복수전공의 졸업요건 충족을 위한 대학재학 기간의 연장가능성과 관련해서는 복수전공자들의 대학재학기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긴 것으로 나타나 복수전공에 따른 대학 재학기간 연장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복수전공 이수의 긍정적인 효과는 이수한 복수전공의 모든 계열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전공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가장 활발히 이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제 · 경영 분야의 복수전공 이수가 초기 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 특히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수전공 이수 결정이 대개 대학입학 초기(1~2학년)에 이루어짐에 따라 ‘미래 취업과정에서 도움이 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이 복수전공 선택사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그 효과에 대한 막연한 기대보다는 적성 및 복수전공에 따른 손익을 충분히 고려한 선택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status of double majoring and its effects on the process of shifting to the labor market in university graduates on the basis of the data from the 2009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used to minimize such problems as unobserved individual heterogeneity and selection bias in comparing single and double majors, and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effects of double majoring on the length of time taken to graduate from university, the length of time taken to get the first job after graduation, the wage level, and the possibility of getting a decent job. About 13.2% of university graduates were double majors; majors in humanities and sociology subjects were more likely to be double majors than those in natural science subjects; and a business administration or economics subject was generally most likely to be selected as a double major. The positive effects of double majoring were not identical in all the relevant subjects but differed by majors; double majoring in an economics or business administration subject, which is most frequently selected as a double major, was especially useful in the initial process of shifting to the labor market. While the decision on double majoring is largely made at the initial period of university days-by freshmen or sophomores-mostly due to the 'ambiguous expectation that it would help to get a job later, ' it is necessary to select a double major, taking into consideration both aptitude and possible loss and gain from it rather than ambiguous expectation of its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