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 활용 실태와 교사 인식

        전병운 ( Byung Un Jeon ),이지선 ( Ji Sun Lee ),김갑상 ( Gap Sang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정신지체 학교의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활용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5개의 정신지체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조사지 중 총 170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활용 실태에서는 첫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를 활용하고 있지 않으나 필요한 학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학급에 구비되어 있는 AAC도구 그림카드와 사진이 가장 많았으며 구비되어 있는 도구 중 활용 방법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미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셋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에 대한 교육을 받은 사람이 활용한 경험도 많았고, 그림이나 사진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넷째, 제작해본 AAC 도구는 사진/그림 카드와 의사소통 판이었다. 다섯째, 학교관리자들은 관심이 적은 편이었으며 학교 별도의 지침이나 안내, 예산편성은 거의 없었다. 교사 인식에서는 첫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가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며 사회성 향상과 의사소통빈도 횟수의 증가를 기대하였다. 둘째, 보완·대체 의사소통 지도의 체계적 도입이 시급하며 이를 위해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에 대한 교육 받을 것을 희망하였으며 사례나 전략에 대한 정기적 연수(교육)의 실시와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 활용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필요로 하였다. 넷째, 보완·대체의사소통 대화 상대자 교육이 매학기 1회 이루어져야 한다고 나타났다. 다섯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 활용의 가장 큰 방해 요인으로 교사의 지식과 경험 부족이라 하였다. Under the goal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utilizations and perception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mong teachers at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disable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t a total of five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analyzed a total of 170 questionnaires collected. As for the findings regarding the utilizations of AAC, first, there were many students that needed an AAC system even though such a system was not in use. Second, picture cards and photographs were the AAC tools most frequently equipped at each classroom. Some AAC tools were not even used due to lack of knowledge about the ways they were used. Third, those who received education about an AAC system also had many experiences with it. and pictures and photographs were most utilized. Fourth, the teachers made such AAC tools as photograph/picture cards and communication boards first hand. Fifth, school administrators showed a little interest in AAC with schools providing additional guidelines or guidance about it. As for the teachers`` perceptions of AAC, first, they believed that an AAC system was helpful with communication and expected it to improve sociality and increase communication frequency. Second, they felt a need to systematically introduce AAC instructions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for it. Third, they hoped to receive education on AAC systems and exhibited the biggest need for regular in-service training (education) on cases and strategies and the methods to teach students how to make use of AAC tools. Fourth, they maintained that education on AAC partners should be provided once a semester. Fifth, they cited the teachers``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as the greatest obstacle to the utilization of an AAC system.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whether the utilization of an AAC system had improved for students at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what the future tasks and directions were.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대한 중도장애 학생 부모의 인식 조사

        신정미,이수향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6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4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awareness, comprehension, expectation) of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mong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Method: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utilizing previous research. They were composed of questions asking for general information and about perceptions of AAC. The survey was conducted in person, by mail, or online. A total of 112 questionnaires were chosen for analysis. Results: First, regarding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awareness level of AAC among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57 (51%) answered that they were aware of ACC, while 55 (49%) answered they were not. Second, parents were asked about their comprehension of ACC. Many parents answered negatively about AAC, saying “Yes” to statements such as ‘AAC should be applied in case of an absolute absence of verbal communication,’ and ‘AAC should be used on subjects beyond the minimum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Third, from questions regarding the expectations of AAC, the largest number of parents pointed to the capability of communication as the expected benefit of using AAC. Most of the participants expected that AAC would be effective in communication development.The largest number of parents pointed to the basic knowledge of AAC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parental education. Conclusion: This study objectively showed that a number of parents were lacking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on AAC, while thei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could have benefited from the use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al education about AAC must be conducted more frequently.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중도장애 학생 부모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대한 인식을조사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설문지 개발은 AAC 인식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였다. 자료 수집은 수도권과충청권에 거주하는 중도장애 학생 부모를 대상으로 모바일과 지면설문지를 통하여 112 건을 수집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AAC 대한 부모 인지도에 관한 문항 중 AAC를 아는응답자는 57 명(51%), 모르는 응답자는 55 명(49%)으로 조사되었다. AAC를 알지만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 구어 사용을 원해서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둘째, AAC 에 대한 중도장애 학생 부모의 이해도에 관한 문항 중에서, AAC 적용을 ‘현재 구어 의사소통이 전혀 없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다.’와 ‘최소한의 인지발달이 이루어진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것이다.’ 문항에 부정적으로 이해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셋째, AAC에 대한기대도 문항에서 많은 응답자가 AAC 사용이 의사소통 발달에 효과가 있을 거라고 기대하였다. 또한 가장 적절한 AAC 전문가로 ‘언어치료사’라는 대답이 많았다. AAC 안내 시제공받길 원하는 내용으로 AAC 치료 방법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향후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활성화 방안으로 다양한 부모교육 실시를 기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이 필요한 중도장애 학생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부모들이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대한 정보와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부모교육의 내용 등을 제시함으로써 언어재활사가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시고려할 점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말’하고 싶은 모두를 위하여 :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체계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인식과 요구에 관한 동향 연구

        정소익(Jung, Soik) 한국장애학회 2020 한국장애학 Vol.5 No.1

        본 연구는 구어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들이 사회 안에서 상호작용 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의사소통의 대체 수단인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과 현장에서 느끼는 어려운 점, 요구사항이 지난 20여 년 동안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문헌연구를 통해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이로부터 AAC의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사용을 위해 향후 필요한 연구 분야가 무엇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술연구 데이터베이스에서 ‘보완대체의사소통, 인식’, ‘보완대체의사소통, 경험’, ‘보완대체의사소통, 요구’, ‘보완대체의사소통, 지원’을 주제어로 하여 검색된 364개의 문헌 중 선별된 30개의 문헌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1)사용자들은 지난 20여 년 동안 AAC 중재에 대해 유사한 인식과 어려운 점을 갖고 있고, (2)사용자 간 연계와 협력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 전략이나 방법론, 사례 등에 대한 연구는 극히 드물었으며, (3)지역사회 내 일반적인 AAC의 사용을 위한 연구는 전무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4)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요구사항에 총체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추진 주체, 정책 방향, 정책적 전략이나 방법에 대한 연구도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AAC의 보편적, 일상적 사용을 위해 향후 필요한 연구 방향은 (1)지역사회 내 일반적인 AAC 사용을 위한 적용 방법, 비장애인의 인식 및 이해도 제고 방안 연구, (2)사용자 간 연계와 협력 체계 및 방법론, 사례 연구, 그리고 (3)AAC 관련 현안을 일관되고 총괄적으로 파악하고 대응하는 추진 체계 및 방법에 대한 정책연구 등이라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Augmented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is to support people with difficulties in verbal communication to interact and improve quality of life i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rough literature review how AAC users perception, difficulties in daily life and demands have changed for last around 20 years, and to derive which research subjects are needed in the future for the universal use of AAC. Using academic treatise DB, with search words AAC, perception , AAC, experience , AAC, demand , AAC, supply , 364 papers are checked, and 30 papers of them are finally selected to examine. The examination reveals (1)users have been perceiving and experiencing AAC in a very similar way for last around 20 years, (2)although engagement and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user groups are important, the research about methodologies, methods, cases for it are extremely rare, (3)there are no research to implement AAC s universal use in the community. And the examination also points out (4)the organization, policies, strategies, and tactics to respond on the whole users continuos demands have not been studied ev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ossible research subjects to contribute AAC s universal use in daily life are (1)AAC implementation methodologies in the community, and how to improve people 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about AAC, (2)inter-AAC users engagement and collaboration structure, methodologies, case studies, and (3)policy organization and methodologies to respond issues related to AAC.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적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기,전병운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7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5 No.2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experiences in apply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system for train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Methods: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on ten teachers who had used the AAC system. Results: First, themes of ‘AAC that was put on a shelf’, ‘AAC is an intervention only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Suspicions as well as expectations’ were derived from ‘AAC is just a theory’. Second, themes of ‘Eclectic approaches vs. AAC’, ‘Students were already prepared’, ‘Unexpected barriers’, and ‘Efficiency, the next step’ were derived from ‘AAC, the source of trouble to teacher’. Third, themes of ‘Two side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A theory is just a theory’ were derived from ‘Trial and error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Discussion and Conclusion: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AAC practice by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discussed.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보완대체 의사소통을 주제로 한 연수 내용을 학생들에게 적용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문적 학습공동체 연수에 참여한 교사 중에서 학생들에게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실질적으로 적용한 교사 10명에게 면담을 실시하여 이를 중심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하였다. 결과: 첫째,‘다만 하나의 이론에 지나지 않았던 AAC’라는 주제 아래 ‘책장에 꽂혀있던 AAC’,‘AAC는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중재’, ‘기대 반 의심 반’이라는 하위 범주 도출되었다. 둘째, ‘교사에게 고민거리가 된 AAC’라는 주제 아래 ‘기존의 의사소통 방식 vs AAC’, ‘이미 준비되어 있었던 지적장애학생들’, ‘예상치 못했던 난관’, ‘이제는 효율성을 위한 단계로’라는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전문적 학습공동체 연수의 시행착오’라는 주제 아래‘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두 얼굴’, ‘이론이야 들으면 다 알지’라는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보완대체 의사소통 적용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보완대체 의사소통을 중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가 일반학생의 장애인식과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효과

        민경심,임장현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9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7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Students with autism exhibit a variety of verbal shortfalls and communication challenges which leads to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developing social relationships.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intervention can be utilized to support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with autism.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taught how to use AAC appropriately; while their conversation partners also need to be trained on their roles and attitudes when communicating to people using AAC.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AC intervention on the entire inclusive clas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on the cognitive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and communication behavior among students with autism. Method: Inclusive class students were instructed through AAC to understand AAC. The study design used was a protest-posttest control group.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autism, AAC intervention was offered through direct instruction. Comparison between communication behavi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done through a single case pre-posttest design. Result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by elementary student. There was a positive impact on the general recognition of disability and the recognition of students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assigned to the inclusive class among the overall recognition of disability and sub-component. Secon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average incidences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in experimental. Similarly, the student was satisfied with his school life. Conclusion: It is noteworthy that AAC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elementary student cognition of disability,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autism disabilities if it supports both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nversation partners in the inclusive class. 배경 및 목적: 자폐성장애학생은 다양한 언어적 결함과 의사소통 문제를 보이는데 이는 학습 및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자폐성장애학생들이 통합교육 환경에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적용하여 의사소통하기 위해 AAC 사용자인 장애학생과 AAC를 사용하는 환경적인 측면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학생에게는 AAC 이해교육을 통하여 대화상대자의 역할과 자세를, 장애학생에게는 AAC 사용교육을 통하여 AAC 도구와 앱, 상징어휘를 교육하는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가 일반학생의 장애인식과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통합학급 학생에게는 활동중심 AAC이해교육을 중재하고 실험·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장애인식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자폐성장애학생에게는 직접교수를 통한 AAC 사용교육을 중재하고 단일사례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통해 의사소통행동과 학교생활만족도가 변화하였는지 관찰과 비교를 하였다. 결과: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를 실시한 일반학생의 장애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적인 장애인식 및 하위영역 중 장애에 대한 보편적 인식과 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관련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험집단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의 평균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학교생활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장애학생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대화상대자 훈련을 포함한 통합학급 차원에서 AAC 중재가 이루어진다면 일반학생의 장애인 식개선과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및 사회적 통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의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의사소통장애 성인을 위한 국내외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 동향

        김주연,구정아,이설희,박은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2

        의사소통장애인을 위한 국내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는 지금까지 주로 학령기의 중증장애아동에게 집중되어왔으나, 국외의 선행연구들은 다양한 장애유형의 성인들에게 AAC를 적용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십여 년 간의 국내외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AAC가 활용된 연구참여자의 다양한 장애유형, 학교나 가정만이 아닌 다양한 성인기 삶의 영역에서의 적용 범위와 연구주제들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AAC연구의 확대 및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18세 이상의 성인 혹은 의사소통 파트너를 대상으로 한 연구 47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장애 성인에게 AAC를 적용한 연구의 유형은 실험연구가 23편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별 분석결과 장애당사자로서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3편으로 가장 많았고, 의사소통파트너로서는 주간프로그램이나 시설의 스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5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장애당사자와 의사소통 파트너를 함께 대상으로 한 연구는 총 4편이었다. 셋째, 연구주제는 4가지로 의사소통 교수전략, AAC 사용자의 개인·사회생활, AAC 기기 사용 경험, 고용에 관련된 내용으로 나뉘었으며, 이 중 의사소통 교수전략에대한 연구가 23편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국내 AAC 연구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이 이루어졌다. In Korea,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researches for individuals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were reported to focus on the school-age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ile many studies in overseas have dealt with more diverse type of disabilities and age ran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implication of future research directions by delineating and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covering people with various types of disorder in environments not restricted to school or household. The following is analysis of 47 papers regarding adults over 18 years of age and communicative partners. First, the experimental research, with 23 of 47 papers total, ranked the highest percentage(49.0%) among various types of research applying AAC to adult individuals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Second, the participants of research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o be analyzed: adult with disability, communicative partners and the two former categories studied togethe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the most highly studied disability group, and staff of day program/facilities were the frequently targeted communication partner group. Third, the research topics were analysed into categories such as communication instructional strategy, individual and community life of people using AAC. Among all the topics, communication instructional strategy was the most commonly covered by 23 papers. Implications for Korean AAC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AAC)중재 서비스에 대한 장애인 당사자의 요구분석

        임장현(Lim, Jang Hyun),박은혜(Park, Eun Hye),구정아(Ku, Jeong Ah)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1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의 기본적인 의사소통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AAC)지원 체계가 마련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후천적 장애 등으로 인한 성인기의 잠재적 AAC 사용자 수요는 영유아기, 학령기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서는 성인 AAC 지원 관련 선행연구도 부족하고 장애인 당사자의 AAC 중재 요구조사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9명의 뇌병변장애, 지체장애, 지적장애를 가진 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현재 의사소통의 제한으로 인한 어려움과 의사소통 관련 중재 경험, AAC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AAC 중재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면담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 이루어졌고 면담 전사본을 작성하여 지속적 비교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개의 주제(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개인의 경험, AAC 중재 경험과 인식, 사용자 중심의 AAC 중재서비스 기초 마련, 사용자 중심의 AAC 서비스 전달체계를 위한 제안)와 13개의 하위주제로 분석되었다. 성인으로서의 독립적 생활에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AAC 기기 개발 및 관련 정보와 사회인식의 부족, 또한 서비스 제공기관이나 시스템 자체의 부족이 문제점인 것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사회적 서비스 측면에서 수요자 중심의 AAC 중재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제안과 논의점을 서술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AAC, and providing the suggestions for AAC intervention services. To serve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esult showed 4 main themes with 13 sub-categories. Main themes follow : (1) the personal experiences on communication difficulties, (2)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n AAC intervention, (3) forming the basis of consumer oriented AAC intervention service, (4) the sugges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AC service delivery system for service users. On the whole, although the need for AAC was great because of participants' communication problems, the experiences of AAC use were limited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accessability. Therefore, more accessible and effective AAC service delivering system for service users were nee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AC intervention serv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통합교실에서 또래 대화상대자 훈련이 장애유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음성 출력 의사소통 도구의 사용을 중심으로

        이명희,박은혜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6

        의사소통은 구어라는 일반적 체계를 사용하나 중도 장애아동들은 이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보완·대체 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이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도 장애유아가 통합된 어린이집의 자연스러운 현장에서의 AAC 중재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일반 유아교육기관에 통합된 중도 장애아동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또래유아들과 장애유아들이 AAC도구를 사용하는 의사소통 기술사용 빈도와 장애유아의 의사소통 기술인 시도하기와 반응하기 발생률을 관찰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AC 대화상대자 훈련을 통해 또래유아들의 의사소통 중재기술 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또래유아들의 의사소통 중재기술 사용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장애유아의 의사소통 시도하기와 반응하기 기술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셋째, AAC 대화상대자 훈련으로 변화된 또래들의 의사소통 기술과 대상 장애유아의 의사소통 시도하기와 반응하기는 중재가 종료된 후 4주 뒤에도 유지되었다. 넷째, 부수적 효과로 일반 또래들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태도 등이 개선되었다. 또한 장애유아 자신의 행복감, 소속감, 자신감등의 향상과 장애유아 부모들의 AAC 도구에 대한 긍정적 인식 등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Mo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difficulties with speaking, the most common system of communicati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is another way of communication for nonspeaking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AC intervention on the communicative interaction patterns of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in inclusive free play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their peers. AAC communicative partner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teaching facilitative strategies and having subjects give feedback about their usage of the learned strategies.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he results indicate that after AAC communicative partner training, the target children's communicative interactive behavior was increased. An dafter AAC communicative partner training, their peers acquired communication facilitative strategies and were able to use them efficiently in order to interact with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The data also suggest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during the four weeks follow-up sessions.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성인 보완대체의사소통(AAC)사용자의 경험

        임명순,박현주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8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6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Recently, AAC user action is demanding to guarantee the right of communication. In keeping with this trend, we aimed to identify the actual experiences on AAC use of adults who are actively expressing their voices relying on the AAC system.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approach. Participants were 10 adults with cerebral palsy who took part in social activities while appropriately meeting their communication needs using AAC device for more than 6 months. One-to-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terviews,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were all transcribed, coded according to meaning statements, and organized thematically. Results: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summarized in four themes: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communication barriers, AAC education, and social awareness and support. Conclusion: AAC has greatly improved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adults with cerebral palsy, but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se AAC users is still lacking.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into the client-centered AAC service delivery. 배경 및 목적: 최근 의사소통권리 보장을 요구하는 AAC 사용자 행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본 연구에서는 AAC에 의존하여 적극적으로 자신의 목소리를내고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AAC 사용에 따른 실제적인 경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질적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6 개월 이상 AAC를 사용하여자신의 의사소통 요구를 적절히 충족하면서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뇌성마비 성인10 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이용하여 일대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종료 후 대화내용을 모두 전사하여 의미 진술에 따라 부호화하고 주제적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참여자들의 AAC 사용에 대한 경험은 4 개의 주제(삶의 질 향상, 의사소통 장벽, AAC 교육, 사회적 인식 및 지원)와 10 개의 하위주제로 요약되었다. 논의 및 결론: AAC를 통한 의사소통이 뇌성마비 성인의 사회적 참여와 삶의 만족도를크게 개선시키고 있으나 이들 AAC 사용자에 대한 제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성인 AAC 사용자의 실제 경험담을 통해 AAC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들을 제시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특수학교 기반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 및 개발에 대한 요구

        임장현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9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7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Difficulty in communication has a lasting impact not only on school age children but also in adult lif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teach AAC in school and social life, with the expectation of special schools and teachers’ role as the center of intervention being high. Research on AAC intervention in special schools emphasize on the importanc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addition to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paredness and perception of schools through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focus group interview on AAC intervention and development in schools. Method: This study involved 9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AAC training in Seoul, Gyeonggi and Gyeongbuk provinces.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e sampling method. Aft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explained, the participants were ultimately confirmed through agreement. The final questionnaire comprised of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AAC intervention with a focus on special education schools, the challenges and requirements of using AAC, the support required to implement AAC in school, and the program requirements. Th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rom June to September, 2018. All interviews were documented after recording, and a total of three transcripts were prepared. Results: Four topics were derived after performing open coding ((1) experience with starting AAC, (2) difficulties with AAC intervention, (3) preparation for AAC intervention based on special schools, (4) support and program requirements for AAC intervention) and 19 sub topics. Conclusion: As a result, it was established that there were challenges such as perception, supports, cooperation and limited resources in the implementation of AAC as a universal communication supports in school. However, the findings of the AAC intervention experience and the positive perceptions are likely to b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AAC intervention in the school. Based on the research, recommendation for support and development for school-based AAC intervention were suggested. 배경 및 목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학령기 뿐 아니라 성인기 삶에서도 지속적인 영향을 주며 AAC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학교 및 사회생활에서 AAC 대한 접근 방안이 되어야 하며 중재의 구심점으로 특수학교와 교사 역할에 대한 기대가 높게 나타났다. 특수학교 기반으로 장애학생을 위한 AAC 중재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생 대상 적용 연구에서는 장애인 당사자에 대한 중재 뿐 아니라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환경의 중요한 변인으로서 학교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AAC 중재 및 개발에 대해 특수교사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실태 및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경기 및 경북 지역의 AAC연수를 수강하고 중재경험이 있는 교사 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참여자 선정은 목적표집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한 후 구두로 연구 참여에 동의를 받아 최종 참여자를 확정하였다. 질문지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최종 질문지는 특수학교 기반 AAC 중재 경험과 인식, AAC 활용의 어려움과 요구사항, 학교현장에서 AAC 활용을 위해 필요한 지원, 프로그램 요구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었다. 면담은 2018년 6월부터 9월까지 이루어졌으며 모든 면담내용은 녹음 후 전사하였고 총 2개의 전사본이 만들어 졌다. 결과: 개방적 코딩을 실시하여 4개 주제(1) AAC, 시작에 대한 경험, 2) AAC 중재의 어려움, 3) 특수학교 기반의 AAC중재를 위해 필요한 준비, 4) AAC 중재를 위한 지원 및 프로그램 요구)와 1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 학교에서 보편적인 의사소통 중재로 AAC를 적용하는 부분에 있어서 인식이나 지원, 협력, 제한된 자원 등의 어려움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AAC 중재 경험을 통해 가능성을 찾고 그로 인해 긍정적인 인식을 서술한 결과는 앞으로 학교 현장에 AAC 중재를 보편화하는데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기반의 AAC 중재를 위하여 필요한 지원과 개발에 대한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