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광이 온실내 온습도와 절화장미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권오현,김원희,이수영,이혜진,천경성,김완순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4 화훼연구 Vol.22 No.3

        국내에서 절화장미의 생산에 있어서, 겨울철 부족한 광량과 저온은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에 일몰 후 고압나트륨등을 보광하여 생산량을 증가하고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절화장미 ‘챠밍블랙’, ‘핑키걸’ 품종을 사용하였으며 400W의 고압나트룸등을 이용해 35µmol•m-2•s-1의 광을 일몰 후 18시부터 4시간, 8시간, 12시간을 보광하였다. 고압나트륨등을 보광 하였을 때 온실내의 온도는 2~4oC가 상승하였고, 습도는 15~20%가 하락하였다. 고압나트륨 보광에 의한 온도의 상승과 습도의 하락은 절화장미 재배에서 노균병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보광시간이 길어질수록 절화장미의 노균병 발생율이 감소하였다. ‘챠밍블랙’은 8시간 이상의 보광처리구에서, ‘핑키걸’은 12시간보광 시 노균병이 100% 억제되었다. 절화장미에서 일몰후 보광시간이 길어질수록 블라인드의 발생률은 감소하였으나 생산량은 8시간 보광을 실시한 처리구에서 가장많았다. 절화장미의 절화장은 보광을 실시하였을 때 길어졌으며, 보광시간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In domestic production of cut-flower roses, the lack oflight and low temperature in winter time reduces the productionand deteriorates the product quality. For this reason, 400W ofhigh-pressure sodium were supplemented to ‘Charming Black’and ‘Pinky Girl’ of cut-flower roses for 4 hours, 8 hours and 12hours each after sunset. During supplemental lighting, thelighting intensity was about 35µmol•m-2•s-1. When high-pressure sodium was supplemented, the temperature inside ofgreen house went up by 2~4 and humidity went down by15~20%. The temperature rise and humidity drop causedby supplemental lighting of high-pressure sodium had aneffect of suppressing downy mildew. The longer of timesupplemental lighting, lowered the occurrence rate of downymildew. The downy mildew in ‘Charming Black’ and ‘PinkyGirl’ was suppressed one hundred percent after staying insupplemental lighting treatment plot for more than 8 hours and12 hours respectively. In cut-flower roses, longer supplementallighting time after sunset, resulted higher flower production.The length of cut-flower got longer when the supplementallighting was executed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ythe time of supplemental lighting

      • KCI등재

        『대방광불화엄경』은 7처설인가? - 보광법당의 정체와 의미 -

        박보람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4 佛敎學報 Vol.0 No.104

        한역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은 동아시아에서 예로부터 현상적인 측면[事]에서는 7처(處)에서 설해진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이 글은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그 대안으로 6처설을 주장하였다. 그 요지는 7처설의 7처 중에서 제1회의 처인 마갈제국 적멸도량 보리수 아래 사자좌와 제2회 등의 처인 보광법당 연화장사좌자가 동일한 처인 ‘마갈제국 적멸도량 보리수 아래 보광법당 연화장사자좌’의 두 가지 표현일 뿐이며 따라서 『대방광불화엄경』은 7처설이 아니라 6처설로 보는 편이 『대방광불화엄경』의 맥락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7처설은 지엄 등의 초기 화엄교학 이전에 이미 동아시아에서 『대방광불화엄경』 설처의 표준적인 이해였던 것으로 보이며 초기 화엄교학 또한 이 7처설을 받아들여 보리수 아래 사자좌와 보광법당을 별도의 처로 규정한다. 아울러 초기 화엄교학은 7처설이 되기 위한 관건인 보광법당의 위치와 성격 등에 대해서 독자적인 해명을 시도한다. 이에 따르면 보광법당은 보리수로부터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용이 지은 것 또는 용의 위호를 상징한 것이다. 그러나 이 글은 보광법당이 보리수와 동일한 처이며 그 정체는 용과 관련된 것이라기보다 비로소 깨달음을 이룬[始成正覺] 부처가 내는 광명의 발원지를 일종의 건물로 상징 ․ 형상화한 것이라는 설을 제안하였다. 이처럼 보광법당을 이해하여 6처설에 입각한다면 『대방광불화엄경』에서 부처의 본래 경계를 설하는 제1회와 중생의 믿음을 설하는 제2회와 깨달음의 경계를 설하는 뒷부분(『대방광불화엄경』 진본晉本은 제6회 일부 및 제7회, 주본周本은 제7, 8회)이 모두 한 자리에서 펼쳐지는 것이 된다. 이와 같다면 『대방광불화엄경』의 설처를 통해서도 부처와 중생과 깨달음이 본래로, 구래로 동일한 한 자리라는 화엄교학의 여래성기(여래출현)를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hinese Buddhāvataṃsūtra has long been construed in East Asia as having been expounded in seven distinct locations (處). This article aims to challenge this traditional understanding and proposes the six-place theory as an alternative framework. A central contention emerges from an examination of the seven-place theory, specifically pertaining to the initial location, which is the lion's throne beneath the Bodhi tree at the Nirvana Temple (寂滅道場) in Magadha, and the second location, which is the lion's throne adorned with lotus flowers situated in the Dharma Hall of Universal Light (普光法堂), asserting that these constitute dual expressions of the same locus. Consequently, it is contended that the Buddhāvataṃsakasūtra is more aptly apprehended through the lens of the six-place theory, diverging from the prevailing seven-place paradigm, thereby aligning with the contextual nuances intrinsic to the Buddhāvataṃsakasūtra. The seven-place theory appears to have entrenched itself as the prevailing conceptualization of the Buddhāvataṃsakasūtra's location in East Asia, predating the early Huayan thoughts articulated by Zhiyan (智儼) and his successors. Moreover, early Huayan thoughts endorsed the seven-place theory, endeavoring to furnish a distinctive explication of the Dharma Hall's locale and identity—a pivotal element in the formulation of the seven-place theory. In essence, early Huayan thought conceived of the Dharma Hall as situated slightly apart from the Bodhi Tree, positing its construction by a dragon or its symbolic association with draconic protection. However, this article proposes an alternative perspective, positing that “the Dharma Hall” and “the Bodhi Tree” are synonymous, with their identities disassociated from draconic symbolism. Instead, the Dharma Hall is advanced as a symbolic and visual representation of luminous emanations following the Buddha's enlightenment, manifesting in architectural form. If one comprehends the Dharma Hall in this manner and embraces the six-place theory, the inaugural assembly in the Jin dynasty edition (晉本) explicating the original realm of the Buddha, the subsequent assembly elucidating the faith of sentient beings, segments of the sixth assembly, and the seventh assembly (the Zhou dynasty edition, 周本, serving as the seventh and eighth assembly) illuminating the bounds of enlightenment converge into a singular location. If articulated in this manner, the interpretation may be construed as an exposition of Huayan thoughts concerning the Manifestation of the Tathāgata. This posits that the Buddha, sentient beings, and enlightenment are fundamentally and intrinsically synonymous within the context of the Buddhāvataṃsakasūtra.

      • KCI등재

        하절기 오이 온실재배 시 차광 및 보광 효과

        유진,윤지혜,황소영,박은원,황정훈,최형은,구정길,황희성,황승재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2 No.3

        High solar radiation in summer season causes excessive respiration of crops and reduces photosynthesis. In addition, the rainy season, which mainly occurs in summer, causes a low light condition inside the greenhouse. A low light condition can reduce crop growth and yiel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hade and supplemental light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cucumber during summer season. Cucumber grafted seedlings were transplanted in two plastic greenhouses on August 30, 2022. To reduce the light intensity inside the greenhouse, a 50% shading screen was installed in one greenhouse. Supplemental lighting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7, 2022 to October 20, 2022. HPS (high-pressure sodium lamp), W LED (white LED, red:green:blue = 5:3:2), and RB LED (combined red and blue LED, red:blue = 7:3) were used for supplemental lighting sources, and non-treated (nonsupplemental lighting) was as the control. The supplemental lighting was conducted before sunrise and after sunset for 2 hours with a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of 150 ± 20 μmol·m-2·s-1. The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and SPAD value tended to increase in the shading group. RB LED increased stem diameter regardless of shading treatment. Fresh and dry weights of frui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shading and supplemental lighting. Average fresh weight of frui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upplemental lighting as the harvest date passed. In conclusion, in this study 50% shade treatment significantly improved the growth of cucumber during the summer season. In addition, the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are better than the control without supplemental lighting.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applying supplemental lighting technology to cucumber cultivation. 하절기의 높은 일사량은 작물의 과도한 호흡을 유발하여 광합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주로 하절기에 발생하는 장마는 온실 내부에 저일조 환경을 유발한다. 저일조 환경은 작물의 생육과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하절기 차광과 보광이 오이의 생육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오이 접목묘는 2022년 8월30일에 플라스틱 온실 2동에 정식하였다. 온실 내부의 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온실 1동에 차광 스크린을 설치하였다. 보광처리는 2022년 9월 7일부터 2022년 10월 20일까지 수행되었다. 고압나트륨등(high-pressure sodium lamp), 백색 LED (white LED, red:green:blue = 5:3:2), RB LED(combined red and blue LED, red:blue = 7:3)를 보광 광원으로 사용하였고, 무처리를 대조구로 설정하였다. 보광 처리는 일출 전과 일몰 후 2시간씩 수행하였고, 보광 광도는 150±20 μmol·m-2·s-1 로 설정하였다. 식물 초장, 엽장, 엽폭, SPAD는 차광 처리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RB LED에서는 차광 처리와 관계없이 경경이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 과실의 생체중과건물중은 차광과 보광 처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과실의 평균 과중은 수확일이 지날수록 보광처리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하절기 오이 재배 시 50% 수준의 차광 처리는 오이의 생육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또한, 보광 대조구에서 생육과 과실 특성이 좋았다. 본 연구는 오이 재배 시 보광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광보상점 이하의 보광이 절화장미 ‘Vital’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최영하,권준국,최경이,전희,조명환,서태철,이재한,강남준,노미영,이성찬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8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7 No.2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plemental lighting of low light intensities on growth and yield of rose ‘Vital’ in a forcing culture. Metal halide lamp (MH), High pressure sodium lamp (HSP), and MH+HSP were used as the light sources, and they were set up at a 310cm×450 cm interval and at 120cm above the culture beds. Light intensity at 1m point distance from supplemental lighting sources was 32~34mol·m-2·s-1. Days to the 1st and 2nd harvests decreased by 5~8 and 3~5days, respectively in supplemental lighting treatment as compared to the control. Days to harvesting was the shortest in MH+HPS treatment, followed by HPS and MH,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PS and MH treatments. The growth was better and incidence of blind shooting decreased by 5~7% in supplemental lighting treatments than the control, increasing marketable cut flowers. The incidence of blind shoot was the lowest in MH+HPS treatmen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H and HPS treatments. In conclusion, supplemental lighting of low light intensities was effective in reducing days to flowering and reduced occurrence of blind shoots. 동계 절화장미 ‘Vital’재배시 보광이 장미의 생육과 절화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하였다. 보광 광원은 250W의 메탈할라이드등, 고압나트륨등 및 혼합(메탈할라이드등 + 고압나트륨등)등을 베드 위 120cm 높이에 310cm×450cm로 설치하였다. 보광등에서 1m 떨어진 지점의 광도는 32 ~ 34mol • m-2 • s-1였다. 보광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개화소요일수가 1번화는 5 ~ 8일, 2번화는 3 ~ 5일 단축되었다. 보광구 간에는 혼합등이 개화소요일수가 가장 짧았고, 고압나트륨등, 메탈할라이드등 순 이었으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생육도 보광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좋았다. 특히 블라인드 발생이 5 ~ 7% 감소되어 절화수량 증가의 주 요인이었다. 보광구간에는 혼합등이 가장 좋았고, 메탈할라이드등, 고압나트륨등 순 이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보상점보다 낮은 광도의 보광도 개화소요일수 단축 및 블라인드 발생억제에 효과적이었다.

      • KCI등재

        겨울철 보광이 절화장미 ‘Nobles’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나택상(Taek Snag Na),김정근(Jeung Gun Kim),최경주(Kyong Ju Choi),기광연(Gwang Yeon Gi),유용권(Yong Kweon Yo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6 No.2

        본 시험은 겨울철 광원별 보광처리에 따른 장미의 생육상태와 온실내의 온ㆍ습도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보광재료는 나트륨등과 형광등을 사용하였고, 처리는 야간에 5시간씩 하였고, 2회 수확하였다. 온실 내 온도는 보광시작 후 나트륨등 보광처리가 높았으며, 슬라브내 온도는 오전 6시에 나트륨등으로 보광한 처리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일 평균습도는 나트륨등 처리가 낮게 나타났다. 나트륨등 처리시 장미 줄기의 인산, 칼륨, 칼슘, 마그네슘 함량은 다른 처리보다 많았고, 잎에서는 칼륨과 마그네슘 함량이 다른 처리보다 낮았다. 잎의 엽록소 함량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절화장과 줄기 직경은 다른 처리보다 나트륨등 처리에서 양호하였다. 수량은 2회 모두 나트륨등 보광에서 더 많이 나와 일조량이 부족한 겨울철에 나트륨등으로 보광하면 장미 수량과 품질을 높일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y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plemental lighting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Rosa hybrida ‘Nobles’ in winter. Supplemental lighting was treated during 5 hours at night with sodium lamp and fluorescent lamp, and cut flowers harvested 2 times for the experimental period. After supplemental lighting, air temperature and slab temperature in glasshouse was higher in sodium lamp treatment than control. Realtive humidity was low in sodium lamp treatment. Total nitrogen phosphate,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of stem in sodium lamp treatment were higher compare to the other treatment. In sodium lamp treatment, the potassium and magnesium content of leaf in control were lower than the others. Chlorophyll content was not different by source of lighting. Stem length and diameter was longer in sodium lamp treatment. In two times, the yield was highest in sodium lamp treatment. Therefore, supplemental lighting with sodium lamp in winter season was recommended for improving the yield and quality in cut rose ‘Nobles’.

      • KCI등재

        Comparing Photosynthesis, Growth, and Yield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Cupra’) under Supplemental Sulfur Plasma and High-Pressure Sodium Lamps in Growth Chambers and Greenhouses

        Kyoung Sub Park(박경섭),Dae Young Kwon(권대영),Joon Woo Lee(이준우),Jung Eek Son(손정익)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4

        인공광을 이용한 보광은 시설재배에서 작물의 정상적인 생육과 수확량을 유지하고 품질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실용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황 플라스마 램프(SP)와 고압 나트륨 램프(HPS)의 보광이 파프리카의 생육 및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생장상에서는 SP 및 HPS를 기본 광원으로, 온실에서는 보광으로 사용하여 작물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생장상에서는 정식 2 주 후 SP와 HPS 하에서 초장, 엽면적, 줄기 직경, 엽수, 생체중 및 건물중을 매주 측정 하였다. 온실재배에서는 무보광을 대조구로 하였다. 보광은 07:00부터 21:00까지 외부일사 100W·m<SUP>-2</SUP> 미만일 때 처리되도록 하였다. 보광 처리 후 3주부터 매주 생육량을 측정하였고, 2주 마다 수확하여 과실수와 과실무게를 측정하였다. 생장상에서는 높은 광합성속도로 인하여 SP가 HPS보다 생육이 양호하였고, 온실에서는 보광처리가 대조구보다 수확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온실에서의 초장, 마디수, 엽장, 생체중, 건물중은 SP와 HPS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수확 시 과실수와 수량은 광합성 증진과 및 과실수의 증가로 인하여 SP에서 많았다. SP는 태양광과 유사한광 스펙트럼을 보였으나, HPS와 비교하여 높은 PAR과 적색과 원적색 파장의 광양자속의 합이 높았기 때문에 파프리카의 광합성과 수확량을 증가시켰다. Supplemental lighting with artificial light sources is a practical method that enables normal growth and enhances the yield and quality of fruit vegetable in greenhou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lfur plasma lamp (SP) and high-pressure sodium lamp (HPS) as supplemental lighting sources on the growth and yield of paprik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SP and HPS lamps on paprika, the effects of primary lighting on plant growth were compared in growth chambers and those of supplemental lighting were also compared in greenhouses. In the growth chamber, plant height, leaf area, stem diameter, number of leaves,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measured weekly at SP and HPS from 2 weeks after transplanting. In the greenhouse, no supplemental lighting (only sunlight) was considered as the control. The supplemental lights were turned on when outside radiation became below 100 W·m<SUP>-2</SUP> from 07:00 to 21:00. From 3 weeks after supplemental lighting, the growth was measured weekly, while the number and weight of paprika fruits measured every two weeks. In the growth chamber, the growth of paprika at SP was better than at HPS due to the higher photosynthetic rate. In the greenhouse, the yield was higher under sunlight with either HPS or SP than sunlight only (control).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lant height, number of node, leaf length, and fresh and dry weights between SP and HPS. However, at harvest, the number of fruits rather than the weight of fruits were higher at SP due to the enhancement of fruiting numbers and photosynthesis. SP showed a light spectrum similar to sunlight, but higher PAR and photon flux sum of red and far-red wavelengths than HPS, which increased the photosynthesis and yield of paprika.

      • 고창(高敞)의 후삼국시대 : 전통과 신시대의 교차점에서

        윤태양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2023 전북학연구 Vol.10 No.-

        이 글에서는 「방등산가(方等山歌)」와 「수주부 화산 갈양사 혜거국사 보광탑비명 (水州府 花山 葛陽寺 惠居國師 寶光塔碑銘)」(「혜거국사비명」)을 근거로 후삼국시대 고창(高敞)의 역사적 상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양자 중에서는 「방등산가」의 내용이 조금 더 이른 시기의 모습을 비추는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 「방등산가」는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의 분류를 따라 백제 속악(俗樂)으로 다루어지기도 하 였고, 배경 설화에 보이는 지명인 ‘장일현(長日縣)’을 장성군(長城郡)으로 비정하기 도 하였다. 그러나 이는 초서체 ‘사(沙)’ 자와 ‘일(日)’ 자의 자획이 유사함에서 비 롯한 오기(誤記)이고, 지명의 등장 시기와 군현의 위격 등을 고려할 때 「방등산가」 는 장사현과 관련된 노래인 것으로 보았다. 그와 같이 볼 때 「방등산가」의 배경은 견훤(甄萱)이 892년 무진주(武珍州)를 점령하고 북상하던 시기의 상황으로, 고창 지역이 견훤 세력에 맞서 항쟁하던 시기의 후반기에 지어진 노래로 이해할 수 있다. 이어서 「혜거국사비명」에서는 922년 선운사(禪雲寺)에서 선불장(選佛場)을 열 때 활동한 혜거국사(惠居國師) 지□(智□)의 모습이 보인다. 이는 장사현의 중심적 역할을 조금 더 북쪽으로 옮기는 등, 오월(吳越)과의 교통이 성립하여 있던 부안만 방면의 역할을 강화하려는 노력의 결과물이었을 것이다. 한편 기존에는 「혜거국사 비명」에서 경애왕(景哀王)이 지□를 초청한 데 혜거가 응하여 옮겨갔다고 보았지 만, 시대적 정황으로 보아 지□는 경애왕의 요청에 응하지 않고 929년까지 선운사 에 머물렀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지□를 머물게 하는 등 북쪽의 부안만 일대에 무게를 실으며 고창 지역을 안정 시키려 한 후백제 정권의 노력은, 이후 고려시대에도 지역 사회에 영향을 미친 것 으로 여겨진다. 고려 대 고창현(高敞縣)이 고부군(古阜郡) 산하로 넘어가고 고려 중 기 이후에는 고부군 산하 장덕현(章德縣)의 감무(監務)가 고창현을 겸임한 것은 그 러한 변화의 결과였을 것이다. I tried to reveal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Gochang(高敞) region in the Late Three Kingdom Epoch(後三國時代) by reviewing “The Song of Bangdeungsan” (方等山歌) and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of the Precious Light for the National Preceptor Hyegeo in the Galyangsa Temple at the Hwasan mountain of Suju Operational County(水州府 花山 葛陽寺 惠居國師 寶光塔碑銘). Comparing those two, the former seems to show the earlier situation. The song formerly used to be considered as one of the secular music(俗樂) of Baekje. Furthermore, ‘Jangil Prefecture(長日縣)’ in the background narrative of the song was guessed as Jangseong county(長城郡). However, the Chinese character ‘日’ looks similar to the character ‘沙’ in the form of cursive calligraphy, so we can guess that the original notation was ‘Jangsa Prefecture(長沙縣).’ Considering the time when the regional names appeared and the rank of the prefecture and county, this supposition gets more persuasive. Reviewing the song in light of this, this song shows the situation after 892, when Gyeonhwon(甄萱) advanced north after capturing Mujinju Province (武珍州) and Gochang region fought against his forces. After that, on the inscription of the Stele, we can find the activity of Ji□ the National Preceptor Hyegeo(惠居國師 智□) on the Buddhist Examination(選 佛場) in 922 at Seonunsa Temple(禪雲寺). This fact can be estimated as a result of the endeavor to connect Jangsa prefecture with regions around the Buan Gulf. Meanwhile, I disagree with the former research, which says that Ji□ moved to the Silla as a reaction to King Gyeongae(景哀王)’s request, considering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Therefore, I estimate that Ji□ remained in Seonunsa Temple from 922 to 929. The effort by the Later Beakje regime to reinforce the relationship among the regions around the Buan Gulf cast its shadow on the regional society even under the Goryeo dynasty: Gochang prefecture came to belong to Gobu County(古阜郡). Furthermore, Gammu(監務) of Jangdeok Prefecture(章德縣) under Gobu county also administrated Gochang prefecture concurrently after the Mid-Goryeo period.

      • KCI등재

        고압나트륨등 보광 온실의 열적 거동 및 엽온 분석

        윤승리(Seungri Yoon),김진현(Jin Hyun Kim),신민주(Minju Shin),김동필(Dongpil Kim),방지웅(Ji Wong Bang),정호정(Ho Jeong Jeong),안태인(Tae In Ah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2 No.1

        고압나트륨등(high-pressure sodium, HPS 램프)은 작물 생육 발달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광합성유효방사를 제공하는 동시에 복사열을 통해 온실 난방 부하를 절감할 수 있어 겨울철 시설원예 보광 조명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겨울철에 생육 중기를 맞이하는 시설 과채류의 경우, 작물의 정단부가 복사열에 영향을 많이 받고, 캐노피 위치에 따라 엽온 차이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온실 기온 역시 보광등에서 발생한 열이 상부로 상승 및 정체되면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 및 온도 불균일성 역시 심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CFD 열전달 해석을 통해 HPS 램프에 의한 열적 특성 및 생육 단계별 수평적 엽온 변화를 분석하고, 온실 내 수직적 기온 및 작물의 캐노피별 엽온을 측정하여, 온실 내 환경 균일성 제고 및 효과적 에너지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생육 초기, 중기, 및 후기를 대변하는 초장(1.0, 1.6, 2.2m)에서의 정단부 수평적 엽온을 CFD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HPS 램프 작동 이후 수직적 기온과 캐노피 높이별 엽온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보광 시 엽온과 기온 간의 차이가 커지고, 수직적 기온 역시 불균일해짐을 알 수 있었다. 생육 단계가 진전될수록, 고온의 복사열이 중심부에 집중되며, 상단부 수평적 엽온 편차가 커지고, 균일성 역시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열획득 모델을 통한 수치해석 결과, 보광등이 2022년 12월 기간 난방부하에 약 50.1% 기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균절대 오차 및 평균제곱근 오차는 생육 초기 및 생육 중기 모두 0.5 이하로, 실측값과 예측값에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수직적 기온 및 엽온 분포와 생육 단계별 수평적 엽온 분포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는 효율적 에너지 관리 및 작물 생육 발달에 관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High-pressure sodium (HPS) lamps have been widely used as a useful supplemental light source to emit sufficient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and provide a radiant heat, which contribute the heat requirement in greenhou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HPS lamp and thermal behavior in supplemented greenhouse,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horizontal leaf temperature of sweet pepper plants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simulation. We simulated horizontal leaf temperature on upper canopy according to three growth stage scenarios, which represented 1.0, 1.6, and 2.2 plant height, respectively. We also measured vertical leaf and air temperature accompanied by heat generation of HPS lamps. There was large leaf to air temperature differential due to non-uniformity in temperature. In our numerical calculation, thermal energy of HPS lamps contributed of 50.1% the total heat requirement on Dec. 2022. The CFD model was validated by comparing measured and simulated data at the same operating condition. Mean absolute error and root mean square error were below 0.5, which means the CFD simulation values were highly accurate. Our result about vertical leaf and air temperature can be used in decision making for efficient thermal energy management and crop growth.

      • KCI등재후보

        19세기 후반 결사단체의 불서(佛書) 편간(編刊) 배경

        서수정 ( Seo Su-jung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7 한국불교사연구 Vol.11 No.-

        19세기 후반 결사단체이자 불서의 간행처인 淨願社, 甘露社, 妙蓮社 불서를 중심으로 그 편간 배경을 살펴보면, 경기도 파주 고령산 普光寺의 淨願社에서 편간한 불서는 모두 정토신앙과 관련된 것이었다. 1870년에 『淸珠集』을 간행한 이후 11년이 지난 1881년 3월부터 1882년 4월까지 『佛說大阿彌陀經』, 『西舫彙征』, 『淨土紺珠』, 『願海西帆』을 간행하였다. 그리고 정원사 불서는 幻空 治兆·秋波 瑞璋·虛舟 德眞의 비구 승려들과 ?光居士 劉雲(1821~1884) 등의 거사들이 직접 편찬한 불서들이었다. 이처럼 정원사에서는 정토신앙과 염불수행에 적합한 불서를 직접 기획·편찬했으며, 이를 모아서 『원해서범』이라는 총서로 인행하고자 했다. 여기에 神貞王后를 비롯한 豊壤趙氏 가문 등의 후원을 비롯하여 보광사 승려와 정원사 결사에 참여한 거사들이 시주자로 동참하였다. 甘露社에서는 1882년 2월에 보광거사 유운이 지은 『甘露法會』를 시작으로 3월에 『蓮邦詩選』, 8월에 『圓覺經說誼』를 간행하였다. 이후 1년 뒤인 1883년 7월에 『法海寶筏』, 『金剛經正解』, 『般若心經註解』를 동시에 간행 하였다. 감로사에서는 주로 거사들이 중심이 되어 禪書류의 편간을 기획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정원사와 감로사 불서가 1870년부터 1881년까지 약 10년 동안은 편간되지 않았다. 이는 정원사와 감로사 불서를 주도했던 보광거사 유운 등의 거사들이 1872년에 법회를 통해 편찬하기 시작하여 1878년에 간행한 妙蓮社의 『濟衆甘露』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무엇보다 묘련사 결사에 참여한 거사들이 道敎의 三聖帝君을 신앙하는 無相檀侍士로 활동했던 점으로 보아, 묘련사의 『제중감로』와 감로사의 불서 간행이 무상단의 善書 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에서 19세기 후반에 나타난 정원사, 묘련사, 감로사 결사단체의 불서 편간은 이를 주도했던 보광거사 유운이 1884년 봄에 별세함으로써 점차 그 막을 내리게 되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compiling and publishing Buddhist texts by the Buddhist societies of Jeongwonsa (淨願社), Gamrosa (甘露社) and Myoryensa (妙蓮社)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lay Buddhist Bogwang Yu Un (?光居士 劉雲, 1821~1884) played a key role in the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Buddhist texts at these Buddhist societies. The Jeongwonsa Society, which had been organized together with monks and lay Buddhists in 1869 by Hwangong Chijo (幻空治兆) at Bogwangsa (普光寺) Temple, Yangju (楊州) county around Seoul, compiled and published Buddhist texts for their own needs regarding the Amitabha`s Pure Land faith with support of the royal family and lay Buddhists from 1870 until April 1882. The Gamro-sa Society, which had been organized only with Buddhist laymen in February 1882, began to publish their regulations written by Yu Un including a few texts. In July 1883, the Gamro-sa Society published Buddhist texts which were mostly related to Seon (禪) by contrast with the Amitabha`s Pure Land faith of the Jeongwonsa Society. In 1872 Yu Un participated in a new religious society only with laymen called the Myoryensa Society concentrating the invocation of the Buddha`s name. Over a period of seven years Yu Un and his Myoryensa members published the book Jejung Gamro (濟衆甘露) written by the revelation from God in 1878.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had a close relation to the religious participation in Musangdansisa (無相壇侍士) which was the Taoist group with the beliefs of Three holy gods (三聖帝君) i.e. Guanseong (關聖), Munchang (文昌) and Buwoo (孚佑). After his death of the year 1884, the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Buddhist texts by the Buddhist societies of Jeongwonsa, Myoryensa and Gamrosa was brought to an end.

      • KCI등재

        지눌의 이통현 화엄사상 수용과 변용 : 『원돈성불론』을 중심으로

        김천학(Kim, Cheonhak)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3 No.-

        지눌 연구성과 가운데 미진한 부분이 이통현과의 사상적 관계를 논한 연구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원돈성불론』을 중심으로 이통현 화엄사상의 수용과 변용 양상을 분석하고, 그 간의 지눌 사상 이해를 보충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지눌의 문제의식은 선교와 계합점을 찾는 것과 범부가 믿음에 들어가는 방법을 찾는 두 가지로 수렴된다.『원돈성불론』에서도 이와 같은 지눌의 문제의식을 읽을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고찰하는데 핵심어는 돈오와 점수가 될 것이다. 그리고 돈오와 점수를 화엄사상에서 찾는 다면 발심, 발심과 관련된 십신·십주의, 보광명지에 대한 지눌의 해석과 관련될 것이다. 지눌은이러한 개념들의 해석에서 이통현의 화엄사상을 거의 수용한다. 그렇다면 지눌의 이통현 화엄사상을 어떻게 자신의 사상체계에 수용했을까?발심에 관련된 용어는 발심, 초발심, 발보리심, 발신심, 초심등이 있다. 각 용어는 십신과 십주, 전체의 계위에 통하는 3가지 용례가 검토된다. 지눌의 발심에 관한 사용예는 이통현과 비교할 때 대체로 문제는 없으나, 이통현과 상위를 보이는 경우도있다. 십신과 십주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는 지눌 독자의 조어가 보이며, 지눌은 십신을 중시하는 반면에 이통현은 십신과 십주를 함께 중시하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위는 지눌이 종밀, 천태의 사상 등을 수용함으로써 빚어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통현에게 영향을 크게 받으면서도독자적 해석을 견지하는 지눌의 자세를 읽을 수 있다. 지눌이 연기론의 차원에서 원융론과 항포론을 논하는 반면에, 이통현은 항포에 대해서는 거의 무관심하다. 또한, 이통현에따른다면, 불과위는 십주위의 단계에서 비로소 성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눌은 이통현의 십주 단계의 설명을 십신 단계로 끌어들여 설명한다.지눌은『원돈성불론』에서 이통현이『화엄경』의 근기를 일승에 한정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현재 이 땅에 사는 중생들 모두에게 열어놓았다. 그만큼 지눌에게는 고려시대 불교 현실의문제가 절박했기 때문일 것이다. 보광명전은 현실의 땅이다. 지눌이 이통현과는 달리 부동지보다 보광명전을 즐겨 사용한 것도 현실의 중생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보인다 This article purpor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Jinul [知訥]'s adoption of Litongxuan [李通玄]'s Huayan Thought mainly in the W?ndons?ngbullon [圓頓成佛論]. Generally, Jinul's concern is divided into two, one being the search for the agreement with the teachings of S?n [禪] and the other being the search for the method of ordinary persons' entering faith. The W?ndons?ngbullon also shows such a concern, which could be ascertained in the comparison of Jinul's interpretation of Balsim [Faxin 發心], Sibsin [Shixin 十信], Sibju [Shizhu 十住], and Bogwangmy?ngji [普光明智] with Litongxuan's. Jinul adopts Litongxuan's Huayan thought, developing his own distinctive terms frequently. In addition, while Litongxuan emphasizes Shixin and Shizhu simultaneously, Jinul only emphasizes Sibsin [Shixin]. Such discrepancies are resulted from Jinul's adoption of some thoughts from Zongmi [宗密] and Tiantai [天台]. Thus we can understand Jinul's maintaining independent attitude of interpretation in spite of being influenced greatly by Litongxuan. According to Litongxuan, the Fuguowei [佛果位] cannot be achieved until the stage of Shizhuwei [十住位]. Nevertheless, Jinul introduces Litongxuan's explanation on the stage of Shizhu[十住] into the stage of Shixin [十信]. In addition, while Litongxuan limits the capacity for the Avatamsaka sutra into the Ekayana [一乘], Jinul opens it into every sentient being on the earth. For Jinul, the reality of Korean Buddhism at his time seems to have been pressing. Bogwangmy?ngj?n [普光明殿] is our real world. Unlike Litongxuan, Jinul likes to refer to Bogwangmy?ngj?n more than Budongji [不動地] from his concern for the real sentient beings near him. From now on, Jinul's attitude in citing Litongxuan's works throughout his oeuvre need to be analyzed more thoroughly. Besides, more advanced understanding of Jinul requires more profound research into the Kory? dynasty's Huayan studies in his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