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워드 교육모형의 체육과 적용 가능성 탐색

        김영식(Kim Young sik),박대권(Park Dae g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백워드 교육과정 모형의 체육과에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 는 것이었다. 백워드 교육과정의 특징과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체육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네 가지 범주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6학년의 ‘배드민턴형 게임’ 단원을 대 상으로 백워드 적용 설계안을 작성하였다. 체육과 교육과정과 백워드 교육모형의 관 련성에 대해 네 가지 범주에서 탐색해 본 결과, 첫째, 체육과 교육과정과 백워드 교 육모형은 교육이 단순한 지식 전수가 아닌 학생들의 이해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는데 그 맥락을 같이 하고 있었다. 둘째, 백워드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 있는 공동체 의 규범과 양식에 대한 이해는 체육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 있는 ‘스포츠 정신과 공 동체 의식’이라는 덕목과 그 맥을 같이 하고 있었다. 셋째, 백 워드 교육과정은 개별 화 수업을 가능하게 하여 학습계획의 실행과 평가 등의 책임을 지는 자기 주도성을 진작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개정 체육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개인차를 고려 한 수준별 교수학습’을 위한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 넷째, 백워드 교육과정에서 요 구하고 있는 구체적인 평가계획과 다양한 평가 도구는 체육교과의 평가 개선에도 그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배드민턴형 게임’에 대한 백워드 설계는 추후 백워드 교육과정에 대한 실행 연구를 위한 참고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evances between the backward curriculum model and physical education, and to make a sample lesson plan for the backward curriculum-applied P․E classe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eatures and structures of the backward curriculum were surveyed, then the relations of the four categories were analysed. First, the backward curriculum model and physical education are combined so that educational goals are fulfilled through the process of student\ s understanding not simple knowledge-transferring. Second, the link of community\ s norms and life-style in the backward curriculum and sportsmanship and community spirit in P․E are explored. Third, the backward curriculum facilitates individualized instruction which makes students take responsibilities in practicing and evaluating their own lesson plan. This can be a good model for P․E. Fourth, the specific evaluation plan and various evaluation tools are emphasized in the backward curriculum give some implications to P․E. The sample design for badminton type games can be a reference for the field studies about the backward curriculum-applied P․E classes.

      • KCI등재후보

        백워드 설계 기반 초등학교 국어과 단원 개발 사례 연구: 문화 향유 역량을 중심으로

        이미정,이동성 교육종합연구원 2021 교육종합연구 Vol.1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역량과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국어과에서의 문화 향유 역량 함양을 위한 단원 개발의 과정과 결과를 예시하는 데 있다.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역량 및 백워드 설계 기반 교육과정(단원)을 개발하기 위해 문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즉,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백워드 설계 기반 교육과정 개발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결합함으로써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기반한 백워드 설계를 통합하였다. 둘째, 이 연구는 문화 향유 역량 증진을 위한 단원을 개발하기 위해 백워드 설계의 필요성과 역량중심 교육 요소를 도출하여 연결하였다. 셋째, 이 연구는 역량 및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반한 단원 개발의 결과와 적용상의 유의점을 도출하였다. 특히, 역량 및 백워드 설계의 통합을 기반으로 백워드 설계의 템플릿을 변형하여 단원 개발의 과정과 결과를 3단계로 예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실현하고,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과 전문성을 신장하는 데 경험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의 백워드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현장 지원 방안 탐색

        백혜조 ( Hei Jo Baik ),임혜진 ( Hye Jin Lim ),홍후조 ( Hoo Jo H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1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모형은 Wiggins와 McTighe가 구안한 것으로 성취기준 중심의 교육 개혁 운동에서 비롯되었으며 교사들이 수업을 하기 전 단원의 기반이 되는 빅 아이디어와 핵심질문들을 뽑아내고 수행과제를 개발해 이에 맞는 학습활동을 이끌어 가는 설계 모형이다. 이러한 백워드 교육과정은 교육내용-평가-학습활동 간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이해’를 도모할 수 있어 우리 교육 현장에 시사점을 주고 있다.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영역 수업 설계에 참여, 관찰하며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모형이 교육 현장에 적용될 때 생기는 문제점과 그 원인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백워드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현장 지원 방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교과교육과정기준 제시 방식의 변화, 교육과정 컨설팅 및 지역청 단위의 연수 지원, 수행과제 방식의 훈련 및 차별화 수업 실시, 평가에 대한 인식 전환 및 평가 기준 마련이라는 현장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모형이 개별 교과를 넘어 전체 교과간 교육과정의 균형을 유지하는 큰 틀로 작용해야 한다는 점과교과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교사들의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Having been devised by Wiggins and McTighe, the design model of Backward curriculum was originated from education reform movement with achievement criteria as center. The model is as follows; prior to starting classes, teachers pick out big ideas and core questions which are bases of all the units and then, they develop tasks to perform in order to initiate learning activities. Such Backward curriculum is able to maintain consistency between educational contents-evaluation -learning activities and also able to promote students` ``understanding`` so that it gives some implications to our education field. This study started from recognitio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Backward curriculum to settle down on our education field only through efforts of several teachers or schools. Therefore, the researcher attended and observed a plan of history realm class of social affairs division; the researcher also looked into problems and the causes arising from application of the design model of Backward curriculum to education field; and, on the basis of this, the researcher searched field support measures. As a result, the researcher proposed such field support measures as change in curriculum suggestion method, support of curriculum consulting and training as per regional education office, execution of training and differentiated classes based on tasks to be performed, change of perception on evaluation and preparation of evaluation criteria. The researcher also pointed out that the design model of Backward curriculum should be maintained as a big frame for curriculum balance and then, suggested tha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utilize specialty of teachers.

      • KCI등재후보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실과 농업 단원의 구조화 연구

        고인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실과 농업 단원을 학생의 이해 중심으로 구조화 하는 것이었다. 여기에서의 이해란 단순히 지식을 암기 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수업의 맥락 속에서 파악하고 다른 상황 속에서 적용하여 새로운 산출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백워드 설계 모형에서는 기대결과 확인, 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 학습 경험 계획이라는 단계적 내용 구성을 통해 이런 이해 중심 구조화를 실현하고 있다. 최근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이런 이해 중심의 설계가 지식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도모 하여 생활 속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 지식을 학습한다는 측면에서 각광 받고 있는 추세이다. 실과에서 농업 교육 역시 학생이 재배 사육 기능이나 지속가능한 태도를 우리 삶의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배운 지식을 생활 속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실과 농업 단원 내용을 학생의 이해 중심으로 구조화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기대 되는 효과는 3가지이다. 첫째,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교육과정 구조화를 통해 실과 농업 단원에서 학생의 이해 중심 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실과 농업 단원 평가에 있어 학생의 이해 중심을 목적으로 과정 속에서 평가 하는 과정 중심의 평가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개발에 있어 교과서 단원 구성의 새로운 전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ructure the agricultural unit of practical arts to understand oriented elementary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understand in this study is not just memorize knowledge, understanding knowledge in the context of the lesson and to apply in other circumstances would produce a new product. The understanding-oriented structured configuration was realized through a phase information called ‘confirmation expected results’, ‘acceptable evidence determination’, ‘learning experience Plan’. Recent trends in curriculum development is to learn the practical knowledge that can be immediately applied in everyday life by Promote understanding and context. The purpose of the agricultural unit in practical education is understanding knowledge in the context of life and it is ito practical application in daily life. In this study the agricultural unit of practical arts to understand oriented elementary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 Effects expected from this study is three. First, through a curriculum structured to apply a backward design model it will be able to conduct understand oriented education in agriculture unit of practical arts. Second, one can present a core process evaluation method to conduct understand oriented education in agriculture unit of practical art. Third, it will be able to present a new type of textbook unit configuration in 2015 revised curriculum textbooks development.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백워드 설계 경험의 내러티브에 관한 사례 연구

        이윤복(Yun-Bok Lee),전호재(Ho-Jae Jeon)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2

        학교 교육과정의 전문가로서 교사들은 수업시간에 학생들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노력을 한다. 그래서 학생들의 완전한 이해를 추구하는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한 방식인 백워드 설계는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직 교사들의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과정에 대한 분석과 그 경험 내러티브를 이해함으로써, 현직 교사들의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 능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탐구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8주 동안 백워드 설계에 관한 연수를 실시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여 교육과정의 전문가들과 심층적인 분석을 하였다. 우선 초등학교 교사 5명과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식 중에서 백워드 설계를 통해서 여러 교과의 교육과정을 구성, 그 경험들을 이야기하도록 하였으며, 둘째, 그 과정에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현직 교사들의 백워드 설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기술하고 유목화를 통해 의미를 구성해내면 앞으로의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이를 통해 현직 교사들에게 백워드 설계 과정의 절차를 명확히 제시할 수 있었으며, 각 단계별로 발생하는 설계상의 오류도 점검하고 수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현직 교사들의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experts in the curriculum, teachers seek a full understanding of students learning in class. Backward design, a method of understanding-oriented curriculum design that seeks full understanding of students, has recently received a lot of atten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design of backward curriculum of current teachers. Describing teachers backward design experiences will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design. So, for eight weeks, we conducted training on backward desig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 the process, we collected various cases and analyzed them in-depth with experts in the curriculum. Through this, the current teacher s backward design procedure is clearly presen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way to improve the ability of current teachers to design a backward curriculum.

      • KCI등재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교과의 교수설계에 관한 연구

        이영호,구덕회 한국정보교육학회 2015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의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단원의 교수학습계획을 개발함으로써, 백워드 설계 모형이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Wiggins와 McTighe의 백워드 설계 탬플릿에 기초하여,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단원의 교수설계를 개발하였다. 첫째, 교육부에서 제시한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운영 지침에 제시되어 있는 목표, 내용체계표, 성취기준, 단원목표 등을 확인함으로써,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단원에 대한 영속적 이해, 포괄적이고 본질적인 질문, 핵심 지식과 핵심 기능을 도출하였다. 둘째, GRASPS 기법을 활용하여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단원의 수행 과제와 총체적인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셋째,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단원을 효과적으로 수업하기 위하여, WHERETO 요소의 14개 활동으로 구성된 7차시 수업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백워드 설계 모형을 이용한 교육과정 구성이 소프트웨어 교육에 미치는 효용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백워드 설계 모형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단원 및 수업 설계 개선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rived implications at software curriculum development utilizing the backward design model. In this study, we developed ‘Algorithms and Programming’ unit teaching plan based on backward design template. First, we have derived enduring understandings, essential questions, specific knowledge and skill on ‘Algorithms and Programming’ unit by considering the goal, content, achievement standard of Software education operating instructions. Second, we developed authentic tasks using GRASPS technic and holistic scoring rubrics. Third, we developed 7 lesson 14 WHERETO element for effective teaching in ‘Algorithms and Programming’ unit. Fourth, we investigat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ment unit based on backward design. Backward design could be useful of developing curriculum unit and lesson plan at software education.

      • KCI등재

        백워드 교육과정 적용 체조수업이 예비교사들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남석희(Nam, Suk-Hee) 한국체육교육학회 2015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백워드 교육과정을 적용한 체조 수업을 통해 백워드 교육과정과 예비교사들의 학습태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백워드 교육과정 적용 체조 강의를 수강한 D 교육대학교 1학년 두 개과 학생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은 백워드 교육과정을 적용한 강의를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 기능 중심 체조 수업을 실시하였다. 첫째, 백워드 교육과정 적용 체조 강의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학습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통제집단의 학습태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실험집단의 경우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학습태도가 많이 향상되었지만, 통제집단의 경우 여학생들의 학습태도의 하위범주 중 학습활동 참여 태도와 평가결과 수용태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백워드 교육과정 적용 체조 강의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습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백워드 교육과정 적용 체조 강의에 참여한 남학생들은 일반 기능 중심의 체조 강의에 참여한 남학생들보다 학습태도가 높았지만, 여학생들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백워드 교육과정 적용 체조 수업은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backward curriculum adapted gym class on preliminary students" learning attitude.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two subjects students of D univers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took backward curriculum adapted gym class and controlled group took skill centered gym class. They all participated their classes for one semes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the learning attitude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but the learning attitude of controlled group didn"t have any difference. Second, male and femal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ttitude but only female students of controlled group had significant improvement in learning activity participant attitude and test result acceptance attitude. Third, the attitude of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led group. Fourth, the attitude of mal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led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emale students of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Conclusion: So,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backward curriculum adapted gym class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learning attitude.

      • KCI등재

        백워드 기반의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이 대학교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 탐구

        김필성(Kim, Pil-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에서는 Wiggins와 McTighe가 「School by Design」에서 제시한 백워드 기반의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이 설계가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해보려고 한다. 우리나라 대학교는 2008년부터 교육부의 주도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급속히 도입해왔다. 그러나 최근 교육부는 대학 재정지원사업의 방향을 대학의 자율성 강화에 두고 있음에 따라 우리나라 대학교는 학교가 중심이 되어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나라 대학교는 효과적인 학습자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내실화하는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백워드 기반 학교 교육과정 설계가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첫째, 학습자 역량강화의 목표를 구체화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거꾸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문 및 교과목에서 추구하는 학습자 역량강화 목표를 명확히 이해하고 핵심적인 이해와 수행 과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목의 핵심적인 이해 및 수행목표를 기준으로 교육과정 매핑을 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습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나선형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습 원칙에 근거하여 교수학습을 고려하고 촉진자와 코치로서 교수자의 임무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학습자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sign method of backward-based school curriculum proposed in 「School by Design」 by Wiggins and McTighe(2007), and looks into implications for Korean universities to develop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at enhances learning capacity effectively. Since 2008, Korean universities have rapidly introduc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Recently, however,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in the direction of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jects. Therefore, Korean universities now have to develop school-based curriculum. At this point, they need to discuss ways to review and strengthen the curriculum to effectively enhance learners’ competency. The design of a backward-based school curriculum that emphasizes the desired results may gi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to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at emphasizes the result of strengthening learners’ competence.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rriculum backwards to materialize the goal of strengthening learner competence and to achieve it effectively. Second, it needs to clearly understand the goal of strengthening learner competency pursued in study and curriculum and to develop core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tasks. Third, it is necessary to map the curriculum based on the core understanding of subjects and implementation goals. Fourth, it needs to construct a curriculum in a spiral form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learners. Fif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eaching and learning on the basis of learning principles for strengthening learner competence and to present the task of teachers as facilitators and coaches. Sixth,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support the difficulties that arise in the course of education for strengthening learner competence.

      • KCI등재

        비대면(Untact) 시대 백워드 설계 기반의 대학 교양 교육과정 운영 모형 개발 연구: A대학을 중심으로

        이형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으로 가속화된 언택트 시대에 대학 교양 교육과정 운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여 현장에서의 혼란을 줄이고, 궁극적으로 선택적인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A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에서 함양해야 하는 역량을 살펴보고,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이론과 그 통합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기 백워드 설계 기반의 교양 교육과정 운영 모형을 도출하여 총 2차례의 관련 전문가 검토와 사용성 평가를통하여 수정보완을 거쳐 최종 모형을 도출하였다. 결과 그 결과 언택트 시대의 백워드 설계 기반의 교양 교육과정 운영 모형은 개념모형과 상세모형으로 구분하여 도출되었다. 개념모형은 교양교육의 목적과 목표 및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단계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상세모형은 백워드 설계 기반의 교양 교육과정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함의하며, 필수교양과 일반교양으로 구분하여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 그리고 두 수업방식과 이러닝을절충한 하이브리드 수업의 활용을 제안한다. 이 모든 과정은 교육과정 운영 절차에 따라 교육과정 설계, 운영, 평가, 환류 체계에서이루어지며, A대학의 교과목 개선과 교육과정 개선 체계를 통하여 환류가 이루어짐을 반영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언택트라는 흐름을 반영하여 교양 교육과정 운영 모형 개발을 통하여 대학 현장에서의 혼란을 줄이고 선택적인 수업방법의 폭을 넓혀 다양한 수업 방식을 가능하도록 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이해 중심의 수업 혁신을 위한 백워드 설계와 IB 교육과정의 통합 방안 탐구

        김수영(Kim, Su-Yeong),이지은(Yi, Ji-Eu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백워드 설계와 IB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통합 방안을 제안하고,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이해 중심의 수업을 위한 지리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설계 및 실행상의 유의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사례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백워드 설계와 IB 교육과정의 지향점 및 특징, 템플릿의 구조를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그 후, 사례 개발 연구를 통해 백워드 설계와 IB 교육과정을 통합하여 지리과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백워드 설계와 IB 교육과정은 구성주의라는 기저 이론을 토대로 개념 중심, 탐구 중심, 학습자 참여 중심 교육과정을 공통적으로 지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이론의 템플릿 구조를 분석하여 각 단계가 작동하는 교육과정의 시간적 축의 차이와 공통되는 속성을 밝혀 통합 템플릿을 구안하였다. 결론: 백워드 설계와 IB 교육과정은 이해를 통해 전이를 추구한다는 본질적인 측면이 유사함으로 통합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만, 두 이론을 통합할 때는 물리적인 접근을 넘어 상호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을 때 교육과정 개발뿐만 아니라 실행의 과정에서 유용하게 작용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proposes an integrated plan by analyzing the Backward Design and the IB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eography curriculum for understanding-based classes and to suggest design and implementation significance based on the results. Method: 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development research were conducted. The background design, the ori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B curriculum, and the structure of the template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they reveale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en, through case study, the curriculum of geography was developed by integrating the Backward Design and the IB curriculum. Results: Backward Design and IB curriculum were based on the underlying theory of constructivism. It is aimed at the concept-centered, inquiry-centered,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common. Also, we analyzed the template structure of the two theories. The integrated template was devised by analyzing the template structure of the two theories and revealing the difference in the temporal axis of the curriculum where each step works and the common attribute. Conclusion: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was confirmed by the similarity of the essential aspect of the Backward Design and the IB curriculum pursuing transition through understanding. However, when integrating the two theories, it must go beyond a mechanical approach. It will be useful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when it can be used flexib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