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미디어 시대 독일의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연구 : 미디어 능력 촉진 프로젝트 분석을 중심으로

        박주연 한독사회과학회 2016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6 No.1

        스마트 미디어의 일상화로 인하여 새로운 미디어를 이해하고 참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는 중요해지고 있다. 독일은 미디어 리터러시를 실천해온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기존의 미디어 리터러시 경험을 다른 매체에 확장하며 보완하고 있다. 독일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 개념은‘미디어 능력(Medienkompetenz)’을 촉진하는 개념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확장되고 있는 독일의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을 논의하고, 미디어 리터러시 제고를 위해 독일 주 지방미디어청들이 진행하고 있는 미디어 능력 프로젝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독일 미디어청연합(die medienanstalten) 과 14개 주미디어청이 발간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연감 및 보고서, 개별 리터러시 프로젝트 홈페이지 그리고 독일 미디어센터들의 발간 연감 및 보고서 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젝트의 내용 검토를 기반으로 독일의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의 특징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특히 어린이 및 청소년을 위해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의 시사점을 제고하였다. Media literacy in Germany is characterized by the concept of“media competence”and is combined with all kinds of specific media related activities. Based on this competence, the 14 media authorities in the 16 regional states in Germany have taken responsibility in media literacy. Therefore the media authorities belong to the most relevant players in the field of media literacy. Each authority has developed quite a lot of projects, targeted at children, parents, kindergartens, schools/teachers, as well as at young people.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media literacy policy in German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d the annual reports and web-sites of diverse cooperative projects of regional media authorities. The meaning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lue for the discussion of media literacy and media competence policy in the era of smart media, and further to raise the necessity of media literacy policy through the German examples.

      • KCI등재

        현대 예배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방안 연구

        유재원(YOO Jae-Weo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3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본격적인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SNS를 통해 무책임하게 전파되는 소위 가짜 뉴스로 인해 자살까지 하는 역기능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하면서였다. 그러던 중에 2020년 1월 말 중국 우한에서 발생하여 우리나라에까지 휩쓸어 버린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라는 광풍을 만나 올바른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미디어를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이라는 뜻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오히려 사람들의 팬데믹을 악용한 가짜 뉴스에 의해 역기능을 담당했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예배 중단’이라는 전대미문의 사태를 맞이한 한국 교회의 상황을 보면서 실제적인 대처 방안을 어떻게 기초부터 세워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필요성을 절실히 체감하게 되었다. 부활주일을 기점으로 대면 예배를 드리기 시작한 교회가 늘어났지만 문제는 생각만큼 참석하는 교인의 숫자가 회복되지 않고 있다. 장기화되고 있는 온라인 예배의 편리함을 경험한 교인들의 수동적인 태도에도 원인이 있겠지만, 그 보다는 어떤 형태로든 아직도 코로나 바이러스-19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조장하는 잘못된 정보의 영향력과 특별히 교회를 표적화하는 듯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필자의 합리적인 의심하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아울러 현재 일어난 현상에 대한 상호주관적인 경험에 주목하여 시작한 연구이므로 현상학적 접근 방법과 문헌 중심의 조사방법론을 병행하면서 필요한 부분을 정리하거나 인용하여 직접 기술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했다. 본 논문은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기본 이해를 위하여 정의를 시작으로 간략한 이론 소개와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예배신학적 성찰을 언급한다. 다음으로 비판적 성찰 관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와 현대 예배의 관계를 살펴 보고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비판적 성찰 이론의 발전과 함께 현대 예배에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미디어 리터러시의 통합적 기능을 바탕으로 어떻게 미래의 예배를 준비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Full attention came to be paid to media literacy due to the experience of a dysfunction of so-called fake news spread irresponsibly through SNS, thereby even incurring suicide. In addition, the gale of COVID-19, which occurred in Wuhan, China in late January 2020 and swept through Korea, led us to concretely recognize the necessity of study on appropriate media literacy concretely. It is because media literacy, referring to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media, has played a role of dysfunction through fake news making ill use of the COVID-19 pandemic. The unprecedented situation of ‘worship suspension’ in the Korean churches made us urgently realize the necessity of how to establish practical measures from the bottom up. An increasing number of churches started to offer off-line worship from Easter Sunday, but the problem is that the number of attending church members is not recovered yet. It is partly because of the passive attitude of church members who have experienced the convenience of prolonged online worship, but it is more fundamentally because of the influence of fake news which still promotes anxiety and fear toward COVID-19 and seemingly targets churches specifically. Thus, this study makes it as a starting point to put media literacy on reasonable doubt. In addition, this study, focusing on intersubjective experience of current phenomena, not only primarily uses bot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a literature-based research methodology, but also mainly uses a descriptive method which summarizes, quotes, or directly describes what is necessary.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begins with introducing the definition and theory of media literacy briefly, and then attempts to provide a worship theological reflection on it. Nex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literacy and contemporary worship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reflection, and the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 theory of critical reflection on it, intends to suggest how to use it in contemporary worship. Finally, this study ends with a conclusion to suggest how to prepare for future worship based on the integrative function of media literacy.

      • KCI등재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역량과 교육내용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박주현 한국정보관리학회 2020 정보관리학회지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edia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UNESCO’s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and AASL’s key competencies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UNESCO’s MIL and AASL’s key competencies in media information literacy were related to th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cond, UNESCO’s MIL included more aspects of the composition and competencies of information literacy than media literacy. For this reason, it could be said that media information literacy more appropriately reflects the content pursued by media literacy education than media literacy. Third, UNESCO’s MIL included more training content for media literacy than information literacy. Fourth, the contents of media literacy were found to be insufficient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compared to the education cont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Fifth, the competency standards related to media information literacy and Libraries and Information Life did not present cultural sensitivity compet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dia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that fuses the contents of media literacy beyond the information literacy that use library resources. 본 연구의 목적은 UNESCO의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MIL)의 역량과 교육내용, AASL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핵심역량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과 도서관과 정보생활의 교육내용과 비교하고 분석하여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정보와 시사점을 획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첫째, UNESCO의 MIL과 AASL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역량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과 연관성이 있었다. 둘째, UNESCO의 MIL은 미디어 리터러시보다 정보 리터러시의 구성 요인과 역량을 많이 반영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가 미디어 리터러시보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추구하는 내용을 보다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 용어라 할 수 있었다. 셋째, UNESCO의 MIL은 정보 리터러시보다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내용을 보다 많이 반영하였다. 넷째,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은 도서관과 정보 리터러시 교육내용을 담아내고 있는 것에 비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내용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관련 역량들과 도서관과 정보생활은 문화적 감수성 역량을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자원을 활용하는 정보 리터러시의 역량을 넘어 미디어 리터러시의 내용을 융합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학습장애 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장윤재,김소희 한국학습장애학회 2017 학습장애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future research on media literacy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world of digital media technology which is constantly evolving and now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life of these students. First, critical concepts of media literacy,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students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were reviewed. Then, Based on the notions of mutimodal literacy, multiliteracy, and multiple literacy,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proposed in terms of access, understanding, and creating media content. 본고는 미디어 리터러시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관련 논의를 소개하고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학습장애 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해 어떠한 연구가 필요한지를 제시하고자 하는 시론적 성격의 논문이다. 이를 위해 먼저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해 이루어져온 주요 논의를 소개하고, 멀티모덜 리터러시(multimodal literacy), 멀티리터러시(multiliteracies), 다중리터러시(multiple literacy)의 맥락에서 학습장애 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해 검토가 필요한 연구 주제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문자언어 이외의 양식에서 나타나는 학습장애 학생의 리터러시에 대한 탐색, 학습장애 학생의 미디어 이용 맥락에 대한 이해, 학습장애 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하위 영역에서의 역량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접근, 이해, 참여라는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과 관련하여 이루어져야 할 연구의 방향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중·고 학생의 미디어 이용 양상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변숙자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media culture that students experience outside of school and the media literacy that they experience in school to reveal the realization of school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to derive certain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 directions. This Studies have shown that students tend to rely on digital media in their daily lives, using a lot of digital-based New Media such as online video platform and social media. There was a low perception of experiencing media literacy education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was experienced mainly in information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Ethical use education of media was the most active, and the education on the reliability of media information and data production using media were the least sufficient, but the educational demand for the reliability of media information was the strongest.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atization of school media literacy education requires education reflecting students' media culture, hierarchy by school level, accurate diagnosis and verification of media literacy capabilities, and integrated media literacy education.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경험하는 미디어 문화와 학교 안에서 교육적으로경험하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조사 분석하여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현태를밝히고,앞으로의 교육 방향성에 관한 일정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학생들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소셜미디어 등 디지털 미디어(Digital Media)에 관한 사용 빈도와 의존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학교 교육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경험한다는 인식은 낮았으며,정보와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미디어의 윤리적 사용 교육이 가장활발하였고,미디어를 활용한 자료생산과 미디어 정보의 신뢰성 판별 교육은 가장 미흡하였으나,미디어 정보의 신뢰성 판별에 대한 교육적 요구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정보 찾기 역량에 관한 인식은 높은 반면,미디어를 활용한 자료 생산과 공유 역량은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체계화를 위해서는학생들의 미디어 문화를 반영한 교육,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의 학교급별,교과별 위계화,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관한 정확한 진단과 확인,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천에 관한 성찰,국어교육을 비롯한 교과 간 통합적 미디어 리터러시교육과정 설계와 구체적 실현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지역별 국가별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차이 및 요인 분석 : 유럽, 영미권, 아시아 지역 37개국 법, 정책, 교육과정, 교육 참여 주체 유무 비교

        김영은,정세훈 한국언론학회 2023 한국언론학보 Vol.67 No.6

        정보의 사실 여부를 판별하는 능력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해당한다. 미디어와 미디어가 생산하는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능력인 미디어 리터러시는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필수 역량으로 꼽힌다. 상대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역사가 길고, 체계가 잡힌 몇 개국(영국, 프랑스, 핀란드, 캐나다 등)의 모범 사례는 국내에 여러 차례 소개된 바 있으나, 국가별로 미디어 리터러시 제도나 교육 환경이 어떻게 다르고,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양적으로 살핀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별, 국가별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차이가 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한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더 필요한지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럽, 영미권, 아시아 등 3개 지역의 국가별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법, 정책, 교육과정과 교육 참여 주체 유무를 비교 분석해, 2021년 5월 OECD가 2018년 PISA 조사 결과를 토대로 발표한 <21세기 독자: 디지털 세상에서의 문해력 개발> 보고서의 ‘사실과 의견 구별 능력’ 점수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봤다. 조사 대상으로 삼은 37개국은 EU, OECD, UNESCO의 각종 보고서와 국내외 연구 및 보고서, 국가별 제공되는 영문 자료가 충실한 나라를 중심으로 선정했다. 우선, 유럽, 영미, 아시아 등 지역별 차이는 정책과 주도기관 유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OECD의 ‘사실과 의견 구별 능력’ 점수에 기반해 국가별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정책을 갖추고, 미디어 리터러시를 주도하는 기관이 존재하는 것이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책적 기본 틀과 방향성을 세우는 것과 함께 그 제도를 실제로 실현하고 주도하는 기관의 존재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OECD 회원국 중 ‘사실과 의견 구별 능력’ 최하위를 기록한 한국에 특히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은 다양한 부처와 기관이 개별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및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주도하고 있으나 종합적이고 일관된 정책이 부재하고, 이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기관도 존재하지 않는다. 2022 개정 교육과정(2024년부터 적용)에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포함하는 등 제도적 근간을 마련하는 데 일부 성과를 거뒀으나, 정책적 토대를 갖추고,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주도해 나가는 것이 더욱 요구된다. Media literacy refers to the ability to critically analyze and engage with media and includes the ability to distinguish fact and fiction. Media literacy is considered an essential skill for the 21st century. There are some countries with a relatively long and well-established history of media literacy education (e.g., the United Kingdom, France, Finland, and Canada), yet there is little empirical research that examines how media literacy system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differ across countries and how these cross-national differences affect media literacy competenci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media literacy competencies vary by region and country, and what further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media literacy competencies in Korea. This research first examines the presence of media literacy laws, policies, curriculum, and education actors in European, Anglo-American, and Asian countries. Next, we analyzed how these components affected media literacy competencies based on the "ability to distinguish opinion from facts" score from the OECD report, “21st-Century Readers: Developing Literacy Skills in a Digital World” whose data was based on the 2018 PISA survey results. This research analyzed data from 37 countries, and these countr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availability of English-language resources in EU, OECD, and UNESCO studies and reports. We quantitativel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media literacy across countries to see which of the factors actually act as positive ones. First, we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sence of policies and a leading organization for media literacy across regions, and that the presence of policies and a leading organ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edia literacy competencies. The influence of the presence of media literacy law, curriculum, and education actors including nationwide events and media industr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 that media literacy competencies could be affected by the existence of policies as well as the existence of institutions that actually implement and lead the system. This is particularly relevant for South Korea, which ranked one of the lowest among OECD countries in terms of media literacy competencies. In South Korea, various Ministries and agencies implement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capacity-building programs, but the country lacks comprehensive and coherent policies and a leading agency. While there has been some success in laying the institutional groundwork, such as the inclusion of media literacy competencie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o be applied from 2024), there is a need for policies as well as a systematic leading organizatio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초.중.고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수행 양상 및 인식 분석

        변숙자(Byeon Sook-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초⋅중⋅고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인식과 실행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 전 지역의 초⋅중⋅고 교사 579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행 양상과 전반적 인식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교차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초⋅중⋅고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실행과 역량 인식은 미디어의 윤리적 사용 영역이 가장 높았다. 반면, 미디어를 활용한 자료생산과 미디어의 정보판별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학교급별로는 초>중>고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가장 적합한 과목은 정보 교과로 인식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학교의 디지털 교육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미디어교육센터의 역할로는 장비⋅시설 대여, 교수⋅학습 자료 개발⋅보급, 역량 강화 연수 등 연구, 연수, 커뮤니티의 중층적 역할을 기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다각적 지원이 필요하며,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교육환경 개선 및 지원 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성취기준이 가장 많이 제시된 국어 교육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함을 시사하는 바, 국어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제고는 물론, 미디어 리터러시를 교과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총체적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on media literacy educa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7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3 to July 3, 2020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test.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erm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practice and competency recogni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e ethical use of media education area was the highest. It was the lowest in terms of data production using media and information discrimination education area of media.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hool levels in the order of ‘elementary school > middle school > high school’. The most suitable subject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was recognized as an information subject. The recognition of the improvement of the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 in schools was the highest. The role of the school media education center was expected to play a role in research, training, and community as a supporting institution for school media literacy educ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e problem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which has the most media literacy-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annot be activated in the school field.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헌법적 의의와 법제화 방안에 대한 소고

        김슬기 (사)한국언론법학회 2023 언론과 법 Vol.22 No.1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recognized the need for equal and free participation in the online space as they have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physical isolation caused by blockade policies. Subsequently, with the rapid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across the economy and society, strengthening citizens' digital and media literacy capabilities has become the top priority policy task.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is being used interchangeably with digital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news literacy, internet literacy, AI literacy, etc.,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m are unclear, leading to confusion. Media literacy is a broad concept that encompasses literacy capabilities in digital technologies, as well as information and content provided through media. It is considered valid to view media literacy as a broad concept that includes all of these capabilities. Media education can be defined as “media education that aims to develop the capabilities and attitudes necessary to access, understand, utilize, communicate safely and ethically with media and the contents (information and content) circulated through media.” Examining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one of the basic rights most closely related to media literacy is the right to information. Access to media is a concrete foundation for realizing personality rights, freedom of expression, political and economic basic rights, and the right to education in specific areas of life. Guaranteeing access to media alone for access to information, information collection, processing, information disparity resolution, and enjoyment of information culture rights is not effective. Therefore, the state needs to actively support capacity-building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the necessary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education. In addition, To obtain quality information required in a digital media environment filled with exaggeration, explicit distortions, and fake news, one needs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media, the ability to verify the source of the information, and the ability to judge the credibility of the information based on evidence. Therefore, media literacy education should aim to cultivate these abilities in individuals. It is believe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requires the relevant media department to establish educational and support policies in order to quickly reflect media technology and industry environments, policy issues, etc. into the educational content. When enacting the “Media Education Support Ac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following contents: ① the definition and purpose of media education, ② the duties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③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guardians, ④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media education plan, ⑤ the operation of a media education committee and local unit consultative council, ⑥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institutions, ⑦ the designation and operation of local media education facilities, ⑧ the basis and role of support for media education in schools, ⑨ the basis and role of support for lifelong media education, and ⑩ the operation of a professional instructor training and qualification system. 세계 주요국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봉쇄정책으로 인한 물리적 단절 속에서 온라인 영역에의 동등하고 자유로운 참여 보장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이후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디지털 기술이 급속하게 도입되는 것을 목도하면서 시민들의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최우선 정책 과제로 두게 되었다.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은 디지털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뉴스 리터러시, 인터넷 리터러시, AI 리터러시 등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경계가 불분명하여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지금까지 발의된 미디어교육 관련 법안을 살펴보면,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은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을 넘어 접근, 소통, 참여능력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고, 이후 미디어 역기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보호능력 및 미디어 생태계의 구성원으로서 시민의식까지 포괄하는 매우 광범위한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를 통해 제공되는 내용으로서의 정보와 미디어가 제공되는 기술방식인 디지털에 대한 리터러시 역량 등을 모두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지며, 미디어교육은 “미디어와 미디어를 통해 유통되는 콘텐츠(정보 및 내용물)에 자유롭게 접근하여 올바르게 이해하고,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활용・소통하는데 필요한 역량과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으로 정의 가능하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헌법적 의의를 살펴보면, 미디어 리터러시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기본권 중 하나는 정보기본권이라 할 수 있다. 미디어 접근 능력은 디지털 기기 및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으로 미디어에 대한 접근 보장은 구체적인 생활 영역에서 인격권, 표현의 자유, 정치적 및 경제적 기본권, 교육받을 권리 등을 실현하는 기반이 된다. 정보에의 접근, 수집, 처리, 정보격차 해소 및 정보문화 향유권 보장은 디지털 기기 및 정보에의 접근 가능성을 보장해주는 것에 그쳐서는 실효성이 없으며, 국가가 적극적으로 국민의 역량강화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및 교육에 필요한 인적・물적 기반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어떠한 사상과 견해가 옳고 그른지, 가치가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은 사상의 자유 시장에 맡겨져 있으며, 이를 판단하는 것은 개인의 몫이므로, 과장이나 명백한 왜곡, 허위조작정보가 넘쳐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양질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이 매우 중요하며, 국가는 국민들이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콘텐츠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 이해, 평가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기술 발전과 그로 인한 사회문화 변동, 생애주기별 특성이 지속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교육 주제임에 비추어 평생교육이 필요성이 큰 분야라 할 수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미디어 기술 및 산업 환경, 정책 이슈 등을 빠르게 교육 내용에 반영할 수 있도록 미디어 소관 부처에서 관련 교육 및 지원 정책을 수립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특히 인터넷 영역에서 이용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기업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해지고 있어 정부와 학계, 산업계가 연계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협력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향후 「미디어교육 지원법」 제정 시 ① 미디어교육의 정의와 목적...

      • KCI등재

        초ㆍ중등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연구

        양소은(Soeun Yang),이지선(Jeesun Lee),김아미(Amie Kim),변경가(Kyung-ga Byu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교육논총 Vol.4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ㆍ중등학교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초ㆍ중등학교 교육을 위해서는 학습자가 경험하는 미디어 환경 특성이 빠르게 변화한다는 점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유관 분야가 다양하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전문가 자문, 연구진 회의 등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능력을 중심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영역과 하위 핵심 능력 등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요소를 밝히고, 요소 간 관계를 위계적으로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분야, 교과 교육 분야 등 다양한 유관 분야 전문가 자문진의 검토 의견을 수집해 반영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는 뉴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출현하면서 미디어 환경이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세로축과 가로축을 지닌 2차원 확장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워크의 내용 영역은 ‘수용하기’, ‘생산하기’, ‘살아가기’로 구분된다. 각 영역별로는 기능적 리터러시(functional literacy)→비판적 리터러시(critical literacy)로 위계화되는 세부 핵심 능력을 설정하여, ‘수용하기’ 영역은 ‘(기능적) 소비→분석→평가’, ‘생산하기’ 영역은 ‘(기능적) 표현→확산ㆍ공유 →참여적 창작’, ‘(시민으로) 살아가기’ 영역은 ‘자기조절ㆍ안전→디지털 자아 구축→디지털 권리 이해ㆍ성찰→협력적 문제 해결’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는 초ㆍ중등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의 조직자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2022년 개정 고시된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관련 교육 내용이 대폭 확대되고 전 교과와 전 학년군에 편재해 있는 교육 상황을 고려할 때, 이 연구의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ramework for teaching media literacy in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 schools by considering the rapidly changing characteristics of learners’ mediaenvironments and various related fields of this subject. The research method includes literature research, expert advice, and researcher meetings. We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to revealthe sub-elements constituting media literacy and the hierarchically constructed relationships between these elements. Furthermore, the review opinions of 11 expert advisors from the media communication and subject education domai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 two-dimensional expansion structure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axes is characteristic of the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Moreover, the media literacy framework’s content areas are divided into “consuming”, “prosuming”, and “being”. For each area, detailed core competencies organized into functional and critical literacy were established. The consuming area includes “functional consumption → analysis → evaluation”; the prosuming area consists of “functional expression → diffusion/sharing → participatory creation”; and the being area includes “self-regulation and safety → digital self-building → digital rights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he media literacy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organize a media literacy curriculum. Particularly,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systematically designing and implementing media literacy education in schools as media-related educational content is significantly expan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22, and related educational content is ubiquitous in all subjects and grades.

      • KCI등재

        사회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체계화 연구

        은지용,송미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3 시민교육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사회과의 교과 특성을 살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사회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목표, 영역, 학교급별 학습 요소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중·고등학교 현장 교사 12명과 대학교수 12명을 전문가 집단으로 선정하여 3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한 사회과 미디어 리터러시 체계화 안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현장 교사 및 전공자들의 공감대를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목표를 밝히면서 사회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무엇인지, 교육의 주안점을 어디에 두고 있는지, 그리고 함양하고자 하는 역량은 무엇인지에 대한 큰 방향을 제시하였다. 셋째, 미디어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미디어를 대하는 자세, 미디어에 접근하고 관련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역량, 미디어 환경에서 적절히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역량, 미디어 관련 문제와 시민으로서의 자세, 미디어와 관련된 권리와 책임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 세부 목표로 다섯 가지를 도출하였다. 넷째, 사회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내용 영역을 “미디어에 대한 이해”, “미디어와 개인”, “미디어와 사회”, “미디어와 시민의 역할”의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사회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영역별 학습 목표를 상술하여 각 영역별로 4개씩 총 16개를 제시하였으며, 학습 요소를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로 구분하여 내용체계표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개발된 사회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체계화 안은 기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 결과물로서, 사회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고유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으며, 향후 사회과에서 일회성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이루어지는 데에 기초가 될 것이다. 훌륭한 시민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사회과교육의 영역 안에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인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