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교회와 문화선교, 그 역사와 과제:<문화선교연구원> 사역을 중심으로
백광훈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3
This thesis was written to give a theological meaning and evaluation of Center for Cultural Communication which is 21 years old this year. Founded in 1998, the Institute for Cultural Missions has been established because of the weakening of religious identity according to postmodernism and consumer culture, the cultural leadership of the Church in the new era, and the response of the Church. In addition, a theological and pastoral response of the Church in response to the rapid expansion of popular culture was needed. Unlike a dualistic approach to gospel and culture, the institute’s perspective about popular culture and cultural phenomena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odcentered Transformational Culture” through Biblical understanding of culture. Based on this viewpoint, the institute researched popular culture, produced the “Education Film” for children and youth in church school, as well as a culture magazine Today. We have also searched for ways to engage and transform through Seoul International Agape Film Festival and the Christian theater, Film Forum. I characterize the Institute’s ministry condensed into five characters: 1. the appropriate response in the era of cultural change, 2. the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theory and practice, 3. cultural vision aiming at cultural transformation as publicness, 4 establishing a cultural trench for participation and transformation, and finally, ministry to prepare for the next generation. In conclusion, I will propose the institute’s work to be continuously applied throughout the early 21st century. In particular, I suggest that the ministry of Center for Cultural Communication is more important in the social-cultural contex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religiousization, postmodernism & consumerism, and post-secularization. Through this process, I hope to establish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Center for Cultural Communicati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Church, and to identify the cultural mission strategy and vision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practice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올해로 21년을 맞은 문화선교연구원 사역에 대한 신학적 의미와 평가를 시도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1998년에 설립된 문화선교연구원은 대중문화의 급격한 확장에 따른 교회의 신학적, 목회적 대응의 필요성,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문화에 따른 신앙정체성의 약화와, 새로운 시대, 교회의 문화적 지도력 재고와 교회의 대응을 위해 창립되어 한국 기독교계의 대표적인 문화선교연구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문화선교연구원은 복음과 문화의 이원론적인 접근을 넘어, 문화에 대한 성서적 이해를 통해 “하나님 중심의 변혁적 문화관”을 기초로 대중문화 및 문화 현상에 대한 연구(research), <기쁨의 부활절 50일> 프로젝트, 교회학교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교육영화>, 문화매거진 <오늘>로 대표되는 문화 생산(creation)활동을 해왔다. 또한 <서울국제사랑영화제> 및 복합문화공간 <필름 포럼>과 같은 플랫폼(platform) 구축 사역을 통해 문화 참여(engagement)와 변혁 (transformation)의 길을 모색하여 왔다. 논자는 이러한 문화선교연구원 활동이 신학적인 차원에서 유의미한 사역이라고 보고, 신학적인 관점에서 문화선교연구원의 사역을 1. 문화적 전환기 속에서 이루어진 적극적인 시대적 응답, 2.이론과 실천을 아우르는 통합적 사역, 3. 문화 변혁을 목표로 하는 문화선교의 공공성 성격 지향, 4 참여와 변혁을 위한 문화 진지 구축, 5. 다음세대를 준비하는 문화선교 사역이라는 특징으로 요약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문화선교연구원의 사역은 21세기 초반 문화지체현상으로 인한 위기가운데 있는 한국교회가 지속적으로 시도해야할 선교적 과제임을 주장하면서, 새롭게 시도해야 할 문화선교의 신학 적· 목회적 과제들을 제언하게 될 것이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 한국 교회의 대표적 문화연구기관인 문화선교연구원 사역에 대한 의미가 신학적으로 엄밀히 평가 되는 또 다른 시도들이 촉발되기를 바라며 또한 한국교회가 지속적으로 실천해야할 문화선교적 전략과 비전을 모색하는 움직임들이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백종구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1 장신논단 Vol.0 No.41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describe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of protecting and utilizing the cultural heritage of religions in Korea. In addition, it will show the present state of the Protestant culture property plus the ways to discover, preserve,and utilize the Protestant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identifying ways for the Protestant Christianity to discover, preserve, and utilize their own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is made up of three main parts. The first part examines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of supporting the cultural activities of religions in Korea, which will focus on the ‘designation system’ and ‘registration system’ adopted by the Korean government to protect the culture property. The second part describes the current state of the Protestant culture property and the ways both the government and the groups of people in and outside Protestant Christianity to discover, preserve, and utilize the Protestant culture property. The third part proposes some ways for the Protestant Christianity to discover, preserve, and utilize their own cultural heritage in near fu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two tasks that Protestant Christianity should carry out to compete in the area of culture with other main religions,i.e. Confucianism, Buddhism, and Roman Catholicism. First, the Protestant Christianity should discover, preserve, and utilize the original form of Protestant culture (gidokkyomunhwaweonhyeong, 基督敎文化原形), i.e. the Protestant culture preserving characteristics proper to Korean nation, out of the vast amount of the Protestant cultural heritage. The Protestant culture in its original form would be a resource for the Protestant culture property. Secondly, they should create a new original form of Protestant culture; this new original form would be a resource for a future Protestant culture property. It is desirable that a new original form of Protestant culture is created in the global culture property, which is enjoyable in the world as a whole beyond Korean peninsula. 본 연구는 한국정부가 종교관련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활용하는 정책, 기독교문화유산의 현황과 기독교문화유산의 발굴, 보존, 활용 실태, 그리고 기독교계의기독교문화유산 발굴, 보존, 활용 방안을 전망하는데 있다. 이 글의 첫 부분은 한국정부의 종교문화활동 지원정책의 발전과정을 문화재 지정제도와 등록제도, 문화재의 발굴, 보존, 활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부분은 기독교문화재의 현황과 최근 정부와 기독교계 내·외부의 단체가 기독교문화유산을 발굴, 보존, 활용하는 실태를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독교계가 자신이 보유한 문화유산을 효과적으로 발굴, 보존,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교, 불교에 비해 짧은 역사를 가진 기독교계가 문화영역에서 타종교와 대등하게 경쟁하기 위해 필요한 일을 보여준다. 전통문화유산을 보유하지 못한 기독교계는 근대문화유산에 주목해야 하며, 근대문화유산 가운데 기독교문화재자원이 될 수 있는 문화원형을 발굴하고, 발굴된 문화원형을 다양한 방식으로 보존하고 또 활용해야 한다. 또 미래에 문화재가 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진 기독교문화원형을 창조해야 하며, 앞으로 창조할 기독교문화원형은 한반도의 국경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향유될 수 있는 글로벌 문화원형이 되어야 한다. 기독교문화유산의 발굴, 보존, 활용사업은 기독교내의 노력이 우선시 되어야 하지만 기독교 외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민간인, 산업계, 학계 등 외적 지원도 수반되어야 한다.
최정민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3
The home of a Christian family is the primary venue for educating Christian faith to children. God appointed parents and granted them th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of educating their children with the Christian faith. However, changes in society and family structure and dynamics over time has been shifting from the family to professional teachers, and with it, Christian parents have gradually come to neglect their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s the primary educators of Christian faith, solely delegating this duty to the Sunday school. Modern families suffer detrimentally from the increase of divorces, remarriages, increase of young people preferring singlehood, increase in the average age of young people getting married and the ever-declining birthrate. Internally, families suffer from miscommunication and non-communication due to generational gaps, and confusion of roles in the family. Modern society introduces new forms of families as well. However, there is a tendency for many people to consider only the traditional form of family as a family. Even within the church, there is a lack of proper Christian education and care catered toward these new types of modern families. With the above context in mind, this research attempts to define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definition of a Christian family in order to evaluate the Christian family in this ever-changing modern society and seek out and present a directional goal for Christian family education in the future. As such, this research pinpoints that recovering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Christian family is the first and foremost task in order to overcome the external and internal difficulties modern families face, and discusses the changes necessary in Christian family education in order to adapt to the changing family structure and dynamic in the modern world. 기독교 가정은 자녀의 신앙교육의 일차적 책임을 수행하는 교육의 장이 된다. 하나님은 부모들에게 자녀의 신앙교육의 우선적인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셨다. 그러나 사회와 가정의 변화 속에서 가정의 교육적 기능이 다른 교육기관이나 전문교 사에게 위탁되고 있으며, 신앙교육에 있어서도 기독교인 부모들은 자신들의 교육적 권한과 책임을 등한시함으로써 자녀의 신앙교육을 교회학교에 위임하는 경향이 있다. 현대 사회의 가정은 외형적으로는 미혼과 만혼의 증가, 저출산, 이혼 및 재혼의 증가로 기존의 가정을 유지하는 것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내적으로는 가족 세대 간의 단절과 가족 구성원의 역할 혼돈의 난관에 부딪혀 있다. 또한, 현대사회는 다양한 새로운 유형의 가정들이 생겨나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의 인식 속에는 전통적인 가정을 정상적인 가정의 유일한 형태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교회 안에서도 다양한 현대 가정의 유형을 포용하거나 그들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돌봄과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속에서 본 연구는 기독교 가정의 성경적·신학적 의미를 살펴보고, 현대 사회의 변화 속에서 기독교 가정의 모습을 진단해 봄으로써 기독교 가정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대 가정이 직면한 내·외적인 어려움과 가정과 교회의 신앙교육의 위기 속에서 우선 적으로 요청되는 것이 기독교 가정의 교육적 기능을 회복하는 것임을 밝히고, 현대 가정의 변화에 따른 기독교 가정교육의 변화와 그 과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창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unification policy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through the lens of Christian ethics. The paper first seeks to go through the unification policy of the Moon administration, by briefly reviewing the position and meaning of the said policy within the scope of the policy’s history and st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policy in terms of “the priority of peace,” “common prosperit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public-private cooperation and the respect for national consensus.” Next, I will discuss Christian theological-ethical beliefs and insights that correspond to such characteristics and, on the basis of such beliefs and insights, explore a Christian response to the unification policy of the Moon administration. A response concerning ‘the priority of peace’ will be sought from Christian theories of peace, the insights for which will be gleaned through the two strands of Christian theory of peace: pacifism and just war tradition. The main subjects of research will be Erasmus, the representative of pacifism, and Luther and Calvin, who classically and typically developed Christian understanding of just war. Christian cosmopolitanism will be sought in order to discuss “common prosperit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Christian ethical terms, attending to Albrecht Ritschl and Max L. Stackhouse who are arguably the important foundations of Christian cosmopolitanism. Ritschl emphasizes the moral fellowship which forms through the practice of love, the moral law endowed to all human beings. Stackhouse highlights the optimistic outlook and moral obligation concerning globalism based on and corresponding to God’s affectionate providence for the entire world. The ethics of Christian public participation will be underscored for “public-private cooperation and the respect for national consensus.” Nicholas Wolterstorff and David Hollenbach will be examined for this task. Wolterstoff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heorists who actively advocate the justification and value of every citizen including the religious ones in terms of public responsibility and participation, while Hollenbach has developed a Christian theory of the common good that discusses the capability of Christianity to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common good of the entire society. 본 논문의 목적은 문재인 정부의 통일 정책을 기독교윤리적으로 성찰하는 것이다. 먼저 문재인 정부의 통일 정책을 살피고자 하는데, 문재인 정부 통일 정책의 정책사적 위치와 의미를 간략하게 밝히고 정부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평화의 우선 성, 공동번영과 국제협력, 민관협력과 국민적 합의 존중 등으로 진술할 것이다. 다음으로 그러한 특징들에 상응하는 기독교 신학적 윤리적 신념과 통찰을 논구하고 그러한 신념과 통찰에 근거하여 문재인 정부의 통일 정책에 대해 기독교적으로 응답할 것이다. ‘평화의 우선성’에 대해 기독교 평화론의 관점에서 응답을 모색할 것인데, 기독교 평화론의 두 갈래 곧 평화주의와 정당전쟁 전통으로부터 규범적 통찰을 얻을 것이다. 평화주의 전통을 대표하는 에라스무스와 정당전쟁 전통의 이해를 전형적으로 전개하는 루터와 칼뱅을 주로 탐구할 것이다. ‘공동번영과 국제협 력’을 기독교윤리적으로 논하기 위해서 기독교 범세계주의를 모색할 것이며, 후자의 중요한 토대로서 리츨과 스택하우스를 주목할 것이다. 리츨은 모든 인간에게 주어진 도덕법 곧 ‘사랑’을 실천함으로 이루어지는 보편적 인류 공동체로서의 도덕적 연합을 역설하며 스택하우스는 창조하신 온 세계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의 섭리에 상응·근거하여 범세계주의에 대한 낙관적 전망과 윤리적 책무를 강조한다. ‘민관협력과 국민적 합의 존중’에 대해서는 기독교 공적 참여의 윤리를 중시할 것이다. 이를 위해 종교인을 포함한 모든 시민의 공적 책임·참여의 당위성과 유용 성을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대표적 이론가인 월터스토프와 전체 정치사회 공동체의 공공선 증진을 위해 기독교가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다는 논지의 기독교 공공선 이론을 전개한 홀렌바흐를 살필 것이다.
한국전쟁이 남북한 기독교에 미친 영향 ‐ ‘적대적 상호의존’ 관점에서
유영식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4 장신논단 Vol.56 No.4
이 글의 목적은 한국전쟁이 남북한 기독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적대적 의존 관점에서 기술하는데 있다. 선행연구 검토 결과, 한국전쟁 영향으로 남북한사회에서 공진한 하나의 사회현상에 대해 상호 비교·설명한 연구가 많지 않다는 점에 착안하여, 적대적 의존 이론을 분석틀로 하여 분단이 고착화된 상황하에서 남북한 기독교가 어떤 경로를 노정해 왔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다. 한국전쟁 이후 남북한 기독교 형성은 그 자체를 제약하는 정치적 맥락과 무관한 사회현상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남북한사회 구조화 상황을 이해하고자 했다. 남북한 기독교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인 사회구조적 조건을 파악하지 않으면 남북한 기독교를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 하여 상위영역인 남북한사회 구조화와 병렬해서 하위영역인 남북한 기독교에 대해 서술하되, 역사적 흐름을 따라가며 살펴보았다. 한국전쟁의 후과로 해서 남북한사회 구조화는 ‘미국’이라는 특정 국가를 공통기반으로 하고 있다. 북한은 반미·주체사회주의, 남한은 반공·친미자본주의 국가로 변모했고, 남북한 기독교 역시도 이와 병렬하여 북한은 반종교·반기독교, 남한은 반공주의기독교로 각자의 정체성을 규정했다. 상위의 정치영역인 반미·주체사회주의와 반공·친미자본주의의 하위영역으로 북한에서는 반종교·반기독교가, 남한에서는 반공주의기독교가 고유한 정당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는 적대적 의존이 과잉정치화된 조합이다. 남북한 각각의 적대적 의존 현상과 북한의 반종교·반기독교, 남한의 반공주의기독교는 한국전쟁과 분단고착화라는 영합적 구도에서 생산된 역사적 산물이다. 북한에서 반미 적대감을 양산하고 남한에서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추동하고 있는 현실은 정전·분단구도에서 에너지를 공급받고 있다. 해결책 마련을 위해서는, 북한과 미국과의 관계개선이 무엇보다 우선한다. 한국전쟁 정전과 분단고착화라는 국면전환을 위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다시 시작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남한의 자유민주주의의가 형식적·절차적 수준에서 실질적·실체적 수준으로 진전해야 한다고 본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Korean War’s influence on Christianity’s development in both Koreas through antagonistic symbiosi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neglected comparative analysis of this phenomenon, we examine how Christianity evolved under national division using the framework of antagonistic symbiosis. The development of Christianity in both Koreas is deeply tied to their political environments. Understanding this connection requires examining societal structures alongside religious developments. The Korean War transformed the peninsula—North Korea became an anti-American, Juche socialist state while South Korea emerged as a pro-American capitalist state. This division led Christianity down divergent paths: North Korea enacted anti-religious policies while South Korea fostered anti-communist Christianity. These religious stances helped legitimize each state’s political ideology, creating a hyper-politicized antagonistic symbiosis. This antagonistic relationship stems from the Korean War’s zero-sum nature and ongoing division. Current tensions reflect the continuing armistice. Resolution depends on improved North Korea–US relations and renewed peace efforts. Additionally, South Korea needs to strengthen its substantive democracy beyond formal procedures.
김정희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3 장신논단 Vol.55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appropriate and effective models of spiritual practices today by receiving wisdom and insights which derive from the exploration of Christian walking traditions. Various walking traditions of Christianity have been taking crucial roles in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and practiced in diverse ways depending on the needs of culture and circumstance of different periods. Although some walking traditions faced periods of decline, Christians today became interested in the spirituality of walking. Moreover, scientific emphasis and praise on walking helped people becoming aware of the benefit of walking as an holistic activity for all human beings and let them engage in their walking practice. In this context, I explore four distinctive Christian walking traditions: Stations of the Cross, Peregrinatio, Labyrinth, and El Camino de Santiago de Compostela. From this exploration, I present wisdom and insights to find out more effective and appropriate walking spiritual practices for Christians today. Christian walking traditions show concrete ways to follow Jesus Christ who came on earth as an exile and fulfilled the will of God. As a bodily prayer, walking prayer helps us to holistically experience the presence of God and be present and maintain inner silence. Also, Christian walking traditions give consolation for those who live their lives as exiles or immigrants, and provide wisdom for us to appropriately respond to something new, strange, or different that come toward us. These walking practices are open to everyone and people can simply approach to the practices. Thus, if Christians use the walking practices, or at least some parts of them, they can deepen their Christian spirituality and follow the way of Jesus who asks us to love our neighbors as ourselves. 이 논문은 기독교 걷기 전통의 탐구하고 그로부터 지혜와 통찰을 얻어 현대에 적합한 영성훈련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기독교의 영성형성에 있어서 걷기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으며 각 시대와 문화와 정황에 따라 다양한 영성훈련의 형태로 행해져 왔다. 비록 몇몇 기독교 걷기 전통은 각각 쇠퇴의 시기를 겪기도 하였으나 현대에는 많은 기독교인들이 걷기의 영성에 관심을 보이게 되었다. 게다가 21세기의 걷기 자체에 대한 과학적 강조와 예찬은 기독교인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걷기를 전인적인 유익을 주는 활동으로 인식하게 하였으며 그들을 걷기의 자리로 이끌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먼저 기독교 영성사에 나타난 네 가지 대표적인 걷기의 전통인 십자가의 길(Stations of the Cross), 페레그리나치오(Peregrinatio), 래버린스(Labyrinth), 산티아고 순례(El Camino de Santiago de compostela)를 탐구한다. 나아가 이 기독교 걷기 전통들이 오늘날 우리 기독교인들에게 어떤 통찰과 지혜를 주는지 살펴봄을 통해서 현대에 기독교인들에게 효과적인 걷기 영성훈련법을 모색한다. 기독교 걷기 기도는 이 땅에 이방인으로 오셔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신 예수님을 따르는 구체적인 방법을 보여준다. 걷기 기도는 몸으로 하는 기도로서 우리로 하여금 전인적으로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게 하며 현존과 내적 고요함을 돕는다. 또한 기독교 걷기 전통은 세계화 시대에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위로를 주며 우리에게 다가오는 낯섦, 새로움, 다름에 더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지혜를 전해준다. 이 전통들은 누구에게나 열려있으며 어느 곳에서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기독교 걷기 전통들을, 혹은 그 요소들을, 현대적인 걷기 기도훈련으로 사용한다면 기독교 영성을 더욱 풍성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나 자신과 같이 이웃을 사랑하라는 예수님의 길을 효과적으로 따라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