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교류 특성 및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

        양선이(Sun-Yi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7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 정도, 문화적 교류 특성 및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로 일 대학의 간호대학생 301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General Self-efficacy Scale, the Caffrey Cultural Competence Healthcare Scale(CCCHS), The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CCA) 도구들을 통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 결과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 정도는 중간수준(자기 효능감: M=3.0, SD=0.38; 문화적 역량: M=2.8, SD=0.55)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간호대학생의 학년이 높을수록 외국인 친구가 있을수록 유의미하게 높은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 정도를 나타냈다. 더 나아가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상관성(r=.394, p < .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교류 및 자기 효능감 증진을 통하여 문화적 역량을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xchanges,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e in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 A total of 301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the Caffery Cultural Competence Healthcare Scale(CCCHS), and the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CCA). Result: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y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hown to have moderate levels (Self-efficacy: M=3.0, SD=0.38; Cultural competency: M=2.8, SD=0.55). And the nursing students who have higher grade and foreign friend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e.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y (r=.394, p .001).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nursing students need to enhance cultural exchanges and self-efficacy to reinforce cultural competence.

      • KCI등재

        보건·복지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 공감력, 자기효능감의 관계

        김은혜,성지민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gree of cultural sensitivity, empathy and self-efficacy in undergraduate health and social welfare students with regard to cultural compet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health and social welfare. Among collected data for this study, data for 257 stud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cultural sensitivit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students was middle range (106.65±9.8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sensitivity and empathy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sensitivit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students, we analys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sensitivit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students were empathy, self-efficacy at 5% significance level. There four factors explained 22.03% of the variance in cultural sensitivity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tepwise selection method. Here is this study contention that with increasing phenomenon of multi-cultural trends, the need for cultural competence is now more prevalent. therefore it is now clear that attention must be given to developing appropriate support system and establishing effective program to promote cultural competence in society general.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 역량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 공감력,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탐색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 보건·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으며 총 257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문화적 민감성 정도는 106.65±9.81점, 공감력의 정도는 100.09±11.65점, 자기효능감은 40.28±7.79점이었다. 대상자의 문화적 민감성 정도는 공감력 및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순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공감력과 자기효능감도 매우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보건·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과 인과관계를 가지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된다고 하지만 다문화 교육이 문화적 민감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 못하고(t=1.63, p=0.11) 오히려 공감(t=5.27, p<.0001), 자기효능감(t=4.20, p<.0001)의 개별적 요인이 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자기효능감을 병행하여야 하며, 공감력과 자기효능감을 증대시켜 학생들의 문화적 민감성을 높여 문화적 역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건·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 공감, 자기효능감을 살펴보아 향후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전체 대학생의 사회 기초역량으로서의 문화적 역량이 시스템적인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자기효능감과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

        전혜경,고영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2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6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TSE) and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A total of 352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two universities in Incheon and Gyeonggi.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Scheffe’s tes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 of TSE was 6.20 (out of 10). The mean score of cultural competence was 4.98 (out of 7). T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ultural competence (r=.47, p<.001). The practical domain (β=.18, p=.001) and affective domain (β=.35, p<.001) of T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ltural competence. TSE accounted for 22.3% of cultural competence. Conclusion: Educational programs for improving cultural competence should include contents to improve the affective and practical domains of TSH. It is also helpful for subjects with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to learn interview skills and nursing skills through practice to reinforce cultural competence.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자기효능감과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단면조사연구이다. 인천과 경기지역의 2개 대학교, 352명의 간호대학생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일원 분산분석과 사후분석, 상관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다문화 자기효능감은 10점 만점에 6.20점, 문화적 역량은 7점 만점에 4.98점이었다. 다문화 자기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은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47, p<.001). 다문화 자기효능감의 실무영역(β=0.11, p=.001), 정서영역(β=0.28, p<.001)이 문화적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자기효능감이 문화적 역량의 22.3%를 설명하였다. 결론: 문화적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우선 정서 영역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무교육을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대상자와의 면접기술과 간호기술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원양성교육이 예비교사의 문화적 역량, 자기효능감, 사회정의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일반대학 교직과정과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조영하,박소연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9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7 No.1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influence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 on cultural competence, self-efficacy, and social justice beliefs of pre-service teachers. To do so, 771 pre-service teachers were randomly sampled from K university and then, divided into two groups to compare: the first group had completed all the required courses for teacher preparation program including practicum, and the other group had not yet completed those courses. In method, this study,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mployed latent mean analysis and test of the structural model invariance across the group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latent mean scores of cultural competence, self-efficacy, and social justice beliefs were overall higher for the group that had completed all the required courses for teacher preparation program compared to its counterpart. Furthermore, as social justice beliefs increased, cultural competence also increased for both groups. Additionally, the statistical significant effect was slightly higher for the group that had competed all the required courses for th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However,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exerted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ultural competence only for the group that had not completed all the required courses for teacher preparation program. Upon discussion of the findings, this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the results and make suggestions for th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concerning multicultural and diversified schools.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대학 교직과정과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대학의 교원양성교육이 예비교사들의 문화적 역량, 자기효능감, 사회정의에 대한 신념의 함양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으로서, 다음의 두 가지 연구가설의 검증에 근거한다: [가설 1] 교원양성교육과정을 모두 끝마친 예비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들보다 문화적 역량, 자기효능감, 사회정의에 대한 신념의 수준이 더 높을 것이다; [가설 2] 예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정의에 대한 신념이 증가하면 문화적 역량도 증가할 것이며, 이 같은 영향관계의 수준은 교원양성교육과정을 모두 끝마친 예비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들보다 더 높을 것이다.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두 예비교사집단 간 잠재평균을 요인별로 비교·분석하여 [가설 1]을 검증하였고, [가설 2]는 두 예비교사집단 간 경로모형의 비교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가설 1]의 검증을 위하여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원양성교육과정을 모두 끝마친 예비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들보다 문화적 역량,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정의에 대한 신념이 모두 높았고, 코헨의 효과크기(d)를 기준으로 할 때, 문화적 역량과 사회정의에 대한 신념은 작은 수준에서, 자기효능감은 중간 수준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따라서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2]의 검증 결과에 의하면, 두 예비교사집단 모두 사회정의에 대한 신념이 증가하면 문화적 역량도 증가하였고, 요인 간 영향관계의 크기는 교원양성교육과정을 모두 끝마친 예비교사집단이 조금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효능감의 경우, 교원양성교육과정을 모두 끝마치지 않은 예비교사집단에서만 자기효능감이 증가하면 문화적 역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설 2]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연구자는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결과치의 해석을 위한 논의를 전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성 증진을 위한 교원양성교육체제의 구축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문화예술 여가활동 참여자의 외향성과 스트레스, 문화적 자기효능감, 생활만족도의 인과적 관계

        윤홍권(Hong-Gwon Yoon),신아란(Ahran Shin),권혁인(Hyeog-in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는 문화예술 여가활동 참여자의 외향성과 스트레스, 문화적 자기효능감, 생활만족도의 인과적 관계에 대해 지속적 소셜댄스 참여자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첫째, 소셜댄스 참여자의 외향성은 문화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둘째, 외향성은 생활만족도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셋째, 외향성은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문화적 자기효능감은 생활만족도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문화적 자기효능감은 스트레스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생활만족도는 스트레스에 부적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외향성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문화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는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문화예술 여가활동에서 참여자의 외향성과 문화적 자기효능감, 생활만족도는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troversion, cultural self-efficacy, life satisfaction, and stress of participants in culture and arts leisure activities, focusing on persistent social dance participants. The first results showed that extroversion of social dancing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cultural self-efficacy. Second, extroversion has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extroversion did not affect stress. Fourth, cultural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ifth, cultural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stress. Sixth, life satisfa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tress. At last, cultura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had negative mediator effect on the relation of extroversion and stres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xtroversion, cultura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in explaining stress.

      • KCI등재

        사회경제적 지위가 문화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배석(Choi, Bae Suk),변상호(Byeon, Sang Ho)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5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socioeconomic status: SES)가 문화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문화예술 콘텐츠 소비향유와 문화예술 지식을 통해 각각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경제적 지위가 어떤 경로로 통해 문화적 자기효능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전국 단위의 성별·연령별 비례할당에 의한 무작위 표본(N=547) 추출에 근거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경제적 지위는 문화적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문화예술 콘텐츠 소비향유와 문화예술 지식을 매개로 하여 문화적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으로도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경제적 지위가 문화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이들 직간접적인 영향 사이에는 유의미한 크기 차이가 없었다. 셋째, 그러나 사회경제적 지위가 문화예술 콘텐츠 소비향유 활동을 증가시키고, 이것이 문화예술 지식을 높일 경우 문화적 자기효능감은 앞서 직간접적 영향보다 더 크게 증강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는 단순히 사회경제적 지위만으로 문화적 자기효능감이 극대화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문화예술 콘텐츠 소비향유 활동과 문화지식의 증가가 같이 수반돼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이론적·현실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ocioeconomic status has an effect on cultural self-efficacy. It also analyzed how the consumption of culture & art contents and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culture & art mediate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indirectly and respectively. The sizes of direct and specific indirect effects were compared. A nationwid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stratified sampling(N = 547). This study found that (1) socioeconomic status ha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ultural self-efficacy; (2) the sizes of direct and specific indirect effect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cultural self-efficacy is highly increased by the multiple-mediation of consumption of culture & art contents and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culture & ar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자기효능감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전인희(Inhee C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본 연구는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인식, 다문화 자기효능감, 문화적 역량 정도를 파악하고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H시와 D시에 위치한 2곳의 대학교 보건의료계열에 재학 중인 1학년에서 4학년까지의 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WIN 2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은 높은 수준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자기효능감, 문화적 역량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 중 나이, 전공, 외국인 친구 유무, 다문화 강좌 수강 경험, 다문화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따라 문화적 역량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자기효능감은 문화적 역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다문화 인식도 다문화 자기효능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문화 자기효능감과 전공이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설명력은 43.8%였다. 결론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강화를 위해 다문화 자기효능감 증진 전략을 활용하고 전공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y in health care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ultural competenc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277 health care college students who were 1st and 4th years of the college in H city and D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9.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irst, health care college students had high levels of multicultural awareness (5.37±0.53), multicultural self-efficacy (5.05±0.71), and cultural competency (3.70±0.75).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ultural competency according to age (F=3.253 p=.040), major (F=5.013, p=.002), presence of foreign friends (t=-2.810, p=.006), experience to taking multicultural lectures (t=-2.348, p=.020), and perception of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10.370, p<.001) among health care college students. Third, multicultural Competen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awareness (r=.406, p<.001) and multicultural self-efficacy (r=.651, p<.001). And multicultural aware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self-efficacy (r=.583, p<.001). Fourth,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cultural competency were major (nursing) (β=.140, p=.025), major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β=.115, p=.043), multicultural self-efficacy (β=.572, p<.001), and a total explanatory power was 43.8% (F=20.566, p<.00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that utilizes a multicultural self-efficacy promotion strategy an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to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y of health care college stud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영향 요인

        조미경,장혜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에 위치한 E 대학 간호대학생 188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공감능력, 문화간호 자신감, 문화적 역량에 대한 자가보고 질문지를 사용하여 2013년 11월 2일부터 12월 1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0.97세(SD=2.00)이었고 외국어 능력과 문화간호 자신감의 평균 점수는 각각 4.98점(SD=1.72)과 4.66점(SD=1.89)이었다. 자기효능감의 평균 점수는 79.32점(범위 59-102)이었고, 공감능력의 평균 점수는 107.56점(범위 61-141)이었으며, 문화적 역량의 평균 점수는 122.17점(범위 69-201)이었다. 문화적 역량과 문화간호 자신감(r=.403, p<.001), 자기효능감(r=.227, p<.001)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간호 자신감, 외국거주경험, 자기효능감이었고 총분산의 24%를 설명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과 다양한 교수방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cultural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Participants were 18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E university, Gyeonggi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self-administration questionnaires of self-efficacy, empathy,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and cultural competency from 2nd November to 13th December in 2013. The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software.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20.97 (SD=2.0) years and the average score of foreign language skill and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was 4.98 (SD=1.72) and 4.66 (SD=1.89), respectively. Mean self-efficacy score was 79.32 (range: 59-102), mean empathy score was 107.56 (range: 61-141), and mean cultural competency score was 122.17 (range: 69-201).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cultural competency and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r=.403, p<.001), and between cultural competency and self-efficacy (r=.227, p<.001). Twenty-four percent of cultural competency was explained by confidence of cultural nursing, residence experience in foreign country,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diversity of teaching method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need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y.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오원옥 한국아동간호학회 2011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7 No.4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의 이주민 및 다문화 가정의 증가에 따른 의료환경의 변화에 대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문화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더 이상 단일민족, 단일사회가 아닌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간호학부 교육에서부터 범문화적인 간호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시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중 외국인과의 교류 경험이 높은 그룹이 문화적 민감성이 높게 나타나 학부 교육과정에서부터 다양한 인종과 문화적 특성에 대한 지식의 제공뿐만 아니라, 다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 임상 사례 등을 통한 교육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공감과 자기효능감이 확인되었다. 이는 자신과 다른 인종, 문화적 특성에 대해 수용적이면서 더 나아가 그들의 느낌 또는 생각을 전위시킬 때 문화적으로 적절한 간호 수행이 가능해 짐을 의미한다. 또한 자신의 업무 기술 또는 능력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간호대학생은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가진 대상자를 접할 때 이를 간호 수행의 장애로 평가하기 보다는 그들을 위해 적절한 간호 중재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전략이 함께 고려되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개인・집단주의 성향, 문화적 역량이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설희,정헌식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nd cultural competence on career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 The results of a survey of 308 students from K university’s 4 majors a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by gender, majo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dividualism/ collectivism, cultural competence, and career attitude by major. Self-effica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dividualism/collectivism, cultural competence, and career attitude.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attitude, self-efficacy (confidence, 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e (experience, knowledge) had a significant effect. Explanatory power was 54.2%. In order to support the career of college students, program development and counseling support were required that considers not only majors and academic achievements, but also self-efficacy, disposition, and cultural competence. 본 연구는 전공계열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개인・집단주의 성향과 문화적 역량이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조사연구이다. K대학교 4계열 전공 30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전공별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전공별 개인・집단주의 성향, 문화적 역량, 진로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개인・집단주의, 문화적 역량, 진로태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진로태도는 개인・집단주의 성향, 문화적 역량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진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자신감, 효능감), 문화적 역량(경험, 지식)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력은 54.2%였다. 대학생의 진로지원을 위해 전공, 학업성취도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과 개인・집단주의 성향, 문화적 역량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지원이 요구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