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몰입형 인사관리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노사관계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류성민 한국산업경제학회 2010 산업경제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한국 제조업 기업을 대상으로 몰입형 인사관리가 기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노사관계 특성이 몰입형 인사관리와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몰입형 인사관리의 요인으로 고몰입 작업조직과 몰입유도형 인사정책을 설정하였고, 노사관계 특성으로는 노동조합과 노사관계 분위기를 설정하였다. 연구 자료는 2006년도에 조사된 노동연구원의 사업체 패널조사(WPS 2007) 자료 중 근로자 100인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우리나라 제조업 기업의 인사관리 담당자와 노무담당자의 설문조사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몰입형 인사관리 요인 중 몰입유도형 인사정책은 기업성과를 향상시키지만 고몰입 작업조직은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사관계 특성은 몰입형 인사관리와 기업성과 간 관계를 조절하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노사관계특성 중 노동조합의 존재는 몰입형 인사관리 요인중 고몰입 작업조직과 기업성과 간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사관계 분위기가 적대적일수록 몰입유도형 인사정책이 기업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한계 및 추후연구과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impact of high-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firm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dustrial relations characteristics for Korean firms in manufacturing industry. High-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was composed of two factors: high-commitment work organization and high-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industrial relations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in two ways: the existence of union and the degree of positive industrial relations climate.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using workplace panel survey data in 2006 from Korea Labor Institute(KLI) indicated that high-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generally related to firm performance.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industrial relations characteristic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firm performance. Specifically, the existence of union moder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commitment work organization and firm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positive industrial relations climate moder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firm performance. Implication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

      • 운동몰입의 개념형성을 위한 이론적 고찰

        권성호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7 스포츠과학리뷰 Vol.1 No.2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기초로 운동몰입과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이론을 리뷰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칙센트미하이의 몰입개념은 1975년부터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운동몰입의 개념과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개념을 운동선수의 몰입상태와 건강운동 참가자들의 최적경험과 관련지어 심도 있게 다루었다. 몰입경험은 “사람들이 하나의 행동에 완전히 빠져드는 완전한 감정”이며 “자기목적적 경험”으로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운동몰입은 “신체활동을 하면서 겪게 되는 특수한 경험으로 그 자체에 깊게 빠져서 시간의 흐름이나 공간 더 나아가 자신에 대한 생각까지도 잊어버리게 될 때를 일컫는 심리적 상태”이다. 앞으로의 운동몰입 연구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몰입의 개념을 이해하고, 다각적인 운동몰입 측정도구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view Csikzentihalyi's flow theory and to conceptualize a theory of sport flow. A substantial amoun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theory of flow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in 1975. This paper was intended to review Csikzentihalyi's flow concept and the developing concept of sport flow which are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flow statusoptimal experiences of elite athletes as well as recreational sports participants. Flow experiences have been described as "holistic sensation(s) that people feel when they act with total involvement." Also called "autotelic experiences," sport flow can be defined as "the psychological state that the passage of time or forgetful space, furthermore loss of self-consciousness in the special experience during the physical activity."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emergent area of sport flow requires further studies to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flow and to develop its valid and reliable measuring scales.

      • KCI등재

        조직몰입 및 전문직몰입과 이직의도의 선행요인 및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지역특화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이기동,이재훈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경영교육연구 Vol.29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chievement motivation and locus of control), job insecurity, profess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of turnover. Another major aims of this study try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OS(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focusing employees in local R&D centers. In order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to test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294 members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Using collected data, correlation,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test,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carried out by using SPSS 18.0.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First, it was found that achievement motivation positively affect profess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achievement motivation negatively influence intention of turnover. Second, locus of control affected professional commitment in a positive way while locus of control didn’t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of turnover. Third, it was found that job insecurity positively affect intention of turnover while job insecurity didn’t influence profess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POS have moder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it didn’t have moder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locus of contr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of turnover. Further discussion,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대표적인 지방 R&D인 조직인 지역특화센터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개인특성변수(성취동기와 통제위치)와 고용불안정성이 구성원의 태도(조직몰입 및 전문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알아보고, 그들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인구 통계적 변수들(학력, 직급, 근무형태, 근무기간)을 통제변수로 고려하였다. 전국의 지역특화센터 구성원 294명을 대상으로부터 회수된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요한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특화센터 구성원들에게 있어서 개인특성 중 성취동기는 전문직 몰입과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통제위치는 전문직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불안정성은 이직의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문직 몰입과 조직몰입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지원인식은 구성원의 고용불안정성과 조직몰입간 관계에서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특화센터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에 대한 관리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몰입의 부정적 기능: 중요타인과의 관계적 맥락을 중심으로

        한성열,장훈 여가문화학회 2010 여가학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flow in relational context. Previous studies on the function of flow suggested that flow has a positive effect on personal growth and happiness in individual context. However, early studies were only focused on individual context and aspect.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function of flow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xts. To verify this assumption,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negativity of individual flow in relational context. Results of the study1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negative effect of flow in everyday context that approximately 30% of participants(N=1805) were experienced relational conflicts for flow. In detail, 34.8% reported conflicts for other's flow pursuing in close relational context and 23.4% were perceived other's negative feelings for one's flow pursuing in close relational context. Flow conflict also statistically differed in flow domains. Study2 showed results that previous flow studies context was an individual context assuming significant other's conceding on flow and the function of flow changed negative on significant other's disapproval. These results discussed in social compatibility of personal flow. 본 연구는 기존의 몰입연구가 중요타인의 인정이라는 맥락을 전제한 상태에서 이루어져 긍정적으로 편향되었다는 점과 관계의 맥락이 추가되면 개인적 몰입이 부정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탐색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두 가지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대규모 조사를 통해 일상적인 맥락을 포괄한 상태에서 개인의 몰입이 중요타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일상적인 맥락의 30%수준에서 개인의 몰입은 상대방에게 상대방의 몰입은 개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이 있음이 나타났고, 몰입영역에 따라 부정적인 영향의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기존의 몰입연구가 중요타인의 인정을 전제로 진행되었다는 점과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몰입의 개인적 효과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몰입연구 조건(통제조건)은 중요타인이 개인의 몰입에 대해 긍정 혹은 보통의 태도를 취하는 맥락과 유사한 상태였다. 중요타인이 개인의 몰입에 부정적인 태도를 취할 때는 개인의 긍정적인 정서가 감소함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당사자가 몰입이 타인에게 부정되면 타인뿐 아니라 자신에게 몰입이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추후 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고, 이와 관련된 부분을 논의 하였다.

      • KCI등재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력성장기회와 LMX의 삼원조절효과

        이준혁(Junhyuk Lee),이인혁(Inheok Lee),이의연(YiRan Li),전정호(Jeongho Je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2

        오늘 날 경영환경 및 고용관계의 변화에 따라 조직에 몰입하는 대신에 자신의 경력에 몰입하고자 하는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조직 측면에서는 조직의 성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을 증가시킬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구성원들의 변화하는 경력욕구를 이해하고, 조직몰입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구성원들의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선행연구자들의 견해에 주목하였다. 이에 경력몰입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환경적 특성인 경력성장기회와 관계적 특성인 상사-부하 교환관계(LMX: leader-member exchange, 이하 LMX)의 조절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먼저 경력성장 기회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다음으로 경력성장기회와 LMX의 삼원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상황에 따라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기업 재직자 311명에게 수집한 설문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경력몰입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경력몰입과 조직몰입의 관계는 경력성장기회에 의해 조절되었다. 구체적으로, 경력성장기회가 높을수록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강화되었다. 셋째, 경력몰입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는 LMX에 의해 조절되었다. 구체적으로, 경력성장기회가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 모두 LMX가 높을수록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정(+)의 효과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력성장 기회가 높은 경우에는 LMX의 조절효과가 거의 없는 반면, 경력성장기회가 낮은 경우에 LMX의 조절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구성원들의 경력몰입 뿐만 아니라 조직몰입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인적자원관리 및 개발 측면에서의 유용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 employee’s CC (career commitment) effect on OC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understand changing career needs and to find ways to increase OC.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CGO (career growth opportunity) and LMX (leader-member exchange) and the roles they play in moderation and three-way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C and OC. As such,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C on OC in specific situations by verifying the moderation effect of CGO and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CGO and LMX.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311 employees working in domestic companie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C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C.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C and OC, the moderating effect of CGO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CC on OC was stronger when CGO was higher.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C and OC,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CGO and LMX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when CGO was high, the positive effect of CC on OC was stronger with high LMX than with low LMX. Likewise, when CGO was low, the positive effect of CC on OC was stronger with high LMX than with low LMX. However, in this case, the moderating effect of LMX was very strong when compared with high CGO situations.

      • KCI등재

        사회적 교환이론에 근거한 조직지원인식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영은(Kim, Young Eun) 한국보육학회 2011 한국보육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는 사회적 교환이론에 근거한 조직지원인식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유지적, 정서적, 규범적)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이천, 여주, 양평)소재 보육교사 185명의 설문지를 SPSS 12.0(ver.)를 통해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돌출하였다. 첫째, 조직지원인식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정서적, 규범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지지원인식이 높을수록 조직몰입 하위변인인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정적(+)관계를 가진다. 조직지원인식이라함은 어린이집이 교사에게 얼마나 배려하고 몰입하고 있는가를 교사의 입장에서 인식된 수준을 말하며, 이러한 조직지원인식이 높을수록 교사의 조직몰입 가운데 정서적 몰입 즉, 어린이집에 대한 동일시, 관여, 감정적 애착 등에 정적(+)관계로 나타났다. 아울러 보육교사의 어린이집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사회적 규범체계인 규범적 몰입에도 조직지원인식 수준은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유지적 몰입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지원이식이 높을수록 경력몰입에 정적(+)관계를 가진다. 경력몰입은 교사가 자신의 직업에 대해 주관적 애착을 갖고 관련된 직무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확고한 심리적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보육교사의 경력몰입은 조직지원인식에 따라 정적(+)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ld care teacher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a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continuance, affective, and normative) and career commitment. The subjects include 185 child care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Icheon,Yeoju, and Yangpyeong). Their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2.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i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affective and normative). Thei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refers to their perception of howmuch the child care center was considerate of them and how much committed they were to the center. The results show that thei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affective commitment such as identification with the child care center, involvement, and emotional attachment. In addition, i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normative commitment, which is a social norm system of fulfilling their responsibilities and duties for the child care center. However, thei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continuance commitment. Secondly, thei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career commitment, which means that it affected their career commitment, a solid psychological stat of having subjective attachment to their job and being willing to perform the duties related to their job in a consistent manner.

      • KCI등재

        조직몰입의 영향요인 분석

        김흥수 한국정책개발학회 2009 정책개발연구 Vol.9 No.1

        현대 사회는 다른 사람들과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복잡한 사회이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개인은 조직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대하여 조직을 통해서 경제적인 욕구만을 충족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며 그 욕구충족을 위해서 조직에 몰입하는 현상이 있다. 현대조직에서는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한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을 위해서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응 능력이 요구되고, 조직 구성원들의 자율성과 책임성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가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에 대한 태도중심의 연구에서 조직에 대한 태도중심의 연구로 많이 이동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의 결과를 탐색하고 조직몰입에 관한 이론적 기초를 바탕으로 하고,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조사하여 조직몰입의 영향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 조직몰입 영향요인에 대하여 각 변수의 영향력 크기를 측정해 본 결과 조직몰입의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입장에서 조직몰입의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조직몰입의 단일 차원적인 입장에서 연구되어 온 그 동안의 연구에 새로운 변화라고 본다. 또한 기존의 연구가 민간기관이나 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연구하더라도 특정분야를 대상으로만 하는 경향이 있는 데 연구 성과를 여러 직종의 공무원 사회와 다양한 분야의 민간기관에 공통으로 적용하려고 노력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용 학습몰입척도 개발 및 타당화

        조규판(Cho, Gyu-Pan),방희원(Bang, Hui-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용 학습몰입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론 및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학습몰입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인지적 몰입, 정의적 몰입, 행동적 몰입의 세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구성요인에 부합하는 80문항을 제 작하였다. 측정하는 내용이 유사한 문항은 수정 또는 삭제하여 60문항을 1차 예비문항으로 선정하였다. 1차 예비문항에 대해 전문가 2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인지적 몰입 13문항, 정의적 몰입 13문항, 행동적 몰입 14문항의 40문항을 본 조사를 위한 2차 예비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부산시 중·고등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한 뒤 타당화 과정을 거쳐 인지적 몰입 9문항, 정의적 몰입 9문항, 행동적 몰입 8문항의 3개 요인 총 26문항이 학습몰입척도의 최종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학습 몰입척도는 세 구성요인간의 상관이 높아 구인타당성이 입증되었으며, 문항내적합치도가 높아 신뢰도가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몰입척도는 청소년들의 학습몰입을 측정하는 도구로써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ment the Learning Flow Scale for adolescent and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ree sub-factors of learning flow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which are cognitive flow, emotional flow, and behavioral flow. 80 items that represented the three facto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60 items were selected as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by modifying or deleting similar sentences, and then the content validity was reviewed by two expert. As a result, 40 items were selected as 13 cognitive, 13 emotional, 14 behavioral learning flow. 401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were sampled for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three factors with 26 items that are 9 items for the cognitive learning flow, 9 items for emotional learning flow, and 8 items for behavioral learning flow.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three factors and total score of the scale was computed and they were highly correlated each other. The scale also ha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herefore, the Learning Flow Scale has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to measure learning flow for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Extreme Sport에서의 몰입경험에 관한 연구

        안현균 한국체육철학회 200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rticulat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its components of flow experience in the so-called 'extreme sport' by describing and analyzing,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For doing this, the study focused its main concern into the performer's own experiential-subjective experience. The 'experiential description and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used to collect and analyze 10 research participants' flow experience and to categorize their meaning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articulat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1. Three experiential concepts were clarified as the definitional components of flow experience in extreme sport: 1) flow experience as a unique experience, 2) flow experience as the non-purposeful experience, 3) flow experience as a momental experience. 2. Based 10 research participants' description of flow experience in performing extreme sport,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were articulated as the essential na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meaning of flow experience: 1) concentration or flow, 2) unity of behavior and consciousness, 3) adventure and limitation, 4) resolving of nervousness and thrill, and 5) achievement. 3. The following things were proposed as the social values and human educational implications: 1) The flow experience in extreme sport would be clarified essential resources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sport. 2) The meaning and value of flow experience in extreme sport would be the tool for achieving individual's self-realization and understanding others. 3) The value of the flow experience in extreme sport would be reconsidered for promoting and developing sport culture. 스포츠는 인간의 의식과 신체가 총체적으로 구현된 가장 원초적인 인간 경험이다. 그것은 생활세계의 발로이자 인간실존의 표현인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Extreme Sport 수행 중에 체험하게 되는 ‘몰입경험’의 본질적 특성과 구조를 현상학적 묘사를 통하여 규명하려는 것이다. 연구 참가자로 선정된 전문 Extreme Sport 참가자 10명의 몰입경험 체험이 현상학에 근거한 ‘체험적 묘사와 분석방법’을 통하여 범주화 및 의미화 되었다. 분석된 연구결과와 해석을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이 연구의 결론으로서 명료화되었다. 1. Extreme Sport에서 겪게 되는 몰입경험의 정의적 요소는 다음의 세 가지 체험적 특징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1) 독특한 체험으로서의 몰입경험, 2) 비자발적인 체험으로서의 몰입경험, 3) 일시적 체험으로서의 몰입경험. 2. Extreme Sport 수행시의 몰입경험의 와중에서 겪게 되는 체험적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체험의미범주로 명료화 할 수 있었다. 1) 몰두와 집중, 2) 행위와 인식의 일치, 3) 도전과 한계, 4) 긴장과 불안의 해소 5) 성취감. 이것들은 몰입의 상황에서 체득되는 몰입경험의 본질적 특성을 이해하는 척도라고 할 수 있었다. 3. Extreme Sport를 수행과 몰입경험이 가져다 줄 수 있는 교육적 의의는 일차적으로 체험적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는 스포츠 수행의 내재적 가치의 이해와 체험적 방식으로서의 스포츠 조명의 중요성이 다음과 같이 부각되었다. 1) Extreme Sport 수행에서의 몰입경험의 체험은 스포츠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보다 확연한 원천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 2) Extreme Sport에서의 몰입경험의 체험적 의미와 가치들은 개인적으로는 자아의 인식과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체험이며 사회적으로는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타자 및 자연을 향한 존중감과 인성의 개발에 연결될 수 있다. 3) Extreme Sport의 참가에서 얻을 수 있는 몰입경험의 가치는 인간에게 있어서 스포츠 문화를 배양하고 고양시키는 원천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교사의 학교 특성 인식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영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0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학교의 환경적 특성 요인들이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두 변인에 유의한 설명효과가 있는 학교 특성변인들을 비교?분석해봄으로서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학교의 환경적 특성요인으로 협동적 분위기, 학습기회, 학생?동료교사?교장 등 학교구성원의 신뢰, 교장의 민주적 리더십, 학생들의 학습격차, 학생비행수준의 6개 요인을 추출하였고, 이것이 학교몰입, 수업몰입, 교직몰입, 동료몰입과 직무 내?외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시내 503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자료를 SPSS 12.0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변인이라고 볼 수 없었으며, 몰입의 하위차원과 직무 내?외적 만족에 따라 학교 특성의 설명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수업몰입과 교직몰입, 직무내적만족은 학교구성원들의 신뢰가, 학교몰입과 동료몰입은 협동적 분위기가, 직무외적만족은 교장의 민주적 리더십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교구조의 개혁 없이도 변화를 시도해 볼 수 있는 정책수단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고, 개념 차원에서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두 개념을 구분하는 것이 의미가 있으나, 정책적 차원에서는 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정책들이 동시에 조직몰입도 높일 수 있고, 역으로도 마찬가지일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