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표달성을 추구하는 대학생들의 지각된 진로 불확실성, 심리적 적응과 미래목표

        신현숙 ( Hyeonsook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이루지 못한 목표의 달성을 추구하는 대학생들의 지각된 진로 불확실성, 심리적 적응, 미래목표, 목표동기, 목표평가를 목표달성 집단과 비교하여 알아보는 데 있다. 전국 4년제 대학교 재학생 755명으로부터 온라인 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첫째, 독립표본 t 검증 결과, 지각된 진로 불확실성 수준, 사회적 변화에 대한 1차 평가, 불안, 미래목표를 추구하는 외적 이유, 동일시 이유, 내적 이유, 미래목표의 중요성 평가에서 목표추구 집단과 목표달성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목표달성 집단에 비해 목표추구 집단의 사회적 변화에 대한 2차 평가, 삶의 만족도, 미래목표의 달성가능성 평가, 미래목표에 대한 긍정적 감정 수준이 유의하게 낮은 반면에 우울, 스트레스, 내사된 이유 수준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미래목표 내용의 질적 분석 결과, 두 집단에서 취업 관련 미래목표가 가장 많이 진술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목표추구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 지원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oal striving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uncertainty, psychological adjustment, future goals, goal motives and goal appraisals compared to goal completion students. Onlin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nationwide sample of 755 college students. First, independent samples t-tests revealed that group differences in perceived career uncertainty, primary appraisal of social change, anxiety, extrinsic/identified/intrinsic reasons, and appraisal of future goal importance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the goal striving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secondary appraisal of social change, life satisfaction, appraisal of future goal attainability, and positive feeling toward future goals bu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epression, stress, and introjected reasons than the goal completion group. Second, a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groups most frequently stated future goals related to employment. Implications for enhancing psychological adjustment of goal striving college stud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공연예술전공 대학생의 목표성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홍성희 ( Sung Hee Ho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예술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취목표이론 관점에서 무용, 음악, 연극/영화 등 공연예술전공 대학생들의 목표성향과 학교생활 관련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대학생 465명(남자: 87, 여자: 354)이 2×2 성취목표지향성 척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검사 지에 응답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대학생들의 목표성향은 숙달접근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 회피목표, 숙달회피목표 순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문제해결 방식, 조력추구, 소망적 사고, 문제회피, 정서적 완화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숙달접근목표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문제해결과 강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특히 목표성향 중에서 숙달접근목표와 숙달회피목표는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의 문제해결 대처방식을 강하게 예측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성취목표 관점에서 공연 예술 전공 대학생들의 목표성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goal orientations and stress coping skills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performing arts such as dance, music, and drama/film. 465 college students (87 males, 354 females) responded to 2×2 goal orientations questionnaire and coping skills inventory.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goal orientations were reported in order of mastery-approach,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and mastery-avoidance, whereas coping skills were used in order of problem-solving, seeking help, positive thinking, avoiding problem, and emotional relaxation. Mastery-approach goal was positively related to problem solving styles of coping skills. It was found that mastery-approach and mastery avoidance goals were powerful predictors of problem-solving skill among coping skill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context of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future direction for performing arts students` goal orientations and coping skills.

      • KCI등재

        운동목표 범주화가 목표진도인지와 목표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성진,장남경,김유겸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2 체육과학연구 Vol.33 No.4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운동목표 범주화가 운동참여자들의 목표진도인지와 목표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는 2(실제 운동량[고](73%) vs. [저](27%)) x 2(범주화 vs. 비범주화) 피험자 간 요인설계 실험연구로 조작되었으며, 가상의 시나리오가 포함된 총 4가지 종류의 설문지를 무작위로 할당하여 36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제 운동량과 운동목표 범주화 여부가 목표진도인지와 목표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가변수를 통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Hayes Process Macro Model 7과 21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범주화+실제 운동량[저] 집단이 비범주화+실제 운동량[저]집단보다 목표진도인지가 통계적으로 더높게 나타났으며, 범주화+실제 운동량[고] 집단이 비범주화+실제 운동량[고]집단보다 목표진도인지가 유의하게 더낮게 나타났다. 목표진도인지 수준에 따라 목표성취동기 또한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자기효능감이 낮은 운동참여자들이 높은 참여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목표진도인지가 목표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목표를 낮은 운동량으로 범주화했을 때,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들에게 동기를 더 높여줄 수 있다는 점을 검증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범주화를 통해 자신의 목표 행동에 대한 동기를 상승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참여스포츠 영역에 학문적 기여를 할 수 있다. 특히, 자기효능감이 범주화를 통한 목표진도인지와 목표성취동기를 조절한다는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범주화를 통해 피트니스 회원들의 진도인지를 조절할 수있을 뿐만 아니라, 연간 회원권 기간을 월 단위로 범주화하여 소비자들의 인지를 조절하는 마케팅 전략을 펼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형태론적 언어 정보 활용을 통한 타인행동 목표 추론 능력의 영아기 발달

        김은영,송현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8 No.2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infants could infer others’ goals by using morphological information. In Experiment 1, 19-month-olds were familiarized with scenes in which an actor slid one of two objects forward and backward, uttering a novel word as either a verb (verb condition) or a noun (noun condition). During the pre-test display, the positions of the two objects were switched; the prior goal object was placed within a short frame and the other object was placed within a long frame. In the test trial, the actor grasped the non-slidable prior goal object (short frame/prior goal event) or the slidable non-prior goal object (long frame/non-prior goal event). Infants in the verb condition looked longer at the short frame/prior goal event than at the long frame/non-prior goal event. Infants in the noun condition looked about equally at the two events. In Experiment 2, in which no novel word was uttered during familiarization trials, we found the same pattern as in the noun condition of Experiment 1. Thus, verbs, but not nouns, led infants to interpret the actor’s goal as an action style. Experiment 3, in which 15-month-olds participated in the task used in Experiment 1, demonstrated that infants’ ability to use morphological information when understanding others’ goals develops between 15 and 19 months. 본 연구는 영아들이 형태론적 정보를 활용하여 행위자의 목표를 추론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1의 친숙화 시행 동안 행위자가 서로 다른 두 사물 중 한 사물을 앞뒤로 밀면서 새로운 단어를 동사(“필키고 있어.”, 동사 조건)로 혹은 명사(“필키가 있어.”, 명사 조건)로 언급하는 장면이 19개월 영아들에게 제시되었다. 검사 전 진열에서 두 사물의 위치가 바뀌었고, 기존 목표 사물은 미는 동작이 불가능한 짧은 틀 안에, 기존 비목표 사물은 미는 동작이 가능한 긴 틀 안에 놓여 있었다. 검사 시행에서 행위자는 짧은 틀 안 기존 목표 사물을 잡거나(짧은 틀/기존 목표 사건) 긴 틀 안 새 목표 사물을 잡았다(긴 틀/새 목표 사건). 실험 결과, 동사 조건의 영아들은 긴 틀/새 목표 사건보다 짧은 틀/기존 목표 사건을 더 오래 본 반면, 명사 조건의 영아들은 두 사건을 유사하게 바라보았다. 실험 2에서 행위자가 새로운 단어와 형태론적 정보 없이 “자, 여기 봐봐.”라고 언급한 경우(기저선 조건), 영아들은 긴 틀/새 목표 사건과 짧은 틀/기존 목표 사건을 유사하게 바라보았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19개월 영아들이 동사 관련 형태론적 정보를 사용하여 미는 행동양식을 목표로 해석하였음을 가리킨다. 실험 3은 15개월 영아들을 대상으로 실험 1의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형태론적 정보를 활용한 목표 추론 능력의 발달적 경로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만 15개월 영아들에게서 형태론적 정보에 따라 행동 목표를 달리 이해하는 증거를 찾을 수 없었고, 이는 형태론적 정보를 통한 목표추론 능력이 15개월에서 19개월 사이에 발달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언어와 행동 목표 간의 긴밀한 관련성의 맥락에서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분석

        권성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이 가진 어떠한 목표지향성 유형이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긍정적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 이에 따라 대학의 교육 환경에서 적응적 목표지향성을 유도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문을 개발하였으며, 대학의 교직수업을 듣고 있는 수강생들에게 자신이 수강하고 있는 과목의 맥락에 비추어 설문을 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숙달목표지향성, 수행접근목표지향성, 과제회피목표지향성 순으로 목표 성향을 나타냈고 해당 과목에 대해 비교적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자기효능감과 정적인 상관을 가지고 있었고 과제회피목표지향성은 부적인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목표지향성간의 관계를 보면,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고 과제회피목표지향성은 숙달목표지향성과 부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수행접근과 과제회피 목표만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들의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이 자기효능감 형성에 적응적일 수 있음을 나타냈다. 아울러, 중다목표지향의 관점에서 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을 모두 높게 가진 것이 어느 한쪽만을 높게 가지고 있는 목표유형에 비해 높은 자기효능감을 형성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적응적인 목표지향성 형성과 자기효능감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학의 수업 환경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research, 79 college students made up a questionnaire of self-efficacy and goal-orientation, and 71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mastery goal was higher than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that of task-avoidance goal was the lowest of all. The correlations between mastery goal and self-efficacy,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self-efficacy were positive, however, task-avoidance goal was related with self-efficacy negatively. Also, there were no relationships between mastery-goal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mastery-goal and work-avoidance goal. In the regression analysis, only performance approach goal was positive influential factor to form a self-efficacy positively, the adaptive function of performance approach goal was revealed. As an aspects of multiple-goal orientation, the differences of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goal profile was analyzed, then, the group of high mastery, performance-approach and low work-avoidance goal was the highest in self-efficacy. From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o form an adaptive goal-orientation and enhance self-efficacy in college instructional environments.

      • KCI등재

        목표지향성과 직무수행간의 차별적 관계와 직무 및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김종현,강영순 한국상업교육학회 2012 상업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범주에서 수행되었다. 첫째, 목표지향성(학습목표지향성, 성과접근목표지향성, 성과회피목표지향성)과 직무수행(과업수행, 혁신수행)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둘째, 학습목표지향성과 성과접근목표지향성이 과업수행과 혁신수행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셋째, 목표지향성과 직무수행간 학습동기와 직무동기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연구표본은 제주지역 서비스 업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에 활용된 표본은 266명이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목표지향성과 성과접근목표지향성은 과업수행, 혁신수행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성과회피목표지향성은 이들 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목표지향성은 혁신수행, 성과접근목표지향성은 과업수행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습동기는 학습목표지향성과 혁신수행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고, 직무동기는 학습목표지향성과 과업수행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성과접근목표지향성과 과업수행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목표지향성과 직무수행간의 차별적 관계를 제시하여 조직의 선발 및 배치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둘째, 목표지향성과 직무수행간의 작용하는 매개 매커니즘을 밝혀 향후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goal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Next, the differential impact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to job performance(innovative behavior and task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The mechanism of mediation was examined how goal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were linked with job motivation and motivation to learn. The 266 samples came from employees working for service area in Jeju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learning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both outcome variables. The hypothesis on which differential impacts of learning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were supported as expected. Job motivation had full mediation to learning goal orientation-task performance, and partial mediation to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task performance. And motivation to learn had partial mediation to learning goal orientation-innovative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1) reconfirmed the effect to task performance, 2) firstly examined the discriminance of two variables to job performance, 3) accounted for the mechanism how the relationship of goal orientation-job performance was mediated with job motivation and motivation to learn

      • 지리교육과정의 성취목표와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의 평가목표의 비교분석: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조경철 ( Kyoung Cheol Cho ) 한국지리학회 2012 한국지리학회지 Vol.1 No.1

        Bloom의 교육목표 분류학은 분류 기준의 모호성, 불명확한 유목의 심리학적 속성, 위계 구조의 불일치와 같은 몇몇 단점들과 현실적 한계들로 인해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이 고안되었으며, 이미 외국에서는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교육 목표 설정, 교수 과정, 평가의 단계에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신교육목표체계를 이용하여 지리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취목표와 학업성취도 평가의 평가목표를 분석하는 것은 교육의 과정에서 목표가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평가가 설정된 교육 목표의 성취를 평가하고 있는 있는지 확인하는데 유용하다. 신교육목표체계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 교육과정은 지식의 차원에서 ‘사실적 지식’을 주로 다루고 있으며, 지리 교과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절차적 지식’의 비중은 낮다.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가 주로 제시되어 있다. 둘째, 학업 성취도 평가 문항은 지식의 차원에서는 ‘사실적 지식’,‘개념적 지식’이,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기억하다’가 높은 비율로 제시되었다.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s been criticized due to ambiguity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unclear psychological attributes of classification and mismatch of hierarchical structure, As a result, the revision of Bloom``s taxonomy has been devised and already applied in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goal, teaching process, and assessment in the foreign country. Therefore, based on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alyzing attainment targets in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and evaluative objectives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geography is meaningful in verifying the propert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evaluative objectiv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imension of knowledge, ‘factual knowledge’ is mainly presented, ‘procedural knowledge’ lowly presented in geography curriculum. And in the cognitive processes, ‘understand’ is mainly presented. Second, ‘factual knowledge’, ‘conceptual knowledge’ in the dimension of knowledge, ‘remember’ in the dimension of cognitive processes are mainly presented.

      • KCI등재

        성과평가시스템에서의 목표설정

        안태식 ( Tae Sik Ahn ),최연식 ( Youn Sik Choi ),권대현 ( Dae Hyun Kwon ) 한국회계학회 2011 회계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공공기관의 경영실적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성과평가제도안에서 목표설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다양한 실증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첫째, 피평가자의 차기 목표달성확률이 당기에 목표를 달성했는지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피평가자의 성과목표를 설정할 때 과거성과를 완전히 반영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목표설정 시 톱니현상(ratchet principle)의 존재 여부에 대한 분석 결과, 전체표본에서는 차기목표가 당기성과를 기준으로 설정되었으나, 당기의 목표달성 여부에 따라 당기성과가 차기목표에 반영되는 정도는 다르지 않았다. 목표설정방법을 구분한 분석에서는 추세치, 목표부여 및 목표대실적에서 모두 톱니현상이 발견되었는데, 특히 목표부여 지표에서는 당기 목표미달 시 차기목표가 증가하는 현상이 발견되었고 목표대실적 지표에서는 하방탄력적 톱니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차기목표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목표달성여부, 그리고 목표초과달성도가 차기목표 설정에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으나, 목표향상도는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달성여부만 고려할 경우에는 성과개선도가 차기 목표결정의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지만, 목표초과달성도를 추가로 고려한 경우에는 성과개선도의 중요성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목표설정과정에 피평가자가 참여하는 정도에 따라 톱니현상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정보우위에 있는 피평가자가 목표설정에 보다 깊이 참여할수록 차기목표가 달성하기 쉽도록 설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공공기관의 경영평가제도에서 지속적 성과개선 보다는 일시적 성과개선을 유도하거나 정부정책 및 거시경제 상황을 반영하는 목표설정이 일어날 가능성을 시사한다. How to set targets is a crucial factor in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erformance-evaluation and compensation plans. The primary use of targets is to coordinate the allocation of resources and to evaluate performance (Ittner and Larcker 2001; Leone and Rock 2002). Targets are also a key component of management control systems; the way firms set targets, the way they revise them over time, and the ease with which ratees achieve those targets affect their incentives to increase firm value (Indjejikian and Nanda 2002). More challenging targets lead higher performance by motivating employee to be more productive (Stedry 1960; Stedry and Kay 1966; Rockness 1977; Chow 1983). The first-best strategy to maximize firm value may be to set a target that approximates employees` true capability. Though target-setting is important and pervasive in performance-evaluation system, evidence concerning target-setting practice is scant because researchers rarely have access to such inherently firm-specific and often confidential internal information (Ittner and Larcker 2001).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argets are set by using a variety of empirical models coupled with performance evaluation data of the Korean Government-owned enterprises (GOEs). First, we follow the simple framework developed by Indjejikian and Nanda (2002), which assume that a firm`s executive works for two periods and the firm rewards the executive based on a measure of his performance evaluated relative to a target. This framework also assume that a target depends only past targets and past performance. Thus, under the framework, if the firm does not adjust the target for the executive`s past performance, then target at any period is timeless and does not depend on prior period`s performance. We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ratees` chance of achieving their targets depend on whether the ratees` performance exceeded their targets in the previous year. This findings suggest that raters do not adjust targets to fully reflect ratees` past performance. Second, we examine whether the ratchet principle is implemented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Korean GOEs. The ratchet principle is the well-known tendency of raters to use current performance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future targets (Weitzman 1980). Given the uncertainty about the true performance capability of ratees, raters regard the performance in any period as the revealed minimal level of their capabilities in the next period (Berliner 1976). Therefore, in a principalagent setting, the ratchet principle is adopted if contracts explicitly or implicitly reflect past performance information because performance information reduces the variance with which future performance is measured (Milgrom and Roberts 1992). We find a symmetric ratchet principle for performance measures of which targets are revised by a formula, and a super-variable ratchet principle for performance measures of which targets are set by ratees` participation. Surprisingly, targets for the next year increases rather than decreases when ratees miss targets at any period for performance measures of which targets are endowed by raters. Finally, we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next period`s targets in order to establish that firms design targets to motivate their executives optimally. Leone and Rock (2002) consider two determinants, whether or not and how much ratees` beat (or meet) targets. Besides them, we additionally examine how much performance at any period increase compared to prior period`s performance and how much targets at any period change compared to prior period`s targets. We find that whether or not and how much ratees` beat (or meet) targets a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arget-setting, while change in target is insignificant. In addition, change in performance has an influential effect on the next period`s target-setting when the fact whether ratees` beat (or meet) targets or not is considered. However, we find that change in performance is no longer significant when the fact how much ratees` beat(or meet) targets is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regression model. Our findings that ratcheting pattern depends on the degree of ratee`s participation in the target-setting process suggest that the more ratees participate in targetsetting, the more easily achievable targets seem to be set. They also imply that the current GOEs` target-setting mechanism may induce temporarily improved performance rather than persistent innovation in performance.

      • KCI등재

        신교육목표분류학 적용을 통한 읽기 영역의 평가 문항 설계

        백희정,배재훈 청람어문교육학회 2019 청람어문교육 Vol.0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ssessment Items for achieving the goals of the current curriculum of primary language and reading parts in 2015 through the application of Mazano's New Taxonomy. To this end, Mazano's new education target classification was utilized. The New Education Objectives Classification can show that the evaluation of the current series can be done well as a return to the following categories of goals: Based on this, the assessment Items were designed after analyzing the curriculum of primary language and reading parts in 2015 objectives and textbook issues. The significance of this discussion was first, the following objectives and textbook activities in the area of reading 'realistic understanding' could be clearly viewed according to the learner's knowledge-processing process. Second, we found that some of the activities in the area of curriculum of primary language and reading parts in 2015 did not extend to the level of meta-geography or self-system. Third, by proposing the design of the assessment items through the application of identity logistics, we could see the possibility of a reasonable and appropriate reading assessment for the preparation of the following line. It is suggested that the meta-range and self-system levels will be supplemented and presented when the next target or textbook activity is devised for the next curriculum reading part. 본 연구는 마자노의 신분류학 적용을 통하여 현행 2015 초등 국어과 읽기 영역의 목표 도달을 위한 평가 문항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마자노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활용하였다. 신교육목표분류학은 다음 계열의 목표를 위한 환원으로서 현 계열의 평가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줄 수 있다. 이를 기준으로 2015 초등 국어과 읽기 영역 차시 목표 및 교과서 과제를 분석한 후 평가 문항을 설계하였다. 본 논의의 의의는 첫째, 읽기 영역 ‘사실적 이해 ’ 의 차시 목표 및 교과서 활동을 학습자의 지식-처리 과정에 따라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2015 초등 국어과 읽기 영역의 일부 활동 항목에서는 메타인지나 자기체계 수준까지 확장되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셋째, 신분류학 적용을 통한 평가 문항 설계를 제안해봄으로써 다음 계열의 준비를 위한 타당하고 적합한 읽기 평가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차기 교육과정 읽기 영역의 차시 목표나 교과서 활동을 구안할 시, 메타인지 및 자기체계 수준이 보완되어 제시될 것을 제안한다.

      • 목표유형의 소비자 후회 및 만족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수에 관한 연구

        응웬 티 튀,김경민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22 한국마케팅관리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04

        후회에 관한 이전의 연구들은 사람들의 행동 유무의 후회에 대한 영향만을 검토하는 연구가 많 았다. 그러나 행동을 계획하고 시행할 때 소비자들은 때때로 목표를 세우고 목표에 의해 행동하 는 경우가 많다. 이런 점에서 목표와 행동 그리고 후회에 관해 포괄적이면서도 체계적인 내용을 규명하는 연구는 미비한 경향을 보여 왔다. 더구나 목표의 경우도 최근에 다양한 목표의 유형이 존재하고 있음을 많은 연구들이 밝히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목표의 유형하에서 소비자들 의 행동을 바탕으로 한 후회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것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행동효과를 목표유형 중 유지목표와 달성목표를 연계하여 발생하는 후회의 효과 를 면밀히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후회와 행동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목표유형 에서 유지목표와 달성목표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목표에 따라 소비자의 후회 정도와 만족도가 상이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목표유형이 구매패턴과 시간 지연과의 상호작용이 소비자의 후 회 정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상하고 관련된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실험내용은을 검증하기 위해 이원 분산분석(TWO-WAY ANOVA)을 수행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유지목표에서 반복구매 소비자의 후회 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달성 목표에서는 전환구매 소비자의 후회 정도가 적게 나타났다. 또한 유지목표에서 반복구매 소비자 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달성목표에서는 전환구매 소비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유지목표에서 시간이 무지연의 경우 소비자의 후회 정도가 적게 느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달 성목표에서는 시간이 유지연의 경우 후회 정도가 적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목표유형과 시간 지연의 이원 상호작용이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예상하였는 데 지지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유지목표에서 시간이 유지연의 경우 만족도가 적게 나타난 반면에 달성목표에서는 시간이 유지연의 경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